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698B1 -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698B1
KR100491698B1 KR10-2003-0004536A KR20030004536A KR100491698B1 KR 100491698 B1 KR100491698 B1 KR 100491698B1 KR 20030004536 A KR20030004536 A KR 20030004536A KR 100491698 B1 KR100491698 B1 KR 10049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winding
power
current
fiel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509A (ko
Inventor
이노우에마사야
고메타니하루유키
요시자와도시유키
후지타마사히코
야마모토쓰네노부
아사오요시히토
니시무라신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ynchronous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4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the motors being associated with current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전압이나 과잉한 온도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계자자속의 상승을 빠르게 하고 시동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얻는다.
계자권선(5)을 갖는 회전자와 전기자권선(3)을 갖는 고정자로 된 회전전기 (1)와, 직류전원에서 계자권선(5)에 공급되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전류 제어수단(9)과,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전기자권선(3)에 급전하는 전력변환기(6)를 구비하고, 내연기관 시동 시에 계자전류 제어수단(9)이 계자권선(5)에 급전을 개시할 때 급전개시와 동시에 또는 급전개시 직전에 계자권선(5)에 의한 계자자속과는 반대방향의 자속을 발생하도록 전력변환기(6)가 전기자권선(3)에 통전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CONTROL METHOD OF DYNAMO-ELECTRIC MACHIN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내연기관에 장착되어 발전기 및 전동기로서 사용되는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3상의 동기 회전기를 탑재하여 운전 중에서의 충전발전기와 내연기관 시동 시의 시동전동기로 사용하는 것이 종래로부터 제안되어 있다. 근년 배출가스를 억제하기 위해 정차중에는 내연기관을 정지 시키는 아이들 정지의 기능을 채용하는 차량이 실현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차량에서 특히 신호정차 시에는 신호의 변화에 따른 내연기관의 재시동 지령에 대해 즉시 발진 가능하게 내연기관의 재시동을 완료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충전발전기와 시동전동기를 겸용하는 경우, 충전발전기의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전기의 계자권선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정수가 커져 버리고, 전동기로서 사용할 때는 계자전류의 상승 시간을 요해서 재시동에 시간이 걸리고 원활한 발진이 불가능했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이나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은 계자권선과 전기자권선을 갖는 동기발전 전동기를 사용해서 내연기관을 시동시킬 때 계자권선이 생성하는 계자자속과 동일방향의 자속을 형성하는 전류성분을 갖는 전기자 전류를 전력변환기로부터 전기자권선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하이브리드차용의 동기전동기에서 계자전류의 상승이 지연되어 토크의 상승이 완만하게 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동기전동기의 운전 중에 동기전동기가 과도상태, 즉 정속 회전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해서 출력 요구치에 따라 계자자속과 동축성분의 자속을 얻는 전류성분을 구하고 그 전류성분에 의해 전기자 전류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일본 [특허문헌1]
일본특개 2002-191158 호 공보(4쪽, 제4도)
일본 [특허문헌2]
일본특개평 11-313498호 공보(3 ~ 7쪽, 도 7, 도 8)
상기의 종래예, 특히 일본특허문헌1에서는 전기자(고정자)에 계자자속(회전자 자속)과 동일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통전하게 되므로 계자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철심이 포화해서 계자권선의 자기 인덕턴스가 감소하고 시정수가 작아져 계자전류의 상승이 빨라지고 동기전동기의 응답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되는 동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남기게 된다.
즉, 전기자에 계자자속과 동일방향의 자속을 발생 시키도록 급격하게 통전을 개시하면 계자권선에는 이 자속을 지워버리는 방향으로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계자전류의 제어회로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제어소자(도면의 30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나, 상기의 유도기전력은 계자권선에 본래 통전하는 통전방향과 역방향의 기전력이고 이 기전력은 비교적 고전압에 도달하므로 반도체 제어소자의 내압을 필요 이상으로 높게 해둘 필요가 있다.
또, 이 역기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반도체 제어소자에 쌍방향 통전이 가능한 소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본래의 계자전류와는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것이 바이어스되어 결과적으로 계자자속의 상승을 늦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기자에 통전할 전류가 소정의 전류치에 도달한 후 계자전류를 상승하도록 하면 되나, 이 경우에는 전기자에 대한 통전시간이 증가해 전기자권선이나 전기자권선을 통전제어하는 제어회로의 온도상승이 문제가 된다.
