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215B1 - 회전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회전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215B1
KR100490215B1 KR10-2002-0045599A KR20020045599A KR100490215B1 KR 100490215 B1 KR100490215 B1 KR 100490215B1 KR 20020045599 A KR20020045599 A KR 20020045599A KR 100490215 B1 KR100490215 B1 KR 10049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hole
large diameter
small diameter
hol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309A (ko
Inventor
이시까와신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Landscapes

  • Adjustable Resisto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과제) 조작축과 회전체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작업을 고정밀도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고정부재(5)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조작축(12)과, 조작축(12)에 부착되고, 이 조작축(12)과 함께 회전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체(8)를 구비하고, 조작축(12)은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부(12a)와, 이 소경부(12a)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소경부(12a)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12b)를 갖고, 회전체(8)는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구멍(8f)과, 이 소경구멍(8f)과 연통하여 전방측에 위치하고, 소경구멍(8f)보다 직경이 큰 대경구멍(8e)을 갖고, 소경부(12a)가 대경구멍(8e)을 경유하여 소경구멍(8f)에 삽입됨과 동시에, 대경부(12b)가 대경구멍(8e)에 압접됨으로써, 조작축(12)에 회전체(8)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회전형 전기부품{ROTARY-TYPE ELECTRIC COMPONENT}
본 발명은 TV, 비디오 등의 전자기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인코더, 가변저항기 등의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도면을 설명하자면, 도 10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이다.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연기판(51)은 원형상의 박판형상을 이루고, 전방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저항체, 집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52)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원형상의 박판형상을 이룬 상벽부(52a)와 이 상벽부(52a)의 측가장자리부에서 하방으로 향해 형성된 측벽부(52b)와, 상벽부(52a)의 중앙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관통구멍(52c)을 갖는 축받이부(52d)와, 축받이부(52d)의 근방에서 상벽부(52a)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52e)를 갖고 있다.
이 고정부재(52)에는 스페이서(53)를 통해 부착판(54)이, 도시하지 않은 갈고리부가 상벽부(52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부착되고, 이 부착판(54)의 전방면에 절연기판(51)이 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체(55)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통형상의 베이스부(55a)와, 이 베이스부(55a)의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부착구멍(55b)과, 베이스부(55a)에서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원형부(55c)와, 이 원형부(55c) 위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55d)를 갖고, 원형부(55c)의 후방면에는 슬라이딩 부재(55e)가 매설되어 있다.
클릭스프링(56)은 얇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대략 링형상을 하고, 암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56a)를 갖고, 이 클릭스프링(56)은 고정부재(52)의 돌기(52e)에 코킹되고, 볼록부(56a)가 회전체(55)의 요철부(55d) 위에 탄성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55)가 회전함으로써, 볼록부(56a)가 요철부(55d)와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여 클릭감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조작축(57)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손잡이부(57a)와, 손잡이부(57a)에 연접하여 손잡이부(57a)의 외형치수보다 큰 칼라부(57b)와, 이 칼라부(57b)에서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부(57c)와, 끼워맞춤부(57c)의 선단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미끄러내림부(57d)와, 이 미끄러내림부(57d)의 선단에 형성된 가는 축의 가이드부(57e)를 갖고 있다.
