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222Y1 - 핸드폰 줄 - Google Patents

핸드폰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222Y1
KR200360222Y1 KR20-2004-0013790U KR20040013790U KR200360222Y1 KR 200360222 Y1 KR200360222 Y1 KR 200360222Y1 KR 20040013790 U KR20040013790 U KR 20040013790U KR 200360222 Y1 KR200360222 Y1 KR 200360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dy
connecting line
line
mobile phon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랑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01F15/043Details of rails with multiple superimposed members; Rails provided with sk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줄에 관한 것으로,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체에 자체적인 회전기능을 부여하고, 링체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핸드폰에 끼워지는 걸이줄이 연결체를 매개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링체의 지지편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연결줄에는 요입홈에 끼워지는 돌출테를 형성함으로써 필요시 연결줄을 링체로부터 분리하여 교체장착되도록 구성함으로서 핸드폰의 휴대 편의성과 장식성 향상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핸드폰 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 줄{Mobile phone accessory}
본 고안은 핸드폰 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 줄을 구성하는 각 부분푼을 필요시 언제라도 자유롭게 교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일단 조립된 상태에서는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여 핸드폰의 장식성을 향상시키 수 있고, 동시에 핸드폰의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폰 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핸드폰이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고, 이에 따라 핸드폰 줄, 핸즈프리, 발광안테나 등 핸드폰 악세서리 역시 다양하게 개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악세서리 중에 핸드폰 줄은 그 일단을 핸드폰 일측 모서리에 끼워 묶을 수 있는 걸이줄과 상기 걸이줄에 연결된 핸드폰을 손목에 걸거나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핸드폰 사용 시 부주의에 의해 놓치더라도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품에 의한 연결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핸드폰 줄의 연결줄은 대부분 손이나 손목에 감싸여 걸쳐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한 밴드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부주의에 의하여 손목에서 빠져나갈 경우에는 파손이나 또는 분실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으로 등록한 등록번호 제282392호에서는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링체를 연결줄에 연결함으로서 장식성을 높이고, 또한 휴대의 편의성을 갖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링체가 코일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 하중에 의하여 조임이 발생되어진다는 단점과, 이러한 코일형태의 링체에 연결줄을 연결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연결수단이 필요하고, 이러한 연결수단은 코일형체로 된 링체에 연결한다는 것의 거의 불가능함으로 실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원출원인이 선출원한 것에서는 하나의 링체에 연결줄을 고정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링체를 손가락에 끼우고 휴대할 경우에 링체를 손가락에 꽉 끼울 수 없기 때문에 손가락이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사람은 링체가 손가락에서 빠져나간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링체를 손가락에 반복적으로 착탈하거나 또는 손가락에 낀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경우 외력에 의해 연결줄이 링체로부터 쉽게 이탈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고, 링체 또는 연결줄의 파손시 핸드폰 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링체와 핸드폰에 링체를 연결시키는 연결줄로만 이루어진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핸드폰의 장식성이 떨어져 점차 다양해져 가는 소비자의 디자인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링체를 손가락에 거의 꽉 끼일 정도로 형성할 경우에도 흔들리는 휴대폰에 의하여도 링체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링체를 내측링체와 외측링체로 이중으로 구현토록 하여 내측의 링체는 손가락에 끼이도록 하고 외측의 링체는 핸드폰의 연결을 위한 연결줄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측의 링체를 결합할 경우에 결합의 용이성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체와 연결되는 연결줄과 휴대폰에 끼워지는 걸이줄이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필요시 언제라도 교체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걸이줄이 연결줄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뿐 아니라, 그 결합부위의 외관을 심플하게 하여 제품의 상품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 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링체와 연결줄을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필요시 언제라도 교체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연결줄이 링체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핸드폰의 장식성과 함께 휴대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폰 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 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 줄을 완전결합한 상태의 일부확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 줄의 참고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편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측링체 11 : 곡면
