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718Y1 - 남비 손잡이 - Google Patents

남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718Y1
KR200180718Y1 KR2019990026100U KR19990026100U KR200180718Y1 KR 200180718 Y1 KR200180718 Y1 KR 200180718Y1 KR 2019990026100 U KR2019990026100 U KR 2019990026100U KR 19990026100 U KR19990026100 U KR 19990026100U KR 200180718 Y1 KR200180718 Y1 KR 200180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andle
projection
p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광해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광해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광해물산
Priority to KR2019990026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718Y1/ko
Priority to AU74570/00A priority patent/AU7457000A/en
Priority to PCT/KR2000/001065 priority patent/WO2001037715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남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비 본체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환턱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탈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운송 등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남비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남비 손잡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남비본체(1)는 상단에는 요입홈(31)과 걸림간(32)이 마련되도록 '

Description

남비 손잡이{Handle of bowl}
본 고안은 남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비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환턱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탈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운송 등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남비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 등에서 요리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남비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남비는 양측에 손잡이를 일체 형성하여 남비본체를 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의 구성은 남비 본체 양측에 파이프 등을 절곡하여서 되는 손잡이를 용접하거나 또는 리벳 고정한 것이거나, 수지물에 인서트 사출로 일체화된 연결대를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리벳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남비 손잡이 구조는 남비 본체 손잡이가 고정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남비는 제작 과정에서 용접 또는 리벳팅으로 하는 공정으로 인하여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게 됨은 물론이고 완성된 제품을 포장시에도 손잡이가 남비본체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포장 박스를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가정에서 사용 후 보관시에도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어 공간 활용이 어려운 불편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남비 손잡이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써 즉, 본 고안은 남비 손잡이를 남비본체의 상측에 ''형의 걸림환턱을 형성하고, 걸림환턱의 요홈에 끼움되어 걸림환턱에 탈착할 수 있는 손잡이를 결합한 것으로서, 보관 및 운송 등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남비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손잡이의 일부 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남비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프링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발췌 단면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발췌 단면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 남비본체 2 : 뚜껑
3 : 걸림환턱 31 : 요입홈
32 : 걸림간 33 : 걸림돌기
34 : 결합공 4 : 손잡이
5 : 눌림판 51 : 걸림구멍
6 : 받침판 61 : 요입돌부
62 : 끼움홈 63 : 걸림돌부
7 : 축핀 8 : 스프링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손잡이의 일부 파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남비에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스프링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남비 본체에서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뚜껑(2)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남비 본체(1)의 상단에 요입홈(3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의 걸림환턱(3)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환턱(3)에 결합되는 손잡이(4)는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물로 구성될 수 있는 눌림판(5)과 받침판(6)을 축핀(7)으로 상호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축핀(7)에는 스프링(8)을 개재하여 상기 눌림판(5)과 받침판(6)을 탄발토록 함으로서 눌림판(5)과 받침판(6) 전방이 상호 협지될 수 있도록 한 집게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받침판(6)의 전방에는 상기 걸림환턱(3)의 요입홈(31)과 걸림간(32)에 결합되는 요입돌부(61)와 끼움홈(6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를 구성하는 눌림판(5)과 받침판(6)에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사출시 내부에 보강판(9)을 내입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 손잡이(4)는 사용자가 잡기 편하도록 눌림판(5)의 표면에 돌기(52)를 형성하여 손에서 미끄러짐이 없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손잡이(4)를 걸림환턱(3)에 결합함에 있어서, 걸림환턱(3)의 상면부에 걸림돌기(33)를 형성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받침판(6)의 요입돌부(61) 상에 걸림돌부(63)를 돌출 형성하며 상측 눌림판(5)에 걸림구멍(51)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남비본체(1)의 걸림환턱(3) 상면부에 결합공(34)을 관통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받침판(6)의 요입돌부(61) 상에 걸림돌부(63)를 돌출 형성하며 상측 눌림판(5)에 걸림구멍(51)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남비의 손잡이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결합과정 등을 통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손잡이(4)의 받침판(6)과 눌림판(5)의 후방을 눌려 전방을 걸림환턱(3)에 결합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남비본체(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본 고안은 하측 받침판(6)의 요입돌부(61)와 끼움홈(62)이 걸림환턱(3)의 요입홈(31)과 걸림간(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눌림판(5)이 스프링(8)에 의해 걸림환턱(3)을 눌리게 됨으로 남비본체(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걸림환턱(3)의 상면부에 걸림돌기(33)를 형성하고, 받침판(6)의 요입돌부(61) 상에 걸림돌부(63)를 돌출 형성하며 상측 눌림판(5)에 걸림구멍(51)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경우에 걸림돌기(33)는 결합되는 손잡이(4)의 안내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 항상 동일한 자리에 손잡이(4)를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결합돌기(33)의 상하측을 걸림구멍(51)과 걸림돌부(63)가 잡아주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고정상태를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와 같이 걸림환턱(3)에 상면부에 결합공(34)을 관통하고, 받침판(6)의 요입돌부(61) 상에 걸림돌부(63)를 돌출 형성하며, 눌림판(5)에 걸림구멍(51)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경우에는 받침판(6)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63)가 걸림환턱(3)의 결합공(34)을 통하여 눌림판(5)의 걸림구멍(51)에 내입된 상태로 있게 됨으로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의 손잡이(4)는 받침판(6)과 눌림판(5)을 사출시 내부에 보강판(9)을 내입시켜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한편, 본 고안은 생산성 등에서도 여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즉,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손잡이(4)을 남비본체(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손잡이(4)가 남비본체(1)에서 착탈이 가능하므로 포장시에 손잡이(4)를 남비 내부에 수납하여 포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포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로 인하여 포장된 부피가 간소화됨으로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남비손잡이(4)를 집게형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형성하여 남비본체(1)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저렴한 가격에 이를 보급할 수 있으며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포장이 용이하고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중 남비를 보관시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를 득할 수 있게되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용성이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4)

