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45Y1 -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 Google Patents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45Y1
KR200489445Y1 KR2020180002429U KR20180002429U KR200489445Y1 KR 200489445 Y1 KR200489445 Y1 KR 200489445Y1 KR 2020180002429 U KR2020180002429 U KR 2020180002429U KR 20180002429 U KR20180002429 U KR 20180002429U KR 200489445 Y1 KR200489445 Y1 KR 200489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fixing member
tension coil
diameter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2020180002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3Attachments or mountings characterised by the ends of the spring being specially adapted, e.g. to form an eye for engagement with a radial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6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an element between the end coil of the spring and the support proper, e.g. an elastomeric annu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구를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거나,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린 연결구를 빼내는 작업을 손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12)로 구성된 고리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경된 확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를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거나,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린 연결구를 빼낼 때, 작업자가 상기 보호부재(20)의 돌레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보호부재(20)를 상측으로 당기면, 손이 상기 확경부(22)의 하측면에 지지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인장코일스프링(1)을 손쉽게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tension spring connector}
본 고안은 연결구를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거나,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린 연결구를 빼내는 작업을 손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운동기구나 기타 다양한 구조물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인장코일스프링은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코일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 것으로, 일단 또는 양단에 연결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를 이용하여 인장코일스프링을 다른 물체나 구조물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이와 같이 인장코일스프링의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는 단부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형태로 구성되며, 단부에는 개구부(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A)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3a)와 상기 고리부(3a)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3b)로 구성된 고리부재(3)와, 상기 직선부(3b)의 하단 구비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재(3)는 지름이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작은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벤딩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는 구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부재(3)를 다른 물체나 구조물에 걸면,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이 상기 고정부재(4)에 의해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가 지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인장코일스프링(1)의 경우,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연결구(A)에 의해 다른 물체나 구조물에 연결됨으로, 상기 연결구(A)를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거나,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린 연결구(A)를 빼낼 때는 작업자가 상기 연결구(A)의 고리부재(3)를 인장코일스프링(1)의 길이방향으로 당겨 인장코일스프링(1)을 늘려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매우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작업중에, 작업자의 손이 상기 고리부재(3)의 고리부(3a)에 끼어서 부상을 입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고실용신안 20-1997-0006216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구를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거나,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린 연결구를 빼내는 작업을 손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부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형태로 구성되고 단부에는 개구부(2)가 형성된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장코일스프링(1)을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12)로 구성된 고리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경된 확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끼워지는 와셔(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부(12)는 하단이 상기 와셔(4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선부(12)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와셔(4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3)과 와셔(4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0)와 보호부재(20)가 상기 직선부(12)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고리부(11)의 하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오목홈(2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30)의 관통공(31)은 상측의 대경부(31a)와 하측의 소경부(31b)로 구성되고, 상기 대경부(31a)의 내경은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31)의 대경부(31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은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21)의 대경부(31a)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직선부(12)에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직선부(12)의 하단에 걸림턱(13)을 형성한 후, 상기 보호부재(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와셔(40)는 상기 걸림턱(13)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면이 상기 고리부(11)의 하측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12)로 구성된 고리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경된 확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를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거나,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린 연결구를 빼낼 때, 작업자가 상기 보호부재(20)의 돌레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보호부재(20)를 상측으로 당기면, 손이 상기 확경부(22)의 하측면에 지지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인장코일스프링(1)을 손쉽게 늘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의 제2 실시예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 단부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형태로 