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722B1 - 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722B1
KR100498722B1 KR10-1998-0016757A KR19980016757A KR100498722B1 KR 100498722 B1 KR100498722 B1 KR 100498722B1 KR 19980016757 A KR19980016757 A KR 19980016757A KR 100498722 B1 KR100498722 B1 KR 10049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rch
slit
outer blad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920A (ko
Inventor
요시아키 호타니
다카시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183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394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183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284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183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9580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2Long hair cutters or older types comprising a cutting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046Cutters being movable in the cutt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전기면도기는 수염면도하는 피부(H)로 향해서 탄성적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복수열의 아치외부날(1)과 아치외부날(1)의 내면을 슬라이드이동하는 복수의 아치내부날(3)을 구비한다.
복수열의 아치외부날(1)은 망날(1A)에 초벌면도구멍(29)을 개방하고 있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망날(1A)에 다수의 끝마무리면도구멍(30)을 개방하고 있는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을 구비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은 피부(H)에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탄성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기면도기
본 발명은 초벌면도구멍을 형성한 망날(網刃)과 끝마무리면도구멍을 형성한 망날을 구비한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면도기는 쏠린 수염을 신속히 절단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망날에 초벌면도구멍과 끝마무리면도구멍을 형성한 전기면도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런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하기하는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① 일본국 실공소 55-101570호공보 ② 일본국 특개평 03-131290호공보, ③ 일본국특개평 55-096191호공보, ④ 일본국 실개소 55-101569호공보, ⑤ 일본국 실개소 55-101571호공보.
①과 ②의 공보에 기재된 전기면도기는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치(arch)외부날 망날(101A)에 부분적으로 초벌면도구멍(129)과 끝마무리면도구멍(130)을 형성하고 있다.
③∼⑤의 공보에 기재된 전기면도기는 2열의 아치내부날을 평행으로 배치하고 한쪽의 아치내부날의 망날에는 초벌면도구멍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아치내부날의 망날에는 끝마무리면도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쏠린 수염은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된 것, 혹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만곡해서 선단을 피부(H)에 접촉시킨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쏠린 수염(K)는 망날에 형성된 적은 끝마무리면도구멍에 원활하게 끌어넣는 것이 어렵다.
끝마무리면도구멍은 수염의 선단을 끌어넣어서 짧게 절단하는데 적당하도록 적게 개방되어 있으므로 긴 쏠린 수염(K)은 신속하게 끌어넣을 수가 없다.
긴 쏠린 수염(K)을 원활하게 절단하기 위해 도18에 나타내는 종래의 전기면도기는 망날(101A)은 가늘고 긴 초벌면도구멍(129)을 형성하고 있다.
초벌면도구멍(129)은 쏠린 수염을 신속히 끌어넣어서 절단한다.
초벌면도구멍(129)은 쏠린 수염을 원활하게 끌어넣을 수가 있으나 이것을 짧게 절단하게는 설계되지 않는다.
초벌면도구멍(129)의 망날(101A)로 절단된 쏠린 수염은 도1과 도2에 사슬금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절단되어서 짧게 되고 선단을 피부(H)로부터 돌출시켜서 끝마무리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지는 형상이 된다.
이 형상으로 절단된 쏠린 수염(K)은 끝마무리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져서 짧고 깊은면도가 된다.
상기한 공보에 기재된 전기면도기는 이상과 같이 쏠린 수염을 초벌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서 절단한 후, 끝마무리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서 짧게 절단하기 위해 망날에 초벌면도구멍과 끝마무리면도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공보에 기재된 전기면도기는 쏠린 수염을 신속히 능률적으로 절단하는 것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이 전기면도기는 쏠린 수염을 깊게 면도하기 위해 몇번이고 반복해서 망날을 피부에 접촉시켜서 왕복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것은 초벌면도구멍으로 쏠린 수염을 신속히 절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쏠린 수염은 초벌면도구멍의 망날에서 도1이나 도2의 사슬금위치로 절단하는 것이 사슬금위치에서 절단한 후에 끝마무리면도구멍의 망날로 짧게 절단하기보다도 훨씬 어렵다.
사슬금위치에서 절단된 쏠린 수염은 그후 신속히 끝마무리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져서 짧고 깊게 면도된다.
망날에 초벌면도구멍과 끝마무리면도구멍을 형성한 종래의 전기면도기는 초벌면도구멍에 쏠린 수염을 끌어넣어서 절단할 수는 있으나 쏠린 수염을 능률적으로 단시간에 절단할 수는 없고 아치외부날을 피부에 따라 반복 왕복운동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쏠린 수염을 신속히 절단해서 능률적으로 깨끗하게 면도할 수 있는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아치상으로 만곡된 망날을 갖고 또한 그 자체는 면도하는 피부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복수열의 아치외부날과 각각 아치외부날의 내면에 따르는 날둘레를 갖고 이 날둘레를 아치외부날의 내면으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복수의 아치내부날을 구비한다.
다시 또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복수열의 아치외부날을 망날에 초벌면도구멍을 개방하고 있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과 망날에 끝마무리면도구멍을 개방하고 있는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로 구성함과 동시에 피부에 압축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보다도 돌출시켜서 초벌면도구멍을 형성한 망날로 보다 능률적으로 쏠린 수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을 동일평면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고 초벌면도 아치외부날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보다도 돌출시켜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로 능률적으로 쏠린 수염을 절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보다도 돌출되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은 쏠린 수염을 능률적으로 신속히 절단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로 절단된 쏠린 수염은 그 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로 짧고 깊게 면도된다.
