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988B1 -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988B1
KR100490988B1 KR10-2000-0079223A KR20000079223A KR100490988B1 KR 100490988 B1 KR100490988 B1 KR 100490988B1 KR 20000079223 A KR20000079223 A KR 20000079223A KR 100490988 B1 KR100490988 B1 KR 10049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c
composition
composite oxide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899A (ko
Inventor
정두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79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9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6Monolithic refractories or refractory mortars, including those whether or not containing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 C04B35/5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based on silicon ca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03Inorganic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화재 조성물은, 중량%로, Al2O3: 70~80%, SiC: 10~15% 및 탄소(C): 10~15%를 기본조성으로 하고,
상기 기본조성에 대하여,
Na2O:20~25%, Li2O:10~20%, P2O5:30~40%, Al2O3 :10~20% 및 B2O3:10~15%의 중량비로 구성된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 0.3~1.5중량%와, 산화방지제인 금속분말 1~4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저온영역에서의 내산화성 뿐만 아니라 내스폴링성도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의 제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Composition of Al2O3-SiC-C typed refractories with high oxidation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전의 복합 산화물보다 융점이 낮은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이용함으로써 저온영역에서의 내산화성 뿐만 아니라 내스폴링성도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혼선차등에서 사용되는 내화물은 일반적으로 알시카 내화벽돌이라 일컬어 지는 Al2O3-SiC-C질 불소성 내화벽돌이 그 주류를 이루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시카질 내화물은 탄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알루미나-탄화규소-탄소로 이루어진 내화물에 대해 내산화성 증진시킬 목적으로 산화방지제인 금속분말(Al, Si, Al-Mg), 탄화물(B4C, SiC), 저융점 복합산화물(붕규산계 프리트)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으며, 그 일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출원번호:87-15091호)에 개시된 발명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붕규산계 프리트와 같은 저융점 복합산화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내화재는 고온영역인 1400℃에서는 산화방지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저온인 800℃-1000℃영역에서는 탄소의 산화방지 효과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용선수선을 위하여 혼선차를 승온시킬 때나 수선 대기시 산화가 진행되어 내화물의 손상이 심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혼선차는 구조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가동중 열응력 발생에 따른 박리손상이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전의 붕규산계 복합산화물보다 융점이 낮은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이용함으로써 저온영역에서의 내산화성 뿐만 내스폴링성도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Al2O3: 70~80%, SiC: 10~15% 및 탄소(C): 10~15%를 기본조성으로 하고,
상기 기본조성에 대하여,
Na2O:20~25%, Li2O:10~20%, P2O5:30~40%, Al2O3 :10~20% 및 B2O3:10~15%의 중량비로 구성된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 0.3~1.5중량%와, 산화방지제인 금속분말 1~4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알시카 내화재는 탄소를 10-15wt% 정도 함유하기 때문에 내화물로서 제기능(용선이나 슬래그에 대한 젖음성이 낮아 내침윤 및 내식성이 우수함)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탄소의 산화방지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붕규산계 복합산화물은 고온영역인 1400℃에서는 산화방지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저온인 800℃-1000℃ 영역에서는 탄소의 산화방지 효과가 미흡하다.