이 조작축(57)은, 고정부재(52)의 축받이부(52d)의 관통구멍(52c)에 전방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칼라부(57b)가 축받이부(52d)의 전방측의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축(57)을 삽입해 가면 끼워맞춤부(57c)가 회전체(55)의 부착구멍(55b)내에 압입되어 끼워맞춤부(57c)와 부착구멍(55b)이 견고한 끼워맞춤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이드부(57e)가 부착판(54)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구멍(54a)에 삽입된다. 이 조작축(57)의 부착작업은 끼워맞춤부(57c)와 부착구멍(55b)이 동일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부착구멍(55b)의 입구 부근으로부터 양자는 견고한 끼워맞춤상태로 되어 있고, 따라서 끼워맞춤부(57c)를 부착구멍(55b)에 압입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 끼워맞춤부(57c)와 부착구멍(55b)을 직경방향에서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지그에 의해 위치결정지지한 상태에서, 압입에 의해 조작축(57)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조작축(57)을 회전시킴으로써, 이 조작축(57)과 함께 회전체(55)가 회전하고 슬라이딩 부재(55e)가 저항체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저항값이 변화되어 출력전압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 동작을 하는데, 조작축(57)을 부착할 때에, 끼워맞춤부(57c)와 부착구멍(55b)을 직경방향에서 지그에 의해 위치결정지지한 상태에서 압입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하여 양산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축과, 회전체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작업을 고정밀도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에 부착되고, 이 조작축과 함께 회전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은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부와, 이 소경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는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구멍과, 이 소경구멍과 연통하여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경구멍보다 직경이 큰 대경구멍을 갖고, 상기 소경부가 상기 대경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소경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대경부가 상기 대경구멍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조작축에 상기 회전체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2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상기 회전체의 상기 대경구멍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축의 상기 대경부는 상기 볼록부를 짓누른 상태에서 상기 대경구멍에 압접고정되어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3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상기 볼록부는 상기 조작축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4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상기 대경구멍은 타원형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는 상기 대경구멍의 4모서리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5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상기 대경구멍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소경구멍의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가 상기 볼록부를 짓누르기 전에 상기 소경부가 상기 소경구멍에 삽입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6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상기 소경부와 상기 소경구멍이 밀착된 상태에서 끼워맞춰져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7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상기 조작축의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소경구멍과 상기 대경구멍 사이에 상기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단부를 갖고, 상기 대경부가 상기 대경구멍에 압접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단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를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를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회전체의 볼록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5-5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클릭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을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의 삽입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도 1∼9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저벽부(1)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져 박판의 원판형상을 이루고, 이 저벽부(1)에는 슬라이딩 부재(2)와 이 슬라이딩 부재(2)와 도통하는 단자부(3)를 갖는 박판형상의 금속체가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저벽부(1)의 전방측의 면에서 슬라이딩 부재(2)가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저벽부(1)의 측면으로부터 단자부(3)가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원통부(4)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통형상의 베이스부(4a)와, 베이스부(4a)의 대략 중간부에서 중심방향으로 향해 형성됨과 동시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段部;4b)를 갖고, 저벽부(1)를 에워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5)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원형상의 박판형상을 이룬 상벽부(5a)와, 이 상벽부(5a)의 중앙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관통구멍(5b)을 갖는 축받이부(5c)와, 상벽부(5a)의 전방면에 형성된 오목부인 갈고리받이부(5d)와, 상벽부(5a)의 후방측의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5e)를 갖고 있다.
부착판(6)은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판형상의 받이부(6a)와, 이 받이부(6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4개의 갈고리부(6b)와, 받이부(6a)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착다리(6c)를 갖는다. 이 부착판(6)은 전방으로 연장된 갈고리부(6b)가 고정부재(5)의 갈고리받이부(5d)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고정부재(5)와 함께, 저벽부(1)와 원통부(4)를 끼움지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받이부(6a)가 저벽부(1)의 후방면과 맞닿음과 동시에, 원통부(4)의 단부(4b)의 후방면과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저벽부(1)와 원통부(4)와 고정부재(5)로 원주형상의 수납부(7)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체(8)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판형상의 원형부(8a)와, 원형부(8a)의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부착구멍(8b)과, 원형부(8a)의 전방면에 있어서, 부착구멍(8b)의 주위에 약 300도에 걸쳐 형성된 오목조부(8c)와, 원형부(8a)의 외주 근방에서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8d)를 갖고 있다. 부착구멍(8b)은 전방으로부터 타원형상의 대경구멍(8e)과, 이 대경구멍(8e)에 연결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대경구멍(8e)보다 직경이 작은 타원형상의 소경구멍(8f)과, 이 대경구멍(8e)과 소경구멍(8f) 사이에서 직경방향으로 향해 형성된 단부(段部;8g)를 갖는다. 또한,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구멍(8f)의 근방,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8g)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볼록부(8h)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8h)는 대경구멍(8e)의 4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8h)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돌기여도 된다. 또한 돌기를 점재시키거나, 또는 일렬이 되도록 나열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절연기판(9)은 박판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연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9a)를 갖고, 후방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패턴(10)이 인쇄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기판(9)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9a)가 회전체(8)의 갈고리부(8k)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회전체(8)의 후방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클릭스프링(11)은 얇은 금속재로 구성됨과 동시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모양으로 절곡되어 평판형상의 기체(11a)와, 이 기체(11a)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한쌍의 절곡부(11b)와, 일방의 절곡부(11b)의 선단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1c)와, 중앙에 형성된 통과구멍(11d)과, 이 통과구멍(11d)과 볼록부(11c) 사이에 형성된 직사각형구멍(11e)을 갖고 있다.
