KR200239006Y1 - 조리용 뜰채 - Google Patents

조리용 뜰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06Y1
KR200239006Y1 KR2020010012549U KR20010012549U KR200239006Y1 KR 200239006 Y1 KR200239006 Y1 KR 200239006Y1 KR 2020010012549 U KR2020010012549 U KR 2020010012549U KR 20010012549 U KR20010012549 U KR 20010012549U KR 200239006 Y1 KR200239006 Y1 KR 200239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ed
mesh
r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원
Original Assignee
양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원 filed Critical 양성원
Priority to KR2020010012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06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뜰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부재에 의해 망체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를 금속재로 형성하고, 이 손잡이의 일단부 내경에는 지지링의 돌출부를 융착 고정하며, 손잡이의 타단부에는 고리가 구비되어 뜰체를 벽등에 걸 수 있도록 마개를 삽입 설치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가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어 뜰채 사용시 손잡이가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와 손잡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기름 등에 의해 손잡이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리용 뜰채{COOKING FOR FLOAT BAR}
본 고안은 조리용 뜰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결부재에 의해 망체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를 금속재로 형성하고, 이 손잡이의 일단부 내경에는 지지링의 돌출부를 융착 고정하며, 손잡이의 타단부에는 고리가 구비되어 뜰체를 벽등에 걸 수 있도록 마개를 삽입 설치하여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와 손잡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기름 등에 의해 손잡이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 뜰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뜰채는 튀김 또는 각종유체 즉, 기름이나 국물속의 불순물을 건져내는데 사용되는 주방 조리용구로써, 망체부재와 손잡이 및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용 뜰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 뜰채(100)는 망체부재(110)와, 손잡이(120) 및 상기 손잡이(120)와 망체부재(1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망체부재(100)는 망체(112)와, 지지링(113) 및 고정테(1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망체(112)는 반구형으로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망체(112)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지지링(113)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다.
이때, 상기 지지링(113)의 양단에는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돌출부(113a)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113)의 외주연에는 고정테(114)가 밀착 삽입되어 상기 지지링(113)을 지지해준다. 이때, 상기 지지링(113)의 돌출부(113a)는 상기 고정테(114)의 내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삽입된다.
상기 손잡이(120)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일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돌출부(113a)가 설치될 수 있게 결합홈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손잡이(120)와 상기 망체부재(1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고정테(114)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결합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120)가 끼워질 수 있게 고정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고정부(134)에 삽입되어 고정핀(140)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리용 뜰채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링(113)의 외주연에 상기 망체(112)의 가장자리부를 감은 다음 상기 지지링(113)의 외주연에 고정테(114)의 내경을 삽입 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정테(114)의 내경이 상기 지지링(113)의 외주연에 삽입되면서 밀착 결합되어 상기 지지링(113)을 지지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고정테(114)의내경으로부터 상기 지지링(113)의 돌출부(113a)가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13a)를 상기 손잡이(120)의 결합홈부(122)에 설치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130)로 상기 손잡이(120)와 상기 망체부재(110)를 연결 설치한다. 즉, 상기 손잡이(120)의 결합홈부(122)에 돌출부(113a)가 설치되면, 상기 연결부재(130)의 결합부(132)를 상기 고정테(114)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부재(130)의 고정부(134)는 상기 손잡이(120)의 일단 외주연 둘레를 감싸면서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고정부(134)에 형성된 체결공(134a)과 상기 손잡이(12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124)을 통해 고정핀(140)으로써 손잡이(120)를 고정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뜰채(100)는 연결부재(130)에 의해 상기 망체부재(110)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120)가 목재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중 손잡이(120)가 쉽게 파손되었을 뿐만 아니라 망체부재(110)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120)가 연결부재(130)에 고정핀(140)으로 고정설치 되어 있어 뜰채(100) 사용시 연결부재(130)와 손잡이(120)를 고정시킨 고정핀(140)이 이탈됨과 동시에 손잡이(120)가 연결부재(130)에서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었으며, 