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041B1 - 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를빨리개방하는방법및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용유압시스템 - Google Patents

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를빨리개방하는방법및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용유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041B1
KR100494041B1 KR10-1998-0700067A KR19980700067A KR100494041B1 KR 100494041 B1 KR100494041 B1 KR 100494041B1 KR 19980700067 A KR19980700067 A KR 19980700067A KR 100494041 B1 KR100494041 B1 KR 100494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elief
cylinder
rolls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768A (ko
Inventor
주하 리프포넨
페카 코이부쿤나스
아론 마니오
Original Assignee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2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GCALENDERS; ACCESSORIES FOR PAPER-MAKING MACHINES
    • D21G1/00Calenders; Smoothing apparatus
    • D21G1/002Opening or closing mechanisms; Regulating the pressure

Landscapes

  • Paper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캘린더 특히 슈퍼캘린더의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캘린더(10)에 있어서, 캘린더링될 제지 또는 판지 웨브(W)는 가변 크라운 상부롤(13), 가변 크라운 하부롤(14) 및 상부롤(13)과 하부롤(14) 사이에 고정된 2 또는 그 이상의 중간롤(15-22)에 의해 형성된 캘린더링 닙(N1-N9)으로 통과된다. 롤(13-22)은 거의 수직인 롤스택(12)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중간롤(15-22)은 중간롤(15-22)의 베어링 하우징(151-221)과 이와 연관된 보조장치(154-224)의 질량에 의해 발생한 닙부하를 제거하도록 유압 릴리프 실린더(155-225)에 의해 지지된다.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롤세트의 하부롤(14)은 낮아지고 유압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릴리프 압력은 캘린더링 닙(N1-N9)이 개방되도록 배출된다.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은 각 중간롤(15-22)의 릴리프 실린더(155-225)에 연결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롤 닙(N-N)이 소정의 순서로 제어된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롤세트용 유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캘린더 특히 슈퍼캘린더의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방법 및 캘린더 특히 슈퍼캘린더의 롤세트용 유압 시스템
본 발명은 캘린더 특히 슈퍼캘린더의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캘린더에 있어서, 캘린더링 될 캘린더의 제지 또는 판지 웨브는 가변 크라운 상부롤, 가변 크라운 하부롤 및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에 고정된 2개 또는 그이상의 중간 롤에 의해 형성된 캘린더링 닙을 통과하고, 캘린더의 롤은 거의 수직인 롤스택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캘린더의 중간 롤은 상기 중간 롤의 베어링 하우징과 이와 관련된 보조장치의 질량에 의해 발생된 닙의 부하를 제거하도록 유압 릴리프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고, 이런 경우,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롤세트의 하부롤은 낮아지고 유압 릴리프 실린더의 릴리프 압력은 캘린더링 닙이 개방되도록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캘린더 특히 슈퍼캘린더의 롤세트용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변 크라운 상부롤, 가변 크라운 하부롤 그리고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에 고정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중간롤을 포함하고, 캘린더의 롤은 거의 수직인 롤스택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롤세트에 있어서, 하나 위에 다른 것이 배치된 롤들은 닙이 또다른 것과 접촉한 상태가 되고 그 사이에 캘린더링 닙을 형성하고, 캘린더의 롤세트에 있어서, 중간롤에는 중간롤의 베어링 하우징의 질량 및 중간롤과 관련된, 인출롤 등과 같은 보조장치의 질량에 의해 발생한 닙의 부하를 제거하도록 유압 액츄에이터, 특히 릴리프 실린더가 제공되고, 이런 경우, 작동하는 동안, 유압시스템은 밸브를 통하여 소정의 압력하에서 릴리프 실린더로 유압오일을 공급하도록 배열된다.
종래 슈퍼캘린더의 롤세트는 롤스택으로서 하나 위에 다른 것이 배열되는 다수의 롤을 포함한다. 하나 위에 다른 것이 배치된 롤은 닙이 서로 접촉하고 캘린더링될 제지 또는 판지 웨브 등이 롤들 사이의 닙들을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롤들은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저널링되고, 베어링 하우징은 캘린더의 프레임에 제공된 수직 가이드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고정된 바닥부에 수직으로 부착된다. 바닥부는 캘린더의 프레임에 제공된 수직 리프팅 스핀들의 정지부를 통해 현가되고, 따라서 상기 리프팅 스핀들의 작용중 하나는 정확한 위치에서 롤세트의 롤을 유지시키는 가이드로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롤세트의 롤은 베어링 하우징 캘린더의 프레임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으나, 대신 롤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의 베어링 하우징 및 이것에 부착된, 인출롤등과 같은 보조장치의 질량은 매우 크고, 그것은 질량이 닙의 선형 부하의 분포에서 왜곡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슈퍼캘린더에서 상당히 큰 결점이 되었다. 이런 이유로, 슈퍼캘린더는 릴리프 장치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릴리프 장치는 한편으로 롤의 바닥부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리프트 스핀들에 제공된 스핀들 너트에 지지되어, 롤의 베어링 하우징의 무게와 이것에 부착된 보조장치의 무게에 의해 발생되는, 롤 사이의 선형부하 프로파일의 왜곡이 릴리프 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하나의 이와같은 배열은 이미 앞에서 설명되었으며, 특히 미국특허 제 4,901,637호에 기술되어 있다. 릴리프장치의 용도는 종래의 캘린더 기계에서 이미 알려져 있고, 롤의 베어링 하우징 및 보조장치에서 발생하는 집중된 부하의 상기한 영향을 특히 유압 릴리프 실린더로 제거하려고 시도하였다.
리프팅 스핀들이 제공된 종래의 슈퍼캘린더의 롤세트에 있어서,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것과 관련하여, 롤은 베어링 하우징의 바닥부의 브라켓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리프팅 스핀들의 너트에 얹혀질 만큼 하강한다.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것은 대개 압력이 롤세트에서 하부롤의 리프팅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마찬가지 방식으로 하부롤로서 영역내에서 조정할 수 있는 롤이 사용되고 롤 표면이 롤의 축에 대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전체길이를 초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 압력은 롤표면이 롤의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동되도록 롤 표면의 부하부재로부터 배출되므로서, 롤세트의 중간롤이 하부롤의 롤표면과 함께 하방으로 일정거리로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실행된다. 하부 중간롤의 이동은 롤들 사이에서 거의 같은 크기의 틈새를 제공하도록 상부 중간롤의 이동보다 더 크다. 이런 이유로, 롤세트의 닙을 개방하는 것은 동시에 발생하지 않고, 대신 롤세트를 개방하는 것은 최상부 닙에서 시작되어, 최하부 닙을 향해 연속공정으로 진행된다. 이것은 어떤 릴리프장치가 중간롤과 관련하여 사용되든 그렇지 않든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슈퍼캘린더가 섬유롤 또는 소위 충진롤로 일컬어지는 소프트롤을 사용했기 때문에 개방하는 거리가 종래에는 상당히 많이 이격되어 있었다. 다른 시간에 닙을 개방하는 것은 웨브인장이 실질적으로 변형되고, 따라서 빨리 개방하는 것에 있어서, 웨브 파손이 언제나 발생되는 현저한 단점을 야기했다. 제지의 파손된 단부는 닫혀진 닙을 통과했고, 이것은 소프트롤에 흔적을 남기는 결과를 초래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마킹된 롤을 대체하지 않으면, 제지의 품질이 완전히 손상되는 원인이 되었다.
