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208B1 - 의류 장신구 - Google Patents

의류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208B1
KR101723208B1 KR1020150069855A KR20150069855A KR101723208B1 KR 101723208 B1 KR101723208 B1 KR 101723208B1 KR 1020150069855 A KR1020150069855 A KR 1020150069855A KR 20150069855 A KR20150069855 A KR 20150069855A KR 101723208 B1 KR101723208 B1 KR 101723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decorative member
main body
pedestal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111A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연 filed Critical 김지연
Priority to KR102015006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2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부재를 의류본체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의류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 장신구는, 체결공(110)이 형성된 의류본체(100); 상기 의류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공(1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10)가 형성된 받침대(200); 상기 받침대(200)가 배치된 상기 의류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장식부재(300);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체결돌기(21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장신구{Accessory of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류의 외측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류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기업체 또는 공공기관 등에서 자신의 신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의류에 명찰 또는 배지를 착용한다.
또한, 인간의 심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장신구를 의류에 착용하기도 한다.
현재 사용되는 명찰, 배지 및 장신구 등의 부착구는 의류핀을 이용하여 의류감의 일정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핀이 의류감에 흔적을 남기며, 상기 핀의 위치를 수정하거나 반복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의류감이 훼손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78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식부재를 의류본체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의류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 장신구는, 체결공(110)이 형성된 의류본체(100); 상기 의류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공(1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10)가 형성된 받침대(200); 상기 받침대(200)가 배치된 상기 의류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장식부재(300);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체결돌기(21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돌기(210)의 상단에는 결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식부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211)에 삽입되는 피어싱부재(41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체결돌기(2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421); 상기 장식부재(300)에 장착되어 인력에 의해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제1자성체(421)에 밀착시키는 제2자성체(422); 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돌기(210)의 상단에는 수나사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에는 상기 수나사부(21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431)가 구비된다.
상기 의류본체(100)에는 상기 체결공(110)의 내주면을 따라 보강부재(120)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 장신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피어싱부재(410)에 의해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의류본체(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장식부재(300)를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른 장식부재(300)로 교체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체결공(110)의 내주면을 감싸는 상기 보강부재(1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체결공(110) 부분의 섬유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의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가 적용된 부위와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가 적용된 부위와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는 의류본체(100), 받침대(200), 장식부재(300) 및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류본체(100)는 상의, 하의, 원피스 및 외투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외투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의류본체(100)는 울, 아크릴 또는 레이온 등의 다양한 섬유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의류본체(100)에는 후술할 상기 받침대(200)와 상기 장식부재(300)가 장착될 위치에 체결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10)은 후술할 상기 받침대(200)의 체결돌기(210)가 삽입되는 곳으로, 내주면에는 옷감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1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공(110)의 내주면을 감싸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공(110)의 내주면을 감싸는 상기 보강부재(1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체결공(110) 부분의 섬유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의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의류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디자인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00)의 재질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활동성을 위해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받침대(200)에는 상기 체결공(1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210)는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받침대(200)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하나씩, 총 4개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후술할 상기 결합수단이 삽입되는 결합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장식부재(300)는 상기 받침대(200)가 배치된 상기 의류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금속, 가죽, 천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의류본체(100)의 반대편 면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300)에는 후술할 상기 결합수단이 통과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310)은 상기 결합홈(211)에 각각 일치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체결돌기(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피어싱부재(4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어싱부재(410)는 구체적으로 머리부(411)와 핀부(4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411)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로고나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큐빅 등의 악세서리가 부착되어 다양한 연출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핀부(412)는 상기 머리부(41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장식부재(300)의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돌기(210)의 결합홈(211)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피어싱부재(410)는 필요에 따라 힘을 가하면 상기 결합홈(211)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은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장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의류본체(100)의 내측에 상기 받침대(200)를 배치하고, 상기 체결공(110)에 상기 체결돌기(210)가 삽입시킨다.
이 후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의류본체(100)의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피어싱부재(410)의 핀부(412)를 상기 관통공(310)에 끼워 상기 결합홈(211)에 삽입 시킨다.
상기 장식부재(300)는 상기 피어싱부재(410)와 상기 받침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기 의류본체(100)에 밀착 고정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피어싱부재(410)를 분리하여 상기 장식부재(300)를 다른 디자인의 장식부재(30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어싱부재(410)에 의해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의류본체(10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장식부재(300)를 쉽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른 장식부재(300)로 교체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웨터나 셔츠의 소매 부분이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피스나 치마의 밑단 부분 등에 적용하여 다양하게 연출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는 의류본체(100), 받침대(200), 장식부재(300) 및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의류본체(100) 및 상기 받침대(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본체(100) 및 받침대(2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식부재(300)는 제1실시예의 상기 장식부재(300)에 상기 관통공(310)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받침대(200)에 장착되는 제1자성체(421)와 상기 장식부재(300)에 장착되는 제2자성체(4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자성체(421)는 자석이나 자석에 잘 붙는 재질인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자성체(421)는 상기 체결돌기(210)의 상단, 즉 상기 결합홈(211)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제2자성체(422)는 상기 제1자성체(421)에 인력 작용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재질. 예를들어 철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식부재(300)의 하부에 삽입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자성체(422)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자성체(422)에 일치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제1자성체(421)와 제2자성체(422)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장식부재(300)를 좀더 안전하고 쉽게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되며, 상기 결합수단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좀더 깔끔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류 장신구는 의류본체(100), 받침대(200), 장식부재(300) 및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의류본체(100) 및 상기 장식부재(3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본체(100) 및 장식부재(3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체결돌기(210)의 상단이 상기 장식부재(300)보다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단 외주면에 후술할 상기 결합수단과 결합되는 수나사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나사부(21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431)가 형성된 캡부재(4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캡부재(430)는 상기 체결돌기(300)의 상단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되며, 외측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패턴이나 로고, 또는 악세서리나 보석 등을 부착하여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수나사부(212)게 체결되는 상기 캡부재(430)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전하면서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고정력이 향상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의류본체 110 : 체결공
120 : 보강부재 200 : 받침대
210 : 체결돌기 211 : 결합홈
212 : 수나사부 300 : 장식부재
310 : 관통공 410 : 피어싱부재
411 : 머리부 412 : 핀부
421 : 제1자성체 422 : 제2자성체
430 : 캡부재 431 : 암나사부