이들 절연기판(9)이 일체로 된 회전체(8)와, 클릭스프링(11)은 수납부(7)내에 수납되고, 클릭스프링(11)의 기체(11a)가 고정부재(5)의 상벽부(5a)에 탄성접촉함과 동시에, 절곡편(11b)이 회전체(8)를 탄성가압하고, 회전체(8)의 후방측의 외측가장자리 근방이 원통부(4)의 단부(4b)의 전방면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5)의 돌기(5e)는 클릭스프링(11)의 직사각형 구멍(11e)에 관통되어 있어 클릭스프링(11)이 어긋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돌기(5e)는 회전체(8)의 오목조부(8c)내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절연기판(9)이 일체로 된 회전체(8)가 지지되면, 절연기판(9)에 슬라이딩 부재(2)가 접촉하여 회전체(8)가 회전함으로써, 패턴(10)과 슬라이딩 부재(2)가 접촉, 비접촉을 반복하여 펄스신호가 단자부(3)에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8)가 회전하면 클릭스프링(11)의 볼록부(11c)가 회전체(8)의 요철부(8d)과 걸림과 해제을 반복하여 클릭감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조작축(12)은 금속제의 봉형상체로 이루어지고,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부(12a)와, 이 소경부(12a)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소경부(12a)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12b)와, 대경부(12b)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2c)를 갖고, 소경부(12a)와 대경부(12b) 사이의 단차부에는 테이퍼부(12d)가 형성됨과 동시에, 소경부(12a)에서 대경부(12b)에 걸쳐 미끄러내림부(12e)가 형성되고, 소경부(12a)와 대경부(12b)의 후방단이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같은 조작축(12)은 고정부재(5)의 관통구멍(5b)의 전방측에서 삽입되고, 이 삽입도중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경부(12a)가 소경구멍(8f)에 가이드되어 회전체(8)와 조작축(12)의 센터가 결정된 상태에서, 대경부(12b)의 미끄러내림부(12e)가 4개의 볼록부(8h)를 짓누르면서 대경구멍(8e)에 압입된다. 이 때, 대경부(12b)가 볼록부(8h)를 짓누르기 전에 소경부(12a)가 소경구멍(8f)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볼록부(8h)가 짓눌리기 전에 소경구멍(8f)이 막혀 대경구멍(8e)이 마개를 한 상태가 되므로, 볼록부(8h)가 짓눌릴 때에 발생하는 찌꺼기가 대경구멍(8e)내에 고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경부(12a)와 소경구멍(8f)이 밀착하여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대경구멍(8e)이 완전히 마개를 한 상태가 되어 확실하게 찌꺼기가 대경구멍(8e)내에 고이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12)의 삽입이 완료되면, 회전체의 단부(8g)와, 조작축(12)의 테이퍼부(12d)와의 사이에 공간부(13)가 생기고, 이 공간부(13)내에 찌꺼기가 고이게 되어 있어 찌꺼기가 보다 확실히 대경구멍(8e)내에 고이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작축(12)을 삽입하는 작업은 센터가 결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조작축(12)을 삽입할 수 있고, 삽입 최후에 볼록부(8h)를 짓누르도록 하여 대경부(12b)를 압입하면 되므로,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또한 센터가 어긋나지 않게 확실히 삽입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소경부(12a)의 선단이 지그에 의해 코킹되어 조작축(12)과 회전체(8)가 확실시 고정된다. 또한 대경구멍(8e), 소경구멍(8f) 모두 타원형상을 하고 있고, 대경부(12b), 소경부(12a)는 미끄러내림부(12e)에 의해 타원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이들은 스플라인결합이 되어 조작축(12)과 함께 회전체(8)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8)가 회전하면 고정부재(5)의 돌기(5e)가 오목조부(8c)내를 이동하고, 일정각 이상 회전하면 돌기(5e)가 오목조부(8c)의 벽부와 맞닿아 스토퍼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8)는 소정의 회전각도의 범위내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고, 이어서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조작축(12)이 회전되면 조작축(12)과 함께 회전체(8)가 회전하고, 절연기판(9)이 회전하여 슬라이딩 부재(2)가 패턴(10)과 접촉, 비접촉을 반복함으로써, 펄스신호가 단자부(3)에서 출력된다. 이 때, 클릭스프링(11)의 볼록부(11c)가 회전체(8)의 요철부(8d)와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여 클릭감이 생기고 조작자에게 절도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 동작을 갖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8d)를 사용하여 대경구멍(8e)과 대경부(12b)를 압접시키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볼록부(8d)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대경구멍(12b)의 직경을 후방으로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코더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가변저항기 등의 회전형 전기부품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은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부와, 이 소경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소경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를 갖고, 회전체는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구멍과, 이 소경구멍과 연통하여 전방측에 위치하고, 소경구멍보다 직경이 큰 대경구멍을 갖고, 소경부가 대경구멍을 경유하여 소경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대경부가 대경구멍에 압접됨으로써 조작축에 회전체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소경구멍에 의해 센터가 결정된 상태에서, 대경부를 대경구멍에 압접함으로써, 조작축을 회전체에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축의 