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231B1 -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231B1
KR100499231B1 KR10-2002-7009345A KR20027009345A KR100499231B1 KR 100499231 B1 KR100499231 B1 KR 100499231B1 KR 20027009345 A KR20027009345 A KR 20027009345A KR 100499231 B1 KR100499231 B1 KR 10049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eption
carrier
cal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177A (ko
Inventor
오카다히로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처리장치(60)에는 모바일단말기(30)간 및 모바일단말기(30)와 유선전화(12)간의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기지국(64) 이외에, 전화통화캐리어보다 낮은 주파수대역의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방송국(72)도 제공된다. 더욱이, 각 모바일단말기(30)에는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가 제공된다. 모바일단말기(30)가 전화통화캐리어를 매개로 송/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교환제어국(70)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방송국(72)으로부터 발신원 정보를 송신한다. 방송국캐리어는 전화통화캐리어보다 전자기반사특성이 더 좋기 때문에, 모바일단말기(30)가 전화통화캐리어를 매개로 송/수신할 수 없는 상태일 지라도, 각 모바일단말기(30)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를 사용하여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단말기(30)로 발신원 정보의 통신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TRANSMITTER/RECEIVER SYSTEM, MOBILE TRANSMITTER/RECEIVER APPARATUS,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BROADCASTING STATION CARRIER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OF ATTEMPTING COMMUNICATION OF CALL ORIGIN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와 함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부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송/수신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단말기간의 통신링크를 매개로 하여 오디오데이터의 교환을 처리하는 통신처리장치,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방송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하고 언어/소리, 문자, 및/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속국캐리어수신장치, 및 타겟통신단말기로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수신기 장치시스템으로서, 1이상의 차량용 전화를 포함할 수 있는 1이상의 모바일전화 및 모바일전화간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송/수신기처리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이 제시되었다. 송신 및 수신은 극초단파대역, 예를 들어 가장 낮게는 800㎒ 대역, 1.5㎓ 대역, 1.9㎓대역, 2㎓ 대역 등에서 캐리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캐리어의 주파수대역이 높아짐에 따라 캐리어의 직진전파특성이 강해진다. 즉, 전자기파의 반사가 감소되므로 빌딩내에서, 특히 빌딩내부 깊숙한 곳에서의 통신이 어려워진다. 또한, 안테나는 인체에 의하여 가려지므로 모바일 송/수신기를 주머니에 넣으면, 안테나의 수신기능은 손에 들고 있는 상태보다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모바일전화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기방사선이 의료기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병원내에서는 모바일전화의 전원을 끄도록 요구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강제로 간섭을 일으키는 장치(즉, 통신방해장치)를 두어 의도적으로 전화의 사용을 금한다. 또한, 레스토랑, 호텔, 기차등에서는 예의로서 모바일전화의 전원을 꺼야한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전화로 통화를 할 수 없으므로 긴급상황에 대처시 휴대한 모바일전화가 쓸모가 없게 된다.
PHS 전화(PHS = pers온al handyph온e system; 제한된 범위의 주변에서는 무선전화로, 그 밖의 다른 곳에서는 모바일전화기로서 기능하는 시스템)의 마케팅의 초기단계에서, PHS 및 호출기의 기능을 조합한 모바일/휴대용전화는 PHS 전화용 인프라구조를 구축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제시되었다. 상기 제시에 따르면, 이러한 PHS 전화가 그 통신영역밖에 있는 경우에는, 호출기가 호출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모바일/휴대용전화는 PHS와 호출서비스제공자 양자와 계약해야 한다. 더우기, 이러한 모바일/휴대용전화의 호출기는 그 PHS 번호로 통신이 불가능한 때에 사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화를 거는 사람이 통화하거나 호출한 PHS 번호와 모바일/휴대용전화의 호출기번호 중 적절히 선택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다이어그램,
도 2는 모바일단말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다이어그램,
도 3은 전화통화 송/수신부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 양자의 여러가지 온오프상태 및 작동상태를 다르게 하여 표시한 표시부의 예시도,
도 4는 모바일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모바일단말기 통신제어처리순서의 일례를 예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전화통화 송/수신부가 "온" 이고 "영역안"에 있을 때 모바일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타이밍제어순서의 일례를 예시한 플로우차트,
도 6은 전화통화 송/수신부가 "온" 이지만 "영역밖"에 있을 때 모바일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타이밍제어순서의 일례를 예시한 플로우차트,
도 7은 전화통화 송/수신부가 "오프" 이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가 "온" 일 때, 모바일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타이밍제어순서의 일례를 예시한 플로우차트,
도 8은 전화통화처리장치의 교환제어국에 의하여 실행되는 전화통화처리제어의 처리순서를 예시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의 메모리에 타겟데이터를 설정하는 처리순서를 예시한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의 제어부에 의하여 실행되는 발신원 정보수신순서를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또 다른 목적과 더불어, 본 발명의 특정한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회피하고,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의 통화수신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에 반영된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반영된다.
본 발명의 제1형태는,
제1주파수대역의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각각 오디오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며 상기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각각의 제 1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상기 제1주파수대역과는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각각의 제 2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발신원수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1이상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와,
상기 제 1 캐리어를 채용하여, 상기 임의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와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또는 송/수신 처리장치에 연결된 통신장치간에 상기 각각의 오디오데이터의 교환을 관리하는 전화통화처리수단;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중 임의의 하나와 통화에 전화가 걸렸을 때, 상기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상기 각각의 제 1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통화정보 송신수단; 및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중 상기 임의의 하나에 전화가 걸렸을 때, 상기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상기 각각의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임의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부터 수신 및 그 장치로 송신을 처리하는 송/수신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송/수신 시스템이다.
이 송/수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처리장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전화가 걸려올 때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또는 송/수신 처리장치에 접속가능한 통신장치와 오디오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제 1 캐리어를 사용하여 제 1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매개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고, 제 1 캐리어의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제 2 캐리어를 사용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한다.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전화통화송/수신수단을 사용하여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전송된 제1발신원신호를 수신하고,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사용하여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전송된 제 2 발신원 정보를 수신한다.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제 1 캐리어와 제 2 캐리어 중 어느 하나를 매개로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캐리어 중 하나가 수신을 위한 충분한 세기로 모바일 송신기/수신기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의 통화수신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원 정보(call origination information)"는 발신자 또는 타겟장치의 전화번호, 짧은 메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송신된 발신원 정보는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송신된 발신원 정보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캐리어는 1㎓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바일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캐리어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 송/수신에 사용되는 방송국캐리어일 수 있다. 도시 환경에서는 이러한 캐리어의 반사경향으로 인하여,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넓은 영역에 걸쳐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캐리어는 송/수신 시스템의 사용영역내에서 방송하는 방송국에 의하여 사용되는 캐리어의 측파대일 수 있다. 방송국캐리어가 제 2 캐리어로 사용되는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의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방송국캐리어에 제 2 발신원 정보를 중첩시켜 그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수차례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의 발신원 정보 수신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소정간격으로 수차례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이미 수신된 발신원 정보를 확인하게 한다. 더욱이,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이 수차례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형태의 본 발명의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통화 및/또는 캐리어통화량에 따라 변경가능한 간격으로 수차례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의 사용을 균등하게 공유할 수 있다.
더욱이,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발신원 정보를 아직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 1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발신원 정보가 소정 회수로 송신되었을 지라도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불필요한 송신이 감소된다.
또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송/수신 처리장치가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매개로 하여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해야 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 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제1송신 온오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처리장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각각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 대한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수행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통화정보송신제어저장수단; 및 발신원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2통화정보송신제어저장수단에 저장될 때에만, 발신원 정보가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송신되도록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불필요한 송신이 감소된다.
