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452B1 -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 Google Patents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452B1
KR101875452B1 KR1020170182098A KR20170182098A KR101875452B1 KR 101875452 B1 KR101875452 B1 KR 101875452B1 KR 1020170182098 A KR1020170182098 A KR 1020170182098A KR 20170182098 A KR20170182098 A KR 20170182098A KR 101875452 B1 KR101875452 B1 KR 101875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ssembly
fastening
outer periphery
inn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2017018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재활 및 운동기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단부에 스프링부재가 직경의 변화없이 손쉽고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는 권취용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내부 구조체, 외부 구조체, 상단 구조체, 걸이부 등이 일체를 이루며 손쉽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작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율이나 제작효율이 상승될 수 있도록 한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Spring structure for healthcare}
본 발명은 재활 및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한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 및 운동기구나 현가장치 또는 각종 기구물 등에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위한 각종 이음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즉 인장 코일스프링 또는 압축 코일스프링 등 스프링의 압축 신장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하는 각종 기구 및 장치에서는 스프링의 양단부에 절곡형성된 걸이부를 현가하고자 하는 피고정물 상호간에 걸어서 사용한다.
그러나 일단부에만 걸이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지 않은 스프링을 피고정물에 연결함으로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요하는 기구물등에서는 스프링의 타단부 즉 걸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스프링의 타단부를 피고정물과 상호 견고히 연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피고정물과 스프링의 타단부를 스와징(Swaging)또는 크림핑(Crimping)에 의한 연결 방식으로서 연결 사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스와징 또는 크림핑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도 1의 'A'에서와 같이, 운동기구(100)에 적용시, 스프링(102)을 걸이부(101)의 협소한 단부에서부터 점차 권취 직경을 크게 하면서 권취를 일정길이만큼 시행한 후, 그 이후 일정한 권취직경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별도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수작업을 통해 제작자가 직접 손으로 걸이부에 스프링을 점차 권취직경을 크게하면서 권취하는 작업을 해줘야만 하는 수고가 필요했고, 이는 결국 제작시간 및 비용증가의 문제와 함께 생산률 및 작업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69354호(1999.11.19.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 조립체, 외부 조립체, 상단 조립체, 걸이부가 하나의 일체로 된 구성으로 조립되면서, 스프링부재와 걸이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이와 함께 스프링부재가 손쉽게 권취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권취용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서, 기존보다 제작시간이나 비용이 절감되고, 이에 제작효율 및 생산율이 상승될 수 있도록 한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재활 및 운동기구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에 있어서,
상단부 외주연에는 제 1체결공(11)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권취용 나사산(15)이 형성되며,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1홀(12)을 형성하는 내부 조립체(10); 상기 권취용 나사산(15)에 일단이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재활 및 운동기구와 연결되어지는 스프링부재(20); 상기 내부 조립체(10)가 내부에 대응삽입되되, 상기 제 1체결공(11)과 대응되는 제 2체결공(31)이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2홀(32)을 형성하는 외부 조립체(30); 상기 외부 조립체(30)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2체결공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41)이 외주연이 형성되어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까지 삽입되어지고,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3홀(42)을 형성하는 상단 조립체(40); 상기 상단 조립체(40)의 상단에서부터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 내부에 이탈방지가능하게 관통삽입되되, 사전설정된 설치대상면에 연결되는 고리(51)가 상단에 형성되는 걸이부(50); 상기 제 1, 2, 3체결공(11, 31, 41)에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내부, 외부, 상단 조립체(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6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활 및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를 제작시, 시간 및 비용 절감의 효과와 함께, 생산율 및 제작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사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구조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조립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재활 및 운동기구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에 있어서,
