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22Y1 -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22Y1
KR200480722Y1 KR2020150007996U KR20150007996U KR200480722Y1 KR 200480722 Y1 KR200480722 Y1 KR 200480722Y1 KR 2020150007996 U KR2020150007996 U KR 2020150007996U KR 20150007996 U KR20150007996 U KR 20150007996U KR 200480722 Y1 KR200480722 Y1 KR 200480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utton
main body
housing main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이재원
이정원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원, 이정원,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재원
Priority to KR2020150007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본체 및 하우징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꼭지단추가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이 구비하고 있는 기존의 모자를 이용하여 꼭지단추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장식품들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모자에 미적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개성표현과 홍보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자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꼭지단추에 장식품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분실위험을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for accessory of button for a cap}
본 고안은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로서, 특히 모자의 꼭지단추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품을 탈부착할 수 있는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다각형으로 재단된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방사형태로 봉제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자는 다수의 조각을 봉제하였을 때, 조각의 정점부가 맞닿는 꼭지점이 형성되는데, 상기 꼭지점에 꼭지단추를 부착함으로써 모자의 외관과 지지력이 향상하게 된다.
즉, 모자는 그 형상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다수의 직물 조각을 바느질하여 제조하므로 모자의 상부 꼭지점에는 바느질 마감부가 형성되고, 이때 바느질된 실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꼭지점 부분이 바느질 자국에 의해 외관상 좋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꼭지점 부분에서 서로 직물 조각이 겹쳐지는 것을 가리어 모자의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모자의 상부 꼭지점에 꼭지단추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용 꼭지단추는 일반적으로 상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서로 끼움 결합되어 모자의 상부 꼭지점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종래에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모자를 장식함으로써 모자에 미적인 요소를 가미하였다.
예를 들어, 모자의 외관에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패턴문양을 프린팅하거나, 실을 이용해 오버로크(overlock) 처리하는 방식이 있고, 스카프 핀 또는 클립 등과 같은 고정핀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소형 장식품 들을 모자의 외관에 부착하였다.
그러나, 종래 모자의 외관에 패턴문양을 프린팅하거나 오버로크 처리하여 장식하는 방식은 모자의 표면에 패턴문양이 영구적으로 남게 되는 문제가 있고, 고정핀 등을 이용해 소형 장식품 들을 부착하는 방식은 모자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졌을 때 장식품이 모자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3238호(2004년 12월 08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3229호(2007년 07월 27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369호(2005년 03월 11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과제는, 모자의 꼭지단추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장식품들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쉽게 탈부착할 수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수적인 과제는, 모자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꼭지단추에 장식품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꼭지단추가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경을 따라 형성된 나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경에 구비되는 실리콘 재질의 끼움 골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단 테두리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며, 중앙부위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타측 일부가 개방되며, 상기 꼭지단추의 하면이 안착 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단 내경에 구비된 걸림돌기에 결착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부위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일측 일부가 개방되며, 상기 꼭지단추의 하면이 안착 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단 내경에 형성된 나사선에 회전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외경에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일단이 하기 제2아암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결착돌기가 형성된 제1아암, 상기 제1아암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결착홈이 형성되며, 외경에 제2결합홈이 형성된 제2아암 및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동시에 결합 되는 실리콘 재질의 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단 내경에 형성된 끼움홈에 상기 링이 억지 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경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압축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꼭지단추의 상면에 접촉하는 가압 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는 하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과 타측에 형성된 꼭지단추 유출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대부분의 사람이 구비하고 있는 기존의 모자를 이용하여 꼭지단추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장식품들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모자에 미적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개성표현과 홍보효과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자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꼭지단추에 장식품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분실위험을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 의해 모자용 꼭지단추에 장식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3은 상기 도 12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 의해 모자용 꼭지단추에 장식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는 하우징 본체(10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일반적인 형태의 모자(C) 상단부에 장착된 꼭지단추를 덮기 위해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이며, 어느 하나의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실시예로 설명되며,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외면에 소정의 장식품이 구비되거나, 하우징 본체(100)에 장식품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꼭지단추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내부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하우징 본체(100) 내부에 꼭지단추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서 고정수단(210)은 나선부(211)를 구비한다.
상기 나선부(211)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마련되며, 하우징 본체(100)의 내경을 따라 꽈배기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면에 꼭지단추(B)를 위치한 상태에서 하우징 본체(100)를 일방향으로 정회전하면, 하우징 본체(100)의 내경에 구비된 나선부(211)를 따라 꼭지단추(B)가 하우징 본체(100)의 내경에서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본체(100) 내경에 꼭지단추(B)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며, 반대로 상기 하우징 본체(10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꼭지단추(B)에서 하우징 본체(100)가 분리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서 고정수단(220)은 끼움 골무(221)를 구비한다.