또, 계자권선의 자기포화나 누설자속을 억제하기 위해 계자권선과 영구자석을 병용해 영구자석의 자속의 일부가 계자권선에 의한 주자속과 역방향이 되도록 구성한 내연기관 시동용의 동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동기기에 상기의 종래예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계자의 자기회로를 포화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자에 대한 통전전류를 증대시켜야 하며 특히 런델형의 다극 동시 회전기에서는 계자 기자력의 총화가 크므로 전기자권선과 통전제어회로의 온도상승은 더욱 커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제어소자의 과전압이나 전기자권선과 통전제어회로의 과잉의 온도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계자자속의 상승을 빠르게 하고, 시동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은 계자권선을 갖는 회전자와, 전기자권선을 갖는 고정자로 된 회전전기와, 직류전원으로부터 계자권선에 공급되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전류 제어수단과, 직류전원의 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전기자권선에 급전하는 전력변환기를 구비하고, 내연기관 시동 시에 계자전류 제어수단이 계자권선에 급전할 때 급전개시와, 동시 또는 급전개시 직전에 계자권선에 의환 계자자속과는 반대방향의 자속이 발생하도록 전력변환기로부터 전기자권선에 통전하도록 한 것이다.
또, 계자권선을 갖는 회전자와 전기자권선을 갖는 고정자로 된 회전전기와, 직류전원에서 계자권선이 공급되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전류 제어수단과, 직류전원의 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전기자권선에 급전하는 3상 6암의 전압형 인버터로 된 전력변환기를 구비하고, 내연기관 시동 시에 계자전류 제어수단이 계자권선에 급전을 개시할 때 인버터의 상암 또는 하암의 어느 한쪽을 모두 도통해서 전기자권선을 단락상태로해 계자권선에 대한 급전을 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개략 구성도이고, 회전전기(1)은 3상의 전기자권선(고정자 권선)(3)을 갖는 전기자 철심(고정자 철심)(2)과 계자권선(회전자 권선)(5)를 갖는 런델형의 다극 구성의 회전자 철심(계자 철심)(4)로 구성되고, 회전전기(1)가 전동기로서 기능할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직류 전원에서 전력공급을 받고 인버터로서 기능하는 전력변환기(6)로부터 3상 교류가 전기자권선(3)에 공급되고, 계자권선(5)에는 회전축(7)에 설치된 슬립링(8)을 통해서 계자전류 제어수단(9)으로부터 직류 전류가 공급된다.
회전전기(1)가 발전기로서 기능할 때에는 전력변환기(6)가 콘버터(정류수단)로서 기능하여 회전전기(1)가 발전하는 3상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동시에 계자전류 제어수단(9)이 발전량을 제어한다.
또, 회전전기(1)가 전동기로 기능할 때는 계자전류 제어수단(9)은 각 동작점에서의 소정의 직류전원을 목표치로 해서 계자전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회전전기(1)를 전동기로서 기능시킬 때의 시동특성에 관한 것으로 이후 전동기로서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3상 동기전동기는 회전자와 동기 회전하는 직교 좌표인 d - q축에 투영해서 정의하고, 그 동작상태는 d - q 축상의 2성분의 합성벡터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이후 이 d - q축을 사용해서 설명하고 여기서는 계자권선(5)에 통전했을 때에 회전자 철심(4)과 전기자 철심(2) 사이의 공극에 발생하는 자극중심을 d축으로 하고 이것과는 전기각으로 위상이 90°진행한 위치를 q축이라 한다.
도 2는 d축 위치에서의 전기자(고정자)와 계자(회전자)의 관계를 등가 모델로서 표시한 것으로 인버터로서의 전력변환기(6a)와, 전기자권선(3a)과, 계자권선 (5a)과, 계자전원으로서의 계자전류 제어수단(9a)을 각각 d축 등가회로로 변환한 것이다.
여기서 전기자 전류는 계자권선(5a)에 정방향으로 통전했을 때와 같은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키는 방향으로 통전할 경우를 정의 d축 전류로 하고, 역방향으로 통전한 경우를 부의 d축 전류로 한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은 회전전기(1)의 구성에서는 회전전기(1)가 발전기로서 기능할 때의 슬립링(8)의 전류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또는 계자전류 제어수단 (9)의 전류용량을 작게 하기 위해 계자권선(5)은 세선(細線)을 다수 감아서 암페어턴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서의 회전전기(1)의 발생토크는 주로 전기자측의 q축 전류와 회전자측의 d축 자속과의 전자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전기를 예를 들면 아이들 정지상태의 내연기관의 재시동등 순간적인 반응을 구하는 식을 사용하였을 때는 계자권선(5)의 시정수가 0.3 ~ 0.5초 정도로 크기 때문에 계자자속의 상승시간이 크고 즉시 토크를 발생할 수가 없다.