상단부 외주연에는 제 1체결공(11)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권취용 나사산(15)이 형성되며,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1홀(12)을 형성하는 내부 조립체(10); 상기 권취용 나사산(15)에 일단이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재활 및 운동기구와 연결되어지는 스프링부재(20); 상기 내부 조립체(10)가 내부에 대응삽입되되, 상기 제 1체결공(11)과 대응되는 제 2체결공(31)이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2홀(32)을 형성하는 외부 조립체(30); 상기 외부 조립체(30)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2체결공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41)이 외주연이 형성되어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까지 삽입되어지고,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3홀(42)을 형성하는 상단 조립체(40); 상기 상단 조립체(40)의 상단에서부터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 내부에 이탈방지가능하게 관통삽입되되, 사전설정된 설치대상면에 연결되는 고리(51)가 상단에 형성되는 걸이부(50); 상기 제 1, 2, 3체결공(11, 31, 41)에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내부, 외부, 상단 조립체(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6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조립체(10)는 상단 외주연에 둘레에 링 형태의 안착턱(13)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조립체(30)는 안착턱(13)에 대응되는 안착편(33)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조립체(10)가 외부 조립체(30)의 상부로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조립체(40)는 상기 외부 조립체(30)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43)와; 상기 커버(43)의 하단에 형성되어 외부 조립체(30) 내에 위치되는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에 대응삽입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 1, 2체결공(11, 31)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41)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끼움체(4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50)는 상기 제 1홀(1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와셔(70)가 외주연에 끼움체(44)결되고, 하단부에는 와셔(70)가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부(52)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부(50)가 제 1홀(12)에서 이탈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는 내부 조립체(10), 스프링부재(20), 외부 조립체(30), 상단 조립체(40), 걸이부(50), 체결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조립체(10)는 재활 및 운동기구 등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재활 및 운동기구에 힘을 가하거나 잡아당길경우, 인장되면서 사용자의 재활 및 운동을 돕는 스프링부재(20)가 결합되어지는 부분이다.
즉, 스프링부재(20)는 이러한 내부 조립체(1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재활 및 운동기구에 연결되어져,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활동에 따라 인장 및 압축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내부 조립체(10)는 원형 관체를 이루는 것이며,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제 1홀(12)을 형성하고, 상, 하도 개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내부 조립체(10)의 외주연 상부에는 일정깊이의 제 1체결공(11)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내부 조립체(10)의 외주연 하부에는 권취용 나사산(15)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권취용 나사산(15)부분에 전술된 스프링부재(20)의 일단을 손쉽고 용이하게 권취하여 연결시키는 것이고, 이러한 권취용 나사산(15)이 형성하는 다수의 나사산에 의해 스프링부재(20)가 쉽게 권취되되 탈거되지 않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내부 조립체(10)는 상면 테두리에 링 형태의 안착턱(13)이 함몰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외부 조립체(30)는 전술된 내부 조립체(10)가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외부 조립체(30)도 원형단면의 관체이며, 상, 하가 개구되고,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제 2홀(32)을 형성한다.
또한, 외주연에는 전술된 내부 조립체(10)의 제 1체결공(11)과 대응되는 제 2체결공(3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외부 조립체(30)의 상면에는 내부 조립체(10)의 안착턱(13)에 대응되며 안착되는 링 형태의 안착편(33)이 형성되어, 안착편(33)과 내부 조립체(10)의 상면이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되며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외부 조립체(30)는 상단과 하단의 개구홀 크기가 상단이 하단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며, 이로써, 외부 조립체(3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조립체(10)는 외부 조립체(30)의 상부로는 탈거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물론, 상기 외부 조립체(30)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조립체(10)의 하단에는 사전에 스프링부재(20)의 일단을 권취시킨 후, 이러한 외부 조립체(30)에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이에, 내부 조립체(10)의 권취용 나사산(15)에 권취된 스프링부재(20)는, 권취용 나사산(15)에 확실히 고정이 되면서 이와 동시에 내부 조립체(10)와 외부 조립체(30) 사이의 이격공간(14)에 끼워지는 형태가 되고, 이는 결국 외부 조립체(30)가 스프링부재(20)의 탈거를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 될수도 있음이다.
