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382Y1 - 조리용구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구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382Y1
KR200196382Y1 KR2020000002116U KR20000002116U KR200196382Y1 KR 200196382 Y1 KR200196382 Y1 KR 200196382Y1 KR 2020000002116 U KR2020000002116 U KR 2020000002116U KR 20000002116 U KR20000002116 U KR 20000002116U KR 200196382 Y1 KR200196382 Y1 KR 200196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ok
cooking
cooking utensil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민
Original Assignee
배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민 filed Critical 배정민
Priority to KR2020000002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3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조리용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도에 따라 음식물을 푸거나 뒤집는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된 조리부(10)의 일측에 하단이 연결되는 조리용구 손잡이(2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파이프형상으로 되며, 그 상단에는 조리용구를 벽 등에 걸 수 있도록 고리(32)와 걸이공(34) 또는 고리(32)나 걸이공(34)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별도의 걸이부재(30)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이부재(30)와 손잡이(20)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손잡이커버(40)가 구비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손잡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리용구 손잡이{Handle of cooking utensils}
본 고안은 조리용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조리용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대중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조리용구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것에 비해 사용빈도가 높고 다루는 음식의 양이 많으므로 일반 가정용 조리용구에 비해 견고함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대중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조리용구의 손잡이는 얇은 판상으로 된 가정용 조리용구의 손잡이와는 달리 대부분이 금속재의 파이프형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조리용구의 손잡이상단에는 조리용구를 벽 등에 걸어 둘 수 있도록 고리나 걸이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파이프형상의 손잡이에 고리나 걸이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손잡이의 상단을 압착절곡하여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압착된 부위에 펀칭하여 걸림공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파이프형상의 손잡이상단에 고리나 걸이공이 구비된 별도의 걸이부재를 끼움결합한 제품이 선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걸이부재를 끼움결합한 경우에는 걸이부재와 손잡이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결합부위에 음식물 등의 이물질 이 끼어 비위생적이였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걸이부재가 손잡이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사용중에 걸이부재가 손잡이에서 분리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용구를 벽 등에 걸 수 있도록 고리나 걸이공이 형성된 걸이부재와 손잡이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결합부위의 외주면에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손잡이커버를 형성하여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커버에 의해 열전달이 차단되므로 뜨거운 음식물을 다루기가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조리용구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리부 20. 손잡이
30. 걸이부재 40. 손잡이커버
50. 걸림턱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용도에 따라 음식물을 푸거나 뒤집는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된 조리부(10)의 일측에 하단이 연결되는 조리용구 손잡이(2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파이프형상으로 되며, 그 상단에는 조리용구를 벽 등에 걸 수 있도록 고리(32)와 걸이공(34) 또는 고리(32)나 걸이공(34)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별도의 걸이부재(30)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이부재(30)와 손잡이(20)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손잡이커버(40)가 구비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손잡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20)의 상단에는 그 폭이 확장되도록 압착된 확장부(29)가 형성되어 손잡이(20)를 파지한 손이 미끄러지지 않아 사용자가 조리용구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의 손잡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국자나 뒤집게 등과 같은 조리용구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2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합성수지재 손잡이커버(40)가 인서트사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손잡이(20)는 파이프형상으로, 그 하단부가 조리부(10)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결합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상기 조리부(10)는 그 용도에 따라 용기나 뒤집게, 집게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0)의 상단에는 조리용구를 벽에 걸 수 있도록 고리(32)와 걸이공(34)이 형성된 별도의 걸이부재(30)가 결합된다. 