또한 기름등에 의해 손잡이(120)가 지저분하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연결부재에 의해 망체부재에 금속재인 손잡이를 연결 설치하여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와 손잡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기름 등에 의해 손잡이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뜰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망체, 상기 망체의 각 가장자리부가 감겨지고 고정테로 밀착 결합되는 지지링으로 이루어진 망체부재; 상기 지지링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돌출부가 일단부 내경에 융착 고정되고 외주연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고리공이 형성된 손잡이; 상기 고정테의 외주연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 외주연을 감싸면서 상기 결합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을 구비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프레싱으로 함몰시켜 상기 손잡이와 상기 망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손잡이의 타단 내경에 삽입 고정되고 일단 외주연에는 상기 고리공에 대응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마개; 상기 고리공을 통해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져 벽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뜰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망체부재는 상기 망체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게 각 일단이 상기 고정테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 내경에 삽입되는 받침구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용 뜰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뜰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뜰채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뜰채 20 : 망체부재
22 : 망체 24 : 지지링
24a : 돌출부 26 : 고정테
28 : 받침구 30 : 손잡이
32 : 결합공 34 : 고리공
40 : 연결부재 42 : 결합부
44 : 고정부 44a : 고정편
50 : 마개 52 : 결합홈부
60 : 고리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뜰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뜰채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 조리용 뜰채(10)는 망체부재(20)와, 손잡이(30)와, 연결부재(40)와, 마개(50) 및 고리(60)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도 3 내지 도 5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망체부재(20)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된 망체(22)와, 상기 망체(22)의 가장자리부가 외주연에 감겨지고 양단에는 적정 간격으로 돌출부(24a)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지지링(24)과, 상기 지지링(24)의 외주연에 내경이 밀착 삽입되어 상기 지지링(24)을 지지해주는 고정테(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0)는 금속재질로 적정 지름과 길이를 유지하여 이루어지고, 일단부 내경에는 상기 지지링(24)의 돌출부(24a)가 고주파 용접 작업에 의해 융착 고정되고, 일단부 외주연 일측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고리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손잡이(30)와 상기 망체부재(20)를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고정테(26)의 외주연에 둘레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 외주연을 감싸고 양단에는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결합공(3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44a)을 구비한 고정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편(44a)의 끝단부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50)는 상기 손잡이(30)의 타단 내경에는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 외주연에 상기 손잡이(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공(34)에 대응되는 결합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60)는 상기 조리용 뜰채(10)를 벽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망체부재(20)의 저면에는 상기 망체(22)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게 받침구(28)가 설치되는데, 상기 받침구(28)의 각 일단은 상기 고정테(26)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 내경에 삽입 설치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동심원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링(24)의 외주연에 상기 망체(22)의 가장자리를 감아 고정 시킨 다음 상기 지지링(24)의 외주연에 고정테(26)의 내경을 삽입 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정테(26)의 내경이 상기 지지링(24)의 외주연에 삽입되면서 밀착 결합되어 상기 지지링(24)을 지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테(26)의 내경으로부터 상기 지지링(24)의 돌출부(24a)가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링(24)의 돌출부(24a)를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 내경에 융착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연결부재(40)로 상기 손잡이(30)와 상기 망체부재(20)를 연결 설치한다. 즉, 상기 손잡이(30)의 내경에 돌출부(24a)가 융착 고정되면 상기 연결부재(40)의 결합부(42)를 상기 고정테(26)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부재(40)의 고정부(44)는 상기 손잡이(30)의 일단 외주연을 감싸면서상기 고정부(44)의 고정편(44a)을 상기 결합공(32)에 삽입 고정시킨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상기 고정편(44a)의 끝단이 상기 결합공(32)의 양측으로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40)에 의해 상기 손잡이(30)와 상기 망체부재(20)가 연결 설치되면,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가 삽입 설치된 상기 고정부(44)의 상면을 프레싱(48)하여 함몰시킨다.