더 나아가, 송/수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송/수신 처리장치가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매개로 하여 또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해야 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처리수단으로 송신하는 제2송신 온오프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 처리장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또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요구했을 경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또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발신원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2송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송신되는 경우에만, 발신원 정보가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해서 송신되도록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불필요한 송신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라, 1이상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및 임의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와의 수신 및 송신을 처리하는 송/수신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기처리장치용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제1주파수대역의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오디오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제 1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제1주파수대역과는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발신원 정보수신수단을 포함한다.
이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은 또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또는 제 1 캐리어를 사용하여 송/수신 처리장치를 매개로 송/수신 처리장치에 접속가능한 통신장치와 오디오데이터를 교환하고, 통화정보 수신수단은 제 1 캐리어의 그것과 상이한 주파수대역의 제 2 캐리어를 사용하여 발신원 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 의하여, 송/수신기처리장치가 제 1 캐리어를 사용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을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처리장치가 제 2 캐리어를 사용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신원 정보는 제 1 캐리어 또는 제 2 캐리어 중의 그 어느 하나를 매개로 하여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 중 하나가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송/수신기는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의 통화수신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원 정보"는 여기에서 발신자 또는 타겟장치의 전화번호, 짧은 메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송신되는 발신원 정보는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송신된 발신원 정보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캐리어는 최대로 1㎓의 주파수를 가진 캐리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 2 캐리어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방송에 사용되는 방송국의 측파대(sideband)일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의 강한 전자기반사특성으로 인하여, 발신원 정보는 넓은 영역에 걸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전화통화송/수신수단의 온오프상태를 관리하는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 및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온오프상태를 관리하는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전화통화송/수신수단의 작동상태 및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의 작동상태 및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를 알려준다.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의 작동상태 및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에 의거하여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또는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제어수단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형태에 따라,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그 자체로 송/수신 처리장치와의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을 경우, 제어수단은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의 에너지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제한은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끄는(turn off)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 및 제어수단이 제공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수단은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을 제한하는 수단일 수 있는데, 상기 검색은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이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관리되는 "온" 상태이고,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관리되는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을 놓친 때에 실행된다. 이것은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에너지를 보존하게 한다. 이 형태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검색의 제한은 이전 수신 이후 경과시간의 함수로서 수신복구에 대한 점검시간의 간격을 늘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게 즉, 보존되게 한다.
전화통화송/수신 온오프수단 및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이 제공된 형태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 또는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이 제 2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 중 하나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검색 중 하나는 전화통화 송/수신수단등과 통화정보 수신수단 모두가 각각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 및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관리되는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통화정보 수신수단이 각각 제1 및 제 2 캐리어의 수신을 놓쳤을 때에 수행된다. 이것도 역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에너지를 보존하게 해준다. 본 발명의 이 형태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제어수단은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 및 제어수단이 제공된 형태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제어수단은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예정된 신호에 응답하여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을 놓쳤을 때에는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현재상태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관계없이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온" 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송/수신기는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발신원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형태에 따른 모바일 송/수신기에서, 예정된 신호는 병원, 놀이공원 등에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발생되는 방해신호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들 형태에 따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제어수단은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예정된 신호로 인하여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을 놓쳤을 때에,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은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을 때에, 상태정보를 송/수신 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송/수신 처리장치가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불필요한 송신을 실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모바일 송/수신기가 차량용 전자키로서 기능하게 하는 전자키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차량의 도어를 잠그고, 도어를 열며, 차엔진을 시동거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통화정보 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언어/소리, 문자, 및/또는 이미지의 제 2 발신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어/소리, 문자, 이미지 등의 형식으로 적어도 일부의 발신원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형태에 따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서, 통화정보 수신수단은 라디오방송국캐리어 및/또는 텔레비젼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출력수단은 통화정보 수신수단에 의하여수신된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라디오 및/또는 텔레비젼방송을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라디오방송을 듣거나 텔레비젼방송을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형태는 통신단말기간의 물리적 및/또는 무선통신링크를 매개로 하여 오디오데이터의 교환을 처리하는 통신처리장치이며, 상기 통신처리장치는, 소정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통신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는 통화정보송신수단; 및 통화정보송신수단에 의하여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처리장치에서, 통화정보송신장치는 소정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제어수단은 통화정보송신수단에 의하여 수행된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통신처리장치는 통신링크를 매개로 하여 통화하는 것과 더불어 소정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형태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방송에 사용되는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하고, 언어/소리, 문자, 및/또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상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이며, 상기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는, 통신단말기간에 물리적 및/또는 무선통신링크를 매개로 하여 오디오데이터의 교환을 처리하는 통신처리장치에 의하여 발신원 정보를 1이상의 상기 통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사용되는 소정 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통화캐리어수신수단; 및 언어/소리, 문자 및/또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통화캐리어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발신원 정보를 출력하는 발신원 정보출력수단을 포함한다.
본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에서, 통화캐리어수신수단은 발신원 정보를 통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통신단말기간에 물리적 및/또는 무선통신링크를 매개로 하여 오디오데이터의 교환을 처리하는 통신처리장치에 의하여 사용되는 소정 캐리어를 수신한다. 통화정보출력수단은 언어/소리, 문자 및/또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수신된 발신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에 따르면, 언어/소리, 문자, 및 이미지 등의 형식으로 통신단말기에서 발신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로, 통신단말기가 현재 오디오데이터링크를 매개로 하여 통신이 될 수 있는 영역 밖에 위치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가 오는 통화를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지라도, 사용자는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의 사용을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와 관련하여, 소정캐리어는 방송국캐리어의 측파대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는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를 약간 개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방송국캐리어수신기 장치는, 1이상의 통신단말기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수단; 및 수신된 발신원 정보가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의하여 저장된 식별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지 판단하는 식별정보판단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판단수단에 의한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 즉 수신된 발신원 정보가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의하여 저장된 식별정보의 일부를 포함한다고 식별정보판단수단에 의하여 판단된 경우, 발신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식별정보저장수단내에 식별정보가 저장된 발신원 정보만이 선택되고 출력되기 때문에 통신단말기에 의하여 수신된 발신원 정보를 스크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 형태에 따른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는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의하여 저장된 식별정보의 일부를 변경, 추가 및 삭제하는 식별정보 변경추가삭제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 형태에 따른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에서,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라디오장치일 수 있고, 식별정보저장수단은 차의 도어를 열고 잠그며 차량엔진을 시동걸 수 있는 1이상의 전자키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각각 관련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판단수단은 수신된 발신원 정보가 도어를 열고/또는 엔진시동을 거는 데 사용되었던 전자키의 식별정보와 관련하여,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의하여 저장된 식별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지를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 할 수 있다. 이것은 식별정보가 전자키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통신단말기와 관련된 경우에는, 발신원 정보가 선택되고 출력되는 발신원 정보의 자동적, 사용자별선택 및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5형태는 통신단말기간에 오디오데이터를 교환하기에 적절한 물리적 및/또는 무선통신링크; 및/또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 송/수신에 사용되는 방송국캐리어를 통하여 타겟통신단말기로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이 상기 통신링크, 상기 방송국캐리어 또는 양자 모두를 매개로 시도될 것인지에 관한 결정은, 발신자의 선호도, 타겟통신단말기사용자의 선호도, 상기 통신링크를 형성할 가능성, 및/또는 상기 통신링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타겟통신단말기로 상기 발신원 정보의 시도된 통신의 성공에 달려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발신원 정보의 통신은 통신링크 및/또는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시도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원 정보가 타겟통신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는 확률이 높다. 즉, 통신링크를 매개로 하는 통신이 성공적이지 않더라도,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성공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링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타겟통신단말기로의 시도된 상기 통화정보의 통신의 성공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타겟통신단말기로 상기 발신원 정보의 통신이 시도된다. 통신링크를 매개로 하는 통신이 우선적으로 시도되기 때문에,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불필요한 통신시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통신의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통신의 시도가 요청되었을 경우, 상기 통신링크 및 상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통신이 시도된다. 따라서, 통신시도를 위한 방송국캐리어의 사용은 타켓통신단말기의 사용자선호도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방송국캐리어의 사용은 부가가치가 있는 서비스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대안책으로, 전화를 거는 사람이 상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통신의 시도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통신링크 및 상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통신이 시도된다. 따라서, 통신시도를 위한 방송국캐리어의 사용은 발신자의 선호도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방송국캐리어의 사용은 또한 부가가치가 있는 서비스로 간주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모바일단말기(3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은 차량(10)등에 설치된 1이상의 차량용전화를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모바일단말기(30) 및 모바일단말기(30)간 또는 유선전화(12)와 모바일전화(30)간 전화통화를 처리하는 전화통화처리장치(6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단말기(30)는 모바일단말기(30)로 전화오디오통신대역으로 할당된 제1주파수대역의 제 1 캐리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화안테나(32)를 구비한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라디오방송, 텔레비젼 방송 등을 방송하는 데 할당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국캐리어안테나(36)를 구비한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또 다른 모바일단말기(30)와의 통신요청에 대한 제어명령 또는 요청을 제어부(40)로 입력하는 명령입력부(42), 명령입력부(42), 수신된 발신원 정보 등을 매개로 하여 들어온 입력을 표시하는 표시부(44), 램프(48)를 켜거나 스피커(50)로부터 소리 또는 말을 출력하거나 진동수단(52)으로부터 진동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발신원 정보의 수신을 나타내는 발신원 정보수신알림부(46), 언어/소리 입/출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 스피커(58), 및/또는 마이크로폰(59)을 포함하는 핸즈프리장치(56)로 연결되는 전화대화/방송 시청부(54)를 포함한다.