이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쏠린 수염을 신속히 절단해서 능률적으로 깨끗하게 면도가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전기면도기가 망날에 다수의 초벌면도구멍이 개방되어 있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과 망날에 다수의 끝마무리면도구멍이 개방되어 있는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을 구비함과동시에 피부에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보다도 탄성적으로 높게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보다도 높게 돌출하고 있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은 면도하는때에 확실히 피부에 접촉한다.
특히 피부의 요철() 혹은 단단한 부분과 부드러운부분등에 관계없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보다도 돌출하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은 확실히 피부에 접촉해서 쏠린 수염을 초벌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서 신속히 절단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로 절단된 수염은 끝마무리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져서 더욱이 짧고 깊게 면도된다.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선단이 피부에 접촉하는등의 형태로 되어서 대단히 절단하는 것이 어려운 쏠린 수염을 높게 돌출하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로 우선적으로 절단해서 면도가 안된 것이 없게 함과 동시에 면도시간을 현저히 단축한다.
(실시예)
도3과 도4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내는 전기면도기는 면도기본체에 출입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아치외부날(1)과 이 아치외부날(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슬릿(slit)외부날(2)과 슬릿외부날(2)의 외측과 아치외부날(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3열의 빗(4)과 아치외부날(1)과 슬릿외부날(2)을 평행으로 배치한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외부날케이스(6)과 외부날케이스(6)를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있는 외부날틀(7)과 아치외부날(1)의 내면에 압축되어서 슬라이드이동되는 아치내부날(3)과 슬릿외부날(2)의 내면에 압축되어서 슬라이드이동되는 슬릿내부날(5)과 아치내부날(3)과 슬릿내부날(5)이 연결되어 있는 내부날대(11)와 내부날대(11)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기구(도시생략)와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아치외부날(1)과 2개의 슬릿외부날(2)의 도5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대(6a)를 거쳐서 각각 독립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즉 출입할 수 있도록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된다.
슬릿외부날(2)은 2개의 아치외부날(1)의 외측에 인접해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아치외부날(1)은 프라스틱제의 외부날홀더(holder)(1B)에 망날(1A)을 아치상으로 만곡시켜서 고정하고 있다.
아치외부날(1)은 한쪽을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로 하고 다른쪽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로 하고 있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망날(1A)은 무수한 초벌면도구멍(29)을 개방하고 있다.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망날(1A)은 무수한 끝마무리면도구멍(30)을 개방하고 있다.
초벌면도구멍(29)은 쏠린 수염을 원활하게 끌어넣을 수 있도록 끝마무리면도구멍 보다도 개방구면적을 크게 하고 있다.
다시또 초벌면도구멍(29)은 끝마무리면도구멍(30)보다도 세로로 길게 해서 최장부분의 전장을 끝마무리면도구멍(30)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초벌면도구멍(29)은 예를들면 가늘고긴 형상을 하고 있고 쏠린 수염을 무리없이 끌어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끝마무리면도구멍(30)은 초벌면도구멍(29)의 망날(1A)로 절단된 수염을 짧게 절단하기 위해 예를들면 적은 원형이나 다각형상으로 개방되어 있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망날(1A)은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망날(1A)보다도 두꺼운 금속판이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망날(1A)은 수염을 짧게 절단할 필요가 없으나 초벌면도구멍(29)을 크게 개방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두꺼운 금속판으로 제작된다.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망날(1A)은 수염을 짧게 절단할 수 있도록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된다.
다시또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초벌면도구멍(29)은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끝마무리면도구멍(30)보다도 크고 길게 개방되어 있으므로 피부에 상처를 주기쉬운 경향이 있다. 이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은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망날(1A)을 두껍게 하고 있다.
망날(1A)을 두껍게 하면 면도하는때에 초벌면도구멍(29)에 삽입되는 피부가 망날(1A)의 내측으로 침입하기 어렵게 된다.
피부가 망날(1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면 내부날로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망날(1A)이 초벌면도구멍(29)으로부터 내면으로 수염을 돌출시켜서 내면을 슬라이드이동하는 내부날로 절단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두꺼운 망날(1A)의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은 면도후에 있어서의 피부의 손상을 방지해서 얼얼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망날(1A)은 두께를 예를들어 50∼150㎛,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망날(1A)은 예를들면 30∼100㎛의 얇은 금속판이다.
망날(1A)을 고정시키는 외부날홀더(1B)는 경질의 프라스틱을 상하로 개방한 장방형의 각통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슬릿외부날(2)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라스틱제의 외부날홀더(2B)에 슬릿외부날판(2A)를 고정시킨 것이다.
슬릿외부날판(2A)은 도6과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해서 복수의 평행슬릿(2a)을 개방한 것이다.
슬릿외부날판(2A)은 상면을 평면상으로 하는 구형상으로 금속판을 절곡해서 상면과 외측의 구석부으로부터 외측의 수직부까지 연장해서 평행슬릿(2a)을 개방하고 있다.
도6, 도7에 나타내는 슬릿외부날(2)은 평행슬릿(2a)의 폭을 외측으로 향해서 넓게 하는 테이퍼(taper)상으로 하고 있다.
이 형상의 슬릿외부날판(2A)은 빗과 같이 쏠린 수염(K)을 나란히해서 평행슬릿(2a)에 의해 원활하게 끌어넣을 수가 있는 특징이 있다.