본 발명자는 기존 붕규산계 복합산화물에서 고온 산화방지효과가 우수한 것은 금속분말과 탄화규소가 탄소나 CO가스와 작용하여 탄소를 재석출시키거나, 복합산화물이 용융되어 알루미나나 탄화규소와 반응하여 연와의 표면부가 치밀한 층을 형성함으로써 탄소의 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자는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과 같이 500℃의 저온에서 용융될 수 있는 복합산화물을 이용할 경우 이러한 산화물이 용융되어 주위에 있는 탄소 입자의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저온영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외부의 분위기로부터 탄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의 저온영역에서의 내산화성확보를 위해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성분 제한사유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내화재조성물은 통상적인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과 동일하게 중량%로 Al2O3: 70~80%, SiC: 10~15% 및 탄소(C): 10~15%로 이루어진 기본조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소원으로는 통상의 경우와 동일하게 인상흑연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인상흑연대신에 인조흑연분쇄물을 일부 대체하여 사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C)는 인상흑연 8~12%와 인조흑연 분쇄물 2~7%로 조성됨이 내침식성 및 내스폴링성확보에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저온영역에서의 내산화성확보를 위해 상기와 같이 마련된 기본조성물에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첨가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Na2O:20~25%, Li2O:10~20%, P2O5:30~40%, Al2O3:10~20% 및 B2O3:10~15%의 중량비로 구성된 저융점 복합산화물을 상기 기본조성에 대하여 추가로 첨가할 것을 요하는데, 이때 그 첨가량을 0.3~1.0중량%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 첨가량이 상기 기본조성의 전중량에 대하여 0.3중량%미만이면 그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내산화성이 좋지 않으며, 1.0중량%를 초과하면 내산화성은 좋아지는 반면에 내침식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Al2O3-SiC-C계 내화재 제조에 이용하는 것은 이러한 복합산하물이 저온에서 용융되어 주위에 있는 탄소 입자의 표면을 피복하여 외부의 분위기로부터 탄소의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함에 기초한 것으로서, 이러한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의 작용은 하기 표 1 및 표 2로부터 잘 설명될 수 있다. 즉, 하기 표 1에는 종래의 붕규산계 복합산화물과 본 발명의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의 조성이 나타나 있으며, 표 2에는 이와 같은 복합산화물들을 이용하여 제조된 펠렛(시편크기: 10mm×10mm(직경))들의 열처리온도에 따른 용융정도가 나타나 있다.
하기 표 2와 같이, 종래의 붕규산계 복합산화물의 경우 그 열처리시 800℃가 되어도 소성수축만 진행될 뿐 용융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저온영역에서 탄소입자 표면을 피복하여 탄소의 산화를 방지하기가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의 경우는 500℃부터 용융되기 시작하므로 저온영역에서도 효과적으로 탄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SiO2(%) Al2O3(%) B2O3(%) CaO(%) MgO(%) PbO(%) Na2O(%) P2O5(%) Li2O(%)
붕규산계복합산화물 60 10 15 5 1 4 5 - -
리튬인산계복합산화물 - 20 10 - - - 20 35 10
열처리온도(℃) 붕규산계 복합산화물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
500 변화없음 용융개시
600 변화없음 직경 17mm
700 변화없음 직경 20mm(퍼짐)
800 수축 20% 직경 30mm(퍼짐)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본조성에 산화방지제인 금속분말을 첨가하는데, 이러한 금속분말로서는 Al, Si, Mg-Al 금속분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분말의 첨가량을 상기 기본조성에 대하여 1~4중량%로 첨가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1중량%미만에서는 그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내산화성이 좋지 않으며, 4중량%를 초과하면 제조되는 내화재의 탄성율이 너무 높아져 내스폴링성이 열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복합산화물의 산화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진 붕규산계 및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들 복합산화물을 알시카 내화벽돌조성(Al2O3:60%, SiC:20%, 탄소: 20%)에 외삽으로 10중량%씩 첨가하고, 페놀레진을 바인더로 하여 혼련한후 1ton/cm2의 압력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시편들에 대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온도에서 소성시킨 후 중량감소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또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소성온도 및 시간 중량 감소율(%)