새로운 슈퍼캘린더는 소프트 롤로 섬유롤 대신에 폴리머 롤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롤 세트의 총 높이 변화가 충진 롤을 사용하는 종래의 슈퍼캘린더보다 상당히 작게 유지되었다. 총 높이 변화가 감소된 하나의 이유는 상기 롤의 마모공차가 작기 때문에 소프트롤의 직경변화가 매우 작다는 사실이었다. 이렇게 감소된 총 높이 변화는 슈퍼캘린더에서 종래의 롤세트와 연관된 리프팅 스핀들과 글라이드 가이드를 함께 생략할 수 있으며, 이런 구조를 소위 연결 롤세트(articulated set of roll)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했는데 여기에서 롤 세트의 중간롤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연결 아암에 의해 캘린더의 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러한 것은 롤 세트의 총 높이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각각의 롤에 의해 요구된 이동거리가 작으며, 이런 이유로 각각의 연결부착모드에 관계없이 닙 레벨에 대응하는 롤의 이동이 롤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때 매우 작게 된다는 것 때문에 가능했다.
이와같이 개발된 하나의 연결롤세트는 특히 핀랜드 특허출원 제 935214호에 기술되었다. 그렇지만, 이런 종류의 슈퍼캘린더의 문제점은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롤세트의 닙을 동시에 개방해야 하는 것이었다. 이런이유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롤세트의 닙이 빨리 개방하는 동안 소정의 순서로 제어되고 바람직한 방법으로 개방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닙이 빠른 개방중에 동시에 개방되도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릴리프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유압오일이 각 중간롤의 릴리프 실린더에 연결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롤닙이 소정의 순서로 제어된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시스템은 유압시스템이 릴리프 실린더에 작용하는 부하에 좌우되는 유압을 릴리프 실린더에 제공하도록 배열되고, 롤 스택의 하부롤이 낮아질 때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유압이 제어된 방식으로 중간롤의 릴리프 실린더에서 배출될 수 있어 롤세트의 캘린더링 닙이 소정의 순서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관련기술분야의 장치보다 뛰어난 장점을 제공하고, 다른것들 가운데 이들 장점은 다음에 설명된다. 빨리 개방되는 작용은 닙이 소정의 방식으로 그리고 빠르게 개방될 수 있도록 유압으로 완전히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이루어졌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닙이 동시에 개방되도록 본 발명이 이루어졌다. 예컨대, 웨브가 파손된 상태에서 닙을 동시에 그리고 빨리 개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이는 대개 슈퍼캘린더에 있어서 빨리 개방하는 것이 웨브 파손이 관찰된 후에 일초의 반보다 더 짧은 시간에 발생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다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되는 캘린더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캘린더링 닙이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유압회로도.
도 2A는 캘린더링 닙이 닫혀진 작동위치에서의 캘린더로 도 2에 대응하는 회로도.
도 3A-3C, 4A-4C 및 5A-5C는 캘린더롤의 릴리프 실린더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선택적인 몇 개의 적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가 적용되는 슈퍼캘린더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의 슈퍼캘린더는 일반적으로 도면번호 10으로 표시되는데, 캘린더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다수의 롤로 구성되는 롤 스택(12;stack of roll)은 수직면으로 설치된다. 롤 스택(12)은 상부롤(13) 하부롤(14) 및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에서 하나위에 다른 것이 고정된 다수의 중간롤(15-22)을 포함하는데, 롤들은 모두 작동하는 상태에서 서로 닙이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1에는 작동위치에서의 캘린더의 롤스택(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지 및 판지 웨브(W)는 스프레더 롤(133)과 인출롤(134) 위로 통과되어 상부 닙(N1)내로 그리고 더 나아가 캘린더에 있는 다른 닙(N2-N8)을 통과하고 하부닙(N9)으로 빠져나온다. 닙(N1-N9)들 사이에서 제지 및 판지웨브(W)는 인출롤(154,164,174,184,194, 204,214,224)에 의해 롤들의 면에서 분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출롤들은 캘린더 프레임(11)에 관련된 롤 스택에서 "외측"(인출롤 164,184,204,224)과 "내측"(인출롤 154,174,194,214)에 교호로 놓여진다.
캘린더의 상부롤(13)은 가변 크라운 롤이고, 도 1의 실시예에서 그것의 베어링 하우징(131)은 캘린더 프레임(11)에 직접 그리고 단단하게 부착된다. 가변 크라운 상부롤(13)의 축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131)에 설치되고, 롤에는 내부 부하수단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제공되고 이것에 의해 롤표면의 편향이 소정의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부롤(13)은 소위 말하는 소프트 롤이고 탄성 폴리머 코팅물(132)이 제공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캘린더의 하부롤(14)은 가변 크라운 롤로서 이것의 롤 표면은 롤축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하부롤(14)에는 내부부하수단이 제공되며 이것에 의해 롤표면의 편향이 소정의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축은 베어링 하우징(141)에 설치되고, 베어링 하우징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부하아암(144)에 설치되고, 부하아암은 캘린더 프레임(11)에 연결 조인트(145)에 의해 연결된다. 캘린더 프레임(11)과 부하아암(144) 사이에는 하부 실린더(143)가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하부롤(14)이 수직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 스택(12)에서 닙(N1-N9)의 하부는 부하 실린더(143)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필요하다면 롤스택(12)은 상기 하부 실린더(143)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부롤(31)의 내부 부하수단은 또한 롤스택의 닙(N1-N9)의 부하에 관련될 수 있다. 가변 크라운 하부롤(14)로 인하여, 선형부하의 프로파일은 롤 스택(12)의 닙(N1-N9)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 하부롤(14)은 상부롤(13)과 마찬가지로 폴리머 코팅물(142)이 제공될 수 있다.