슬릿외부날(2)의 분해사시도를 도8에 외부날홀더(2B)의 저면도를 도9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의 슬릿외부날(2)은 슬릿외부날판(2A)을 외부날홀더(2B)에 연결하고 있다. 슬릿외부날판(2A)은 금속판을 “コ” 형상으로 굴곡해서 상호대향하는 양측의 하부에 외부날홀더(2B)에의 연결부(2b)를 설치하고 있다.
연결부(2b)는 외부날홀더(2B)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연결면(2e)에 연결되는 외측연결부(2c)와 외부날홀더(2B)의 내측에 설치된 내측연결면(2f)에 연결되는 내측연결부(2d)와를 아래쪽으로 돌출해서 설치하고 있다.
외측연결부(2c)는 슬릿외부날판(2A)의 양단에 내측연결부(2d)는 슬릿외부날판(2A)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날홀더(2B)는 프라스틱으로 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날홀더(2B)는 양단부의 양면에 외측연결면(2e)을 중앙의 내면에 내측연결면(2f)을 성형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슬릿외부날판(2A)은 외측연결부(2c)와 내측연결부(2d)를 동일평면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외측연결면(2e)은 슬릿외부날판(2A)의 외측연결부(2c)를 끼워압착할 수 있도록 일단 낮은 단차이형상으로 성형되고 내측연결면 (2f)은 내측연결부(2d)를 끼워압착해서 내측연결부(2d)와 외부날홀더(2B)의 내면을 동일평면이되도록 내측에 단차이가 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외부날홀더(2B)에 연결된 슬릿외부날판(2A)가 빠지지 않도록 외측연결부(2c)와 내측연결부(2d)에 관통구멍(2g)를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2g)에 삽입되는 걸리는 볼록한부(2h)를 외부날홀더(2B)의 외측연결면(2e)과 내측연결면(2f)으로부터 돌출해서 성형되어 있다.
내측연결부(2d)의 관통구멍(2g)에 삽입되는 내측연결면(2f)의 걸리는 볼록한 부(2h)는 내측연결부(2d)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높이로 성형된다.
내측연결부(2d)로부터 돌출하면 왕복운동하는 내부날홀더가 걸려서 원활하게 운동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슬릿외부날판(2A)의 외측연결부(2c)와 내측연결부(2d)가 외부날홀더(2B)의 외측연결면(2e)과 내측연결면(2f)에 연결되면 관통구멍(2g)에 걸리는 볼록한부(2h)가 삽입되어서 슬릿외부날판(2A)은 외부날홀더(2B)의 정위치에 연결된다.
도6과 도7에 나타내는 슬릿외부날판(2A)은 상면을 평면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슬릿외부날판의 상면을 반드시 완전한 평면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예를들면 아치상으로 만곡되는 아치외부날(1)의 곡율반경보다도 큰 곡율반경으로 만곡시켜서 거의 평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슬릿외부날판(2A)의 두께는 아치외부날(1)의 망날(1A)보다도 두껍고 예를들면 0.1∼0.5mm, 아주 적당하게는 0.2∼0.3mm로 해서 망날(1A)의 2∼10배, 아주 적당하게는 약 5배로 한다.
슬릿외부날판(2A)을 두껍게 하는 것은 평행슬릿(2a)의 폭을 넓게 해서 피부(H)의 손상을 적게 하기 위해서이다.
쏠린 수염(K)을 원활하게 평행슬릿(2a)으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평행슬릿(2a)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평행슬릿(2a)의 폭을넓게 하면 여기에 피부(H)가 삽입되기 쉽게 되어서 내면을 슬라이드이동하는 슬릿내부날(5)로 피부(H)를 손상시키기 쉽게 된다.
이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슬릿외부날판(2A)을 두껍게 하고 있다. 두꺼운 슬릿외부날판(2A)은 피부(H)를 평행슬릿(2a)에 깊이 삽입하지 않는 한 슬릿내부날(5)로 피부(H)를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평행슬릿(2a)의 폭을 넓게 해서 아치외부날(1)의 망날(1A)보다도 두껍게 하고 있는 슬릿외부날판(2A)은 쏠린 수염(K)을 확실히 절단해서 더구나 피부(H)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다.
슬릿외부날(2)의 슬릿외부날판(2A)은 쏠린 수염(K)을 초벌면도한다. 초벌면도된 쏠린 수염(K)은 슬릿외부날(2)에 이어서 피부(H)에 따라서 이동되는 아치외부날(1)로 끝마무리면도된다.
짧게 절단된 쏠린 수염(K)은 아치외부날(1)로 다시 짧게 절단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독립해서 탄성적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은 출입용수철(16)로 피부로 향해서 탄성적으로 밀어내진다.
출입용수철(16)은 코일스프링압출용수철로서 큰 스트로크(stroke)로 아치외부날(1)과 슬릿외부날(2)을 피부에 압축한다.
출입용수철(16)은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부유(float)압력을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부유압력보다도 크게 해서 다시말하면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보다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을 강하게 탄성적으로 밀어내고 있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은 부유압력을 적게 하고 있으므로 도10과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높게 돌출시키고 있으나 피부에 압축되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가볍게 밀어넣어진다.
이 구조의 전기면도기는 높게 돌출하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피부로 밀어넣어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양쪽을 피부에 접촉시켜서 넓은 면적에서 능률적으로 면도된다.
또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양쪽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상태에서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을 강하게 피부에 압축해서 수염을 짧고 깊게 면도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와 슬릿외부날(2)은 피부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 다시말하면 출입용수철(16)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슬릿외부날(2)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로 된 3열의 외부날의 선단면을 점선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하고 있다.