Claims (5)

  1. 체결공(110)이 형성된 의류본체(100);
    상기 의류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공(110)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10)가 형성된 받침대(200);
    상기 받침대(200)가 배치된 상기 의류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장식부재(300); 및
    상기 장식부재(300)를 상기 체결돌기(21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의류본체(100)에는 상기 체결공(110)의 내주면을 따라 보강부재(12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210)는 상기 장식부재(300)를 관통하여 돌출되되, 상단에는 수나사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식부재(300)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체결돌기(210)의 수나사부(21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431)가 형성된 캡부재(4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부재(430)는 상기 체결돌기(210)의 상단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돌기(210)에 고정되며, 외측에는 패턴, 로고, 악세서리 또는 보석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장신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69855A 2015-05-19 2015-05-19 의류 장신구 KR101723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55A KR101723208B1 (ko) 2015-05-19 2015-05-19 의류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55A KR101723208B1 (ko) 2015-05-19 2015-05-19 의류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11A KR20160136111A (ko) 2016-11-29
KR101723208B1 true KR101723208B1 (ko) 2017-04-18

Family

ID=5770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855A KR101723208B1 (ko) 2015-05-19 2015-05-19 의류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838A (ko) * 2019-08-13 2019-09-18 김홍관 장신구 결합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신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624A (zh) * 2019-08-08 2019-10-25 苏州厚泰纺织有限公司 一种夜光织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515A (ja) * 2000-06-27 2002-03-19 Akihisa Masamoto 装飾具
KR200339639Y1 (ko) 2002-11-25 2004-01-24 정상민 의류 호환형 시스템 쥬얼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515A (ja) * 2000-06-27 2002-03-19 Akihisa Masamoto 装飾具
KR200339639Y1 (ko) 2002-11-25 2004-01-24 정상민 의류 호환형 시스템 쥬얼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838A (ko) * 2019-08-13 2019-09-18 김홍관 장신구 결합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신구
KR102265192B1 (ko) 2019-08-13 2021-06-15 김홍관 장신구 결합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11A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772B2 (en) Shoulder strap holder
US5685174A (en) Decorative connector and method for affixing same
US9737102B1 (en) Textile fastener
KR101723208B1 (ko) 의류 장신구
US9936752B2 (en) Clothing personalization technologies
KR101785973B1 (ko) 팬던트 기능을 겸한 단추커버
US20190029370A1 (en) Decorative button attachment device
US9498024B1 (en) Decorative button cover
KR101509350B1 (ko) 간편한 고정수단을 갖는 배지
WO2016035259A1 (ja) ボタンカバー
JP3230027U (ja) 鼻緒飾り
KR20230063939A (ko) 의류용 장식 부착물
KR101859544B1 (ko) 스프링 결합식 단추커버
CN209346128U (zh) 一种纽扣防脱落外套
CN210445928U (zh) 戒指组件
JP2005253761A (ja) ネック服飾品
KR102563021B1 (ko) 장신구 탈착이 가능한 의류
KR102113743B1 (ko) 단추
KR200367703Y1 (ko) 착탈이 가능한 모피용 장신구
KR20130115606A (ko) 의복의 손상을 방지하는 자석 브로치
KR20180000927A (ko) 자석이 구비된 의류
KR101146247B1 (ko) 커버가 구비된 마네킹
KR101361974B1 (ko) 의복용 칼라
KR200193562Y1 (ko) 단추
KR200246425Y1 (ko) 의류용 단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