  1. 남비 손잡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남비본체(1) 상단에는 요입홈(31)과 걸림간(32)이 마련되도록 ''형의 걸림환턱(3)을 형성하고,
    눌림판(5)과 받침판(6)을 축핀(7)으로 결합하고 축핀(7)에는 스프링(8)을 개재한 집게형으로 손잡이(4)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판(6)의 전방에 요입돌부(61)와 끼움홈(62)을 형성하여 걸림환턱(3)과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판(5)과 받침판(6) 내부에 보강판(9)을 내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손잡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환턱(3)에 걸림돌기(33)를 형성하고, 받침판(6)의 요입돌부(61) 상에 걸림돌부(63)를 돌출 형성하며 눌림판(5)에 걸림구멍(5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손잡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환턱(3) 상면부에 결합공(34)을 관통하고, 받침판(6)의 요입돌부(61) 상에 걸림돌부(63)를 돌출 형성하며, 눌림판(5)에 걸림구멍(5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 손잡이.
KR2019990026100U 1999-11-25 1999-11-25 남비 손잡이 KR200180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00U KR200180718Y1 (ko) 1999-11-25 1999-11-25 남비 손잡이
AU74570/00A AU7457000A (en) 1999-11-25 2000-09-25 A kitchen utensil having a detachable handle
PCT/KR2000/001065 WO2001037715A1 (en) 1999-11-25 2000-09-25 A kitchen utensil having a detachable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100U KR200180718Y1 (ko) 1999-11-25 1999-11-25 남비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718Y1 true KR200180718Y1 (ko) 2000-05-15

Family

ID=1959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100U KR200180718Y1 (ko) 1999-11-25 1999-11-25 남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7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5857S1 (en) Combination spoon and fork utensil
CA2248830A1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USD481179S1 (en) Dishwasher utility basket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180718Y1 (ko) 남비 손잡이
KR200494483Y1 (ko) 조리용기용 와이어브라켓 형태의 본체손잡이 파지장치
JP2004510519A (ja) 特にポットや鍋等の様々な器具における取り外し可能な着脱式ハンドルのための連結システム
USD488342S1 (en) Pancake and egg cooking appliance
USD460318S1 (en) Handle with end caps for cooking utensils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US6712412B2 (en) Grill implements with removable handle
CN215127113U (zh) 手柄和锅具
KR101276510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187713Y1 (ko) 남비손잡이
KR200239006Y1 (ko) 조리용 뜰채
KR200447354Y1 (ko) 식품 집게
CN215077647U (zh) 锅盖与锅具
KR2002491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착탈식 남비손잡이
KR200363093Y1 (ko)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CN220859940U (zh) 一种食物处理器
KR200345435Y1 (ko) 개량국자
KR101172030B1 (ko) 조립식 조리기구용 손잡이
CN215127696U (zh) 炊具把手以及炊具
USD948932S1 (en) Cookware handle
KR200196382Y1 (ko) 조리용구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