계자자속의 상승시간을 작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내연기관 정지 시에도 계자자속을 항상 상승시켜 둠으로써 순간적인 반응을 구할 수가 있으나 항상 한계 가까이 까지 계자권선(5)에 통전해 두는 것은 계자권선(5)이나 계자전류 제어수단(9)의 온도상승을 현저하게 크게 해 버리게 된다.
또, 다른방법으로 정의 d축 전류를 미리 전기자권선(3)에 통전해 두고 회전자의 자기회로를 미리 자기포화시켜서 회전자 철심(4)의 투자율을 작게 해 둠으로써 등가적으로 계자권선(5)의 인덕턴스를 작게 해서 시정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계자전류 제어수단(9)에 한 방향으로만 통전 가능한 반도체소자(10)와 소자보호용 다이오드(11)를 조합한 일반적인 전류제어회로를 사용한 경우에는 계자권선(5)에 유지하는 역기전력에 의해 반도체소자(10) 및 다이오드(11)의 양단에는 높은 역전압이 인가되어 소자의 내압을 높게 해 둘 필요가 있다.
또, 반도체소자(10)에 소자 보호용의 리커버리 다이오드를 병렬 접속한 경우에는 계자권선(5)에 본래의 여자와는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부의 바이어스가 가해짐으로 반도체소자(10)를 ON해도 정방향 전류의 상승에 지연시간을 발생하게 된다.
또, 미리 서서히 전기자권선(3)에 정의 d축 전류를 통전해가고 그후에 계자전류를 상승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그 경우에는 전기자권선(3)에는 대전류를 장시간 통전하게 됨으로서 전기자권선(3)과 전력변환기(6)과의 온도상승이 커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지금, 계자권선(5)의 양단전압을 Vf로 하고, 계자전류를 If라고한 경우 Vf와 If와의 관계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Vf = (Rf + pLf)If + pMId
여기서 p는 미분연산자, Rf는 계자권선(5)의 저항, Lf는 계자권선(5)의 자기 인덕턴스, M은 d축상에서의 전기자권선(3)과 계자권선(5)의 상호 인덕턴스, Id는 d축상에서의 전지가권선(3)의 전류이다. 여기서 상기한 식에서 pLfIf = -pMId 가 되도록 Id를 제어하고, If에 의한 발생자속을 Id에 의한 발생자속이 항상 지울수 있도록 하면 인덕턴스분이 상쇄되고, 시정수가 작아져서 If는 Vf에 따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이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If와 Id의 통전제어량을 표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면의 (a)는 전기자권선(3)의 Id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자와 회전자와의 공극에서의 d축 자속량을 또, 도면의 (b)는 계자권선(5)의 If에 의해 발생하는 d축 자속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도면을 pLfIf = - pMId가 되도록 전류치를 제어한 것이다.
이와 같이 통전제어함으로써 계자권선(5)와 전기자권선(3)의 양쪽 모두 쇄교 자속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고 등가적으로 인덕턴스를 소멸해서 순시간에 전류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력변환기(6)의 용량등으로부터 전기자권선(3)의 전류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전기자권선(3)에 의한 자속과 계자권선(5)에 의한 자속을 상기한 바와 같이 인덕턴스를 소멸하는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서 도 5의 특성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중까지 있기는 하나, 계자의 상승을 신속화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어속도의 한계로부터 자속이 완전히 소멸되는 조건으로부터 이탈된 경우라도 전기자권선(3)에 부의 d축 전류를 흘림으로서 계자권선(5)의 전류를 신속하게 상승하는 방향으로 전자 유도로서 작용하므로, 상응하는 계자권선(5)의 계자전류 상승을 신속화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시동전동기로서의 회전전기(1)의 동작개시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전기자권선(3)에 의한 자속과 계자권선(5)에 의한 자속의 합을 거의 일정하게 함으로써 계자전류를 원활하게 상승시킬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요소 구성도이고,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차량용 회전전기는 계자에 계자권선과 영구자석을 병용한 것에서 계자전류의 상승을 신속화 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1과 같은 구조를 다극으로 한 차량용의 런델형 동기회전기에서는 각 자극의 자속은 모든 계자권선(5)의 내주측, 즉 회전축(7)을 통과하는 자기회로가 된다. 따라서, 이 회전축(7)의 자기포화에 의해 계자의 자속량이 제한되어 버리고 이로 인해 동기기의 출력한계가 결정된다.