상기 상단 조립체(40)는 전술된 외부 조립체(30)의 상단에 체결되어지는 것으로서, 외부 조립체(30)의 상면인 안착편(33) 상부에 대응되며 안착되어지는 원판 형태의 커버(43)와, 상기 커버(43)의 하단에서 커버(43)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외부 조립체(30)의 내부에 체결되는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 내부에 위치되는 원통이면서 내부가 되어 있는 끼움체(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43)와 끼움체(44)는 'T'자 단면 형태를 가지되, 커버(43)와 끼움체(44) 모두 중앙이 관통되어 상단 조립체(40) 자체가 상, 하 개구되어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3홀(42)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체(44)는 외주연에 제 1, 2홀(12, 32)과 대응되는 제 3홀(4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내부 조립체(10)를 외부 조립체(30) 내부에 삽입하고, 외부 조립체(30)의 상부에는 상단 조립체(40)의 끼움체(44)가 제 1홀(12)에 삽입되도록 체결한 후, 내부 조립체(10), 외부 조립체(30), 상단 조립체(40)의 각 체결공, 즉 제 1, 2, 3체결공(11, 31, 41)이 상호간 대응되도록 상호간을 조립한 후 외부에서 원형단면의 소정길이를 가지는 핀(제 1, 2, 3체결공(11, 31, 41)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용도라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핀 외에 볼트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이며, 이러한 제 1, 2, 3체결공(11, 31, 41)은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 단일개가 아닌 복수개가 형성되어져 있을수도 있음이다.)을 이용하여, 외부 조립체(30)의 외측에서부터 제 2체결공(31), 제 1체결공(11), 제 3체결공(41) 순으로 억지끼움 등으로 핀을 끼워 내부 조립체(10), 외부 조립체(30), 상단 조립체(40)가 상호간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이부(50)는 일단에 고리(51)가 형성되어, 사전설정된 설치대상면(설치대상면에는 별도의 고리(51)가 사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에 연결되도록 하고,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걸이부(50)는 사전에 상단 조립체(40)의 제 3홀(42)에 끼워져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제 3홀(42)에서 이탈이나 탈거가 되지 않도록 끼워져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부(50)는 제 3홀(42)에 끼워진 후, 하단부 외주연에 다수의 와셔(70)를 끼운후, 걸이부(50)의 하단부를 압착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직경이 중단의 원형 단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커지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와셔(70)는 제 3홀(42)에 끼워진 걸이부(50)의 하단 외주연에 위치되되, 제 3홀(4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걸림부(52)의 직경은 와셔(70)의 중앙에 관통된 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한다. 이로써, 걸이부(50)의 와셔(70)는 걸림부(52)에 의해 외부에 탈거되지 않고, 걸이부(50)가 상단 조립체(40)의 상부로 빠지려 하는 경우에도, 와셔(70)가 없다면 걸림부(52)는 제 3홀(42)을 통해 상단 조립체(40) 외부로 탈거가 되겠지만, 제 3홀(42) 하단에서 와셔(70)에 걸림부(52)가 걸리면서 걸이부(50)의 탈거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내부 조립체 11: 제 1체결공
12: 제 1홀 13: 안착턱
14: 이격공간 15: 권취용 나사산
20: 스프링부재 30: 외부 조립체
31: 제 2체결공 32: 제 2홀
33: 안착편 40: 상단 조립체
41: 제 3체결공 42: 제 3홀
43: 커버 44: 끼움체
50: 걸이부 51: 고리
52: 걸림부 60: 체결수단
70: 와셔

Claims (4)

  1. 재활 및 운동기구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에 있어서,
    상단부 외주연에는 제 1체결공(11)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주연에는 권취용 나사산(15)이 형성되며,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1홀(12)을 형성하는 내부 조립체(10);
    상기 권취용 나사산(15)에 일단이 권취되어지며, 타단은 재활 및 운동기구와 연결되어지는 스프링부재(20);
    상기 내부 조립체(10)가 내부에 대응삽입되되, 상기 제 1체결공(11)과 대응되는 제 2체결공(31)이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2홀(32)을 형성하는 외부 조립체(30);
    상기 외부 조립체(30)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2체결공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41)이 외주연이 형성되어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까지 삽입되어지고, 내부가 상, 하로 관통되어 제 3홀(42)을 형성하는 상단 조립체(40);
    상기 상단 조립체(40)의 상단에서부터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 내부에 이탈방지가능하게 관통삽입되되, 사전설정된 설치대상면에 연결되는 고리(51)가 상단에 형성되는 걸이부(50);
    상기 제 1, 2, 3체결공(11, 31, 41)에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내부, 외부, 상단 조립체(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조립체(10)는 상단 외주연에 둘레에 링 형태의 안착턱(13)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조립체(30)는 안착턱(13)에 대응되는 안착편(33)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조립체(10)가 외부 조립체(30)의 상부로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조립체(40)는