롤 스택(12)의 중간롤(15-22)은, 롤스택(12) 중 중간닙(N5)을 제외하고, 다른 닙들 모두에 있어서 하나의 롤은 딱딱한 면을 가진 롤이고 이것과 함께 닙을 형성하는 롤은 부드러운 면을 가진 롤인 방식으로 딱딱한 면을 가진 롤과 부드러운 면을 가진 롤이 교호로 구성된다. 부드러운 면을 가진 캘린더 롤은 얇은 폴리머 코팅이 제공된 모던 롤 및, 시트물질을 축방향으로 가압하므로서 이루어진 코팅물이 제공되고 슈퍼캘린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롤 모두를 의미한다. 롤스택(12)의 중간 닙(N5)은 소위 소프트닙이라 일컬어지는 것이고, 닙을 형성하는 롤들은 모두 부드러운 면을 가진 롤이다. 따라서, 롤스택의 상부롤(13)은 부드러운 면을 가진 롤이고 최상부 중간롤(15)은 딱딱한 면을 가진 롤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두 번째 최상부 중간롤(16)은 탄성 폴리머 코팅(166)이 제공된 부드러운 면을 가진 롤이고, 더 나아가 이어지는 중간롤(17) 또는 상부에서 세 번째 중간롤은 딱딱한 면을 가진 롤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중간 닙(N5)을 형성하는 롤(18,19)은 탄성 폴리머 코팅(186,196)이 제공된 소프트롤이고, 다시 딱딱한 면을 가진 다음 롤(20)이 하부에 위치한다. 두 번째 최하부 중간롤(21)은 폴리머 코팅(216)이 제공된 롤이고 최하부 중간롤(22)은 딱딱한 면을 가진 롤이다.
도 1에 도시된 캘린더에 있어서, 롤스택(12)에서 각 중간롤(15-22)의 베어링 하우징(151,161,171,181,191,201,211,221)은 아암(152,162,172,182,192,202,212, 222)에 설치 되고, 이 아암들은 상기 롤의 축에 평행한 연결 조인트(153,163,173,183,193, 203,213,223)에 의해 캘린더 프레임(11)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다. 아암(152,162,172,182,192,202,212,222)에는 릴리프 장치(155,165,175, 185,195,205,215,225) 가 제공되고 릴리프장치는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인데, 일단이 중간롤(15-22)의 상기 아암에 부착되고 타단이 캘린더 프레임(11)에 부착된다. 소위 중간롤의 저널 부하로 일컬어지는 부하 즉 중간롤(15-22)의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된 보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는 상기 릴리프 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필요한 릴리프 힘은 상술한 바와같이 중간롤(15-22)의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되는 인출롤들이 캘린더 프레임(11)에 대하여 닙평면의 내측과 외측으로 교대로 놓여지고 따라서 릴리프 장치의 인출롤에 의해 발생된 부하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중간롤에(15,22)에 따라 크기가 달라진다.
롤스택이 빠르게 개방되는 상태에서 롤(13-22)이 각각의 닙(N1-N9)이 바람직하게 같은 거리를 유지하며 개방되는 방식으로 서로 분리되어야만 한다는 것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다. 닫혀진 닙(N1-N9)을 가진 작동위치에서의 캘린더가 도시된 도 1에 있어서, 최상부 중간롤(15)의 릴리프 장치(155)의 길이 즉 유압 실린더의 돌출된 피스톤 로드의 길이를 도면부호 a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것을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빨리 개방하는데 필요한 롤들 사이의 틈새의 크기는 도1에서 도면부호 b로 표시된다. 따라서, 두 번째 최상부 중간롤(116)의 유압 릴리프장치(165)에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의 길이는 a+b가 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롤스택(12)에서 하부방향으로 각 중간롤의 릴리프장치에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의 길이는 위에 놓여진 릴리프 장치에서 피스톤 로드의 길이보다 상기 거리 b만큼 더 커서 8개의 중간롤을 포함하는 도 1의 캘린더에 있어서 최하부 중간롤(22)의 유압 릴리프 장치(225)에서 돌출한 피스톤 로드의 길이는 a+7b이다. 이런경우에,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서 롤스택은 하부롤(14)을 낮추므로서 하부실린더(143)에 의해 개방될 때, 유압 릴리프 장치의 피스톤 로드가 바닥에 위치할 때 각 닙(N1-N9)에서 거리(b)의 틈새 크기가 유지된다. 자연적으로, 이것보다 더 큰 틈새는 하부실린더(143)의 이동범위에 따라 최하부 닙(N1)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빨리 개방하는 동안 각각의 중간롤은 상부롤보다 b만큼 더 하강한다. 유압릴리프장치(155,165,175,185,195, 205,215,225)에 빠른 개방에 의해 향해진 응력 때문에 완충된 유압실린더는 릴리프장치로 사용되어야 한다. 빨리 개방하는 동안의 시스템 작동은 도 2에 도시된 유압회로도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을 달성하는 유압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먼저 본 발명은 캘린더의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압 시스템의 내부 유동 저항이 빨리 개방하는 동안 사용되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금속 개방 신호가 입력된 후 가능한한 빠르게 서로 롤 시스템의 롤을 분리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중간롤의 유압 릴리프 장치 즉 릴리프 실린더는 도 1에 대응하는 도면번호(155,165,175,185,195,205,215,225)로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유압회로도는 또한 캘린더의 구동롤인 롤세트의 최하부 중간롤(22)과, 상기 구동롤의 연결아암(222)을 설명하고 있는데 연결아암에 의해 구동롤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캘린더 프레임에 연결 조인트로 부착된다.
롤세트에서 각 중간롤의 릴리프 실린더(155-225)는 자신의 밸브(156,166,176, 186,196,206,216)를 가지고, 이것을 통해 필요한 릴리프 압력이 작동상태에서 릴리프 실린더로 공급되고, 캘린더가 빨리 개방되는 상태에서 밸브(156-226)를 통과한 압력은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방출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밸브(156-226)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성 제어밸브와 같은 유압으로 제어되는 밸브가 바람직하다.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는 대개 4부분으로 분리되는데, 먼저, 유압시스템은 제 1압력회로(31')를 포함하고, 이것을 통해 충전압력이 모든 릴리프 실리더(155-225)의 피스톤 로드쪽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릴리프 실린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동식 유압 실린더이다.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서 릴리프 압력이 방출될 때 상기 충전압력의 작용에 의해 릴리프 실린더가 빨리 더 짧은 시간내에 작동을 이룰 수 있는 것을 주요 원인으로 하여 충전 압력이 릴리프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쪽으로 공급된다.