이 걸이부재(30)는 다이케스팅되어 성형된 것으로, 상기 고리(32)와 걸이공(34)이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필에 따라 상기 고리(32)와 걸이공(34)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걸이부재(30)는 상기 손잡이(2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이부재(3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홈(36)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손잡이(20)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36)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8)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36)과 걸림돌기(28)에 의해 걸이부재(30)가 손잡이(2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에는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 손잡이(20)가 뜨거워지더라도 용이하게 조리용구를 다룰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의 손잡이커버(40)가 구비된다. 이때 손잡이커버(40)를 손잡이(20)와 걸이부재(30)의 결합부위 외주면에 인서트사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손잡이커버(40)에 의해 손잡이(20)와 걸이부재(30)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20)와 걸이부재(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손잡이(20)의 상단부를 다소 압착하여 그 폭이 확장된 확장부(29)를 형성하고 이 확장부(29)에 걸이부재(30)를 결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20) 상단부의 폭을 확장시키면 파지한 손이 손잡이(20) 단부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주방용구를 다룰 때 비교적 힘이 적게 들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손잡이커버(40)의 하단으로 걸림턱부재(5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걸림턱부재(50)는 손잡이(20)에 끼울 수 있도록 링형상의 끼움부(52)와 걸림턱(54)으로 이루어져서, 걸림턱(54)이 손잡이(20)의 배면으로 위치되도록 손잡이(20)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52)의 일측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58)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커버(40)의 사출성형시 상기 걸림돌기(58)가 손잡이커버(40)에 매입되도록 하여 걸림턱부재(50)와 손잡이커버(4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걸림턱(54)을 형성하게 되면 조리용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검지손가락을 상기 걸림턱(54)에 걸어서 사용하면 걸림턱(54)에 건 손가락이 지렛대역할을 하게 되어 조리용구를 다룰 때 비교적 힘이 덜 들게 된다. 또한, 조리용구를 사용하다가 냄비 등과 같은 용기에 걸쳐두어도 상기 걸림턱(54)이 용기의 단부에 걸려서 조리용구가 음식물 속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파이프형상의 조리용구 손잡이 상단에 별도의 걸이부재를 끼움결합하고 손잡이와 걸이부재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손잡이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우수한 조리용구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용도에 따라 음식물을 푸거나 뒤집는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된 조리부(10)의 일측에 하단이 연결되는 조리용구 손잡이(2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파이프형상으로 되며, 그 상단에는 조리용구를 벽 등에 걸 수 있도록 고리(32)와 걸이공(34) 또는 고리(32)나 걸이공(34)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별도의 걸이부재(30)가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이부재(30)와 손잡이(20)의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손잡이커버(40)가 구비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의 상단에는 그 폭이 확장되도록 압착된 확장부(29)가 형성되어 손잡이(20)를 파지한 손이 미끄러지지 않아 사용자가 조리용구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의 손잡이
KR2020000002116U 2000-01-26 2000-01-26 조리용구 손잡이 KR200196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16U KR200196382Y1 (ko) 2000-01-26 2000-01-26 조리용구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16U KR200196382Y1 (ko) 2000-01-26 2000-01-26 조리용구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382Y1 true KR200196382Y1 (ko) 2000-09-15

Family

ID=1963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116U KR200196382Y1 (ko) 2000-01-26 2000-01-26 조리용구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3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835A (en) Food handling implement
CA2299114A1 (e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WO2007026384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KR200196382Y1 (ko) 조리용구 손잡이
US20110031361A1 (en) Utensil holder
KR200455750Y1 (ko) 프라이팬의 손잡이
KR100738349B1 (ko) 조리용기 손잡이
KR101276510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288135Y1 (ko)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KR200231102Y1 (ko) 조리용구
KR200227852Y1 (ko) 조리용구
KR200168219Y1 (ko) 조리용구
US20080295343A1 (en) Kitchen utensil with multiple integrally formed resting surfaces
KR200457212Y1 (ko) 탈부착의 냄비용 국물배출기
KR19990033267U (ko) 조리용구
KR19990033268U (ko) 조리용구
KR200387986Y1 (ko) 조리용기 집게
CN200973611Y (zh) 防滑锅
KR200188020Y1 (ko) 조리용구
KR200259159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KR200259158Y1 (ko) 미끄럼방지턱을 구비한 조리기구용 손잡이
KR200236588Y1 (ko) 용기걸이 일체형 주방기구
CN216317041U (zh) 一种组合式锅
KR200212671Y1 (ko) 음식용구용 도자기 손잡이 고리
JP3136410U (ja) 鍋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