12 : 제1링체 12a : 외측걸림턱
13 : 제2링체 13a : 내측걸림턱
14, 14a : 후렌지 15 : 링체
20 : 외측링체 21 : 마찰돌기테
22 : 지지편 23 : 요입홈
24 : 걸림돌기 30 : 연결줄
31 : 돌출테 31a : 걸림홈
32 : 관통홀 40 : 걸이줄
50 : 연결체 54 : 슬롯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본 고안의 휴대폰 줄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체; 상기 링체에 연결되는 연결줄; 및 상기 연결줄과 연결되며 핸드폰에 끼워지는 걸이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체는 손가락이 직접 끼워지는 내측링체 및 상기 연결줄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링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링체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링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링체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된 마찰돌기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찰돌기테는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링체는 상기 외측링체의 좌우에서 상호 맞물림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걸림턱이 형성된 제1링체와 내측걸림턱이 형성된 제2링체로 등분되고, 상기 제1링체와 상기 제2링체에는 각 외측에 후렌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 줄은 핸드폰에 끼워지는 걸이줄; 일단에 상기 걸이줄이 끼워지는 끼움홀 및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줄; 및 상기 관통홀에 끼워지며 상기 걸이줄을 상기 연결줄에 연결시키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걸이줄의 매듭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내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외면에는 상기 걸이줄의 일부분이 끼워지는 슬롯(slot)이 형성된다.
반면,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걸이줄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홀측 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 줄은 링체 일측에배치되며 요입홈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요입홈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돌출테가 형성된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테의 외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에는 상기 걸림홈에 맞물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줄의 일단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 및 걸이줄이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걸이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가 끼워지며,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걸이줄의 매듭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내공간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연결줄을 갖는 링체와 걸이줄과 연결줄의 연결을 위한 연결체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링체를 내측링체(10)와 외측링체(20)로 구분토록 하고, 상기 내측링체(10)와 외측링체(20)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토록 되고, 상기 외측링체(20)에는 연결줄(30)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줄(30)에 연결되는 걸이줄(40)은 연결체(50)에 의하여 연결토록 되는 구성이다.
이때 내측링체(10)는 손가락과 밀착되어지는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만곡되어지는 곡면(11)을 갖게 되는 것이고, 내측링체(10)는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외측링체(20)와 가압하면서 강제 삽입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등분하여 조립토록 할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조립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1링체(12)와 제2링체(13)로 구분토록 하고, 조립을 위하여는 제1링체(12)에는 단턱에 의하여 연장되는 일측으로 외측걸림턱(12a)이 형성되고, 제 2링체(13)에는 단턱에 의하여 연장되는 일측으로 상기 외측걸림턱(12a)과 맞물리도록 내측걸림턱(13a)이 형성되어 외측걸림턱(12a)과 내측걸림턱(13a)이 상기 외측링체(20)의 양측에서 결합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측링체(10)는 탄성이 없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토록 함으로서 결합의 오차범위를 0.2㎜로 함으로서 강제 가압에 의하여 결합할 경우에 임의대로의 빠짐이 없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세한 오차범위의 가공이 곤란할 경우에는 외측걸림턱(12a)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내측걸림턱(13a)에는 결합요홈을 형성하여 이들이 맞물림 결합토록 함으로서 빠짐이 방지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합방식은 외측걸림턱(12a)과 내측걸림턱(13a)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토록 하거나 결합돌기와 결합요홈을 나사산으로 가공토록 함으로서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체로 된 내측링체(10)의 양측이나 등분되어진 상태에서의 제1링체(12)와 제2링체(13)의 외측테두리에는 후렌지(14,14a)를 형성하여 상기 후렌지가 외측링체(20)와 외측에서 밀착토록 함으로서 내측링체(12)와 외측링체(13)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링체(10)와 외측링체(20)의 맞닿게 되는 외측링체(20)의 내측면에는 내측링체(10)가 회전될 경우에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마찰돌기테(21)를 형성토록 하고 상기 마찰돌기테(21)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토록 하여 선 마찰을 유도함으로서 마찰계수를 최소화하게 하여 회전의 용이함은 물론 소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링체(20)에 연결되는 연결줄(30)은 외측링체(20)에 형성되는 요입홈(23)이 형성된 지지편(22)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밴드체로 구현토록 