이 도면의 외부날은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을 좌측의 슬릿외부날(2)보다도 돌출시키고 다시또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인접하는 슬릿외부날(2)보다도 돌출시키고 있다.
이 도면의 외부날은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가장 돌출시켜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로 쏠린 수염을 신속하게 절단한다.
다시 또 이 도면의 외부날은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의 고저차이(H1)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의 고저차이(H2)보다도 높게 하고 있다.
이 구조의 외부날은 전기면도기를 다소 경사지는 상태로 피부에 밀어붙여서 일직선으로 나란히 한 3열의 외부날을 함께 피부에 접촉시켜서 능률적으로 면도할 수가 있다.
다시 또 피부에 접촉시키는 전기면도기의 자세를 경사진 상태로부터 피부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하는데 따라 가장 돌출하고 있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보다도 확실히 피부에 접촉시킬 수가 있다. 특히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고저차이를 슬릿외부날(2)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고저차이보다도 크게 하고 있으므로 전기면도기를 경사진자세로부터 수직자세로 경사이동시키는데 따라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다른 내부날에 비교해서 보다 우선적으로 피부에 접촉시킬 수가 있다.
다시 또 전기면도기가 피부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자세로 되는데 따라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비율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및 슬릿외부날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비율보다도 급격히 개선해서 쏠린 수염을 확실히 절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면도기를 피부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자세로 댈수록 쏠린 수염을 능률적으로 절단할 수가 있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선단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고저차이는 예를들면 2∼4mm, 바람직하게는 약 2.5mm,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을 슬릿외부날로부터 돌출시키는 고저차이는 예를들면 1.5∼3mm, 바람직하게는 약 2mm로 설정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은 부유스트로크가 다르고 사슬금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밀어내려진다.
이때 출입용수철(16)은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밀어내려진상태에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의 선단면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평면에 나란히 된다.
따라서 이 전기면도기의 외부날은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부유스트로크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부유스트로크보다 크게 하고 다시또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부유스트로크를 좌측의 슬릿외부날(2A)의 부유스트로크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4열의 외부날의 선단이 동일평면에 나란히 되는 평면은 도11에 있어서 우측으로 올라가는 경사면이 된다. 동일평면에 나란히 되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은 4열 모두의 외부날로 수염을 능률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다시또 가장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4열의 외부날을 경사면에 나란히 하는 전기면도기는 피부에 직각으로 대는 것이 아니고 다소 경사진 자세로 접촉되어서 4열 모두의 외부날로 능률적으로 면도되는 특징이 있다.
4열의 외부날은 도5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날케이스(6)에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은 외부날홀더(1B),(2B)의 양단면에 상하슬릿(9)을 형성하고 있다.
상하슬릿(9)에는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되는 중간대(6a)의 내면에 돌출해 있는 안내돌기(10)를 안내하고 있다.
4열의 외부날은 상하슬릿(9)과 안내돌기(10)를 거쳐서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중간대(6a)를 거쳐서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된다.
4열의 외부날이 각각 독립해서 상하이동되는때에 상하슬릿(9)은 안내돌기(10)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은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돌출하고 있으므로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상하슬릿(9)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상하슬릿(9)보다도 상하로 길게 연장하고 있다.
긴 상하슬릿(9)의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은 출입용수철(16)에 탄성적으로 눌려서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높게 돌출한다.
다시또 도10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되는 슬릿외부날(2)은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슬릿외부날(2)보다도 외부날홀더(1B)의 상하슬릿(9)을 상하로 길게 연장해서 좌측의 슬릿외부날(2)보다도 높게 돌출하고 있다.
4열의 외부날은 상하슬릿(9)의 하단을 안내돌기(10)에 맞닿는 위치까지 출입용수철(16)로 탄성적으로 압출된다.
다시말하면 상하슬릿(9)과 안내돌기(10)의 상대위치에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상하슬릿(9)과 슬릿외부날(2)의 돌출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4열의 외부날을 외부날케이스(6)에 장착시키는 중간대(6a)는 외부날케이스(6)의 내측에 끼워장착해서 고정된다.
중간대(6a)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에위치하는 탄성플레이트(plate)(61a)와 이 탄성플레이트(61a)를 연결하는 3개의 연결로드(rod)(62a)로 이루어지고 전체를 프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탄성플레이트(61a)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을 연결하는 안내돌기(10)를 내측에 설치하고 있다.
탄성플레이트(61a)는 외측의 형상을 외부날케이스(6)의 양단의 내면에 끼워 장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탄성플레이트(61a)의 하단은 외부날케이스(6)의 걸어맞춤볼록한부(13)를 안내해서 중간대(6a)가 외부날케이스(6)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관통구멍(14)을 형성하고 있다.
다시또 탄성플레이트(61a)의 상면에는 출입용수철(16)을 삽입하는 연결핀(8)을 돌출해서 설치하고 있다.
연결로드(62a)는 얇은 판상으로 성형되고 4열의 외부날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탄성플레이트(61a)의 상면의 3개소를 연결하고 있다.
탄성플레이트(61a)의 중앙의 연결로드(62a)는 양측의 연결로드(62a)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해서 그 상면을 빗형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양단에 위치하는 단말부플레이트(61)와 이 단말부플레이트(61)의 양단을 연결하고 있는 측면플레이트(62)로 이루어진다.
단말부플레이트(61)와 측면플레이트(62)로된 외부날케이스(6)는 프라스틱으로 장방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외부날케이스(6)는 내측에 중간대(6a)를 끼워장착시킬 수 있는 형상이다. 측면플레이트(62)는 상면에 빗(4)을 설치하고 있다.