이 출력한계를 크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계자에 계자권선(5)와 영구자석(12)을 병설하고 계자권선(5)의 기자력과 영구자석(12)의 기자력을 동일방향으로 함으로서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7)의 중심부에서는 영구자석(12)에 의해 자속 1과 계자권선(5)에 의한 d축 자속 2가 역방향이 되어 회전축(7)의 중심부에서의 자기포화를 완화할 수가 있고, 이와 같은 영구자석(12)을 병용한 런델형 동기기가 근년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 구성은 회전자의 d축 자로를 쉽게 포화시킬 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따라서, 자로를 포화시킴으로써 인덕턴스를 작게 해서 계자전류의 상승을 빠르게 하고 싶을 때에 전기자권선(3)에 정의 d축 전류를 인가해도 자기포화가 일어나기 힘들고 전기자권선(3)에 대전류를 흘리지 않으면 자기포화를 이용한 계자전류의 상승의 신속화가 곤란한 것이 된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자전류 If에 의한 발생자속을 d축상의 전기자권선(3)의 전류 Id에 의한 발생자속이 항상 소멸하도록 Id를 제어하고, 계자권선(5)의 자기 인덕턴스 Lf가 계자권선(5)와, 전기자권선(3)과의 d축상의 상호 인덕턴스 M에 의해 상쇄되는 방향으로 제어하면 자로의 자기포화와는 무관계로 계자전류의 상승 신속화가 가능해지고 계자권선(5)과 영구자석(12)을 병설하는 회전전기에서도 신속한 내연기관의 재시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3.
상기의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전기자권선(3)에 d축 위치의 통전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d축위치의 위치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회전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런델형의 동기회전기는 일반적으로는 10 ~ 16극으로 다극이고, 특히 16극의 다극 구성의 경우에는 기계각 1도의 검출오차가 전기각에서는 8도에 상당하므로 제어각에 어긋남이 생기기 쉽고 제어의 구성에 의해서는 자속을 완전히 상쇄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분해기능이 1도 이하의 고정밀도의 각도 검출기가 필요하게 되나, 절대위치가 검출가능한 각도검출기에서는 1도 이하의 분해능을 갖게 하려면 부착 정밀도에 극히 고정밀도의 것이 요구된다.
특히, 자기식의 각도검출기를 런델형 동기회전기의 축단에 배치한 경우에는 계자권선(5)으로부터의 누설자속이 크게 영향받고 기계각 1도의 정밀도 확보가 어려운 것이 많다.
이 실시의 형태는 이와 같은 경우에 각도검출기를 사용하지 않고 d축 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전기자권선(3)에 대한 급전은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력변환기(6)에 의해 실시하나, 전력변환기(6)는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은 3상의 인버터이고 상측의 3암에 스위칭소자(13u ~ 13w)가 하측의 3암에 스위칭소자(14u ~ 14w)가 설치되어 있다.