제 1압력회로는 예컨대 압력제어 밸브와 같은 조정밸브(31)를 포함하고, 이것을 통해 압력이 시스템의 압력 공급라인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피스톤 로드쪽으로 안내하는 압력라인(31b)으로 공급된다. 제 1압력회로에는 압력게이지(31a)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고, 이것에 의해 제 1압력회로의 압력이 조정된다. 더욱이, 제 1압력 회로에는 중간압력 또는 유압 오일용 저장소(30)가 고정되는데 상기 저장소는 유압시스템의 상부부분에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저장소(30)의 목적은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로드쪽으로 오일의 빠른 공급을 충분히 보장하는데 있다.
추가적으로, 유압 시스템은 외부 인출롤이 제공된 중간롤의 릴리프 실린더(165,185,205)용, 최하부 중간롤 즉 구동롤의 릴리프 실린더(225)용 그리고 내부 인출롤이 제공된 중간롤의 릴리프 실린더(144,175,195,215)용의 개별적인 압력회로(32',33',34')를 포함한다. 이들 개별적인 압력회로는 한편으로 인출롤의 위치가 다르면 릴리프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부하가 다르므로 자연적으로 다른 압력으로 릴리프 실린더에서 부하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필요하고, 다른 한편으로, 구동롤(22)로 향한 부하가 다른 모든 중간롤의 부하와 다르다. 따라서 상기 구동롤(22)은 자신의 개별적인 압력회로를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각각의 이들 개별적인 압력회로(32',33',34')는 제 1압력회로(31')의 밸브에 대응하는 형태인 조정밸브(32,33,34)를 포함하고, 이것을 통해 유압시스템의 압력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밸브유압오일이 각각의 압력라인(32b,33b,34a)으로 통과된다. 또한 이러한 압력회로에는 압력게이지(32a,33a,34a)등이 제공된다. 유압오일은 상기 압력회로에서 밸브(156-226)을 통해 릴리프 실린더(155-225)로 통과된다.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밸브(156-226)는 유압으로 제어되는 밸브이고, 이들 밸브는 밸브(35)를 통해 필요한 제어된 압력을 받아들인다. 따라서 밸브(35)는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모든 밸브(156-226)를 공동으로 제어한다.
도 2에는 압력이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피스톤 아래로 배출되는, 빨리 개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은 빨리 개방되는 상태에서, 압력은 캘린더의 하부롤(14)의 부하 실린더(143)로 부터 제거되고, 이런 경우 하부롤(14)은 낮아진다. 빨리 개방되는 상태전에 유압시스템은 도 2A에 대응하는 작동상태로서 도 2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밸브(156-226)를 제어하는 밸브(35)는 유압으로 제어되는 밸브(156-226)에 제어압력을 공급하고 이것은 유압오일이 필요한 릴리프 힘을 제공하기 위해 압력회로(32',33',34')를 통해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피스톤을 하부로 이동시키도록하는 방식으로 도 2A에 도시된 위치에 밸브의 스프링 부하에 대항하여 상기 밸브를 유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서, 상기 밸브(35)는 상기 도 2에 의해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고, 이런 경우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밸브(156-226)의 제어압력이 배출되고, 밸브의 스프링 부하는 밸브를 도 2A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압력회로(32',33',34')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로 연결되는 압력이 차단되고, 마찬가지로,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피스톤 하부에서 저장소(20)로의 연결이 개방된다.
도 2에 분명하게 설명된 바와같이,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밸브는 각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이 다음 하부 릴리프 실린더의 밸브(166-226)를 통과하도록 안내되는 방식으로 연속해서 연결되고, 이런 경우 도 2에 도시된 형식에 있어서, 모든 릴리프 실린더(155-225)들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은 최하부 중간롤, 즉 구동롤(22)의 릴리프 실린더(225)의 밸브를 마지막으로 통과한다. 이것은 릴리프 실린더에 유출되는 유압오일이 모든 중간롤(15-22)의 릴리프 실린더의 밸브를 통과하도록 하기 때문에 최상부 중간롤(15)의 릴리프 실린더(155)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이 가장 높은 유동저항에 직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동저항은 롤세트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대응되게 감소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빠른 개방 상태에서 최하부 중간롤 또는 구동롤(22)이 가장 큰 수직이동을 수행해야 하고, 반면 최상부 중간롤(15)에 필요한 이동이 가장 적다. 도 1의 설명에 따르면, 중간롤에 필요한 이동변위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증가한다. 만약 롤세트의 모든 닙(N1-N9)이 동시에 방개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최하부 중간롤(22)의 개방 또는 낙하속도가 가장 높아야되고 이 낙하 속도가 롤세트에서 상부 방향으로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런 상태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최하부 중간롤(22)의 릴리프 실린더(225)에서의 유출비율이 가장 높기 때문에 만족된다. 유동저항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릴리프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유동 비율은 자연적으로 감소한다. 물론, 이것은 릴리프 실린더의 운동속도에 선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밸브(156-226) 바로 앞에 위치한 롤(13-22) 사이에 형성되기 시작하는 틈새는 도 2A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도 2 및 2A의 밸브(35)를 나타내는 유압도면부호는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적으로 제어된 밸브가 밸브(35)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빠른 작동을 제공하는 반면, 만약 캘린더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상기 밸브(35)는 캘린더(10)의 전기 시스템에 예를들어 웨브제동을 보장하는 자동화 시스템과 같은 것에 쉽게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 설명은, 캘린더링 닙(N1-N9)이 모든 롤스택(12)에서 동시에 개방되는 방식으로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유압 오일 통로의 유동 저항 장치가 배열되는 것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닙(N1-N9)을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제어 방식으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같은 방식으로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 통로의 유동저항을 배열하고 조정하는 것이 완전히 가능하다. 그렇지만, 설명한 것 처럼, 설명한 유압회로는 닙의 동시 개방을 제공한다.