빗(4)의 간격은 슬릿외부날(2)의 평행슬릿(2a)의 간격보다도 넓게 형성된다.
쏠린 수염을 원활하게 안으로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다시또 도7에 나타내는 빗(4)은 선단부를 외측으로 만곡해서 돌출되어 있다.
이 형상의 빗(4)은 경사시키는 자세로 피부(H)에 접촉시키는 때에 돌출부가 쏠린 수염(K)을 효율적으로 정렬해서 슬릿외부날(2)에 끌어넣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빗(4)의 위치는 슬릿외부날(2)이 출입용수철(16)로 밀어내지는 상태 다시말하면 슬릿외부날(2)이 피부에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1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외부날(2)의 상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슬릿외부날(2)이 피부에 압축되어서 가장 밀어넣어진상태에서는 도면의 사슬금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4)은 상단을 슬릿외부날(2)의 상면과 동일평면으로 한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은 압축된 상태에서는 슬릿외부날(2)과 동일평면이며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릿외부날(2)보다도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은 빗(4)보다도 돌출하는 위치에서 출입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슬릿외부날(2)이 가장 밀어내려지면 빗(4)의 선단과 동일평면이 된다.
외부날케이스(6)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날틀(7)의 상단개방구부인 개방창(7C)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외부날케이스(6)는 도3과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부플레이트(6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맞춤편(6A)을 외부날틀(7)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한부의 걸어맞춤부(7A)에 걸어맞추어서 외부날틀(7)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걸어맞춤편(6A)은 외부날케이스(6)의 양단면으로부터 돌기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해서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편(6A)은 내면에 탄성금속판(6B)을 내장해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어맞춤편(6A)은 상단의 폭을 넓게 해서 티(T)자형상으로 하고 있다.
외부날틀(7)은 외부날케이스(6)를 장착한상태에서 도12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편(6A)을 걸어맞추는 위치에 걸어맞춤부(7A)를 설치하고 있다.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에 장착시키면 걸어맞춤편(6A)이 걸어맞춤부(7A)에 안내되어서 외부날틀(7)에 장착된다.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로부터 벗기기 위해 외부날틀(7)의 걸어맞춤부(7A)에는 손잡이(15)를 배치하고 있다.
손잡이(15)는 탄성변형하는 프라스틱으로 전체의 형상을 판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손잡이(15)는 상부를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단부를 외부날틀(7)에 고정시키고 있다. 손잡이(15)의 상부에는 티(T)자형상으로 형성된 걸어맞춤편(6A)의 양단을 압축하는 압축로드(15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다시 또 손잡이(15)는 외부날틀(7)의 외부로 돌출하는 누름버튼(15B)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누름버튼(15B)은 외부날틀(7)의 관통구멍(7B)에 출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외부날케이스(6)를 외부날틀(7)로부터 벗길 때에 누름버튼(15B)이 눌려진다. 누름버튼(15B)이 눌려지면 압축로드(15A)가 걸어맞춤편(6A)을 걸어맞춤부(7A)로부터 밀어내어서 외부날케이스(6)와 외부날틀(7)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서 외부날틀(7)로부터 빼내진다.
도면에 나타내는 전기면도기는 외부날틀(7)을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전기면도기의 본체에 장착시키고 있으나 외부날틀은 전기면도기본체와 일체구조로 할 수도 있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내면을 슬라이드이동하는 아치내부날(3)과 슬릿외부날(2)의 내면을 슬라이드이동하는 슬릿내부날(5)는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날대(11)로 왕복운동된다.
아치내부날(3)의 외측에 배치되는 2열의 슬릿내부날(5)도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되도록 1열의 아치내부날(3)과 1열의 슬릿내부날(5)을 일체로 해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진동되는 2개의 내부날대(11)에 연결하고 있다.
아치내부날(3)은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아치금속날(3A)을 평행으로 나란히해서 프라스틱제의 내부날홀더(3B)에 삽입해서 제조되고 있다.
아치금속날(3A)는 금속판으로서 아치상으로 만곡되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상단을 만곡형상으로 성형하고 있다.
슬릿내부날(5)은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형상으로 슬릿을 형성한 슬릿금속날(5A)을 구비하고 있다.
슬릿금속날(5A)의 상면은 슬릿외부날판(2A)의 내면을 슬라이드이동해서 슬릿외부날판(2A)의 평행슬릿(2a)에 끌어넣어지는 수염을 절단한다.
아치내부날(3)은 아치금속날(3A)를 삽입하고 있는 프라스틱제의 내부날홀더(3B)에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연결지주(3C)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연결지주(3C)는 상하대(11A)를 거쳐서 내부날대(11)에 연결된다.
상하대(11A)는 출입될 수 있도록 내부날대(11)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지주(3C)는 상하대(11A)에 삽입되므로 외측의 간격을 상하대(11A)의 내측간격에 거의 동등하게 설계하고 있다.
다시또 내부날홀더(3B)는 내면으로 돌출해서 걸어맞춤부(3D)를 성형하고 있다. 걸어맞춤부(3D)는 아치내부날(3)을 상하대(11A)에 연결한 때에 상하대(11A)로부터 간단히 벗겨지는 것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재이다.
