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43Y1 -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 Google Patents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43Y1
KR200381743Y1 KR20-2005-0001299U KR20050001299U KR200381743Y1 KR 200381743 Y1 KR200381743 Y1 KR 200381743Y1 KR 20050001299 U KR20050001299 U KR 20050001299U KR 200381743 Y1 KR200381743 Y1 KR 200381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bracket
handle
scrubber
do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철
Original Assignee
(주)광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상사 filed Critical (주)광진상사
Priority to KR20-2005-0001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형 수세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통해 세사 구조체를 간접 파지하여 세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세사 구조체의 조직이 사용자가 직접 파지한 것처럼 긴밀하게 유지되어, 안정된 세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형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Scrubber with knob}
본 고안은 손잡이형 수세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통해 세사 구조체를 간접 파지하여 세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세사 구조체의 조직이 사용자가 직접 파지한 것처럼 긴밀하게 유지되어, 안정된 세척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형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세사로 이루어진 수세미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수세미보다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우수하여, 후라이팬에 묻은 기름 때나 냄비 등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것들을 제거할 때에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금속세사로 이루어진 수세미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용기 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수세미를 이루는 금속세사가 마모되어 절단되면, 이 절단된 금속세사에 의해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긁히거나 찔리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통상 이러한 형태의 수세미에 있어서는 상기 코일형상으로 꼬인 금속세사들의 납작한 면들끼리의 결합력이 거의 없어, 이들끼리 서로 미끄러지면서 수세미의 형태가 쉽게 일그러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기 쉽지 않고 내구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무장갑을 끼고 수세미를 파지하거나 수세미에 비닐 커버를 덧씌워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고무장갑을 끼고 사용하더라도 형태가 일그러지면서 나타나는 파지상의 불편이나 내구성의 불량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존재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일형 금속세사로 이루어진 세사 구조체를 직접 파지하지 아니하고 손잡이를 통해 간접 파지하여 세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코일형 금속세사의 조직이 사용자가 직접 파지한 것처럼 긴밀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원활한 세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형 수세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정된 결박구조를 가진 손잡이형 수세미는,
몸체의 가장자리 내측에 상하 관통된 복수의 고정공들이 방사구조로 배설된 고정 브라켓과;
다수의 코일형 금속세사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외주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도넛형 세사 구조체와;
상기 도넛형 세사 구조체의 외주를 종방향으로 감싸, 상기 고정 브라켓의 고정공을 통해 고정 브라켓에 도넛형 세사 구조체를 등분된 구조로 결박하여 고정하는 결박부재; 및
상기 세사 구조체가 결박된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면를 전체적으로 덮으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브라켓에 마련된 고정공의 내벽에 스토퍼를 마련하고, 상기 결박부재의 일면에는 이에 결착되는 걸림단을 마련하여, 세사 구조체를 결박하여 진입하는 결박부재의 걸림단이 고정공의 내벽에 형성된 스토퍼에 결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의 외형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손잡이형 수세미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조도이며, 도 3a는 상기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확대도이고, 도 3b는 상기 도 1의 손잡이형 수세미의 손잡이를 이루는 구성요소들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하고 있는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1)는, 전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넛형의 세사 구조체(20)를 결박부재(30)로 결박하여 고정시킨 고정 브라켓(10)의 상부에 손잡이(40)가 마련된 형태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형 수세미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원통형 몸체의 중앙에 상하 관통된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가장자리 내측에는 상하 관통된 구조의 고정공(12)들이 방사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사방 가장자리 내측에 상하 관통된 구조의 고정공(12)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고정 브라켓(10)의 외주에, 코일형 세사(11)들이 조직배열되어 이루어진 도넛형 세사 구조체(20)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세사 구조체(20)를 이루고 있는 코일형 금속세사(21)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내식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해롭지 않는 금속재질의 압연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금속재질의 수세미로 통상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도넛형 세사 구조체(20)의 중앙에 고정 브라켓(10)을 배치한 다음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결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도넛형 세사 구조체(20)의 둘레를 4등분하도록 종방향으로 감싸고, 이 감싼 결박부재(30)의 말단을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고정공(12)에 집입시켜 고정함으로써, 고정 브라켓(10)에 도넛형 세사 구조체(20)가 4등분된 구조로 결박·고정하게 된다. 