제 1 캐리어는 모든 주파수대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1㎓ 보다 높은 극초단파대역을 사용한다. 제 2 캐리어는 제 1 캐리어보다 낮은 주파수대역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1㎓, 바람직하게는 최대 대략 100㎒인 방송용으로 할당된 주파수대역의 캐리어를 사용한다.
전화통화 송/수신부(34)는 그 작동상태, 온오프상태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상태를 기초로 제어부(40)에 의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그 작동상태를 점검한다. 그 작동상태의 검사는 모바일단말기(30)가 "영역안"에 있는 지, 즉 모바일단말기(30)가 그 지역과 관련된 기지국(64)과 송/수신할 수 있는 지역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기지국(64)으로부터 전자기신호를 검색함으로써 판단된다.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그 작동상태의 점검을 시행할 때마다, 전화통화 송/수신부(34)는 작동상태검사의 결과를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전화통화 송/수신부(34)와 유사하게,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그 작동상태, 온오프상태 및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상태를 기초로 제어부(40)에 의하여 설정된 간격으로 그것의 작동상태를 점검한다. 상기 작동상태의 점검은 방송국캐리어가 방송국(72)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지, 즉 모바일단말기(30)가 방송국캐리어의 수신이 가능한 영역내에 있는 지를 점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그 작동상태의 점검을 수행할 때마다,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도 제어부(40)로 작동상태점검의 결과를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주구성요소로서 CPU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40)는 처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 입력/출력포트 등을 가진다. 명령입력부(42)는 숫자키, 복수의 지시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버튼은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켜짐/꺼짐을 관리하는 전화 온오프스위치(42a),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켜짐/꺼짐을 관리하는 방송국캐리어 온오프스위치(42b)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44)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래프제어기 및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명령입력부(42) 및 수신된 발신원 정보를 매개로 하여 들어온 입력을 표시하는 것과 더불어, 표시부(44)는 온오프상태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등의 수신상태 및 온오프상태 뿐 아니라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송수신 상태 및 온오프상태 등도 표시한다. 도 3a 내지 3e에서 좌측의 표시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송/수신상태 및 온오프상태를 나타내는 반면, 우측의 표시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송/수신상태 및 온오프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a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와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 모두 온상태이므로, 양자 모두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낸다. 도 3b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는 "온" 이지만 제 1 캐리어를 놓친, 즉 송/수신이 불가능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온" 이므로 수신가능한 작동상태임을 나타낸다. 도 3c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오프" 이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온" 이며, 수신가능함을 나타낸다. 도 3d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는 모두 "온"이며 송수신가능하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오프" 상태임을 나타낸다. 도 3e는 전화통화 송/수신기(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모두 "온" 이지만 모두 송/수신이 불가능한 작동상태임을 나타낸다.
모바일단말기(30)가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면, 발신원 정보알림부(46)는 램프(48)를 켜거나 스피커(50)로부터 말 또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진동수단(52)으로부터 진동을 내어, 또는 2이상의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알림법은 명령입력부(42)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사용자선호도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전화 대화/방송 시청부(54)는 마이크로폰(59) 또는 핸즈프리장치(56)의 마이크로폰을 매개로 하여 언어/소리입력을 오디오데이터로 전환하는 오디오입력처리회로 및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58) 또는 핸즈프리장치(56)의 스피커로부터 언어/소리로서 출력될 수 있는 신호로 전환하는 오디오출력회로를 가진다. 전화 대화/방송 시청부(54)는 전화대화를 하기 위하여 모바일단말기(30)를 손으로 잡을 때 사용되는 스피커(58) 및 마이크로폰(59)의 조합을 이용하는 전화대화와 핸즈프리장치(56)를 사용하는 전화대화 가운데 하나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더욱 상세하게, 핸즈프리장치(56)가 연결되어 있을 때에, 핸즈프리장치(56)를 사용하는 전화대화가 선택된다. 핸즈프리장치(56)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전화대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스피커(58) 및 마이크로폰(59)이 선택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통화처리장치(60)는 복수의 기지국(64)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지국은, 각 해당 기지국과 관련된 지역내의 모바일단말기(30)에 할당되는 주파수대역에서 캐리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안테나(62), 유선전화망(66)을 매개로 복수의 유선전화에 연결된 교환국(68), 기지국(64)에 의하여 수행되는 송/수신 및 유선전화통신망을 매개로 하여 교환국(68)에 의하여 수행되는 통신을 제어하는 교환제어국(70) 및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 신호 등의 방송에 할당된 주파수대역내에서 캐리어를 송신할 수 있는 방송국안테나(74)를 가진 방송국(72)을 포함한다.
각 지역은 그 지역과 관련된 기지국(64)으로부터 송신된 전자기신호가 모바일단말기(30)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는 영역 및 모바일단말기(30)으로부터 송신된 전자기신호가 기지국(64)의 기지국안테나(62)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는 영역으로 한정된다. 인접한 지역은 어떤 경우에는 다소 중첩될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모바일단말기(30)에 할당된 주파수대역 및 캐리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유선전화통신망(66)은 무선이 아닌 물리적 전화통신망이다. 교환국(64)은 유선전화통신망에 기지국(64)을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국이다. 교환국(68)은 모바일단말기(30)와 유선전화(12)간의 전화통화를 허용한다.