그 다음으로 상기 망체(22)의 저면을 받쳐질 수 있게 상기 반구형인 망체(22)의 형상에 형합되는 받침구(28)의 각 일단을 상기 고정테(26)의 외주연에 고정 시키고, 그 타단은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 내경에 삽입시키면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마개(50)를 상기 손잡이(30)의 타단부 내경에 끼워 결합시키되 상기 손잡이(30)의 고리공(34)에 결합홈부(52)를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리(60)를 상기 고리공(34)을 통해 결합홈부(52)에 끼우면 본 고안 뜰채(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30)를 파지한 다음 튀김 또는 각종유체 즉, 기름이나 국물속의 불순물을 망체부재(20)로 건져내어 사용하면 된다.
한편, 조리용 뜰채(1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뜰채(10)를 상기 손잡이(30)의 타단부에 설치 고정된 고리(60)를 벽 등에 걸어 보관하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조리용 뜰채에 따르면 연결부재에 의해 망체부재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를 금속재로 형성하고, 이 손잡이의 일단부 내경에는 지지링의 돌출부를 융착 고정하며, 손잡이의 타단부에는 고리가 구비되어 뜰체를 벽등에 걸 수 있도록 마개를 삽입 설치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가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어 뜰채 사용시 손잡이가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부재와 손잡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기름 등에 의해 손잡이가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망체(22), 상기 망체(22)의 각 가장자리부가 감겨지고 고정테(26)로 밀착 결합되는 지지링(24)으로 이루어진 망체부재(20);
    상기 지지링(24)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돌출부(24a)가 일단부 내경에 융착 고정되고 외주연에는 결합공(32)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고리공(34)이 형성된 손잡이(30);
    상기 고정테(26)의 외주연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일측에 결합부(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 외주연을 감싸면서 상기 결합공(3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44a)을 구비한 고정부(44)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44)의 상면에는 프레싱(48)으로 함몰시켜 상기 손잡이(30)와 상기 망체부재(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
    상기 손잡이(30)의 타단 내경에 삽입 고정되고 일단 외주연에는 상기 고리공(34)에 대응되는 결합홈부(52)가 형성된 마개(50);
    상기 고리공(34)을 통해 상기 결합홈부(52)에 끼워져 벽등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고리(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뜰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부재(10)는 상기 망체(22)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게 각 일단이 상기 고정테(26)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손잡이(30)의 일단부 내경에 삽입되는 받침구(28)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뜰채.
KR2020010012549U 2001-04-30 2001-04-30 조리용 뜰채 KR200239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549U KR200239006Y1 (ko) 2001-04-30 2001-04-30 조리용 뜰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549U KR200239006Y1 (ko) 2001-04-30 2001-04-30 조리용 뜰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006Y1 true KR200239006Y1 (ko) 2001-10-12

Family

ID=7306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549U KR200239006Y1 (ko) 2001-04-30 2001-04-30 조리용 뜰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140B1 (ko) 2017-10-17 2019-03-15 정성도 주방용 기름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140B1 (ko) 2017-10-17 2019-03-15 정성도 주방용 기름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1179S1 (en) Dishwasher utility basket
USD507968S1 (en) Food container assembly
KR200239006Y1 (ko) 조리용 뜰채
US20020073553A1 (en) Utensil assembly
KR200462200Y1 (ko) 조리용 거르개
US10827873B2 (en) Double-liner electric cooker
USD488342S1 (en) Pancake and egg cooking appliance
USD536223S1 (en) Culinary appliance
USD481256S1 (en) Four-legged barbeque grill with high dome lid
USD391443S (en) Handle for cooking utensils
US6712412B2 (en) Grill implements with removable handle
KR200197650Y1 (ko) 조리용 뜰채
KR200197494Y1 (ko) 절첩가능한 프라이팬용 손잡이
USD410310S (en) Mop wringer
USD426706S (en) Hemp basket
KR200399002Y1 (ko) 숟가락 겸용 젓가락
KR200226946Y1 (ko) 용기의 손잡이
KR200180718Y1 (ko) 남비 손잡이
KR200381743Y1 (ko)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USD485401S1 (en) Washing appliance agitator having spiral baffle
USD495219S1 (en) Salad utensil set
JP3087482U (ja) 茶こし器
CN219594524U (zh) 一种清洁锅刷
RU2278777C1 (ru) Кухонно-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с чехлом держателя
CN212307600U (zh) 盖子及包含该盖子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