빠른 개방상태에 있어서, 롤세트의 중간롤(15-22)이 릴리프 실린더(155-225) 전체에 의해 지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위 설명에서 또한 분명하다. 따라서, 특히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서, 릴리프 실린더는 상당한 많은 부하가 걸리기 쉽고, 따라서 완충재로 제공된 실린더가 릴리프 실린더로 사용되어야 한다. 이것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닙(N1-N9)의 매우 빠른 개방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마찰 및 빨리 개방하므로서 발생하는 부하를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것에 기초하는 각각의 정지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것은 슈퍼캘린더에서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데 있어서, 롤 닙을 동시에 개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어떤 방식에 있어서 이것은 도 1과 관련하여 분명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예컨대 롤세트의 롤닙(N1-N9)의 개방거리가 불일치하고 닙의 개방속도가 또한 달라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문제화되었다. 유압시스템 및 특히 유압시스템에 연결된 릴리프 실린더에 의한 개방거리의 변화와 개방속도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야한다. 도 3A-3C, 4A-4C 및 5A-5C는 어떻게 릴리프 실린더가 그것들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것을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가하는 몇몇의 해결책을 교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3C는 도면번호 50으로 표시한 유압실린더를 도시하고 있다. 대개 종래의 유압실린더는 대개 2개의 작동위치, 예컨대 가압된 작업위치와 가압되지 않은 자유위치를 포함할 때, 유압실린더(50)는 이들 두 위치외에 제 3작동위치를 포함하고, 제 3작동 위치는 두 위치사이에 있고 유압실린더는 제 3위치로 복잡한 제어회로 없이 정지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50)는 실린더부(51)와, 실린더부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일반적인 방식으로 고정되는 피스톤(52)을 포함한다. 실린더부(51)의 바닥은 격벽(55)으로 대체되고, 격벽을 통해 특수한 측정 실린더(53)는 실린더부(51)에 연결된다. 제 2피스톤(54) 또는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은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측정 실린더(53)의 내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3A-3C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측정실린더(53)는 실린더부(51)의 연장부로서 직접 작용한다. 격벽(55)에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큰 직경의 개구부가 제공되고,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의 연장부(56)가 측정실린더(53)에서 실린더부(51)로 밀려진다. 따라서, 피스톤(52)의 말단면(58,59)과 측정실린더의 피스톤(54)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접촉되도록 서로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컵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 또는 그와같은 것으로 구성되는 세트와 같은 스프링수단(57)은 측정실린더(53)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은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용 완충재역할을 한다. 측정실린더(53)에는 압력 연결부(60) 및 연결부(61)가 제공되고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부(51)에는 각각 압력연결부(62) 및 배수연결부(63)가 제공된다. 유압실린더(50)의 제어압력은 제어압력이 밸브(66,67)를 통해 실린더부(51)의 압력연결부(62)로 보내지는 방식으로 압력연결부(60,62)로 보내지고, 도 3A-3C의 설명에 있어서, 밸브는 한 방향으로 자유유동을 허용하고 다른 방향으로 유동을 제한하는(상기 방향들은 밸브(66,67)에 반대된다) 일방 제한(restrictor) 밸브이다. 마찬가지로, 배수 연결부(61,63)는 배수덕트(65)에 연결된다.
도 3A의 유압실린더(50)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고, 이런 경우 피스톤(52)은 피스톤(52)에 작용하는 외부부하의 작용에 의해 실린더부(51)의 바닥을 가압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캘린더에 적용될 때, 도 3A의 상태는 서비스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모든 압력은 릴리프 실린더에서 제거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스톤(52)은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이 측정실린더(53)의 바닥에 위치한 스프링 수단(57)를 향해 가압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실린더의 피스톤(54)을 향해 더 가압된다.
도 3B는 제 1작업 위치에서의 유압 실린더(5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캘린더에 적용될 때, 제 1작업위치는 캘린더의 작동위치에 대응하고, 제 1작업위치에서 캘린더링 닙은 닫혀진다. 그런 경우, 오일은 압력덕트(4)에서 압력연결부(62)를 통해 측정실린더(53)로 공급되고 압력 연결부(62)를 통해 실린더부(51)로 공급된다. 측정실린더의 피스톤(54)은 도 3B의 설명에서 측정실린더의 피스톤(54)은 격벽(25)에서 정지될 때까지 피스톤(52)과 함께 오른쪽 또는 실린더의 외부로 이동된다. 격벽(55)에 정지하기 전에, 측정실린더의 피스톤 연장부(56)는 피스톤의 단부(58,59)가 압력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향하고 있는 방식으로 피스톤(52)을 향해 정지된다. 이것은 같은 압력이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의 양측에 작용하고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의 격벽(55) 측부 영역보다 더 작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압력이 더 증가될 때, 유압오일은 피스톤(52)이 극단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외부차단으로 피스톤(52)의 운동이 정지할 때까지, 피스톤(54,52) 사이의 압력연결부(62)를 통해 유출된다. 캘린더에 있어서 이것은 앞에서 도 1에 도시된 상태, 즉 닙이 밀폐된 것을 의미한다. 도 3C는 압력이 압력덕트(64)에서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캘린더의 릴리프 실린더에 적용될 때, 이것은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 대응한다. 그런 경우, 압력이 덕트(64)에서 제거될때,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은 외부부하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수단(57)을 향해 측정실린더의 바닥을 즉시 가압한다. 따라서 스프링수단(57)은 유압 실린더에 완충재를 제공한다. 실린더부(51)의 피스톤(52)이 도 3C에서 왼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같은 속도로 자연적으로 이동된 후, 만약 밸브(66)가 닫히도록 제어된다면, 피스톤(54,52)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피스톤(52)은 도 3C에 도시된 위치에서 정지한다. 밸브(67)가 오직 한 방향으로 유동과 압력을 제한하면, 압력은 밸브(67)를 통해 자유롭게 배출되도록 허용된다. 만약 다시 밸브(66)가 닫히도록 제어되지 않는다면, 오일은 도 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밸브(66)를 통해 요구된 속도로 실린더부(51)에서 배출된다. 만약 밸브(66)가 예컨대 압력제어잠금밸브로 대체된다면, 압력덕트(64)에서 차단되는 압력과 상기 밸브(66)의 위치에 좌우되는 도 3B 및 3C에 도시된 위치들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 및 3C에 도시된 위치 사이의 실린더부(51)에서 피스톤(52)의 피스톤로드의 팽창운동은 측정실린더(53)의 피스톤(54)의 작동에 의해 그리고 실린더의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도 3A-3C의 구성에 있어서, 측정실린더(53)는 실린더부(51)와 직접 관련하여 배치되나, 작동에 대하여 측정실린더의 피스톤(54)과 실린더부의 피스톤 사이의 작동과 관련하여 기계적 작동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실린더부에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와같은 배열은 도 4A-4C 및 도 5A-5C의 예의 방식에 의해 설명되었다. 상기 도면번호는 서로 대응하는 구조에 한해서 도 3A-3C의 번호에 대응한다. 그렇지만, 도 4A-4C에 있어서, 유압실린더는 도면번호 50a로 표시되고, 도 5A-5C에서 도면번호 50b로 표시된다.