구성되고 단부에는 개구부(2)가 형성된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장코일스프링(1)을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12)로 구성된 고리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끼워지는 와셔(4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리부재(10)는 지름이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작은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벤딩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리부재(10)의 직선부(12)는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를 관통하여 와셔(4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충분히 길게 구성되며, 직선부(12)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와셔(40)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1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3)은 직선부(12)의 둘레부 양측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호부재(20)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은 상하방향의 외경이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에는 외경이 확경된 확경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의 외경은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보호부재(20)의 하단이 상기 개구부(2)를 통해 인장코일스프링(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면, 즉, 상기 확경부(22)의 상면에는 상기 고리부(11)의 하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오목홈(2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외경이 상기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의 구형태로 구성 것으로, 외경이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의 관통공(31)은 상측의 대경부(31a)와 하측의 소경부(31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대경부(31a)의 내경은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31)의 대경부(31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셔(4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금속의 와이어를 밴딩하여 상기 고리부재(10)를 제조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3)이 형성되지 않은 고리부재(10)의 직선부(12)의 외측에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직선부(12)의 외측둘레부에 상기 걸림턱(13)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를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과 고정부재(30)가 상기 개구부(2)를 통해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로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연결구를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12)로 구성된 고리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경된 확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를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거나,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린 연결구를 빼낼 때, 작업자가 상기 보호부재(20)의 돌레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보호부재(20)를 상측으로 당기면, 손이 상기 확경부(22)의 하측면에 지지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인장코일스프링(1)을 손쉽게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확경부(22)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상기 고리부(11)와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 고리부재(10)를 다른 물체나 구조물에 걸거나 빼낼 때, 작업자의 손이 상기 고리부재(10)의 고리부(11)에 끼어서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하측에는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끼워지는 와셔(40)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부(12)는 하단이 상기 와셔(4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선부(12)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와셔(4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3)과 와셔(4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0)와 보호부재(20)가 상기 직선부(12)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를 가격이 저렴한 합성수지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가 상기 직선부(12)에 효과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고리부(11)의 하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오목홈(2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고리부(11)의 단부가 상기 오목홈(23)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리부(11)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손이 상기 고리부(11)의 단부에 걸려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고리부(11)는 금속와이어를 원형으로 벤딩하여 구성됨으로, 고리부(11)의 단부와 직선부(12) 상단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며, 이러한 틈이 외측으로 노출될 경우, 고리부재(10)가 미려하게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손이 상기 틈에 걸려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고리부(11)의 하단이 상기 보호부재(20)의 오목홈(23)의 내부로 삽입됨으로, 외측에서 볼 때, 고리부(11)의 단부와 직선부(12) 상단 사이의 틈이 가려져, 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손이 고리부(11)의 단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의 관통공(31)은 상측의 대경부(31a)와 하측의 소경부(31b)로 구성되고, 상기 대경부(31a)의 내경은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31)의 대경부(31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부(12)의 중간부 외측이 상기 고정부재(30)와 고정부재(30)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외관이 개선될 뿐 아니라, 금속재로 구성된 고리부재(10)의 직선부(12)와 인장코일스프링(1)의 개구부(2)에 마찰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은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31)의 대경부(31a) 내부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 둘레면과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31)의 대경부(31a) 내주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24,31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부(12)에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직선부(12)의 하단에 걸림턱(13)을 형성한 후, 상기 보호부재(2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30)와 와셔(40)가 하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와셔(40)의 하측면이 상기 걸림턱(13)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호부재(20)는 상승되어 상면이 상기 고리부(11)의 하측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는 상기 직선부(12)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의해 직선부(12)의 외측에 고정되는데,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될 경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가 직선부(12)와 마찰되어 마모될 뿐 아니라, 인장코일스프링(1)이 진동할 경우, 보호부재(20)가 상기 고리부재(10)에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상기 직선부(12)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최대한 상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를 이용하여 걸림턱(13)이 와셔(4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최대한 상측으로 밀착되도록 걸림턱(13)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걸림턱(13)을 형성할 때, 걸림턱(13)을 형성하는 프레스에 의해 와셔(40)나 고정부재(30) 등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31)의 대경부(31a) 내부에 나사결합됨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이 고정부재(30)의 관통공(31)의 내부로 깊게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3)을 와셔(4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20)를 회전시키면, 보호부재(20)의 상면이 상기 고리부(11)의 하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와셔(40)의 하측면이 상기 걸림턱(13)에 상면에 밀착되어, 손쉽게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고리부재 20. 보호부재