복합산화물 무첨가 붕규산계 복합산화물 첨가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 첨가
800℃×2hrs 11.2 10.3 3.0
1000℃×2hrs 16.3 13.0 2.5
1200℃×2hrs 16.9 4.8 3.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산화물을 첨가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내산화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첨가한 경우가 붕규산계 복합산화물을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800℃와 1000℃의 저온영역에서 우수한 내산화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4와 같은 기본조성을 가지며, 여기에 산화방지제로서 금속규소 및 복합산화물이 첨가혼합된 내화재 조성물을 각각 마련하였으며, 이때 첨가된 복합산화물의 조성은 상기 표 1과 같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마련된 각 조성물에 결합제인 페놀수지를 외삽으로 4중량% 첨가하여 혼련하였으며, 이후 일정압력으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을 250℃정도에서 건조처리한후 내산화성과 내침식성을 비교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내산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시편을 1000℃와 1400℃에서 3시간 소성한 후 냉각하여 산화층의 두께를 비교하는 방법을 택하였으며, 그 구해진 산화층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비교한 산화지수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내침식시험은 유도용해로를 이용하여 1500℃온도에서 1시간 실시하였으며, 그 침식정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침식지수로 나타내었다. 한편, 본 실험에서는 침식제로서 용선과 혼선차 슬래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내스폴링성은 상기 제조된 시편을 1400℃의 온도로 가열과 냉각을 10회 반복한후 시편의 균열정도를 평가한 것으로, 그 정도에 따라 우수(◎), 양호(○)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기본 조성(중량%) 금속규소(중량%) 복합 산화물(중량%)
Al2O3 SiC 탄소 붕규산계 리튬인산계
인상흑연 인조흑연
발명예 1 75 10 15 +3 +0.3
2 75 10 15 +3 +1.0
3 75 10 10 5 +3 +0.3
비교예 1 75 10 15 +3 +1 -
2 75 10 15 +3 +0.2
3 75 10 15 +3 +1.2
산화지수 침식지수 내스폴링성
1000℃ 1400℃
발명예 1 85 80 85
2 75 70 90
3 87 82 90
비교예 1 100 100 100
2 98 95 100
3 65 68 130
상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이 적정량 첨가된 본 발명예(1~3)의 경우 모두 내침식성의 저하없이 내산화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인상흑연의 일부를 인조흑연 분쇄물로 치환한 본 발명예(3)은 내산화성과 내식성의 저하없이 내스폴링성도 아주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붕규산계 복합산화물을 첨가한 비교예(1)은 고온에서의 내산화성은 양호하나 저온에서의 산화방지 효과가 미흡하였다.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의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2~3)의 경우 내산화성이 증진되지 않거나, 내산화성은 우수하나 저융점생성물의 과다생성으로 알시카 내화벽돌의 내식성이 떨어졌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융점 복합산화물인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을 이용함으로써 저온영역에서 내산화성 뿐만 아니라 내스폴링성도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의 제조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량%로, Al2O3: 70~80%, SiC: 10~15% 및 탄소(C): 10~15%를 기본조성으로 하고,
    상기 기본조성에 대하여,
    Na2O:20~25%, Li2O:10~20%, P2O5:30~40%, Al2O3:10~20% 및 B2O3:10~15%의 중량비로 구성된 리튬인산계 복합산화물 0.3~1.5중량%와, 산화방지제인 Al, Si, Mg-Al 금속분말 1~4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C)가 인상흑연 8~12%와 인조흑연 분쇄물 2~7%로 조성되어 있는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KR10-2000-0079223A 2000-12-20 2000-12-20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KR10049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223A KR100490988B1 (ko) 2000-12-20 2000-12-20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223A KR100490988B1 (ko) 2000-12-20 2000-12-20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899A KR20020049899A (ko) 2002-06-26
KR100490988B1 true KR100490988B1 (ko) 2005-05-24

Family