    상기 외부 조립체(30)의 상면에 얹혀지는 커버(43)와;
    상기 커버(43)의 하단에 형성되어 외부 조립체(30) 내에 위치되는 내부 조립체(10)의 제 1홀(12)에 대응삽입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 1, 2체결공(11, 31)과 대응되는 제 3체결공(41)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끼움체(4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50)는
    상기 제 1홀(1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와셔(70)가 외주연에 끼움체(44)결되고, 하단부에는 와셔(70)가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걸림부(52)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부(50)가 제 1홀(12)에서 이탈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4. 삭제
KR1020170182098A 2017-12-28 2017-12-28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KR101875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98A KR101875452B1 (ko) 2017-12-28 2017-12-28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98A KR101875452B1 (ko) 2017-12-28 2017-12-28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452B1 true KR101875452B1 (ko) 2018-07-06

Family

ID=6292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098A KR101875452B1 (ko) 2017-12-28 2017-12-28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4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225A1 (en) * 2003-11-24 2005-05-26 Dovner Edward R. Threaded quick connector for exercise device
KR20120038813A (ko) * 2010-10-14 2012-04-24 (주)몰드피아 헬스용 공과 이를 이용한 운동 기구
KR20140025944A (ko) * 2012-08-24 2014-03-05 양재구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체인 손상 및 백래시 방지를 위한 받침 장치
KR20160048458A (ko) * 2014-10-24 2016-05-04 강호성 기능성 다리 운동기구
CN106246781A (zh) * 2016-08-18 2016-12-21 蔡樱柳 一种适于运动器材的拉伸弹簧机构
US9669250B1 (en) * 2015-05-26 2017-06-06 David E. Moore Abdominal exercise belt
JP2017517310A (ja) * 2014-05-06 2017-06-29 正郷 池上 調節式弾性体を有するトランポリン構造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225A1 (en) * 2003-11-24 2005-05-26 Dovner Edward R. Threaded quick connector for exercise device
KR20120038813A (ko) * 2010-10-14 2012-04-24 (주)몰드피아 헬스용 공과 이를 이용한 운동 기구
KR20140025944A (ko) * 2012-08-24 2014-03-05 양재구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체인 손상 및 백래시 방지를 위한 받침 장치
JP2017517310A (ja) * 2014-05-06 2017-06-29 正郷 池上 調節式弾性体を有するトランポリン構造体
KR20160048458A (ko) * 2014-10-24 2016-05-04 강호성 기능성 다리 운동기구
US9669250B1 (en) * 2015-05-26 2017-06-06 David E. Moore Abdominal exercise belt
CN106246781A (zh) * 2016-08-18 2016-12-21 蔡樱柳 一种适于运动器材的拉伸弹簧机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7-517310호(2017.06.29.)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426B2 (en) Bounding table and the installation tool of the bounding table
US9550085B2 (en) Swingset suspension
US20110132554A1 (en) Curtain Assembly
KR200489445Y1 (ko)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KR200487916Y1 (ko) 다중 도래뭉치
KR101875452B1 (ko) 헬스케어용 스프링 구조체
TW200635824A (en) Bicycle seat post fixing structure
US20140082901A1 (en) Safety Hook
KR20160002384U (ko) 하중 가변형 낚시채비
JP3187726U (ja) 紐留め具
KR200496493Y1 (ko)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US20150272305A1 (en) Article tether
JP3197593U (ja) 動物捕獲罠用ワイヤ装置
KR20230000841U (ko) 신형 안전 스프링 장착 버클
JP2018115045A (ja) スリングベルトおよびスリングベルト用外れ防止具
KR20180047097A (ko) 낚시용 봉돌
AU2020307973A1 (en) Combination attachment handle
KR20090008070U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장치
KR102352432B1 (ko)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WO2013129966A2 (ru) Стул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KR101258126B1 (ko) 핀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장치
CN211175221U (zh) 一种用于钢丝绳打结的锁扣
KR200305487Y1 (ko) 미꾸라지 통발의 유도망 고정구
CN215737294U (zh) 一种装饰链结构
KR101582791B1 (ko) 랜턴 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