교환제어국(70)은 임의의 하나의 기지국(64)에서 또 다른 기지국(64) 또는 교환국(68)으로 통화와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 예를 들어, 발신원 정보 또는 오디오데이터를 전달하며, 방송국(72)으로부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제어한다. 교환제어국(70)은 주구성요소로서 CPU를 가지는 복수의 컴퓨터를 포함한다.
방송국(72)은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방송을 송신하는 방송국이다. 교환제어국(70)에서 요구하면, 방송국(72)은 모바일단말기(30)용 발신원 정보를 그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방송캐리어상에 중첩시킨다, 즉 측파대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신한다. "발신원 정보"는 통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의 식별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 발신자의 이름, 즉 통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의 사용자 및 전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를 매개로 하여 입력된 메세지 인 "Mr. XX가 전화하였습니다." 와 같은 전형적인 메세지 등도 포함한다. 방송국(72)은 방송범위가 기지국(64)과 관련된 모든 지역을 포함하는 방송국이 선택된다. 또한, 방송국(72)으로부터 송신된 방송국캐리어의 방송범위는 이들 지역을 초월한다. 그러므로, 모바일단말기(30)가 임의의 지역내에 있지 않더라도, 모바일단말기(30)가 방송국(72)의 방송범위내에 있으면, 모바일단말기(30)의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를 사용하여 방송국(72)으로부터 송신된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바일단말기(30)가 상기 한 지역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화통화 송/수신부(34)를 매개로 하여 송/수신이 불가능한 상황, 예를 들어 제 1 캐리어가 강한 직진전파특성을 가지고 빌딩이 모바일단말기(30)를 가리고 있어, 전화통화 송/수신부(34)에 의하여 송/수신이 수행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방송국캐리어가 제 1 캐리어보다 낮은 주파수대역에 있어, 더 좋은 전자기반사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모바일단말기(30)는 그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를 사용하여 방송국(72)으로부터 송신된 방송국캐리어를 여전히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 시스템(20)의 작동, 특히 모바일단말기(30) 및 전화통화처리장치(60)의 작동을 서술한다. 먼저, 모바일단말기(30)의 작동을 서술한 후 전화통화처리장치(60)의 작동을 서술한다.
도 4는 발신원 정보의 수신과 관계한 처리로서 모바일단말기(30)의 제어부(40)에 의하여 실행되는 모바일단말기통신제어처리순서를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일단 모바일단말기(30)의 전원이 켜지면, 전화통화시를 제외하고 상기 실행과정은 소정 간격으로 반복된다. 모바일단말기통신제어 처리과정이 실행될 때에, 먼저 제어부(40)의 CPU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온오프상태를 판독한 후(단계 S100),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작동상태를 판독하여 처리한다(단계S102).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온오프상태의 판독은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온오프상태로서 전화 온오프스위치(42a) 및 방송국캐리어수신 온오프스위치(42b)로부터의 입력을 저장하는 데 제공되는 제어부(40)의 RAM에서 소정 어드레스를 질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작동상태의 판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얻은 결과를 저장하는 데 제공되는 제어부(40)의 RAM에서 소정 어드레스를 질문함으로써,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작동상태를 각각 점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온오프상태 및 작동상태를 판독하여, CPU는 전술한 상태에 따라 다르게 조치하는 제어처리를 수행(단계 S104)한 후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전술한 상태가 제어처리의 조치에 미칠 수 있는 효과는 하기에 서술된다.
도 5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온" 이고 "영역안"에 있는, 즉 송/수신이 가능한 상황에서 모바일단말기(30)의 제어부(40)에 의하여 실행되는 타이밍제어순서의 일례를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온오프상태 및 작동상태는 관계가 없다. 예를 들면, 이 상황은 도 3a 및 도 3d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단말기(30)의 ID와 함께 전화통화 송/수신부(34)를 매개로 하여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40)의 CPU가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안테나(32)를 매개로 하여 전화통화처리장치(60)로 송신하고(단계 S110), 그 온오프상태에 관계 없이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를 끈 후(단계 S112),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도 4에 예시된 모바일단말기통신제어처리과정이 실행될 때마다, 즉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온"이고 "영역내"에 있는 한 소정간격으로 상기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화통화처리장치(60)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를 매개로 하여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소정간격으로 수신한다. 전화통화처리장치(60)가 모바일단말기(30)의 ID 및 소정간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한, 전화통화 처리장치(60)는 각각의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정보의 수신이 끊어지면, 전화통화처리장치(60)는 각각의 모바일단말기(30)의 송/수신부(34)가 "영역밖" 에 있거나 꺼져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12에서,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현재의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꺼지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이전에 "오프"이었던 경우에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이전상태가 유지되고, 이전에 "온"이었던 경우에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꺼진다. 하기에는,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유사한 표현은 유사한 개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도 6은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온" 이지만 "영역밖"에 있을 때 즉 전화통화 송/수신부(34)를 매개로 하여 송/수신이 불가능할 때에, 모바일단말기(30)의 제어부(40)에 의하여 실행되는 타이밍제어순서의 일례를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예를 들어, 이 상황은 도 3b 및 도 3e에 해당하며, 간섭(방해)에 의하여 모바일단말기(30)가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를 포함한다. 모바일단말기(3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방사선이 의료장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흔히 모바일단말기(30)의 사용을 금하는 방해신호가 의도적으로 생성된다. 통상적으로, 방해신호는 모바일단말기(30)의 제어채널보다 높은 레벨에서 주파수가 스위핑된다. 따라서, 모바일단말기(30)는 이러한 레벨에서 주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방해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전화통화 송/수신부(34)는 "온" 이지만, "영역밖"에 있는 상태일 때에, 제어부(40)의 CPU는 이전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를 먼저 켠다(단계 S120). 상기 단계는 전화통화처리장치(60)의 방송국(72)으로부터 모바일단말기(30)로 전송되는 발신원 정보의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후속하여, CPU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영역내"에 있는 지, 즉 기지국안테나(62)로부터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122, S124).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영역내"에 있는 경우, CPU는 전화 송/수신부의 작동상태의 점검간격을 점차적으로 늘리고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상기 상태(단계 S126)가 된 이후로, 즉 마지막으로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한 송/수신이 가능했던 이후로 경과된 시간의 량에 따라 간격의 길이는 증가된다. 예를 들어,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밖"으로 나간 후, 작동상태의 점검간격은 2초, 5초, 10초, 60초로 길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실상 모바일단말기(30)가 지역내에 잠시동안 있을 지라도, CPU는 때때로 전화통화 송/수신부(34)를 "영역밖"에 있다고 간주한다. 이것은 작동상태를 점검하지 않는 간격이 길 때에,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 상태로 바꿀수도, "영역밖" 상태로 돌아올 수도 있다는 사실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의 모바일단말기(30)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를 사용하여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경우에도 수신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더욱이, 작동상태점검의 간격의 연장은 모바일단말기(30)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킨다. 역으로, 단계 S124에서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영역밖"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CPU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를 끈 후(단계 S128),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수신영역이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수신영역보다 더 좁다는 사실로 미루어 그 작동상태의 점검이 헛된 모험일 수 있기 때문에, 전화통화 송/수신부(34)를 끄는 것은 당연하다. 방송국캐리어수신부의 작동상태의 점검은 소정간격으로 실행된다.