내연기관의 재시동 시에 우선 시동지령에 따른 계자지령이 발령되나 계자지령에 의해 계자제어수단(9)이 계자권선(5)에 급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전력변환기(6)의 하암의 스위칭소자(14u ~ 14w)의 전부 또는 상암의 스위칭소자(13u ~ 13w)의 전부의 어느 한쪽이 ON상태로 되고 전기자권선(3)은 전상 단락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계자전류 검출수단을 사용해서 계자권선(5)의 전류를 검출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한 소정시간의 경과로부터 계자가 소정의 목표치에 도달했다고 판단 함으로써 전력변환기(6)의 한쪽의 암의 모든 ON상태를 개방하고, 통상 동작으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전기자권선(3)에 대해 사전에 검출해 둔 상기의 단락전류와 동위상의 전류가 되도록 전력변환기(6)를 PWM 제어해서 통전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통전제어 함으로서 계자위치 검출정보나 전류성분의 d축치의 연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d축 전류가 제어되고 계자전류의 상승을 신속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단락전류는 d축 위치로 흐르게 되므로 이 단락전류를 동위상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인덕턴스 분을 상쇄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단락전류가 d축 위치로 흐르는 것이 자명 하므로 특히 단락전류중 적어도 2상분을 검출하는 수단을 부가함으로써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자의 회전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가 있고 값싸게 계자 자속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에 의하면 계자권선과 전기자권선을 갖는 회전전기와,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전류 제어수단과,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전기자권선에 급전하는 전력변환기를 구비하고, 내연기관 시동 시에 계자전류 제어수단이 계자권선에 급전을 개시할 때 급전개시와 동시에, 또는 급전개시 이전에 계자권선에 의한 계자자속은 반대 방향의 자속을 발생 하도록 전력변환기가 전기자권선에 통전하도록 하였으므로 계자권선의 자기인덕턴스분이 계자권선과 전기자권선과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상쇄되고 전압인가시의 계자전류의 상승이 빨라져 내연기관의 시동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므로 이 때문에 역전압의 발생이나 온도상승도 없고 또 계자에 영구자석을 병용한 동기기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의 효과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특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전기, 2 : 전기자 철심,
3,3a : 전기자권선, 4 : 회전자 철심,
5, 5a : 계자권선, 6, 6a : 전력변환기,
7 : 회전축, 8 : 슬립링,
9, 9a : 계자전류 제어수단, 10 : 반도체 소자,
11 : 다이오드, 12 : 영구자석,
13u ~ 13w, 14u ~ 14w : 스위칭 소자

Claims (3)

  1. 계자권선을 갖는 회전자와 전기자권선을 갖는 고정자, 직류전원으로부터 상기 계자권선에 공급되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전류 제어수단, 및 상기 직류전원의 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상기 전기자권선에 급전하는 전력변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에 있어서,
    내연기관 시동 시에, 상기 계자전류 제어수단이 상기 계자권선에 급전을 개시할 때, 급전개시와 동시 또는 급전개시 직전에 상기 계자권선에 의한 계자 자속과는 반대방향의 자속이 발생하도록 상기 전력변환기로부터 상기 전기자권선에 교류전력을 급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계자자극 중심위치에서의 상기 계자권선에 의한 계자자속과 상기 전기자권선의 통전에 의한 발생자속과의 합이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계자전류 제어수단와 상기 전력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전류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3. 계자권선을 갖는 회전자와 전기자권선을 갖는 고정자, 직류전원에서 상기 계자권선에 공급되는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전류 제어수단, 및 상기 직류전원의 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해서 상기 전기자권선에 급전하는 3상 6암의 전압형 인버터로 된 전력변환기를 구비하는 회전전기의 제어법에 있어서,
    내연기관 시동 시에, 상기 계자전류 제어수단이 상기 계자권선에 급전을 개시할 때 상기 3상 6암의 전압형 인버터의 상암 또는 하암의 어느 한쪽을 모두 도통해서 상기 전기자권선을 단락상태로 하고 상기 계자권선에 대한 급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KR10-2003-0004536A 2002-10-24 2003-01-23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KR100491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0023 2002-10-24
JP2002310023A JP3881301B2 (ja) 2002-10-24 2002-10-24 車両用回転電機の制御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09A KR20040036509A (ko) 2004-04-30
KR100491698B1 true KR100491698B1 (ko) 2005-05-25

Family

ID=3208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36A KR100491698B1 (ko) 2002-10-24 2003-01-23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88329B2 (ko)
EP (1) EP1416627B1 (ko)
JP (1) JP3881301B2 (ko)
KR (1) KR100491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972B2 (ja) * 2002-11-29 2006-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発電電動機システム
JP3813587B2 (ja) * 2003-01-30 2006-08-23 東芝エルエスアイシステムサポート株式会社 モータ制御回路、半導体集積回路、指示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WO2007007387A1 (ja) * 2005-07-11 2007-01-18 Hitachi, Ltd. 界磁巻線型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電動駆動システム,電動4輪駆動車およびハイブリッド自動車
US8193882B2 (en) 2008-08-07 2012-06-05 Denso Corporation Starting device for engines
EP2348631B1 (de) * 2010-01-22 2012-09-19 ABB Research Ltd. Steurung einer rotierenden elektrischen Maschine
DE102012203374B4 (de) * 2012-03-05 2019-09-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Vorbereiten des Startens eines Verbrennungsmotors durch einen riemengetriebenen Startergenerator