걸어맞춤부(3D)는 평행판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내부날홀더(3B)의 중앙에위치해서 그 하단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다시또 걸어맞춤부(3D)는 상하대(11A)에 원활하게 삽입해서 걸리도록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면을 테이퍼면으로 하는 갈고리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걸어맞춤부(3D)는 아치내부날(3)을 상하대(11A)에 연결한 때에 상하대(11A)의 걸어맞춤창(11a)에 안내되어서 아치내부날(3)이 상하대(11A)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치내부날(3)의 연결지주(3C)를 상하대(11A)에 삽입해서 연결하는때에 평행판의 형상으로 성형된 내부날홀더(3B)가 탄성변형해서 그 간격이 다소 넓어져서 걸어맞춤부(3D)가 상하대(11A)의 걸어맞춤창(11a)에 안내된다.
걸어맞춤부(3D)가 걸어맞춤창(11a)에 안내되면 내부날홀더(3B)의 간격은 좁아져서 걸어맞춤부(3D)가 걸어맞춤창(11a)에 걸린다.
내부날홀더(3B)는 상하대(11A)의 외측에 연결지주(3C)는 상하대(11A)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내부날홀더(3B)와 연결지주(3C)와의 사이에는 상하대(11A)를 삽입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상하대(11A)는 코일스프링인 중앙스프링(21)에 눌려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날대(11)의 연결통(11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대(11A)는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스프링(21)을 탄성적으로 압축하는 상태에서 내부날대(11)에 연결된다.
상하대(11A)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나 탈락하지 않도록 내부날대(11)에 연결된다.
상하대(11A)는 중앙스프링(21)을 내장할 수 있는 각통상으로 성형되고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하는 중앙스프링(21)의 상단에 압축되는 저면판(11b)을 중간에 설치하고 있다.
저면판(11b)의 하면에는 중앙스프링(21)의 상단을 삽입하는 볼록한부를 성형하고 있다.
내부날대(11)는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홀더(23)를 거쳐서 블레이드홀더(blade holder)(22)에 연결된다.
진동홀더(23)는 양단에 탄성변형될 수 있는 탄성아암(23A)을 갖고 이 탄성아암(23A)의 선단을 블레이드홀더(22)에 연결하고 있다.
탄성아암(23A)은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도록 진동홀더(23)를 블레이드홀더(22)에 연결한다.
도13과 도15에 나타내는 내부날대(11)는 슬릿내부날(5)을 진동시키는 프라스틱제의 구동편(11C)을 연결하고 있다.
구동편(11C)은 내부날대(11)를 탄성적으로 협착하는 협착아암(11D)을 갖는다. 다시또 구동편(11C)은 슬릿내부날(5)의 하단을 삽입해서 연결하는 연결오목한부(11E)를 갖는다.
구동편(11C)은 진동홀더(23)를 블레이드홀더(22)에 연결해서 진동홀더(23)와 블레이드홀더(22)와의 사이에 패킹고무(12)를 장착한 후, 내부날대(11)에 연결된다.
이 구조의 내부날대(11)는 패킹고무(12)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그것은 패킹고무(12)를 장착시키는때에 내부날대(11)로부터 구동편(11C)이 돌출하지 않기 때문이다.
슬릿내부날(5)은 구동편(11C)을 거쳐서 내부날대(11)로 진동된다.
슬릿내부날(5)은 슬릿외부날(2)에 장착되고 슬릿외부날(2)을 중간대(6a)에 장착해서 슬릿내부날(5)도 중간대(6a)에 장착되어 있다.
슬릿내부날(5)은 아치내부날(3)과 같이 내부날대(11)에 장착되지 않는다.
슬릿내부날(5)은 슬릿외부날(2)을 거쳐서 중간대(6a)에 장착되고 슬릿내부날(5)과 슬릿외부날(2)은 일체적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슬릿내부날(5)과 슬릿외부날(2)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를 도17에 나타낸다.
이 도면의 슬릿내부날(5)은 슬릿금속날(5A)과 프라스틱제의 내부날홀더(5B)와 판용수철인 날압축용수철(24)을 구비하고 있다.
슬릿금속날(5A)과 날압축용수철(24)은 내부날홀더(5B)에 적층해서 고정되어 있다.
내부날홀더(5B)는 전체의 형상을 티(T)자형상으로 성형해서 상부측면의 정위치에 슬릿금속날(5A)과 날압축용수철(24)을 연결하는 복수의 볼록한부(5D)를 형성하고 있다.
슬릿금속날(5A)은 내부날홀더(5B)의 볼록한부(5D)를 삽입하는 위치에 연결구멍(5E)을 형성하고 있다.
날압축용수철(24)은 얇은 탄성금속판을 프레스성형한 것으로서 내부날홀더(5B)은 볼록한부(5D)를 삽입하는 위치에 연결구멍(24A)을 형성해서 양측에는 “ハ” 형상으로 탄성편(24B)을 돌출시키고 있다.
탄성편(24B)은 슬릿외부날(2)의 외부날홀더(2B)의 상면을 압축해서 슬릿금속날(5A)을 슬릿외부날(2)의 외부날홀더(2B)의 상면을 압축해서 슬릿금속날(5A)을 슬릿외부날(2)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압축한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슬릿내부날(5)은 내부날홀더(5B)의 상부에 슬릿금속날(5A)과 날압축용수철(24)의 연결구멍(5E), (24A)을 볼록한부(5B)에 삽입해서 간단히 정확한위치에 연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내부날홀더(5B)의 볼록한부(5D)의 선단을 가열해서 눌러찌부리면 슬릿금속날(5A)과 날압축용수철(24)은 보다 확실히 내부날홀더(5B)에 연결된다.
슬릿금속날(5A)과 날압축용수철(24)을 연결한 티(T)자형상의 내부날홀더(5B)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로드부를 슬릿외부날(2)의 외부날홀더(2B)에 삽입해서 슬릿외부날(2)에 연결된다.