도 4A-4C에 도시된 유압실린더(50a)는 구조에 있어서, 도 3A-3C에 도시된 구조에 넓게 대응하여 도 4A-4C의 배열에 있어서, 측정 실린더(53)는 실린더(51)의 연장부에 직접 배치된다. 그러나, 도 4A-4C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격벽(55)은 실린더부의 피스톤(52)과 측정실린더의 실린더(54)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단절시키는 반면, 연결덕트(55a)는 연결덕트를 통해 연장되도록 격벽(55)내에 형성되어 실린더부(51)와 측정실린더(53)가 서로 유압으로 연결된다. 압력연결부(62)는 상기 연결덕트(55a)내로 개방된다. 유압 실린더(50a)의 작동은 도 3A-3C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위치에서 있어서, 유압 실린더(50a)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다. 실린더부(51)에서 피스톤(52)의 아암에 작용하는 외력은 격벽(55)을 향해 피스톤(52)을 가압하고,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 실린더(58)의 바닥에 고정된 스프링 수단(57)은 격벽(55)을 향해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을 가압한다. 유압오일이 압력덕트(64)에서 압력연결부(60,62)를 통해 유압 실린더내로 공급될 때,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은 격벽(55)을 향해 도 4B에 도시된 위치에서 유지되고 실린더부(51)의 피스톤(52)은 도 4B의 위치로 이동한다.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은 같은 압력으로 상기 피스톤의 양측에 작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 하부의 유효영역이 격벽(55)의 측부보다 상당히 더 크기 때문에 제자리에 유지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50a)는 도 3B의 유압실린더에 대응하는 위치로 도 4B에 도시되어 있고 이 점에 관해서 도면부호는 도 3B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4C에서의 유압실린더(50a)는 도 3C의 유압실린더에 대응하는 상태로 도시된다. 그런 경우 압력덕트(64)에서 작용되는 제어압력은 제거되고, 실린더부(51)의 피스톤(52) 하부 및 연결덕트(55a)에 작용되는 압력은 측정실린더의 하부로 측정실린더의 피스톤(54)을 가압한다. 다른 관점에서, 밸브(66,67)의 작동에 관하여, 도면번호는 도 3C와 연관해서 이미 완벽하게 설명되어졌다. 만약 압력이 실린더부(51)에서 모두 배출된다면, 피스톤(52)은 피스톤 벽(55)을 향해 실린더부(51)의 바닥을 먼저 가압하고, 그후 스프링 수단(57)이 다른 측부에서 격벽(55)을 향해 측정 실린더의 피스톤(54)을 민다. 그러면 이것은 도 4A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 5A-5C는 유압실린더(50b)의 다른 예를 설명하고 있으며, 유압실린더(50b)는 도 4A-4C에 도시된 배열과 동일하게 작동된다. 또한 구조에 있어서, 이 실시예의 측정실린더(53)는 실린더부(51)의 축방향 연장부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대신 측정실린더(53)가 실린더부(51)에 상대적인 각도가 되도록 회전된다는 점에서 도 5A-5C의 배열은 오직 도 4A-4C와 다르고, 상기 각도는 도 5A-5C에서 90°가 된다. 이 적용의 작동에 관하여, 도면번호는 도 3A-3C 및 4A-4C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이 완벽하게 이루어졌다.
도 3A-3C, 4A-4C 및 5A-5C에서 설명된 유압실린더의 운동은 다른 운동속도가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작업위치에서 필요한 귀환 운동은 실린더에 설정될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이런 종류의 실린더는 작업위치에서 실린더의 길이가 때때로 변경되는 곳에 특히 적절하나 실린더의 피스톤은 작업위치에서 이격된 방향으로 필요한 거리를 특별히 이동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런 종류의 작동이 본 발명에 따른 캘린더의 릴리프 실린더에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면, 작업 실린더의 제동에 있어서, 실린더의 작업위치의 길이가 제동물질의 마모로 변경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동이 멈추어진 후에도, 끌어당김을 방지하도록 제동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의 공차(간극)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의 적절성은 특수한 측정실린더로 귀환운동을 하는 동안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통과시키므로 달성되었다. 실린더의 귀환운동 길이는 직경과 측정 실린더에 의해 필요한 방법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내에 규정된 발명의 관념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캘린더(10)내에서 캘린더링될 제지 또는 판지웨브(W)는 가변크라운 상부롤(13), 가변크라운 하부롤(14) 및 상부롤(13)과 하부롤(14) 사이에 고정된 2개 이상의 중간롤(15∼22)에 의해 형성된 캘린더링 닙(N1∼N9)으로 통과되고, 캘린더롤(13∼22)이 거의 수직인 롤스택(12)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캘린더의 중간롤(15∼22)이 유압 릴리프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중간롤(15∼22)의 베어링 하우징(151∼221) 및 이와 연관된 보조장치(154∼224)의 질량에 의해 생성된 닙 부하를 제거하고, 이런 경우,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롤세트의 하부롤(14)이 낮아지고 유압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릴리프 압력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배출되어 캘린더링 닙(N1∼N9)을 개방하는, 캘린더의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이 각 중간롤(15∼22)의 릴리프 실린더(155∼225)에 연결된 밸브(156∼226)에 의해 제어되어,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롤 닙(N1∼N9)이 소정의 순서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의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것과 관련하여, 모든 중간롤(15∼22)의 릴리프 실린더(155∼225)를 제어하는 밸브(156∼226)가 거의 동시에 개방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빨리 개방하는 동안, 릴리프 실린더(155∼225)를 제어하는 밸브(156∼226)는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오일의 유동통로에서 최상부 중간롤(15)의 릴리프 실린더에서 유출되는 오일이 가장 높은 유동저항을 가지며, 최하부 중간롤(22)의 릴리프 실린더(225)에서 