상기 끼움 골무(221)는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끼움 골무(221)는 탄성력이 우수하고, 마찰력이 높은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끼움 골무(221)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고정설치되거나, 하우징 본체(100)에서 탈부착할 수 있게 하우징 본체(100) 내경으로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상기 끼움 골무(221)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내경에 장착된 상태에서 꼭지단추(B)에 하우징 본체(100)를 억지 끼우거나, 끼움 골무(221)를 꼭지단추(B)에 억지 끼운 상태에서 하우징 본체(100) 내경으로 끼움 골무(221)를 억지 끼울 수 있다.
즉, 탄성력이 우수하고,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끼움 골무(221)로 인해 하우징 본체(100) 내경에 꼭지단추(B)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서 꼭지단추(B)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서 고정수단(230)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단 테두리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중앙부위는 수직으로 관통되며, 타측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면에는 꼭지단추(B)의 하면 테두리 부위가 안착 되도록 하방을 향해 곡면으로 절곡진 안착면(231)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2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단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30)가 구비되어, 걸림돌기(130)와 상기 요홈(232)이 서로 결착된다.
즉, 모자(C)와 꼭지단추(B)의 연결부위 사이로 일부 개방된 타측을 밀어 넣어 꼭지단추(B)의 하면을 감싼 후,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우징 본체(100)를 회전시켜 꼭지단추(B)를 완전히 덮은 다음, 하우징 본체(1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요홈(232)에 걸림돌기(130)를 결착시킴으로써, 꼭지단추(B)에서 하우징 본체(100)가 분리되지 않게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서 고정수단(240)은 중앙부위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일측 일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면에는 꼭지단추(B)의 하면 테두리 부위가 안착 되도록 하방을 향해 곡면으로 절곡진 안착면(241)이 형성되고, 외경에는 나사산(2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단 내경에는 상기 나사산(242)과 서로 회전결합되도록 나사선(140)이 형성된다.
즉, 모자(C)와 꼭지단추(B)의 연결부위 사이로 일부 개방된 일측을 밀어 넣어 꼭지단추(B)의 하면을 감싼 후, 하우징 본체(100)를 꼭지단추(B)에 덮은 다음, 하우징 본체(100)를 일방향으로 정회전하면, 상기 나사산(242)과 나사선(140)이 서로 회전결합함으로써 꼭지단추(B)에서 하우징 본체(100)가 이탈되지 않게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하우징 본체(10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꼭지단추(B)에서 하우징 본체(1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서 고정수단(250)은 제1아암(251), 제2아암(252) 및 링(253)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아암(251)은 외경에 제1결합홈(2511)이 형성되며, 일단이 제2아암(252)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결착돌기(25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아암(252)은 상기 제1아암(251)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결착홈(2521)이 형성되며, 외경에는 상기 제1아암(251)과 마찬가지로 제2결합홈(2522)이 형성된다.
상기 링(253)은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이며, 제1결합홈(2511)과 제2결합홈(2522)에 동시에 결합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단 내경에는 끼움홈(150)이 형성되어 상기 링(253)이 끼움홈(150)에 억지 끼움된다.
즉, 상기 제1아암(251)과 제2아암(252)은 반구형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이 서로 힌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아암(251)과 제2아암(252)을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 제1아암(251)과 제2아암(252) 사이에 모자(C)와 꼭지단추(B)의 연결부위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아암(251)과 제2아암(252)을 서로 오므리면 상기 결착돌기(2512)와 결착홈(2521)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꼭지단추(B)의 하부를 원형으로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이때, 상기 링(253)을 외측방향으로 벌려 상기 제1결합홈(2511)과 제2결합홈(2522)에 동시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끼움홈(150)에 링(253)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꼭지단추(B)에서 하우징 본체(100)가 분리되지 않게 견고히 고정시킨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에서 고정수단(260)은 압축스프링(261) 및 가압 캡(262)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축스프링(261)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압 캡(262)은 상기 압축스프링(261)의 하단에 연결되며, 하면이 오목한 곡면형태로 상기 꼭지단추(B)의 상면에 접촉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하단 일측에 걸림턱(16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꼭지단추(B)가 하우징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이탈될 수 있게 유출입부(16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출입부(161)를 통해 꼭지단추(B)를 비스듬하게 하여 하우징 본체(100) 내부로 밀어넣으면, 상기 가압 캡(262)이 상승하면서 동시에 압축스프링(261)이 압축된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꼭지단추(B)는 걸림턱(160)에 의해 하우징 본체(1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반대로 꼭지단추(B)를 상기 유출입부(161)를 통해 하우징 본체(100)에서 외부로 이탈시킬 때, 압축스프링(261)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 캡(262)이 꼭지단추(B)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꼭지단추(B)가 하우징 본체(100)의 유출입부(161)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되면서, 꼭지단추(B)에서 하우징 본체(100)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하우징 본체