내부날홀더(5B)가 외부날홀더(2B)에 삽입된후 외부날홀더(2B)에 고(コ)자상으로 굴곡된 슬릿외부날판(2A)을 연결해서 슬릿내부날(5)을 슬릿외부날(2)의 정위치에 유지한다.
슬릿금속날(5A)과 날압축용수철(24)을 연결하고 있는 내부날홀더(5B)는 전체의 두께를 슬릿외부날판(2A)의 내폭에 거의 동등하게 해서 슬릿외부날(2)의 내부에서 경사지지 않도록 정위치에 유지된다.
아치내부날(3)과 슬릿내부날(5)을 진동시키는 2개의 내부날대(11)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25)에 내장되는 구동기구에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운동된다.
구동기구는 내부날대(11)를 연결해서 진동시키는 진동대(17)와 이 진동대(17)를 왕복운동시키는 전동기(18)와 전동기(18)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서 진동대(17)를 왕복운동시키는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변환기구는 전동기(18)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캠축(19)과 이 캠축(19)의 편심축을 진동대(17)에 연결하는 콘로드(20)로 구성된다.
캠축(19)의 중심은 2개의 콘로드(20)를 반대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콘로드(20)가 우측으로 이동하는때 다른쪽의 콘로드(20)는 좌측으로 이동해서 내부날대(11)를 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다.
이 구조의 구동기구는 전동기(18)로 캠축(19)을 회전시켜 캠축(19)의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콘로드(20)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해서 진동대(17)를 왕복운동시킨다.
진동대(17)의 중앙에는 내부날대(11)의 연결로드를 연결하는 구멍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진동대(17)의 구멍에 내부날대(11)의 연결로드를 삽입해서 내부날대(11)는 진동대(17)에 연결된다.
진동대(17)는 본체케이스(25)의 상단에 형성한 개방구창(25A)으로부터 외부로 표출되고 있다.
개방구창(25A)은 수염부스러기등이 본체케이스(25)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도3과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킹고무(26)로 폐색되어 있다.
패킹고무(26)는 외부원주를 개방구창(25A)의 내부원주에 연결하고 내부원주를 진동대(17)의 외부원주에 간격없이 연결하고 있다.
패킹고무(26)는 자유로이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고무상 탄성체로서 진동대(17)를 자유로이 진동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진동대(17)와 개방구창(25A)의 사이의 간격을 페색시키고 있다.
패킹고무(26)의 외부원주를 개방구창(25A)에 확실히 간격없이 연결하기 위해 패킹고무의 상면에 고정틀(27)을 끼워넣고 있다.
고정틀(27)은 프라스틱으로 개방구창(25A)의 원주둘레에 따르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본체케이스(25)의 상면에 형성된 단차이부(25B)에 끼워장착해서 고정된다.
단차이부(25B)는 고정틀(27)을 끼워장착할 수 있는 폭으로 성형되어 있고 또한 상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걸어맞춤돌기(28)를 돌출시키고 있다.
이 구조는 패킹고무(26)을 간단한 구조로 확실히 개방구창(25A)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좁은 영역에 패킹고무(26)를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초벌면도 아치외부날로 절단된 수염은 끝마무리면도구멍으로 끌어넣어져서 다시또 짧고 깊게 면도된다.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는 선단이 피부에 접촉하는등의 형태로 되어서 대단히 절단하는 것이 어려운 쏠린 수염을 높게 돌출하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로 우선적으로 절단해서 면도안된 것이 없게 함과 동시에 면도시간을 현저히 단축한다.
도1은 변형된 쏠린 수염의 1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쏠린 수염이 만곡되어서 선단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면도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전기면도기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3에 나타내는 전기면도기의 아치외부날과 슬릿외부날과 중간대와 외부날케이스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6은 도3에 나타내는 전기면도기의 아치외부날과 슬릿외부날과 빗의 개략사시도
도7은 빗과 슬릿외부날이 쏠린 수염을 평행슬릿으로 유도하여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도5에 나타내는 슬릿외부날의 분해사시도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외부날홀더의 저면도
도10은 아치외부날과 슬릿외부날이 중간대를 거쳐서 외부날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도10에 나타내는 아치외부날과 슬릿외부날의 가로단면도
도12는 외부날케이스를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외부날틀에 연결하는 부분단면도
도13은 아치내부날과 슬릿내부날을 내부날대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측면도
도14는 아치내부날을 내부날대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5는 내부날대를 날홀더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6은 내부날대를 진동홀더를 거쳐서 날홀더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17은 슬릿내부날의 분해사시도
도18은 종래의 전기면도기의 아치외부날의 망날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아치외부날
1a. 초벌면도 아치외부날
1b.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
1A. 망날
2. 슬릿외부날
3. 아치내부날
4. 빗
29. 초벌면도구멍
30. 끝마무리면도구멍
H. 피부

Claims (10)

  1. 아치상으로 만곡된 망날(1A)을 갖고 또한 그 자체는 수염면도하는 피부(H)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복수열의 아치외부날(1)과 각각 아치외부날(1)의 내면에 따르는 날둘레를 갖고 이 날둘레를 아치외부날(1)의 내면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수의 아치내부날(3)을 구비한 전기면도기에 있어서,
    복수열의 아치외부날(1)이 망날(1A)에 다수의 초벌면도구멍(29)을 개방하고 있는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망날(1A)에 다수의 끝마무리면도구멍(30)을 개방하고 있는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상기 아치외부날(1)에 양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선단면이 평면인 슬릿외부날(2)을 구비하고,
    상기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은 피부(H)에 압축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은 인접하는 일측의 슬릿외부날(2)보다도 돌출하고 있고, 상기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은 인접하는 타측의 슬릿외부날(2) 및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 보다도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일측 슬릿외부날(2),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 및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순번으로 평행으로 3열 나란히 배열되며, 각각의 선단면이 일직선상에 배열되도록 탄성적으로 밀어내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초벌면도구멍(29)이 끝마무리면도구멍(30)보다도 개방구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초벌면도구멍(29)이 끝마무리면도구멍(30)보다도 세로로 길고 최장 부분의 전장을 끝마무리면도구멍(30)보다도 길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4. 제1항에 있어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망날(1A)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망날(1A)보다도 두꺼운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5. 제1항에 있어서,