유출되는 오일이 가장 낮은 유동저항을 가지는 방식으로 그 아래의 각 중간롤의 릴리프 실린더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에서 유동저항이 더 낮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어되고, 이런 경우 모든 캘린더링 닙(N1∼N9)이 거의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롤세트가 빨리 개방되는 상태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이 하부의 다음 릴리프 실린더를 제어하는 밸브로 통과되고, 이런 경우 최상부 중간롤(15)의 릴리프 실린더(155)의 압력은 릴리프 실린더를 제어하는 모든 밸브(156∼226)를 통해 배출되고, 최상부 중간롤(22)의 릴리프 실린더(225)의 압력은 각각 자신의 밸브(226)를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롤(15∼22)의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밸브(156∼226)가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모든 밸브(156∼226)에 동시에 충격 제어를 제공하는 밸브(35)에 의해 유압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롤세트를 빨리 개방하는 동안, 릴리프 실린더(50,50a,50b)의 피스톤 이동이 정지되거나 또는 그 이동이 소정의 빨리 개방하는 거리에 도달된 후 피스톤(52)이 바닥으로 이동되기 전에 급격히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릴리프 실린더(50,50a,50b)의 피스톤(52) 이동은 실린더부(51)에 연결된 측정실린더(53)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가변 크라운 상부롤(13), 가변 크라운 하부롤(14) 및 상부롤(13)과 하부롤(14) 사이에 고정된 2 이상의 중간롤(15∼22)을 포함하고, 롤들은 거의 수직인 롤스택(12)을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롤세트에 있어서 하나 위에 다른 것이 놓여진 롤들(13∼22)은 서로 닙접촉하여, 그들 사이에 캘린더링 닙(N1∼N9)을 형성하고, 롤세트에서 중간롤(15∼22)에는 릴리프 실린더(155∼225) 같은 유압액츄에이터가 제공되어, 중간롤(15∼22)의 베어링 하우징(151∼221) 및 이와 관련된 인출롤 같은 보정장치(154∼224)의 질량에 의해 발생된 닙 부하를 제거하고, 이와 같은 경우, 작동하는 동안, 유압시스템은 밸브(156∼226)를 통해 소정의 압력 하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에 유압오일을 공급하도록 배열되는, 캘린더의 롤세트용 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유압시스템은 릴리프 실린더(155∼225)에 그들에게 작용하는 부하에 좌우되며 롤(12)스택의 하부롤(14)이 낮아졌을 때 롤세트의 급속 개방시 롤세트의 캘린더링 닙(N1∼N9)이 소정의 순서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된 방법으로 중간롤(15∼22)의 릴리프 실린더(155∼225)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을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린더의 롤세트용 유압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캘린더 프레임(11)에 대하여 내측에 놓여진 인출롤(154, 174,194,214)이 제공된 중간롤(15,17,19,21)의 최소한 유압 릴리프 실린더(155, 175,195,215)가 자신의 유압회로(33')를 가지고, 캘린더 프레임(11)에 대하여 외측에 놓여진 인출롤(164,184,204)에 제공된 중간롤(16,18,20)의 유압릴리프 실린더(165,185,205)는 자신의 유압회로(32')를 가지며, 캘린더의 구동롤(22)의 릴리프 실린더(225)가 자신의 유압회로(34')를 갖는 방법으로 다수 개의 유압분리회로들로 분리되고, 추가로, 릴리프 압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같은 크기의 반대압력이 각 릴리프 실린더(155∼225)로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유압분리회로(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롤세트가 빠르게 개방되는 상태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를 제어하는 밸브(156∼226)가 릴리프실린더(155∼225)에 작용하는 릴리프 압력을 거의 동시에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유압오일의 유동통로 내의 유동저항은 최상부 릴리프 실린더(155)의 유동통로 내의 유동저항이 가장 높고 최하부 릴리프 실린더(225)의 유동통로 내의 유동저항이 가장 낮으며 그 유동저항이 최상부 중간롤(15)의 릴리프 실린더(155)에서 최하부 중간롤(22)의 릴리프 실린더(225)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롤세트가 빠르게 개방되는 상태에서, 릴리프 실린더(155∼225)를 제어하는 밸브(156∼226)는 릴리프 실린더(155∼225)에서 유출되는 오일이 다음 하부에 위치한 릴리프 실린더의 밸브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이런 경우 최상부 릴리프 실린더(155)에서 유출되는 오일은 릴리프 실린더를 제어하는 모든 밸브(156∼226)를 통과하고, 최상부 릴리프 실린더(225)의 압력은 자신의 밸브(226)만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릴리프 실린더(155∼225)의 밸브(156∼226)는 유압으로 제어되는 밸브이고, 유압시스템에는 릴리프 실린더의 모든 밸브(156∼226)에 제어압력을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밸브(3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빨리 개방하는 상태에서 실린더로 오일을 충분히 빨리 공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릴리프 실린더(155∼225)에 반대압력을 공급하는 압력회로(31')에 연결되는 오일 저장소(3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압시스템.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릴리프 실린더(50,50a,50b)는 3 위치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52) 이동은 소정의 급속 개방거리에 도달된 후 피스톤(52)이 바닥으로 이동되기 전에 롤세트의 급속 개방시 정지될 수 있거나 급속도로 감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빨리 개방하는 동안 릴리프 실린더의 피스톤(52) 이동을 제어하는 측정실린더(53)가 릴리프 실린더(50,50a,50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측정실린더(53)와 릴리프 실린더(50) 사이의 커플링은 측정실린더와 릴리프 실린더의 피스톤(52,54)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릴리프 실린더(50a, 50b)와 측정실린더(53)의 피스톤(52,54)은 서로 직접 유압연결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시스템.