도 7은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오프" 이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온" 일 때, 모바일단말기(30)의 제어부(40)에 의하여 실행되는 타이밍제어순서의 일례를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 상황은 예를 들어, 3c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부(40)의 CPU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작동상태를 먼저 점검하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영역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30, S132).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영역밖"에 있는 경우, CPU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에 의한 작동상태의 점검간격을 점차적으로 늘이고 처리과정을 끝마친다. 상술한 상태(단계 S134)가 된 이후로, 즉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송/수신이 마지막으로 가능했던 이유로, 경과된 시간량에 따라 간격의 길이는 증가된다. 예를 들어,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영역밖"으로 나간 직후, 작동상태점검의 간격은 2초, 5초, 10초, 30초, 60초로 점차 길어진다. 하지만, 일단 간격이 소정길이가 되면 그 간격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모바일단말기(30)가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다를 수단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송국캐리어수신부의 작동상태의 점검간격을 길게 하면, 모바일단말기(30)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된다. 역으로, 단계 S132에서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영역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CPU는 어떤 다른 단계를 거치지 않고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도 8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서 전화통화처리장치(60)의 교환제어국(70)에 의하여 실행되는 전화통화처리제어처리순서를 예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로부터 또 다른 모바일단말기(30)로 통화요청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과정이 실행된다. 전화통화처리제어처리과정이 실행되는 때에, 교환제어국(70)의 CPU는 먼저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식별번호(전화번호), 통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의 식별번호(전화번호), 사용자의 이름 등을 포함하는 발신원 정보를 판독한다. 후속하여, CPU는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에 있는 지, 즉 송/수신가능한 지를 판단한다(단계 S202). 모바일단말기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송/수신이 가능한 경우,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도 5에 예시된 타이밍제어과정의 단계 S110에서 전화통화처리장치(60)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판단은 송/수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지를 점검하여 달성될 수 있다.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에 있는 경우, 발신원 정보는 모바일단말기(30)가 위치된 지역의 기지국(64)으로부터 송신된다(단계 S204). 그런 후,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타겟모바일단말기(30)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에 있는 경우, 기지국(64)으로부터 송신된 발신원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모바일단말기(30)는 발신원 정보알림부(46)를 매개로 하여, 예를 들어 램프(48)를 켜거나 스피커(50)로부터 말 또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진동수단(52)을 매개로 하여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신원 정보를 알린다.
반대로,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밖"에 있는 경우, 교환제어국(70)의 CPU는 타겟모바일단말기(30)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요구(수신기측으로부터의 요구)했는 지를 검사한다(단계 S206, S208). 모바일단말기(30)는 명령입력부(42)를 매개로 한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의 상태일 때에,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가 전송되기를 바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요청을 한다. 모바일단말기(30)는 명령입력부(42)를 매개로 한 사용자입력에 응답하여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에 있을 때에 모바일단말기(30)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에 대한 그 요구를 취소하는 것을 바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취소한다.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한 발신원 정보의 송신은 종래의 모바일전화시스템에 비하여 추가경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이용료를 내는 서비스일 수 있다. 타겟모바일단말기(30)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에 대한 요구를 했을 경우, CPU는 방송국(72)을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한 후(단계 S214),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화량이 적을 때에는, 방송국(72)으로부터 발신원 정보의 송신은 소정간격(예를 들어, 1분간격)으로 수차례(예를 들어, 세 번) 수행된다. 통화량이 많을 때에는, 통화량에 따라 더 긴 간격으로 수차례 송신이 수행된다. 발신원 정보를 수차례 송신하는 목적은 발신원 정보가 타겟모바일단말기(30)에 의하여 수신될 확률을 높이려는 것이다. 더욱이, 소정간격으로의 송신은 수차례 연속된 송신에 비하여 타겟모바일단말기(30)가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확률을 더욱 증가시킨다. 더 나아가, 통화량에 따라 송신간격을 변경하는 것은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균등하게 공유하게 한다.
타겟모바일단말기(30)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지 않은 경우, CPU는 통화를 요구한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에 이러한 발신원 정보의 송신(송신기측으로부터 요청)이 요구되어야 하는 지를 질문한다(단계 S210, S212). 통상적으로, 상기 질문은 두 단계를 수반한다. 첫째, 타겟모바일단말기(30)가 "영역밖"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로 송신된다. 그런 다음,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자정보의 송신을 요구합니까? 요구한다면 1번을 요구하지 않으면 2번을 누르세요." 하는 등의 메세지가 통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로 전송되어 발신자, 즉 통화를 요구하는 통화요구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의 사용자가 그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게 한다. 통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경우, CPU는 방송국(72)을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한 후(단계 S214),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통화를 요구하는 모바일단말기(30) 또는 유선전화(12)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CPU는 방송국(72)을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발신자의 요구에 따라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은 수신측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송신과 유사하게 별도의 이용료를 내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술한 송/수신 시스템(20)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단말기(30)는 전화캐리어보다 주파수대역이 낮은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를 구비하며, 소정 조건을 만족할 때에, 전화통화처리장치(60)는 상기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을 때, 예를 들어 모바일단말기(30)가 수신지역을 벗어나거나 수신지역내에 있지만 빌딩에 가려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을 때, 병원 등에서 발생된 방해신호에 의하여 송/수신이 금지될 때, 또는 극장, 놀이공원 등에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전화를 오프상태로 하도록 하여, 전화 송/수신부(34)를 오프상태로 설정한 때 등에도 발신원 정보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을 구성하는 모바일단말기(30)에 따르면,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온오프상태와 작동상태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온오프상태와 작동상태에 따라 전화통화 송/수신부(34) 및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를 제어함으로써 높은 확률로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그로 인해 또한 전기를 절약할 수도 있다. 즉, 전화통화 송/수신수단(34)이 "온"의 상태이고 또한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신뢰할 수 있는 수신을 유지하면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하여 현재의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오프"상태로 설정된다. 전화통화 송/수신수단(34)이 "온"의 상태이지만 송/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신뢰할 수 있는 수신을 허용하기 위하여 현재의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온"상태로 설정된다. 동시에, 전력보존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화통화 송/수신부의 작동상태의 점검간격이 길어지거나 이러한 작동상태점검의 실행이 중단된다.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오프"이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온"의 상태이지만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방송국캐리어수신부의 작동상태의 점검간격은 전력보존을 달성하기 위하여 길어진다.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을 구성하는 전화통화처리장치(60)에 따르면,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밖"에 있을 때에만,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수행된다. 더욱이,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은 수신기측 또는 송신기측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행된다. 그러므로,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불필요한 송신이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 따르면,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온"이고 송/수신이 가능한 경우,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현재의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경우에서도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꺼지지 않았다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 따르면,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온"이지만 송/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켜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경우에서도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켜지지 않았다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 따르면, 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온"이지만 송/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온오프상태에 관계없이 켜지고, 전화통화 송/수신부의 작동상태의 점검간격이 길어지거나 이러한 점검이 중단된다. 하지만, 이러한 작동상태점검의 간격이 변하지 않았다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 따르면, 송/수신 시스템(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오프" 이고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는 "온" 이지만 수신할 수 없는 경우,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작동상태가 점검되는 간격이 길어진다. 