    슬릿외부날(2),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순번으로 평행으로 3열 나란히 배치하고 있고 3열로 배치된 슬릿외부날(2),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은 슬릿외부날(2)보다도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을 돌출시켜서 고저차이를 형성하고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을 돌출시켜서 고저차이를 형성하고 있고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과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고저차이가 슬릿외부날(2)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고저차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6. 제1항에 있어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이 소정의 부유압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내지는 상태에서 장착됨과 동시에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부유스트로크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7. 제6항에 있어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부유압력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부유압력보다도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8. 제6항에 있어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돌출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9. 제1항에 있어서,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이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보다도 돌출하는 상태로 장착됨과 동시에 초벌면도 아치외부날(1a)의 부유스트로크를 끝마무리면도 아치외부날(1b)의 부유스트로크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슬릿외부날(2)의 외측에 빗(4)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
KR10-1998-0016757A 1997-05-30 1998-05-11 전기면도기 KR100498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1833 1984-07-09
JP97-141832 1997-05-30
JP14183497A JP3639409B2 (ja) 1997-05-30 1997-05-30 電気かみそり
JP141834 1997-05-30
JP14183297A JPH10328435A (ja) 1997-05-30 1997-05-30 電気かみそり
JP141832 1997-05-30
JP97-141833 1997-05-30
JP14183397A JP3609580B2 (ja) 1997-05-30 1997-05-30 電気かみそり
JP97-141834 199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20A KR19980086920A (ko) 1998-12-05
KR100498722B1 true KR100498722B1 (ko) 2005-11-11

Family

ID=2731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757A KR100498722B1 (ko) 1997-05-30 1998-05-11 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498722B1 (ko)
CN (1) CN1121301C (ko)
DE (1) DE19824176C2 (ko)
HK (1) HK1016531A1 (ko)
TW (1) TW3648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6188D0 (en) * 2005-08-05 2005-09-14 Gillette Co Electric razors
JP4462261B2 (ja) 2006-12-08 2010-05-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595967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刃
JP5108494B2 (ja) 2007-12-21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JP5385833B2 (ja) * 2010-03-26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6191A (en) * 1979-01-16 1980-07-22 Suwa Seikosha Kk Structure of outer edge of electric razor
JPH0584364A (ja) * 1991-07-31 1993-04-06 Tokyo Electric Co Ltd 電気かみそり
JPH05115626A (ja) * 1991-03-11 199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H0551252U (ja) * 1991-12-25 1993-07-09 東京電気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H07250978A (ja) * 1995-01-25 1995-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4137A (en) * 1968-05-31 1971-1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ic dry shaver
US5398412A (en) * 1992-04-23 1995-03-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iprocatory dry shaver
JPH0885150A (ja) * 1994-09-20 1996-04-02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6191A (en) * 1979-01-16 1980-07-22 Suwa Seikosha Kk Structure of outer edge of electric razor
JPH05115626A (ja) * 1991-03-11 1993-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H0584364A (ja) * 1991-07-31 1993-04-06 Tokyo Electric Co Ltd 電気かみそり
JPH0551252U (ja) * 1991-12-25 1993-07-09 東京電気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H07250978A (ja) * 1995-01-25 1995-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24176A1 (de) 1999-02-18
HK1016531A1 (en) 1999-11-05
DE19824176C2 (de) 2001-09-06
TW364870B (en) 1999-07-21
CN1203848A (zh) 1999-01-06
KR19980086920A (ko) 1998-12-05
CN1121301C (zh)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557B1 (ko) 전기면도기
KR100447912B1 (ko) 전기면도기와외부날의제조방법
KR100415352B1 (ko) 전기 면도기
CN100349706C (zh) 往复式电动剃刀
KR20060101301A (ko) 왕복운동형 전기면도기
KR100498722B1 (ko) 전기면도기
US5678313A (en) Triple bladed shaver
JPH10328435A (ja) 電気かみそり
JPH08318057A (ja) 電気かみそり
JP3609580B2 (ja) 電気かみそり
JP3609553B2 (ja) 電気かみそり
JP3639409B2 (ja) 電気かみそり
JPH1080583A (ja) 電気かみそり
JP3338208B2 (ja) 三連シェーバー
JPH07250978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3540507B2 (ja) 電気かみそり
JP3773742B2 (ja) トリマーを有する電気かみそり
JP3802385B2 (ja) 電気かみそり
JPH09313754A (ja) 電気かみそり
JPH11128562A (ja) 電気かみそり
JPH06154433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内刃
JPH08126779A (ja) 電気かみそり
KR100503638B1 (ko) 전기면도기
JP3433460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H1080584A (ja) 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