조립작업을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의 대경구멍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조작축의 대경부는 볼록부를 짓누른 상태에서 대경구멍에 압접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확실하게 대경부를 대경구멍에 압접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볼록부는 조작축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보다 확실히 대경부를 대경구멍에 압접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대경구멍은 타원형상임과 동시에, 볼록부는 대경구멍의 4모서리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대경부에 균등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조작축을 축선방향과 한없이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압접고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대경부를 대경구멍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대경구멍내에 형성된 볼록부는 소경구멍의 근방에 형성되고, 대경부가 볼록부를 짓누르기 전에, 소경부가 소경구멍에 삽입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볼록부가 짓눌리기 전에 대경구멍이 소경부에 의해 마개를 한 상태가 되므로, 찌꺼기 등이 대경구멍내에 고이므로, 찌꺼기 등이 부품내에 흩어질 우려가 없고, 신뢰성이 높은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삽입과정의 마지막에 대경부를 대경구멍에 압입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이 보다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소경부와 소경구멍이 밀착된 상태에서 끼워맞춰지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확실히 대경구멍안이 마개를 한 상태가 되므로, 찌꺼기 등이 대경구멍내에 고이므로, 찌꺼기 등이 부품내에 흩어질 우려가 없고, 신뢰성이 높은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의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회전체는 소경구멍과 대경구멍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부를 갖고, 대경부가 대경구멍에 압접고정된 상태에서, 테이퍼부와 단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공간부에 볼록부가 짓눌릴 때에 생기는 찌꺼기 등이 고이고, 찌꺼기 등이 대경구멍내에 확실히 고이므로 찌꺼기 등이 부품내에 흩어질 우려가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를 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회전체를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회전체의 볼록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5-5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클릭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을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작축의 삽입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저벽부 2:슬라이딩 부재
3:단자부 4:원통부
4a:베이스부 4b:단부(段部)
5:고정부재 5a:상벽부
5b:관통구멍 5c:축받이부
5d:갈고리받이부 5e:돌기
6:부착판 6a:받이부
6b:갈고리부 6c:부착다리
7:수납부 8:회전체
8a:원형부 8b:부착구멍
8c:오목조부 8d:요철부
8e:대경구멍 8f:소경구멍
8g:단부(段部) 8h:볼록부
8k:갈고리부 9:절연기판
9a:오목부 10:패턴
11:클릭스프링 11a:기체
11b:절곡부 11c:볼록부
11d:통과구멍 11e:직사각형 구멍
12:조작축 12a:소경부
12b:대경부 12c:손잡이부
12d:테이퍼부 12e:미끄러내림부
13:공간부

Claims (7)

  1.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에 부착되고, 이 조작축과 함께 회전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은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부와, 이 소경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경부보다 직경이 큰 대경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는 후방단측에 형성된 소경구멍과, 이 소경구멍과 연통하여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소경구멍보다 직경이 큰 대경구멍을 가지며,
    고정부재는 관통구멍을 갖는 축받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전방측으로부터 조작축이 삽입되고,
    상기 소경부가 상기 대경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소경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대경부가 상기 대경구멍에 압접됨으로써, 상기 조작축에 상기 회전체가 부착되고,
    상기 회전체의 상기 대경구멍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축의 상기 대경부는 상기 볼록부를 짓누른 상태에서 상기 대경구멍에 압접고정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조작축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구멍은 타원형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는 상기 대경구멍의 4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구멍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소경구멍의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가 상기 볼록부를 짓누르기 전에 상기 소경부가 상기 소경구멍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와 상기 소경구멍이 밀착된 상태에서 끼워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의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의 단차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소경구멍과 상기 대경구멍 사이에 상기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단부(段部)를 갖고,
    상기 대경부가 상기 대경구멍에 압접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단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부품.