KR10-1998-0700067A 1996-05-06 1997-04-29 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를빨리개방하는방법및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용유압시스템 KR100494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61912 1996-05-06
FI961912A FI107626B (fi) 1996-05-06 1996-05-06 Menetelmä kalanterin, etenkin superkalanterin telaston pika-avauksessa ja hydraulijärjestelmä kalanterin, etenkin superkalanterin telastoa var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768A KR19990028768A (ko) 1999-04-15
KR100494041B1 true KR100494041B1 (ko) 2005-09-12

Family

ID=854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067A KR100494041B1 (ko) 1996-05-06 1997-04-29 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를빨리개방하는방법및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용유압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06415A (ko)
EP (1) EP0842324B1 (ko)
JP (1) JP4101881B2 (ko)
KR (1) KR100494041B1 (ko)
AT (1) ATE214759T1 (ko)
CA (1) CA2226119A1 (ko)
DE (1) DE69711153T2 (ko)
FI (1) FI107626B (ko)
WO (1) WO1997042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2214C1 (de) * 1998-07-17 1999-11-11 Voith Sulzer Papiertech Patent Kalander
DE19945780C1 (de) * 1999-09-24 2001-01-18 Voith Paper Patent Gmbh Kalander
DE10010772C1 (de) * 2000-03-04 2001-05-10 Voith Paper Patent Gmbh Kalander
US6612228B1 (en) * 2000-07-14 2003-09-02 Metso Paper, Inc. Calender and method for rebuilding a calender
DE50102790D1 (de) * 2001-03-22 2004-08-12 Kuesters Eduard Maschf Kalander
FI5496U1 (fi) * 2002-06-10 2002-08-28 Metso Paper Inc Moninippikalanterin kevennyssylinterirakenne
FI117646B (fi) 2004-10-04 2006-12-29 Metso Paper Inc Tela
FI118234B (fi) * 2005-05-20 2007-08-31 Metso Paper Inc Toimilaite lineaariliikkeen aikaansaamiseksi
FI121082B (fi) * 2006-10-06 2010-06-30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järjestely telaston pika-avaamiseksi monitelakalenterissa
DE112007002484T5 (de) 2006-10-25 2009-09-10 Metso Paper, Inc. Online-Mehrwalzenkalander und Verfahren zum Kalandrieren einer Faserbahn in einem Online-Mehrwalzenkalander
FI119066B (fi) * 2007-01-11 2008-07-15 Metso Paper Inc Kalanteri
FI121933B (fi) 2007-12-03 2011-06-15 Metso Paper Inc Menetelmä ja hydrauliikkasovitelma monitelakalanterin telaston avaamiseksi
DE202013003229U1 (de) 2013-04-05 2013-04-24 Metso Paper, Inc. Dynamisch gedämpfter Hydraulikzylinder
DE202013005163U1 (de) 2013-06-06 2013-06-17 Metso Paper, Inc. Dämpfungsvorrichtung zum dämpfen von Druckpulsationen in einem Hytraulikflui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51465A (en) * 1970-09-15 Dominion Engineering Works Limited Calenders
GB1291086A (en) * 1968-11-27 1972-09-27 Kleinewefers Soehne J Means for setting a roll gap
CH565281A5 (ko) * 1973-04-17 1975-08-15 Escher Wyss Ag
JPS5557097A (en) * 1978-10-16 1980-04-26 Kleinewefer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separating calender roll
DE2845055C3 (de) * 1978-10-16 1982-04-15 Kleinewefers Gmbh, 4150 Krefeld Verfahren zum schnellen Trennen der Walzen eines Kalanders und Vorrichtung zu dessen Durchführung
DE3339168C2 (de) * 1983-10-28 1986-05-15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Kunststoff- oder Kautschukkalander mit einer Einrichtung zum Einstellen der Walzenspaltdicke
US4510859A (en) * 1984-01-23 1985-04-16 Beloit Corporation Supercalender NIP relieving arrangement
DE3640161A1 (de) * 1985-12-23 1987-07-02 Escher Wyss Gmbh Vorrichtung zum zueinander positionieren von walzenflaechen
DE3702245C3 (de) * 1987-01-27 1993-12-23 Kleinewefers Gmbh Kalander
DE3711334A1 (de) * 1987-04-03 1988-10-13 Escher Wyss Gmbh Vorrichtung zur fuehrung der walzen eines im wesentlichen vertikalen kalanders
DE3713560A1 (de) * 1987-04-23 1988-11-03 Escher Wyss Gmbh Kalander mit verschiebbaren lagerteilen
DE3715548A1 (de) * 1987-05-09 1988-11-17 Voith Gmbh J M Walzenpresse mit einer vorrichtung zur entlastung der druckwalze
FI81633C (fi) * 1988-01-13 1990-11-12 Valmet Paper Machinery Inc Anlaeggning i valsverket av en superkalander.
FI83346C (fi) * 1989-01-27 1991-06-25 Valmet Paper Machinery Inc Kalander, saerskilt en superkalander.
FI92502C (fi) * 1990-05-22 1994-11-25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kompakti puristinosa
JPH05104300A (ja) * 1991-10-09 1993-04-27 Kobe Steel Ltd 油圧プレスの加圧速度制御装置
DE4314670C2 (de) * 1993-05-04 1996-02-01 Kleinewefers Gmbh Kalander
FI96334C (fi) * 1993-11-24 1996-06-10 Valmet Paper Machinery Inc Menetelmä paperin tai vastaavan rainamateriaalin kalanteroinnissa ja menetelmää soveltava kalanteri
DE19511145C2 (de) * 1995-03-27 2000-07-13 Voith Sulzer Finishing Gmbh Kalander für die zweiseitige Papierbehand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07626B (fi) 2001-09-14
JP4101881B2 (ja) 2008-06-18
KR19990028768A (ko) 1999-04-15
CA2226119A1 (en) 1997-11-13
JPH11509590A (ja) 1999-08-24
DE69711153T2 (de) 2002-08-22
EP0842324A1 (en) 1998-05-20
WO1997042375A1 (en) 1997-11-13
US5806415A (en) 1998-09-15
FI961912A0 (fi) 1996-05-06
ATE214759T1 (de) 2002-04-15
DE69711153D1 (de) 2002-04-25
FI961912A (fi) 1997-11-07
EP0842324B1 (en)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041B1 (ko) 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를빨리개방하는방법및캘린더특히슈퍼캘린더의롤세트용유압시스템
JP4121147B2 (ja) 紙等のウエブ材をカレンダ加工する方法とその方法を利用するカレンダ
US20060086245A1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position and or force of an elongated rolling device
GB2049516A (en) Roll strands for rolling materials in web form
EP0332594A2 (en) Variable-crown roll
SE505494C2 (sv) Kalander, speciellt en superkalander
WO2006051169A2 (en) Method in a multiroll calender, a multiroll calender and a method for loading a calender roll of a multiroll calender and a multiroll calender
EP0897484B1 (en) Hydrostatic glide bearing for a roll or equivalent
US5947017A (en) Calender having an end roll associated with a supplementary roll
US3611917A (en) Calender stack with swimming roll
US7340998B2 (en) Arrangement for closing roll nips
US4721039A (en)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rolls of a calender
US679031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sitioning a shoe of a shoe press/shoe calendar in a paper machine
WO2006035113A1 (en) Method for calendering a fibrous web, and a multiroll calender
US7325490B2 (en) Relief cylinder structure of a multinip calender
WO2001021889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 of rolls in a calender
WO2004081282A1 (en) Calender and method of calendering
CA2249382C (en) Hydrostatic glide bearing for a roll or equivalent
FI116482B (fi) Menetelmä välitelojen taipuman säätämiseksi paperikoneen monitelaisessa telastossa ja menetelmässä käytettävä järjestelmä
WO2006100345A1 (en) Calender and a method in calendering fibre web, especially paper or board web
WO2001023667A1 (en) Calender
WO2008068382A1 (en) Multirollcalender
WO2008099053A1 (en) Calender
WO2007048873A1 (en) Slide bearing system for a multi-roll calender
WO2003038186A1 (en) Multi-nip cal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