ID=2768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223A KR100490988B1 (ko) 2000-12-20 2000-12-20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01B1 (ko) 2006-12-19 2013-02-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탄소함유 내화물용 산화방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탄소함유 내화물의 초기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5367B (zh) * 2013-08-20 2015-10-07 青岛云路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表面抗氧化涂层的制备方法
CN103601520B (zh) * 2013-11-19 2014-11-05 河南海格尔高温材料有限公司 鱼雷罐用Al2O3-SiC-C耐火砖及其制备方法
CN105174919A (zh) * 2015-09-02 2015-12-23 安徽万年针织有限公司 一种添加石墨粉的高耐磨氧化铝陶瓷眼
CN108218393B (zh) * 2017-12-14 2021-04-09 中国地质大学(北京) 一种利用煤矸石制备Al2O3-SiC-C系炮泥耐火材料的方法
CN110240486B (zh) * 2019-05-20 2021-07-13 武汉科技大学 一种晶须增强Al2O3-SiC-C质铁沟浇注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873A (ja) * 1987-11-27 1989-06-02 Kyushu Refract Co Ltd 溶銑与備処理容器用耐化物
KR890009806A (ko) * 1987-12-28 1989-08-04 정명식 내침식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흑연질 내화물 제조방법
JPH01320265A (ja) * 1988-06-23 1989-12-26 Harima Ceramic Co Ltd アルミナ−炭化珪素−カーボン質煉瓦
JPH0365556A (ja) * 1989-08-03 1991-03-20 Kurosaki Refract Co Ltd 炭素含有れんか
KR960022375A (ko) * 1994-12-28 1996-07-18 김만제 카본함유 내화조성물
KR19990052239A (ko) * 1997-12-22 1999-07-05 이구택 알루미나-흑연질 내화물
KR19990052230A (ko) * 1997-12-22 1999-07-05 이구택 내산화성 및 내침식성이 우수한 흑연질 내화물
KR20010060405A (ko) * 1999-12-21 2001-07-07 신현준 알시카 내화벽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873A (ja) * 1987-11-27 1989-06-02 Kyushu Refract Co Ltd 溶銑与備処理容器用耐化物
KR890009806A (ko) * 1987-12-28 1989-08-04 정명식 내침식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흑연질 내화물 제조방법
JPH01320265A (ja) * 1988-06-23 1989-12-26 Harima Ceramic Co Ltd アルミナ−炭化珪素−カーボン質煉瓦
JPH0365556A (ja) * 1989-08-03 1991-03-20 Kurosaki Refract Co Ltd 炭素含有れんか
KR960022375A (ko) * 1994-12-28 1996-07-18 김만제 카본함유 내화조성물
KR19990052239A (ko) * 1997-12-22 1999-07-05 이구택 알루미나-흑연질 내화물
KR19990052230A (ko) * 1997-12-22 1999-07-05 이구택 내산화성 및 내침식성이 우수한 흑연질 내화물
KR20010060405A (ko) * 1999-12-21 2001-07-07 신현준 알시카 내화벽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01B1 (ko) 2006-12-19 2013-02-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탄소함유 내화물용 산화방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탄소함유 내화물의 초기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899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6687B1 (ja) マグネシアカーボンれんがの製造方法
KR100490988B1 (ko) 내산화성이 우수한 Al2O3-SiC-C계 내화재 조성물
JPH09202667A (ja) スライドゲート用キャスタブル耐火物
KR100446898B1 (ko) 알시카 내화벽돌 조성물
KR100804961B1 (ko) 장입래들용 알시카질 내화벽돌 조성물
KR101236300B1 (ko) 탄소함유 내화물용 산화방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탄소함유 내화물의 초기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KR101236301B1 (ko) 탄소함유 내화물용 산화방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탄소함유 내화물의 초기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KR101072523B1 (ko) 용선예비처리 설비용 내화벽돌
JPH11240747A (ja) プレートれんが
JPH0585805A (ja) 炭素含有耐火物
JPH04231371A (ja) 炭素含有耐火物
JP2024059450A (ja) 真空脱ガス炉用マグネシアカーボンれんがの製造方法
JPH11209169A (ja) 耐スポーリング性に優れた耐火れんがおよび転炉炉底 部ライニング
JPH1017357A (ja) 炭素含有耐火物の製造方法
JPH08157252A (ja) 溶銑予備処理容器用耐火れんが
JPH07291712A (ja) 炭素含有耐火物
JPH0483755A (ja) アルミナ―クロミア―ジルコニア系耐火れんが
JPH11278940A (ja) アルミナ−炭化珪素質耐火物
JPH03141158A (ja) 低熱伝導性高炉用耐火物
JPH0543658B2 (ko)
JPH05843A (ja) 混銑車湯当り部用耐火物ブロツク
JPH07291710A (ja) 黒鉛含有耐火れんが
JPS5918174A (ja) 溶融金属処理容器の内張り材
JPH04209744A (ja) 炭素含有耐火物
JPH02267150A (ja) 溶鉄用炭素含有耐火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