다만, 반드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4등분할 필요는 없으며, 등분되는 수는 도넛형 세사 구조체(20)의 크기와 코일형 금속세사(21)의 굵기, 코일의 밀도 등을 고려하여 적의 선택한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도넛형 세사 구조체(20)를 등분하여 고정 브라켓(10)에 결박하게 되면, 이들 각 등분된 세사 구조체(20)는 더욱 긴밀한 조직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사 구조체(20)를 직접 파지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파지한 것처럼 세사 구조체(20)의 조직이 긴밀(촘촘)하게 유지되어서, 원활한 세척작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사 구조체(20)를 고정 브라켓(10)에 등분되게 결박하고 있는 결박부재(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벌키한 세사 구조체(20)의 조직내에 파묻혀 세사 구조체(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용기 등을 세척할 때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브라켓(10)의 고정공(12) 내벽에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자형의 결착단(12a)과 경사형으로 돌출된 스토퍼(12b)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와 외접되는 상기 결박부재(30)의 선단(30a)과 말단(30b)의 일면에는 이들에 결착되는 결착단(31)과 걸림단(32)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할 경우, 결박부재(30)의 선단(30a)에 마련된 결착단(31)이 고정브라켓의 일측 내벽에 형성된 결착단(12a)에 결착된 상태에서, 결박부재(30)를 도넛형 세사 구조체(20)를 종방향으로 감싼 다음, 상기 고정공(12) 내로 결박부재(30)의 말단을 진입시켜 고정공(12) 타측 내벽에 형성된 스토퍼(12b)에 결박부재(30)의 말단(30b)에 마련된 걸림단(32)을 결착시키면, 결박부재(30)는 전체적으로 도넛형 세사 구조체(20)를 둘러싼 환형의 띠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결박부재(30)의 매듭을 형성함에 있어, 별도의 연결구를 마련하지 아니하고, 결박부재(30)가 고정 브라켓(10)의 고정공(12)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걸림단(31)과 스토퍼단(12a)이 상호 결착되어, 자체적인 매듭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박부재(30)를 통해 일체화된 도넛형 세사 구조체(20)와 고정 브라켓(10)의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40)는, 상기 결박부재(30)를 통해 일체화된 도넛형 세사 구조체(20)와 고정 브라켓(10)의 상면의 대부분을 덮는 형태로 커버부재(41)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노브부재(42)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커버부재(41)는, 결박부재(30)를 통해 일체화된 도넛형 세사 구조체(20)와 고정 브라켓(1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원판몸체로 이루어지며, 이 원판몸체의 중앙에는 결합공(41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1)에 형성된 결합공(41a)에는 노브부재(42)가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 삽입된 노브부재(42)는 저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가진 체결공(42a)에 상기 고정 브라켓(10)에 형성된 체결공(11)을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50)가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1)의 결합공(41a)의 양측으로 요입홈(41b)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부재(42)의 저면에는 상기 요입홈(41b)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2b)가 형성되어, 노브부재(42)와 커버부재(41)가 독립적으로 움직이거나 요동하여 돌아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도록 이들(41, 42)간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준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1)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0)의 각 고정공(12)에 삽입되는 고정핀(41b)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부재(41)와 고정 브라켓(10)간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커버부재(41)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핀(41b)들이,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0)의 고정공(12)에 삽입 고정된 상기 결박부재(30)의 선단(30a)과 말단(30b)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말단(30b)을 고정공(12)의 스토퍼단(12b)이 형성된 측벽쪽으로 밀어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도넛형 세사 구조체(20)를 결박한 결박부재(30)를 고정 브라켓(10)의 고정공(12)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여, 결박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수세미(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코일형 세사(21)로 이루어진 세사 구조체(20)를 직접 파지하지 아니하고, 세사 구조체(20)를 결박한 고정 브라켓(10)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40)를 파지하여 용기 등을 세척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손이 상기 원판형상의 커버부재(41)에 의해 도넛형 세사 구조체(20)의 