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407Y1 -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407Y1
KR200142407Y1 KR2019920024447U KR920024447U KR200142407Y1 KR 200142407 Y1 KR200142407 Y1 KR 200142407Y1 KR 2019920024447 U KR2019920024447 U KR 2019920024447U KR 920024447 U KR920024447 U KR 920024447U KR 200142407 Y1 KR200142407 Y1 KR 200142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lick
contact
substr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24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048U (ko
Inventor
다케시 안도우
다카유키 가나모리
마사히로 스가와라
후미히로 사와구치
신이치 미조부치
나오키 가토우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5042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78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1109294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397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110929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397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110929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53971Y2/ja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30016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Abstract

스위치와 가변저항기등의 조작에 따르는 전기출력의 조정이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의 제조 방법이 있다.
조작축과 회전기판을 일체로해서 수지의 수축율등으로 칫수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조작축의 회전중심과 회전기판의 중심들이 편심하는 것이 나타나는데, 특별히 각 가동접점간 피치가 좁은 회전기판에 있어서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엇갈림에 의한 오신호를 방지하고 또 조작축은 케이스와 접동자 받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탱하고 있어 조작축의 케이스와 접동자 받침체를 지탱하는 부분이 편심하지 않도록 하여 회전감각을 원활히 한다.

Description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로터리 스위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로터리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조작축의 측면도.
제4도는 조작축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A-A선으로 짜른 단면도.
제6도는 코드판의 정면도.
제7도는 코드판의 이면도.
제8도는 제7도의 B-B선으로 짜른 단면도.
제9도는 접동자 받침체의 정면도.
제10도는 코드판 성형용 블랭크재의 정면도.
제11도는 아웃트서트 성형후의 블랭크재의 정면도.
제12도는 이형재의 단면도.
제13도는 이형재에서 얻어진 블랭크재의 정면도.
제14도는 아웃트서트 성형후의 블랭크재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받침 2 : 조작축
2b : 소구경부 3 : 코드판(회전기판, 소자부)
4 : 접동자편 4b : 제2의 접동자편
4c : 제3의 접동자편 5 : 판 스프링(탄성부재)
6 : 접동자 받침체(고정부재, 기대)
12 : 받침구멍(조작축의 끼워맞춤 오목부)
13 : 환상 오목부 14a : 기판
15 : 가동접점(접점부) 15b : 제1의 빗살부
18 : 결락부(오목부) 19,(16) : 접동판(제2의 빗살부)
20 : 돌기(회전기판의 끼워맞춤용 볼록부)
22 : 축받침구멍(받침부) 28 : 단자
30 : 환상부 34 : 이형재
34a : 두터운부 34b : 얇은부
35 : 블랭크재
본 고안은 스위치와 가변저항기등의 조작에 따라서 전기출력의 조정이 가능한 전기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전기부품, 예를들면 로타리 스위치는 합성수지제의 접동자 받침체에 단자를 가지는 접동자편을 고착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강성으로 힘이 가해진 볼을 케이스 내에 수납 유지하고, 한편, 조작축과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회전기판에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접동자 편과 접속격리하는 복수의 가동접점을 아웃트서트 하는 동시에 둘레에 상기 볼과 걸리거나 벗겨지는 톱니모양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조작축은 덜걱거림이 적도록 케이스와 접동자 받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탱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회전기판을 정,역 어느쪽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동자편이 가동접점과 접속, 격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접점의 절환동작이 행하여지고 이 동작중 볼이 요철부와 걸리거나 벗겨짐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클릭(click)감각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작축과 회전기판을 일체로 하면 수지의 수축율 등의 이유로 칫수 정밀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조작축의 회전증심과 회전기판의 증심들이 편심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특히 각 가동접점간 피치가 좁은 회로기판에 있어서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비틀려 오신호를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조작축은 케이스와 접동자 받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탱되어 있으나, 조작축의 이들 부분(케이스와 접동자 받침체를 지탱되는 부분)이 편심되면 회전감촉의 원활함이 손상받을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한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회전기판과 접동자편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고 또 조작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조작 가능한 전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접점의 절환기구와 클릭기구들을 한쌍의 회전기판과 접동자 받침체들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갯수를 적게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접동자 받침체에 설치된 단자부착의 접동자편과 볼과는 별부품이므로 가이드 홈 등의 안내수단을 설치해서도 양자의 상대위치를 고정밀도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상기한 스프링과 볼에 대신해서 탄성판을 형성한 클릭용 판 스프링을 탄성부재로 해서 이용하여 이 클릭용 스프링을 접동자 받침에 코크(calk)고정하는 방법은 제안되어 있으나 이 경우 판스프링의 코크 구멍과 접동자 받침체의 코크용 볼록부 와의 사이의 소정의 틈이 필요로 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회전 기판측에 대해서 보면 가동접점으로 되는 금속판을 사출 성형금형으로 공급해서 아웃트서트 형성하는 때 금형에 설치된 위치 결정핀과 금속판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멍과의 사이에 필요로 하는 틈에 기인해서 가동접점이 금형의 기준위치에 대해 위치 엇갈림이 쉽고 성형후의 이 위치엇갈림이 회전기판에 있어서 각 가동접점과 각 요철부 간의 위치 엇갈림으로 해서 나타난다.