US9041232B2 (en) * 2013-10-11 2015-05-26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generator system
JP6299538B2 (ja) * 2014-09-09 2018-03-28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6398890B2 (ja) 2014-10-21 2018-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6375994B2 (ja) 2015-02-25 2018-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6398835B2 (ja) * 2015-03-30 2018-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DE102016208901A1 (de) * 2016-05-23 2017-11-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Verbessern eines Startvorgangs eines Verbrennungsmotors durch einen riemengetriebenen Startergenerator
JP6642311B2 (ja) * 2016-07-12 2020-02-0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制御装置
CN108599646B (zh) * 2018-04-27 2021-05-11 长沙理工大学 直驱型pmsm风电系统mppt的准pi扰动感知控制方法
US11411514B2 (en) 2019-09-13 2022-08-09 Rolls-Royce Corporation Electric machine with torque control
JP7046121B2 (ja) * 2020-07-03 2022-04-0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機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548A (en) * 1973-11-02 1975-06-17 Evgray Enterprises Inc Pulsed capacitor discharge electric engine
US4616166A (en) * 1984-12-10 1986-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power system for starting a large rotatable synchronous machine
JPH01123460U (ko) * 1988-02-12 1989-08-22
US5493200A (en) * 1993-05-12 1996-02-20 Sundstrand Corporation Control for a brushless generator
JP3412330B2 (ja) * 1995-04-24 2003-06-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発電装置
JP3417720B2 (ja) * 1995-04-24 2003-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発電装置
JP3512950B2 (ja) 1996-06-24 2004-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の発電装置
JP3899668B2 (ja) 1998-04-28 2007-03-28 株式会社デンソー 界磁巻線式同期機の駆動制御装置
JP3877899B2 (ja) * 1999-03-09 2007-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US6965173B2 (en) * 2000-03-01 2005-11-15 Hitachi, Ltd. Electric generating system for automobiles and its control method
US6335609B1 (en) 2000-05-09 2002-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educing peak phase current and decreasing staring tim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induction machine
DE10162214B4 (de) * 2000-12-19 2014-02-13 Denso Corporation Kraftfahrzeug-Motor-/Generatorgerät mit Synchronmaschine
JP4147742B2 (ja) * 2000-12-19 2008-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動発電装置
JP3517405B2 (ja) * 2001-08-10 2004-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回転電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8329B2 (en) 2005-05-03
JP2004144019A (ja) 2004-05-20
EP1416627B1 (en) 2017-04-12
KR20040036509A (ko) 2004-04-30
EP1416627A1 (en) 2004-05-06
JP3881301B2 (ja) 2007-02-14
US20040080291A1 (en)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698B1 (ko) 차량용 회전전기의 제어법
JP5450048B2 (ja) 航空機エンジンスタータ/発電機およびコントローラ
US5140243A (en) Discrete position estimator for a switched reluctance machine using a flux-current map comparator
JP2943657B2 (ja) 突極型永久磁石モータの制御装置
EP3376650A1 (en) Permanent magnet starter-generator with magnetic flux regulation
US9543876B2 (en) Three phase flux switching generator in a three stage wound field synchronous machine
JP3899668B2 (ja) 界磁巻線式同期機の駆動制御装置
WO2008013167A1 (fr) Système d&#39;entraînement de moteur à flux magnétique variable
Chau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stator-doubly-fed doubly-salient permanent-magnet machine for automotive engines
JP6214711B2 (ja) 回転電機の制御装置
Zhu et al. Design, analysis and control of hybrid excited doubly salient stator-permanent-magnet motor
Zhao et al. Position-Sensorless Control of $\text {DC}+\text {AC} $ Stator Fed Doubly Salient Electromagnetic Motor Covered Full Speed Range
JPH0947055A (ja)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Urasaki et al. Investigation of influences of various losses on electromagnetic torque for 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EP1501169A2 (en) Hybrid electrical machine with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hybrid machine
US6707277B2 (en) Method of controlling claw-pole synchronous machine
JP2019193352A (ja) 回転電機
CN113595454A (zh) 一种双凸极驱动电机启动控制方法
TWI747244B (zh) 切換式磁阻馬達之開關控制方法與控制系統
KR20180096974A (ko) 계자권선형 동기전동기의 토오크응답속도개선 및 계자동손절감 제어방법
KR20230161602A (ko) 모터 및 이의 제어방법
JPS6223552B2 (ko)
JP2004364353A (ja) 永久磁石回転電機
KR19990048330A (ko) 전기자동차의 유도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069798A (ja) ブラシレス自励型同期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