상면과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압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사용할 때보다도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은 더욱 적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형 수세미는, 코일형 금속세사로 이루어진 세사 구조체를 직접 파지하지 아니하고 손잡이를 통해 간접 파지하여 세척할 수 있어 손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코일형 금속세사로 이루어진 도넛형 세사 구조체를 고정 브라켓에 등분된 구조로 결박하기 때문에, 세사 구조체는 사용자가 직접 파지한 것처럼 긴밀한 조직상태를 이루고 되고, 따라서 안정된 세척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판형 커버부재에 의해 세사 구조체가 고르게 가압되기 되기 때문에 특정 부분에 힘이 가해지면서 변형이 일어날 염려가 적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박부재와 고정 브라켓의 관통공에 스토퍼와 걸림단을 마련하게 되면, 매듭을 형성하는 과정이 일원화되게 이루어져, 생산공정이 간소화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의 외형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손잡이형 수세미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조도이며,
도 3a는 상기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확대도이고,
도 3b는 상기 도 1의 손잡이형 수세미의 손잡이의 구성요소들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손잡이형 수세미 10. 고정 브라켓
11. 체결공 12. 고정공
20. 도넛형 세사 구조체 21. 코일형 금속세사
30. 결박부재
40. 손잡이 41. 커버부재
42. 노브부재 50. 체결볼트

Claims (5)

  1. 몸체의 가장자리 내측에 상하 관통된 복수의 고정공들이 방사구조로 배설된 고정 브라켓과;
    다수의 코일형 금속세사들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외주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도넛형 세사 구조체와;
    상기 도넛형 세사 구조체의 외주를 종방향으로 감싸, 상기 고정 브라켓의 고정공을 통해 고정 브라켓에 도넛형 세사 구조체를 등분된 구조로 결박하여 고정하는 결박부재; 및
    상기 세사 구조체가 결박된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면를 전체적으로 덮으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마련된 고정공의 내벽에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결박부재의 일면에는 이에 결착되는 걸림단이 마련되어, 세사 구조체를 결박한 결박부재의 걸림단이 스토퍼에 원터치 형태로 결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공에 삽입된 결박부재의 선단과 말단의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커버부재와 고정 브라켓간을 고정시켜 요동을 방지하고, 결박부재의 말단을 고정공의 스토퍼단이 형성된 측벽쪽으로 밀어 가압하여, 결박부재의 결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박을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일체화된 도넛형 세사 구조체와 고정 브라켓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원판몸체로 구성된 커버부재와, 하부가 상기 상기 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는 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결합공 양측으로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요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노브부재와 커버부재가 요동하지 않도록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KR20-2005-0001299U 2005-01-15 2005-01-15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KR200381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299U KR200381743Y1 (ko) 2005-01-15 2005-01-15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299U KR200381743Y1 (ko) 2005-01-15 2005-01-15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43Y1 true KR200381743Y1 (ko) 2005-04-14

Family

ID=4368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299U KR200381743Y1 (ko) 2005-01-15 2005-01-15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7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94B1 (ko) * 2014-04-21 2015-04-21 주식회사 쌍마산업 금속수세미 제조방법
KR101681546B1 (ko) 2015-07-28 2016-12-01 (주)광진상사 합성수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94B1 (ko) * 2014-04-21 2015-04-21 주식회사 쌍마산업 금속수세미 제조방법
KR101681546B1 (ko) 2015-07-28 2016-12-01 (주)광진상사 합성수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09220A1 (en) Massage roller device
US5875509A (en) Self-wringing mop
JP2007538170A (ja) 厨房用ハンドプロテクタ
KR200489445Y1 (ko)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KR200381743Y1 (ko) 긴밀한 조직구조를 이룬 손잡이형 수세미
WO2004023966A1 (en) Twist mop
TWM413460U (en) Cleaning brush with handles
TWM366516U (en) Grip
JP5782665B1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US20210015245A1 (en) Holding device
JP2013522488A (ja) グリップ付きかぎ針
JP2012065691A (ja) 柄付金属タワシ
CN215775765U (zh) 试管卡持手套
KR20110003353U (ko) 헤어밴드
KR200402615Y1 (ko) 세사구조체가 마련된 자루형 수세미
KR101172030B1 (ko) 조립식 조리기구용 손잡이
KR200239006Y1 (ko) 조리용 뜰채
AU2007211913B2 (en) Mops
KR101724518B1 (ko) 모자 꼭지 단추 결합 구조
TWM471847U (zh) 具有握柄的清潔刷
KR101966437B1 (ko) 화장용 브러시 손잡이
TWM512072U (zh) 按壓吸盤結構改良
JP2942501B2 (ja) 紐体及びその二股状接続部用カバー
TWM560262U (zh) 一種具有扣合機構之鍋具
KR200233953Y1 (ko) 탄성력이 보강된 머리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