하지만,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의 작동상태검사간격이 길어지지 않았다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 따르면, 전화통화처리장치(60)는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밖"에 있는 경우에만,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수행한다. 하지만,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영역내"에 있어 통신이 소정회수 시도되었는 데도, 발신원 정보의 수신이 확인될 수 없을 때, 전화통화처리장치(60)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채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화통화처리장치(60)가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작동상태에 관계없이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서,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수신기측 또는 송신기측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행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들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단지 수신기(타겟)측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서만 수행되거나,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송신자(발신자)측으로부터 요구에 따라 수행되거나,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송신기측 또는 수신기측에서부터의 요구와 무관하게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비록,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서는 모바일단말기(30)는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송/수신이 가능한 지의 정보를 전화통화처리장치(60)로 송신하지만, 모바일단말기(30)가 전화통화 송/수신부(34)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화통호처리장치(60)로 송신하지 않는다는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가 현재 송/수신이 가능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전화통화처리장치(60)가 판단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화통화처리장치(60)가 소정 회수로 기지국(64)을 매개로 하여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전화통화 송/수신부(34)로 송신된 발신원 정보의 수신을 확신할 수 없을 때, 전화통화처리장치(60)는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발신원/정보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 대한 상기 서술내용에서, 각 모바일단말기(30)는 단지 의사소통장치(예를 들면, 전화기 등)이다. 하지만, 각 모바일단말기(30)에는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하는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모바일단말기(30)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장치로서 사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서, 발신원 정보는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전화통화처리장치(60)의 방송국(72)으로부터 송신되고,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송신된 발신원 정보는 모바일단말기(30)의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에 의하여 수신된다. 하지만 발신원 정보의 송신 및 수신에 사용되는 상기 캐리어는 방송국캐리어만으로 제한된 것이 아니라, 전자기반사특성이 만족할만큼 좋고 넓은 영역을 포괄할 수 있는 어떠한 주파수대역의 캐리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서는, 전화통화처리장치(60)의 방송국(72)으로부터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소정간격 또는 캐리어통화량에 따라 변하는 간격으로 수차례 수행되지만, 발신원 정보가 수차례 연속으로 송신되거나 단한번만 송신되는 실시예를 채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에서는, 방송국(72)으로부터 송신된 발신원 정보가 모바일단말기(30)의 방송국캐리어수신부(38)에 의하여 수신되지만, 발신원 정보가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장치의 예로서,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가 도 9에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이하,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를 채택하는 실시예의 구현 및 작동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는 방송국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81), 안테나(81)에 의하여 수신되는 방송국캐리어를 튜닝하는 튜너(82),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얻어진 발신원 정보가 메모리(84)내에 다수의 영역사이에서 지정되고 저장되는 번호와 관련된 정보인지를 판독하는 디코더부(83), 전체 장치를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부(85), 발신원 정보의 일부를 문자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표시부(86), 발신원 정보의 일부의 오디오출력을 생성하는 스피커(87), 메모리(84)의 내용을 변경, 추가 및 삭제하고 제어부(85)로 지시를 입력하는 메뉴얼입력부(88), 및 접속단자(94) 또는 안테나(92) 및 무선부(93)에 의하여 각각 물리적 또는 무선링크를 매개로 장치에 연결된 모바일단말기(30)로부터의 ID 정보를 디코드하는 ID 디코더부(90)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의 상기 실시예의 작동이 서술된다. 특히, 발신원 정보가 방송국캐리어를 통하여 수신될 때에 수행되는 작동과 함께, 대상과 관련된 번호, 즉 타겟데이터,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30)와 관련된 전화번호 또는 ID)를 설정하고 등록하는 것에 관하여 서술한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타겟데이터의 설정 및 등록, 예를 들어 모바일단말기의 메모리(84)내에 형성된 개인별 전자전화부 형식으로 타겟데이터의 저장이 수행된다. 상기 과정은 모바일단말기(30) 또는 메뉴얼입력부(88)를 통하여 타겟테이터설정처리가 시작될 때 수행된다. 상기 과정은 모바일단말기(30) 또는 메뉴얼입력부(88)를 통하여 타겟데이터설정과정이 초기화된 때에 수행된다. 처리과정이 수행될 때에, 제어부(85)는 먼저 모바일단말기(30) 자체로부터 또는 메뉴얼입력부(88)를 매개로 하여 타겟대상이 되는 모바일단말기(30)의 ID를 획득한다(단계 S300). 모바일단말기(30)자체로부터의 ID의 획득은, 접속단자(94)를 통하여 또는 무선부(93) 및 안테나(92)를 통하여 모바일단말기(30)에 접속하여 형성된 직접적인 물리적 또는 무선통신링크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메뉴얼입력부(88)를 통한 모바일단말기의 ID의 획득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다.
타겟모바일단말기(30)의 ID를 획득한 후 제어부(85)는 획득된 ID를 키로 사용하여 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찾으려고 메모리(84)를 검색한다. 메모리(84)내의 여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바일단말기(30)의 ID 및 번호, 사용자의 이름, 전화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획득된 ID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발견된 경우, 획득된 데이터와 관련된 이름 및 번호가 타겟으로서 설정되었음을, 예를 들어, "XX씨의 번호 123-4567이 타겟으로서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제어부(85)는 표시부(86)에 출력을 표시하고 스피커(87)로부터 오디오출력을 생성한다(단계 S310). 그런 다음, 제어부(85)는 사용자에게 추가로 타겟데이터를 획득하고 싶은 지를 질문한다(단계 S312). 더욱 상세하게, 예를 들어 "또 다른 타겟을 획득할까요, 획득하려면 1번을 중지하려면 2번을 누르세요." 라고 스피커(87)에서 오디오출력을 생성하거나 표시부(86)에서 출력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질문한다. 추가로 데이터가 획득된 경우, 제어부(85)는 단계 S300으로 돌아간다. 사용자가 타겟데이터 획득중단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85)는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데이터가 단계 S304에서 발견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85)는 새롭게 획득된 타겟데이터가 등록되어야 하는 지, 즉 메모리(84)에 저장되어야 하는 지를 사용자에게 질문한다(단계 S306). 특히, 표시부(86)에 출력을 표시하여 또는 오디오출력을 스피커를 매개로 하여 "이 모바일단말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정보를 등록할까요? 등록하려면 1번을 중지하려면 2번을 누르세요"와 같은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질문한다. 정보가 등록될 경우, 제어부(85)는 메모리(84)내의 빈영역내에 모바일단말기(30)의 ID 및 번호, 사용자의 이름 등을 기록한 후(단계 S308), 단계 S310에서 시작되는 설정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정보가 등록되어 않을 경우, 제어부(85)는 실행할 필요가 없다고 여겨 설정단계를 건너 뛰는 대신에, 곧바로 단계 S312로 진행한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실행함으로써, 메모리(84)내에 저장되는 타겟테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를 매개로하여 통화될 타겟모바일단말기(30)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가 발신원 정보를 수신할 때에 수행되는 작동이 도 11에 예시된 처리과정으로 도시된다. 상기 처리과정에서, 먼저 발신원 정보가 안테나(81)에 의하여 수신된다(단계 S320). 그 후, 수신된 발신원 정보에 포함된 타겟대상번호를 키로서 사용하여 타겟대상의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메모리(84)내에 저장되었는 지 알아내기 위하여 메모리(84)가 검색된다(단계 S322, S324).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메모리(84)에서 발견된 경우, 장치는 번호와 연관지어 저장된 타겟데이터가 현재 유효한 지, 즉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타겟데이터로서 설정되었지를 판단한다. (사용자별 타겟데이터는 상기 장치(80)의 현재 사용자에 따라 유효/무효일 수 있다.) 번호가 현재 유효한 타겟데이터와 관련된 경우, 언어/소리 및/또는 표시로 발신원 정보의 수신을 나타낸다(단계 S328). 그리고 나서,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수신된 발신원 정보는 표시부(86)에서 시각출력을 생성하고 스피커(87)에서 예를 들어 "XX씨가 전화하셨습니다."라는 오디오출력을 생성하고/ 또는 표시부(86)에 발신자의 번호도 표시하여 알린다.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로 발신원 정보의 수신을 알리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차량을 멈출 수 있고, 발신자와 접속하기 위하여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 공중전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324에서), 해당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메모리(84)내에서 발견되지 않거나, 그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발견되었지만 그 번호와 관련된 타겟데이터가 현재 유효하지 않는 경우(단계 S326), 수신된 발신원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상기 과정을 끝마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라디오수신장치(80)는 방송국캐리어를 통하여 송신된 발신원 정보를 수신한 후, 전화가 왔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모바일단말기(30)의 전원이 꺼져 있을 지라도, 사용자는 전화가 왔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에 따르면, 복수의 모바일단말기(30)에 관한 각각의 타겟데이터를 메모리(84)내로 입력한 후, 저장된 타겟데이터에 기초하여 타겟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모바일단말기(30)에 대한 타겟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물리적 또는 무선링크를 매개로 상기 장치(80)에 접속된 모바일단말기(30)를 통하여 타겟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입력 및 선택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는 접속단자(94) 또는 안테나(92) 및 무선부(93)를 사용하여 각각 물리적 또는 무선링크를 매개로 거기에 접속된 모바일단말기(30)로부터 ID를 획득하고, 타겟대상을 선택한다. 하지만, 모바일단말기(30)가 도어를 잠그고 열고 엔진의 시동을 거는 것 등의 전자키 기능을 모바일단말기(30)에 제공하는 전자키수단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단말기(30)을 사용하여 도어를 열고 엔진의 시동을 걸 때, 모바일단말기(30)의 무선키시스템 또는 임모바일된(immobilized) 메모리로부터 ID가 획득되고, 키에 대응하는 타겟대상이 자동적으로 설정, 즉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통상적으로 전자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칩, (자동적으로 매치되는) 스마트키용 칩등이 모바일단말기(30)에 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의 메모리(84)에 많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지라도, 키형태의 모바일단말기의 ID와 꼭 들어맞는 정보만이 선택되고 이용가능하므로, 개인정보가 보호된다.