KR10-2002-0045599A 2001-08-02 2002-08-01 회전형 전기부품 KR100490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4701A JP3995435B2 (ja) 2001-08-02 2001-08-02 回転型電気部品
JPJP-P-2001-00234701 2001-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309A KR20030013309A (ko) 2003-02-14
KR100490215B1 true KR100490215B1 (ko) 2005-05-17

Family

ID=1906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599A KR100490215B1 (ko) 2001-08-02 2002-08-01 회전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95435B2 (ko)
KR (1) KR100490215B1 (ko)
CN (1) CN1225749C (ko)
TW (1) TW5543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7821B2 (ja) * 2016-09-14 2020-10-1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軸受部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44U (en) * 1981-06-03 1983-03-25 Gang Nam Bae Visor cap
KR930016048A (ko) * 1992-01-18 1993-08-26 황경수 발의 운동을 순차적으로 보조하는 신발장치
KR19990036895A (ko) * 1997-10-08 1999-05-25 가타오카 마사타카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200142407Y1 (ko) * 1991-12-11 1999-06-01 가타오카 마사타카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JPH11339596A (ja) * 1998-05-25 1999-12-10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気部品
KR20010089218A (ko) * 2000-03-09 2001-09-29 가타오카 마사타카 회전형 전기부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44U (en) * 1981-06-03 1983-03-25 Gang Nam Bae Visor cap
KR200142407Y1 (ko) * 1991-12-11 1999-06-01 가타오카 마사타카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KR930016048A (ko) * 1992-01-18 1993-08-26 황경수 발의 운동을 순차적으로 보조하는 신발장치
KR19990036895A (ko) * 1997-10-08 1999-05-25 가타오카 마사타카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JPH11339596A (ja) * 1998-05-25 1999-12-10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気部品
KR20010089218A (ko) * 2000-03-09 2001-09-29 가타오카 마사타카 회전형 전기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95435B2 (ja) 2007-10-24
TW554361B (en) 2003-09-21
CN1402264A (zh) 2003-03-12
CN1225749C (zh) 2005-11-02
JP2003045705A (ja) 2003-02-14
KR20030013309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329B2 (en) Sensor hold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970008733A (ko) 단자 소켓 조립체
GB2342237A (en) Jack
JP2000200985A (ja) 回路板保持装置
US6474146B2 (en) Rotary sensor capable of high-precision detection of rotation angle transmitted from outside
KR100490215B1 (ko) 회전형 전기부품
US6862926B2 (en) Rotary sensor capable of high-precision detection of rotation angle transmitted from outside
KR20080013857A (ko) 라이터 소켓 랜스를 위한 반경방향 이동 제한기
JP3751509B2 (ja) 回転型センサ
JP2000193412A (ja) 回転型センサ
US4739300A (en) Rotary type electronic part
US20020056322A1 (en) Rotary sensor
JP2000215948A5 (ko)
JP4563470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0252727A (ja) アンテナの取付構造
JP2001183385A (ja) 回転検出装置
US5856774A (en) Holding structure for terminal of variable resistor
JP2005118856A (ja) カシメ接続固定装置、カシメ接続固定方法、カシメ接続固定構造、及びワイパ用モータ
WO2005018058A1 (en) Electrical terminal
JP2001273954A (ja) コネクタ
JPH10172813A (ja) 電気部品
JP2022042411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2000294412A (ja) 可変抵抗器
KR0135896Y1 (ko) 가변저항기에의 노브 결합장치
JPH0711417Y2 (ja) ランプ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