하고 상기 밴드체의 선단으로는 지지편(22)의 요입홈(23)에 맞물릴 수 있도록 돌출테(31)를 형성하고 타단으로는 연결체(50)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32)을 형성하여 관통홀의 전방으로는 걸이줄(50)이 빠질 수 있도록 끼움홀(33)이 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홀(32)에 결합되어지는 연결체(50)는 중앙으로 걸이줄(40)이 관통되도록 구멍(51)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51)의 후방으로는 걸이줄의 매듭(41)이 위치되도록 일정공간을 절개하여 내공간(52)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체(50)는 양측으로 단턱이 지게 돌출부(53)를 형성하고, 연결줄(40)의 관통홀(32)에도 단턱지게 단턱부(34)를 형성하여 연결체(50)의 끼워짐이 용이토록 하고, 끼워진 상태에서는 연결체(50)의 외부노출이 돌출부(53)에 의하여 많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이러한 돌출부(53)는 단턱부(34)에 의하여 걸림이 발생됨으로 연결체(50)가 관통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대로 빠짐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용을 위해서는, 걸이줄(40)을 핸드폰에 끼워 걸은 후, 손가락을 내측링체(10)에 끼우면 내측링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곡면에 의하여손가락과의 마찰이 적어짐은 물론 내측링체(10)가 손가락에서 유격에 의한 유동에 의하여도 손가락의 어떠한 부분에도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링체(10)에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에서 걸이줄(40)을 이용하여 핸드폰에 끼워 걸었을 경우에도, 휴대함으로서 발생되는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에 내측링체(10)가 외측링체(20)에서 회전되어짐으로 내측링체(10)에는 전혀 하중이 전달되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회전이 이루어질 경우에도 외측링체(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마찰돌기테(21)에 의한 마찰저항의 감소로 용이하게 회전되어짐은 물론 소음도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걸이줄(40)이 연결체(50)의 구멍(51)을 관통하여 연결줄(30)의 끼움홀(33)로 관통되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체(50)는 연결줄(30)과의 임의적인 이탈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링체(10)와 외측링체(20)가 2중으로 이루어짐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디자인은 연결줄(30)의 색상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다른 휴대폰 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지지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8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5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줄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체(15)와, 링체(15)에 연결되는 연결줄(30) 및 연결줄(30)의 일단에 결합되는 걸이줄(4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링체(15)는 전술된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내측링체와 외측링체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단일체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링체(15)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이어지는 부위에는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손가락에 착탈시 부상을 입지 않도록 부드럽게 만곡되어 이루어진 곡면(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체(15)의 일측에는 외측방향으로 일정폭 돌출된 지지편(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2) 내측에는 연결줄(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관통된 요입홈(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줄(30)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 같이 납작한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부에는 지지편(22)에 형성된 요입홈(23)에 측방향으로 끼워져 맞물릴 수 있도록 일정폭의 두께를 갖는 돌출테(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테(31)의 상면에 내측으로 패여진 형태의 걸림홈(31a)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요입홈(23) 안쪽에 도 7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걸림홈(31a)에 맞물리도록 돌출된 걸림돌기(2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연결줄(30)의 돌출테(31)가 지지편(22)의 요입홈(23)에 완전하게 끼워진 경우 걸림홈(31a)과 걸림돌기(24)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측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 연결줄(30)이 링체(15)의 지지편(22)으로부터 쉽게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링체(15)와 연결줄(30)의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요구될 경우에는 지지편(22)의 재질을 소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연결줄(30)을 지지편(22)에 끼운 후 소정의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편(22)을 양쪽에서 눌러 주어 고정하게 되면 연결줄(30)의 측방향 및 상하방향의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연결줄(30)을 링체(15)의 지지편(22)에 끼워 결합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4)가 걸림홈(3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홈(31a) 일측에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부(31b)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연결줄(30)의 타단에는 연결체(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32)이 형성됨과 아울러 걸이줄(4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3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천공된 끼움홀(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체(50)에는 그 중앙부에 걸이줄(40) 