이상,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의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방송국캐리어수신기장치는 차량용 텔레비젼장치 또는 차량에 설치되지 않은 라디오수신기장치 또는 텔레비젼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에 따르면, 모바일단말기(30)에 관한 데이터가 메모리(84)에 저장된다. 전화통화처리장치(60)는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모바일단말기(30)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한다. 하지만,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가 그 메모리내에 유선전화(12)에 관한 데이터도 저장하는 실시예 및, 발신원처리장치(60)가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유선전화에 대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실시예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화통화처리장치(60)가 유선전화(12)로부터 발신원 정보의 송신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거나, 전화발신원장치(60)가 소정회수로 유선전화(12)에 발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통화성공이 확인되지 않을 때에는, 방송국캐리어를 매개로 유선전화(12)에 대하여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실시예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는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를 매개로 유선전화(12)에 발신을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수신 시스템(20) 및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는 모바일전화 및 유선전화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화시스템에 관하여 서술되었지만, 송/수신 시스템(20) 및 차량용 라디오수신기장치(80)는 이러한 전화시스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통신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사용을 통하여 본 발명을 실행하는 형태를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국한되는 것은 전혀 아니며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으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43)

  1. 제 1 주파수대역의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각각 오디오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며 상기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하여 각각의 제 1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중 임의의 하나에 통화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상기 각각의 제 1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통화정보 송신수단;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의 송신 및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부터의 수신을 처리하는 송/수신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처리장치는,
    상기 제 1 캐리어를 채용하여,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와 또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또는 상기 송/수신 처리 장치에 연결된 통신 장치 사이의 상기 각각의 오디오 데이터의 교환을 제어하는 전화통화 처리 수단;
    상기 제 1 주파수대역과는 상이한 제 2 주파수대역의 제 2 캐리어를 통해서 각각의 제 2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발신원 수신수단;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중 상기 임의의 하나에 통화가 이루어 졌을 때, 상기 제 2캐리어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리어는 최대로 1㎓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리어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는 방송국 캐리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리어는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영역의 상기 방송국 캐리어의 측파대(sideba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상기 방송국 캐리어에 상기 정보를 중첩하여 상기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발신원 정보를 수차례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발신원 정보를 소정간격으로 수차례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통화 또는 캐리어 통화량에 따라 변경가능한 간격으로 수차례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신원 정보가 상기 제 1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소정 회수로 송신되었지만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상기 제 1 발신원 정보를 아직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은 상기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상기 제 2 발신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1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송/수신 처리장치가 상기 제2발신원송신수단을 매개로 모바일 송/수신장치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수신 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제 1 송신 온오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처리장치는 발신원 정보의 송신이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의 각각에 대하여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수행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통화정보 송신제어저장수단 및 발신원 정보가 송신될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 2 통화정보 송신제어저장수단 내에 저장될 때에만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신원 정보가 송신되도록 상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11. 제 1-4항에 있어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는 송/수신기처리장치가 상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통해서 또 다른 상기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발신원 정보를 송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 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제2송신 온오프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처리장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가 또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발신원 정보의 송신을 요구했을 경우,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또 다른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로 발신원 정보가 전송될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2송신 온오프 수단에 의하여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발신원 정보가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에 의하여 송신되도록 제 2 통화정보 송신수단을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12. 하나 이상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와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송/수신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제 1 캐리어를 매개로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1 캐리어를 통해서 제 1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 2 주파수 대역의 제 2 캐리어를 매개로 제 2 발신원 정보를 수신하는 발신원 정보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리어는 최대로 1㎓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리어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는 방송국 캐리어의 측파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의 온오프상태를 관리하는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온오프상태를 관리하는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16. 제12-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의 작동상태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17. 제12-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장치의 작동상태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송/수신 처리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을 때에,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제한은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끄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장치의 작동상태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검색은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이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관리되어 "온" 상태이고,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관리되어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을 놓친 때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의 제한은 이전 수신 이후에 경과된 시간의 함수로서 수신복구에 대한 점검간격을 연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의 작동상태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 또는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이 제 2 캐리어의 수신복구를 점검하도록 하는 검색 중 하나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색 중 어느 것이든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등 및 통화정보 수신수단 모두가 각각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 및 상기 통화정보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관리되어 "온"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이 각각 제1 및 제 2 캐리어의 수신을 놓쳤을 때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에 대하여 점검하도록 하는 상기 검색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의 작동상태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작동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 및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예정된 신호에 응답하여 전화통화 송/수신 온오프수단에 의하여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을 놓쳤을 때에는 통화정보 수신수단의 현재상태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었는 지에 관계없이 통화정보 수신수단을 "온" 으로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신호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방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6. 제 24-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소정신호로 인하여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을 놓쳤을 때,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의 수신복구에 대하여 점검하도록 하는 상기 검색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7. 제 12-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은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수단이 상기 제 1 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을 때, 송/수신 처리장치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8. 제 12-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장치가 차량용 전자키의 기능을 채택하도록 하는 전자키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29. 제 12-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언어/소리, 문자 및 이미지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제 2 발신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1이상의 통신단말기의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수단,