30. 고정부재 40. 와셔

Claims (5)

  1. 단부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형태로 구성되고 단부에는 개구부(2)가 형성된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장코일스프링(1)을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12)로 구성된 고리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경된 확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되며,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고리부(11)의 하측 둘레부가 삽입되는 오목홈(2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끼워지는 와셔(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부(12)는 하단이 상기 와셔(4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선부(12)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와셔(4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3)과 와셔(4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0)와 보호부재(20)가 상기 직선부(12)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3. 삭제
  4. 단부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콘형태로 구성되고 단부에는 개구부(2)가 형성된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결합되어 인장코일스프링(1)을 다른 물체 또는 구조물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된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직선부(12)로 구성된 고리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직선부(12)가 삽입되는 관통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직선부(12)의 외측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단에는 외경이 확경된 확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2)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0)의 관통공(31)은 상측의 대경부(31a)와 하측의 소경부(31b)로 구성되고,
    상기 대경부(31a)의 내경은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31)의 대경부(31a)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0)의 하단은 상기 고정부재(30) 관통공(21)의 대경부(31a) 내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직선부(12)에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직선부(12)의 하단에 걸림턱(13)을 형성한 후, 상기 보호부재(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와셔(40)는 상기 걸림턱(13)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호부재(20)의 상면이 상기 고리부(11)의 하측 둘레부에 밀착되어, 상기 보호부재(20)와 고정부재(30) 및 와셔(4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KR2020180002429U 2018-06-01 2018-06-01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KR200489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29U KR200489445Y1 (ko) 2018-06-01 2018-06-01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29U KR200489445Y1 (ko) 2018-06-01 2018-06-01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45Y1 true KR200489445Y1 (ko) 2019-06-18

Family

ID=6700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29U KR200489445Y1 (ko) 2018-06-01 2018-06-01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4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478A (ko) * 2020-06-24 2021-12-31 김영길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200496493Y1 (ko) * 2021-09-23 2023-02-09 김영길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200496540Y1 (ko) * 2022-09-28 2023-02-21 김영길 소음방지 및 쿠션용 헬스케어 스프링 보호링
KR102557688B1 (ko) * 2023-03-09 2023-07-21 티지바이텍 주식회사 온도센서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216Y1 (ko) 1994-05-12 1997-06-19 박용우 인장코일스프링 고정구
JP2004084921A (ja) * 2002-05-08 2004-03-18 Nok Corp 防振支持装置
US20060040804A1 (en) * 2004-08-18 2006-02-23 Balanced Body, Inc. Coil spring connector for use in an exercis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216Y1 (ko) 1994-05-12 1997-06-19 박용우 인장코일스프링 고정구
JP2004084921A (ja) * 2002-05-08 2004-03-18 Nok Corp 防振支持装置
US20060040804A1 (en) * 2004-08-18 2006-02-23 Balanced Body, Inc. Coil spring connector for use in an exercise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478A (ko) * 2020-06-24 2021-12-31 김영길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102352432B1 (ko) * 2020-06-24 2022-01-17 김영길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200496493Y1 (ko) * 2021-09-23 2023-02-09 김영길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200496540Y1 (ko) * 2022-09-28 2023-02-21 김영길 소음방지 및 쿠션용 헬스케어 스프링 보호링
KR102557688B1 (ko) * 2023-03-09 2023-07-21 티지바이텍 주식회사 온도센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445Y1 (ko)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KR101447637B1 (ko) 차량 카펫의 매트 고정용 클립
JPH0229629Y2 (ko)
RU2400115C9 (ru) Охватывающая деталь застежки-кнопки
JPH05306706A (ja) ロッドが設けられた部分を壁に取付ける固着装置
KR20140002402A (ko) 버튼 개폐장치
KR102361610B1 (ko) 집진기용 일체형 백필터 고정밴드
KR200397897Y1 (ko) 커튼봉 고정구
KR200483192Y1 (ko) 싱크대 붙이형 수전금구용 고정너트 지지부재
KR950030910A (ko) 끈고정구
KR200496493Y1 (ko)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101226448B1 (ko)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KR0128031Y1 (ko) 트림 고정용 클립구조
CN106907382B (zh) 一种篷布挂扣
CN221450564U (zh) 挂绳组件、手柄及清洁工具
KR100712243B1 (ko) 와이퍼 암의 핀 타입 체결장치
KR200480722Y1 (ko)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KR20050067124A (ko) 퍼머로드 세트
RU202253U1 (ru) Изолятор
JP3234370U (ja) 釣り糸連結具
KR100201620B1 (ko) 클립
KR101875452B1 (ko)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KR102352432B1 (ko)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KR20040033948A (ko) 후드 인슐레이션 패드 취부용 클립
KR200286289Y1 (ko) 협착고정구가 구비된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