끝단의 매듭이 수용 배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내공간(52)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면에는 상기 걸이줄(40)의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슬롯(slot;54)이 형성되어, 걸이줄(40)이 슬롯(54)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체(50)가 관통홀(32)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체(50)에 상기한 슬롯(54) 대신에 전술된 제1실시예의 제2도에서와 같이 끼움홀(33)측 방향으로 천공된 별도의 구멍(51)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51)에 걸이줄(40)이 끼워질 수 있도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50)의 양측단에 일정폭의 단턱이 지도록 돌출부(5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줄(40)의 관통홀(32) 내측 양단에도 상기 돌출부(53)에 대응하여 단턱진 단턱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연결체(50)가 관통홀(32) 내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고, 끼워진 상태에서도 연결체(50)의 외부노출이 돌출부(53)에 의하여 많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연결체(50)가 관통홀(3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53)와 단턱부(34)에 의해 걸림이 발생되므로 연결체(50)가 관통홀(32)로부터 측방향으로 쉽게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핸드폰 줄 사용시 걸이줄(40)을 핸드폰에 끼워 걸은 후 손가락을 링체(15)에 끼워 사용하게 되는 것은 전술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때, 링체(15)가 손가락에 탈착되는 과정에서 링체(15)에 형성된 부드러운 곡면(11)에 의해 손가락과의 마찰이 적어짐은 물론 링체(15)와 손가락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도 손가락의 어떠한 부분에도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줄(30)을 링체(15)에 조립할 경우 연결줄(30)에 형성된 돌출테(31)를 링체(15)의 지지편(22)에 형성된 요입홈(23)에 끼워 넣는 간단한 작업만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연결줄(30)과 링체(15)와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한 연결줄(30)의 상하방향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줄(30)이 링체(15)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는 돌출테(31)에 형성된 걸림홈(31a)와 요입홈(23) 내측의 걸림돌기(24)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해도 측방향으로 쉽게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체(50)를 연결줄(30)의 관통홀(32) 내에 끼워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걸이줄(40)이 연결체(50)의 슬롯(5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체(50)가 관통홀(32) 내부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는 돌출부(53)와 단턱부(34)가 상호 맞물리게 되어 쉽게 이탈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걸이줄(40)의 끝단에 형성된 매듭부분이 연결체(50)의 내공간(52)상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매듭의 외부 노출로 인한 외관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핸드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 밖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인 PDA 등 손으로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휴대용 기기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 줄은 손가락에 끼워진 링체가 회전되어짐으로 손가락에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고, 2중으로 이루어짐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라 발생되는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줄의 일단에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과 걸이줄이 끼워지는 끼움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걸이줄이 결합된 연결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걸이줄을 연결줄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부위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이줄이 연결줄에 쉽게 착탈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걸이줄이나 연결줄의 파손시 핸드폰 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연결체에 걸이줄의 매듭이 수용될 수 있는 요입된 내공간이 형성함으로써, 걸이줄의 매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연결체에 걸이줄이 끼워질 수 있는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걸이줄을 슬롯에 끼운 상태로 연결체를 관통홀 내부로 끼워 넣어 쉽게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걸이줄의 장착이 용이해지고 연결체는 연결줄로부터의 임의적인 이탈이 발생되지 않는다.
넷째, 연결체에 상기와 같은 슬롯 대신에 끼움홀측 방향으로 천공된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어도 상기 슬롯이 형성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결체를 통한 연결줄에 걸이줄 장착이 매우 용이해지고 연결체가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측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다섯째, 링체의 지지편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연결줄에 상기 요입홈에 측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는 돌출테를 형성함으로써, 연결줄을 링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한 연결줄의 상하방향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줄이 링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연결줄 또는 링체의 파손시 핸드폰 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의 취향에 색상이나 형태를 갖는 연결줄과 링체를 자유롭게 교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잇점이 있다.