    상기 수신된 제1/제 2 발신원 정보가 상기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의하여 저장된 식별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지를 판단하는 식별정보판단수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정보출력수단은 상기 식별정보판단수단에 의한 상기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 상기 제1/제 2 발신원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저장수단에 의하여 저장된 식별정보를 변경, 추가 및 삭제하는 식별정보변경추가삭제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 수신수단은 라디오방송국캐리어 및 텔레비젼방송국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출력수단은 상기 라디오방송국캐리어 및 텔레비전방송국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를 매개로 라디오방송 및 텔레비젼방송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02-7009345A 2000-01-20 2001-01-22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 KR100499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2150A JP2001204074A (ja) 2000-01-20 2000-01-20 携帯送受信システム及び携帯送受信装置,通信管理装置,放送受信装置並びに発呼方法
JPJP-P-2000-00012150 2000-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177A KR20020073177A (ko) 2002-09-19
KR100499231B1 true KR100499231B1 (ko) 2005-07-01

Family

ID=1853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345A KR100499231B1 (ko) 2000-01-20 2001-01-22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24286B2 (ko)
EP (1) EP1249147B1 (ko)
JP (1) JP2001204074A (ko)
KR (1) KR100499231B1 (ko)
CN (1) CN1227941C (ko)
AU (2) AU2540801A (ko)
DE (1) DE60109890T2 (ko)
WO (2) WO20010544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074A (ja) 2000-01-20 2001-07-27 Toyota Motor Corp 携帯送受信システム及び携帯送受信装置,通信管理装置,放送受信装置並びに発呼方法
JP2002118626A (ja) * 2000-10-06 2002-04-19 Nec Corp 携帯電話機
US7149529B2 (en) * 2001-05-07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lective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US20030036909A1 (en) * 2001-08-17 2003-02-20 Yoshinaga Kato Methods and devices for operating the multi-function peripherals
US7599689B2 (en) * 2002-04-22 2009-10-0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ookmarking radio stations and associated internet addresses
US7623824B2 (en) * 2002-12-16 2009-11-24 Nokia Corporation Broadcast media bookmarks
BR0309408A (pt) * 2002-04-22 2005-02-01 Nokia Corp Método e sistema de mìdia para prover um ou mais itens de contéudo para ao menos um terminal do usuário do sistema de rádio, e, terminal do usuário
US20050181722A1 (en) * 2002-04-22 2005-08-18 Toni Kopra Method, system and user terminal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udience of broadcast media stream
US7551888B2 (en) * 2002-04-22 2009-06-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broadcast program
JP4554356B2 (ja) * 2002-04-29 2010-09-29 アフィボディ・アーベー サンドイッチアッセイおよびキット
US7218925B2 (en) * 2002-06-06 2007-05-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initiating a telematics service
US7289761B2 (en) * 2003-06-23 2007-10-30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reventing data transfer from a medical device
US20050136884A1 (en) * 2003-12-17 2005-06-23 Nokia Corporation Data transport to mobile devices using a radio broadcast data channel
JP4101183B2 (ja) * 2004-01-08 2008-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060128418A1 (en) * 2004-12-14 2006-06-15 Nokia Corporation Phone functions triggered by broadcast data
JP4591295B2 (ja) * 2005-09-22 2010-12-0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の待ち受け方式と移動体通信装置
JP4501833B2 (ja) * 2005-09-30 2010-07-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情報端末、及び、情報受信方法
JP2007142744A (ja) * 2005-11-17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緊急放送送受信システム
US8023883B1 (en) 2005-12-28 2011-09-2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offs in a mobile system
US9316738B2 (en) * 2005-12-28 2016-04-1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eyond an area of interest boundary
KR100933160B1 (ko) * 2006-10-02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175514B2 (en) 2007-01-22 2012-05-0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authorization for a mobile receiving device to access wireless networks
KR100847524B1 (ko) * 2007-02-27 2008-07-22 주식회사 신창전기 슬롯 기구
US8971926B2 (en) 2007-07-05 2015-03-03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a mobile user approaching a boundary of an area of interest
CN101933271B (zh) * 2008-03-17 2013-08-14 美国博通公司 用于具有受保护mac序列号的安全块应答的方法和系统
JP5176899B2 (ja) * 2008-11-20 2013-04-03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
US8565716B2 (en) * 2008-12-15 2013-10-22 At&T Mobility Ii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roximal traffic
KR20140051012A (ko) * 2012-10-2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US9634964B2 (en) * 2012-11-12 2017-04-2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Contact matching method, instant messaging client, server and system
US9246988B2 (en) 2013-06-17 2016-01-26 Google Inc. Managing data communications based on phone calls between mobile comput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082B2 (ko) 1973-04-20 1977-05-19
DE3588144T2 (de) 1984-12-05 1997-06-12 Seiko Corp Antenne für Uhr mit Personenrufvorrichtung
GB8827554D0 (en) * 1988-11-25 1988-12-29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Cordless telephone system ct2
JPH04343535A (ja) 1991-05-20 1992-11-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パーソナル通信端末の呼出方式
JPH0828906B2 (ja) 1992-08-13 1996-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広域移動体通信方式及びその移動端末装置
JPH08331649A (ja) 1995-05-26 1996-12-13 Nishi Corp Kk 携帯通信システム
JPH09182155A (ja) 1995-12-21 1997-07-11 Hitachi Ltd ページャ付き簡易型携帯電話機
US5802470A (en) * 1996-01-11 1998-09-01 At&T Corp Automated wireless-call completion using a paging network
DE19647819A1 (de) * 1996-11-19 1998-05-20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unkverbindung und Mobilstation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981880B2 (ja) * 1998-04-23 1999-11-22 郵政省通信総合研究所長 マルチモードサービス無線通信システム
US6624758B1 (en) * 1998-07-13 2003-09-23 Hitachi Ltd Remote keyless entry system
US6285750B1 (en) * 1998-12-03 2001-09-04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telephone call-forwarding
US6675002B1 (en) * 1999-08-27 2004-01-06 G. Jack Lipovski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uting cellular telephone devices in noise sensitive areas
US6278742B1 (en) * 1999-11-19 2001-08-21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Method and system for power-conserving interference avoidance in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unit and a base uni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1204074A (ja) 2000-01-20 2001-07-27 Toyota Motor Corp 携帯送受信システム及び携帯送受信装置,通信管理装置,放送受信装置並びに発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4429A3 (en) 2002-01-17
AU2540801A (en) 2001-07-31
US20030040302A1 (en) 2003-02-27
JP2001204074A (ja) 2001-07-27
US7424286B2 (en) 2008-09-09
AU2001237650A1 (en) 2001-07-31
WO2001054429A2 (en) 2001-07-26
CN1406445A (zh) 2003-03-26
KR20020073177A (ko) 2002-09-19
EP1249147A2 (en) 2002-10-16
WO2001054428A2 (en) 2001-07-26
DE60109890T2 (de) 2006-04-27
DE60109890D1 (de) 2005-05-12
CN1227941C (zh) 2005-11-16
WO2001054428A3 (en) 2002-01-10
EP1249147B1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231B1 (ko) 송/수신 시스템, 모바일 송/수신기 장치, 통신처리장치, 방송국캐리어수신장치, 및 발신원 정보의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
JPH1029048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移動体通信方法
JP2002344619A (ja) 携帯無線通信機
KR100450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통화중 알림 기능 제공 방법
JP2007124331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345536B1 (ko) 휴대폰에서 요금 할인시간 표시 및 그 이용방법
JP4297130B2 (ja) 放送受信装置
JP337851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方法
JP2872162B2 (ja) 無音報知および可聴報知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機
JPH0921503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US20020086713A1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KR1006643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음 제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JP2006222991A (ja) 携帯送受信システム及び携帯送受信装置
KR100241917B1 (ko) 양방향 무선호출기에서 자동 응답 송신 방법
KR100251780B1 (ko) 광역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에서자동서비스지역변경방법
JP2001307264A (ja) 探索システム
JP4218452B2 (ja) 電話システム,電話端末,管理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100262B2 (ja) 携帯電話機およびマナーモード制御方法
KR20020021835A (ko)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JPH08294165A (ja) 無線通信装置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JPH09149461A (ja) アナログコードレス電話機
JP2001103554A (ja) 無線携帯端末機
JP302139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130110912A (ko) 스마트폰 이용자를 위한 지능형 수신모드 자동전환 어플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