130: 걸림돌기
140: 나사선
150: 끼움홈
160: 걸림턱
161: 유출입부
210, 220, 230, 240, 250, 260: 고정수단
211: 나선부
221: 끼움 골무
231, 241: 안착면
232: 요홈
242: 나사산
251: 제1아암
2511: 제1결합홈
2512: 결착돌기
252: 제2아암
2521: 결착홈
2522: 제2결합홈
253: 링
261: 압축스프링
262: 가압 캡
B: 꼭지단추
C: 모자

Claims (7)

  1. 삭제
  2.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단 내경에 끼움홈(150)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100); 및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꼭지단추(B)가 고정되는 고정수단(250);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250)은,
    외경에 제1결합홈(2511)이 형성되며, 일단이 하기 제2아암(252)의 일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결착돌기(2512)가 형성된 제1아암(251);
    상기 제1아암(251)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결착홈(2521)이 형성되며, 외경에 제2결합홈(2522)이 형성된 제2아암(252); 및
    상기 제1결합홈(2511)과 제2결합홈(2522)에 동시에 결합 되는 실리콘 재질의 링(253); 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150)에 상기 링(253)이 억지 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3.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단 일측에 걸림턱(160)과 타측에 꼭지단추(B) 유출입부(161)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본체(100); 및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꼭지단추(B)가 고정되는 고정수단(260);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260)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내경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압축스프링(261); 및
    상기 압축스프링(261)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꼭지단추(B)의 상면에 접촉하는 가압 캡(26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50007996U 2015-12-07 2015-12-07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KR200480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96U KR200480722Y1 (ko) 2015-12-07 2015-12-07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96U KR200480722Y1 (ko) 2015-12-07 2015-12-07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22Y1 true KR200480722Y1 (ko) 2016-07-08

Family

ID=5649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96U KR200480722Y1 (ko) 2015-12-07 2015-12-07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720A (ko) * 2016-07-11 2018-01-19 윤현선 장식부를 포함하는 모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038U (ko) * 1996-09-21 1996-12-16 김윤동 모자의 장식용구
KR20000019518U (ko) * 1999-04-14 2000-11-15 방기욱 액세서리 부착의 모자
KR200268680Y1 (ko) * 2001-12-14 2002-03-16 이일헌 유희구의 모자 꼭지에의 결합 장치
KR20040103238A (ko) 2003-06-02 2004-12-08 주식회사유풍 모자용 꼭지 단추
KR200377369Y1 (ko) 2004-12-16 2005-03-11 이준형 모자용 싸게 꼭지단추
KR100743229B1 (ko) 2006-07-31 2007-07-27 주식회사유풍 모자용 꼭지 단추 및 그를 이용한 모자
KR101425452B1 (ko) * 2013-07-01 2014-08-01 주식회사 콜즈다이나믹스 교체가능한 탈부착식 단추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038U (ko) * 1996-09-21 1996-12-16 김윤동 모자의 장식용구
KR20000019518U (ko) * 1999-04-14 2000-11-15 방기욱 액세서리 부착의 모자
KR200268680Y1 (ko) * 2001-12-14 2002-03-16 이일헌 유희구의 모자 꼭지에의 결합 장치
KR20040103238A (ko) 2003-06-02 2004-12-08 주식회사유풍 모자용 꼭지 단추
KR200377369Y1 (ko) 2004-12-16 2005-03-11 이준형 모자용 싸게 꼭지단추
KR100743229B1 (ko) 2006-07-31 2007-07-27 주식회사유풍 모자용 꼭지 단추 및 그를 이용한 모자
KR101425452B1 (ko) * 2013-07-01 2014-08-01 주식회사 콜즈다이나믹스 교체가능한 탈부착식 단추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720A (ko) * 2016-07-11 2018-01-19 윤현선 장식부를 포함하는 모자
KR101966868B1 (ko) * 2016-07-11 2019-04-09 윤현선 장식부를 포함하는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41211A (en) Ornamental button
CN110366696B (zh) 用于眼镜的镜腿装饰物套件
US20090205171A1 (en) Button composed of three cooperating elements
US3418826A (en) Earring construction having interchangeable parts
US5797281A (en) Earring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rings
KR200480722Y1 (ko)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US3414949A (en) Snap fastener with removable ornamental button
WO2012079364A1 (zh) 分体式纽扣
KR200476756Y1 (ko) 나사체결부가 구비된 단추
US20170284001A1 (en) Attachment apparatus for button and process for using same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WO2007061261A1 (en) Button cover
KR101723208B1 (ko) 의류 장신구
KR100743229B1 (ko) 모자용 꼭지 단추 및 그를 이용한 모자
KR200480309Y1 (ko) 귀걸이용 고정구
JP2016202788A (ja) ランドセル
KR200483175Y1 (ko) 악세사리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CN212814826U (zh) 硬金精雕锁式吊坠
CN214230165U (zh) 一种自由组合式吊坠
CN220275116U (zh) 发簪
CN217791760U (zh) 一种用于遮挡绳结的珠宝配件
CN210445928U (zh) 戒指组件
CN209528093U (zh) 一种具有简易固定结构的卡扣手镯
CN209931661U (zh) 一种便于佩戴的手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