여섯째, 돌출테의 외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요입홈에는 걸림홈에 맞물리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게 되면, 연결줄이 링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링체의 손가락 접촉부위에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링체와 손가락 사이에 유격발생에 따른 유동에도 손가락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다.
여덟째, 연결체의 양측단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연결줄에 돌출부에 대응하는 단턱부를 형성함으로써, 연결체가 관통홀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는 연결체의 외부노출이 돌출부에 의하여 많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가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돌출부와 단턱부에 의한 걸림이 발생되어 연결체가 관통홀로부터 임의대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홉째, 링체를 내측링체 및 상기 내측링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링체로 구성하고, 상기 외측링체의 내측면에 상기 내측링체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는 마찰돌기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측링체와 상기 외측링체의 접촉면적을 줄여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마찰돌기테를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내측링체와 외측링체의 선접촉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링체와 외측링체의 상호 회전작용이 용이하고 회전시 소음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열번째, 내측링체를 구성하는 제1링체와 제2링체의 각 외측에 후렌지를 형성하고 각 내측에는 외측걸림턱 및 내측걸림턱을 형성하여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2링체를 결합시킬 경우 상기 외측 및 내측걸림턱에 의해 외측링체와 내측링체의 후렌지 사이의 간극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링체와 외측링체 사이에 원활한 회전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Claims (3)

  1. 링체 일측에 배치되며, 요입홈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요입홈에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돌출테가 형성된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요입홈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의 일단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 및 걸이줄이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걸이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가 끼워지며,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걸이줄의 매듭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내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KR20-2004-0013790U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KR2003602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005 2004-01-03
KR20040006005 2004-01-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96A Division KR20050077713A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222Y1 true KR200360222Y1 (ko) 2004-08-26

Family

ID=3726128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96A KR20050077713A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KR20-2004-0013790U KR200360222Y1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KR1020040035104A KR100548789B1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KR1020040035295A KR100548790B1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96A KR20050077713A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104A KR100548789B1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KR1020040035295A KR100548790B1 (ko) 2004-01-03 2004-05-18 핸드폰 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500777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034B1 (ko) * 2004-08-12 2005-07-05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034B1 (ko) * 2004-08-12 2005-07-05 주식회사 아트랑 핑거스트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24A (ko) 2005-07-07
KR20050077712A (ko) 2005-08-03
KR100548789B1 (ko) 2006-02-02
KR20050077713A (ko) 2005-08-03
KR100548790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9394B2 (en) Structure of watchcase and watch strap connected based on magnetic attraction force
KR200360222Y1 (ko) 핸드폰 줄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JP3108504U (ja) バンドの留め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バンド
KR100845208B1 (ko) 장신구 연결장치
KR200282392Y1 (ko) 기능성 핸드폰 걸게
KR200210251Y1 (ko) 목걸이
JP3082226U (ja) リンク部材
KR200357994Y1 (ko) 휴대폰 줄
KR200376483Y1 (ko) 물품휴대용 줄
KR200340218Y1 (ko) 클립형 장신구 시계
KR200379805Y1 (ko) 핑거스트랩
KR200267567Y1 (ko) 목걸이의 장식구 결착구
KR100536179B1 (ko) 휴대용 기기의 스트랩 및 그 제작방법
KR200232806Y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걸림구
KR200334360Y1 (ko) 클립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KR100548787B1 (ko) 링체의 고정수단체가 형성된 핸드폰 줄
KR200363085Y1 (ko) 휴대용 전자기기 손잡이줄이 탈부착되는 펜던트 목걸이
JP3069620U (ja) ストラップ
JP2004243076A (ja) 着脱自在の装飾具
KR200396512Y1 (ko) 귀걸이
KR200428220Y1 (ko) 악세사리용 펜던터 결합구조
KR200363557Y1 (ko) 회전링 스트랩
KR100362330B1 (ko)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