이 때문에 회전기판이 회전할 때에 접동자편이 가동접점과 접속 격리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접점의 절환동작과 볼이 요철부와 걸리거나 벗겨지는 것에 의해 생기는 클릭 접촉과의 연동성이 저하한다하는 문제가 있다. 또 볼이 요철부와 걸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반복하는 때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합성수지가 볼과의 접속하여 미끄러짐에 의해 마모하고 이점에서도 상기의 연동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는 클릭 감촉과 접점의 연동성을 얻기가 어렵고 그것은 접동자편과 클릭용 판 스프링의 위치 엇갈림 및 가동접점과 요철부의 엇갈림 등이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접점의 절환과 클릭 감촉과의 연동성을 장기에 걸쳐서 고정 밀도로 유지되는 클릭 감촉부착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기재의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은 고정부재로 유지된 접동자편과, 이 접동자편에 접접(摺接)하는 회전기판과 이 회전기판을 회전조작하는 조작축과 이 조작축을 지탱하는 축수들을 비치한 전기부품에서 상기 조작축의 중심에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 오목부를 통해서 소구경부를 설치하고 이 소구경부에 상기 회전기판의 중심부를 끼워맞추어 고정함과 동시에 이 소구경부를 상기 고정부재로 설치된 받침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7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3기재의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은 회전자유롭게 회전기판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과, 이들의 가동접점에 접속격리 가능한 접동자편과, 상기 회전기판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복수와 오목부와 이들 오목부에 이들 오목부에 걸리거나 벗겨지게 된 판 스프링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판이 회전할 때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접동자편들이 접속 격리하는 것에 의해 접점의 절환이 행하여지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판 스프링들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것에 의해 클릭감촉이 생기는 클릭감촉부착 전기부품에 있어서, 상기 접동자편과 상기 판 스프링은 일체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기부를 합성수지제의 기대로 파묻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5기재의 조작가능한 전기부품은 회전 자유자재로 회전기판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과 이들 가동접점에 접속 격리 가능한 접동자편과 상기 회전기판에 주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와 이들 오목부에 걸리거나 벗겨지게된 탄성부재등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판이 회전찰 때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접동자편들이 접속, 격리하는 것에 의해 접점의 절환이 행하여져 상기 오목부와 상기 탄성부재들이 걸리거나 벗겨짐에 의해 클릭감촉이 발생되는 클릭감촉 부착으로 조작가능한 전기부품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판이 합성수지제의 기판과 이 기판에 아웃트서트된 금속판으로 되고 이 금속판에 상기 자동접점을 형성하는 제1의 빗살부와 상기 각 오목부문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접동면을 형성하는 제2의 빗살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8기재의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은 두터운부와 얇은부를 가지는 금속평판과, 상기 금속평판의 두터운부에 형성되는 클릭용 판 스프링과 상기 얇은부에 형성되는 접동자편과, 그 금속평판을 유지하는 기대와 그 기대에 대향해서 설치된 상기 접동자편과 클릭스프링이 접동함과 동시에 그 접동에 따른 전기신호 및 클릭감촉을 발생하는 소자부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기재의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에 의하면, 조작축의 외주면은 축받침에 의해 지탱되어 조작축의 중심에 설치된 소구경부는 고정부재의 받침부에 의해 지탱되기 때문에 회전기판과 접동자편들을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조작축의 외주면과 소구경부와의 사이에 칫수의 편차가 생긴 경우 이 편차는 소구경부가 환상오목부내를 변동하는 것으로 흡수된다.
또, 청구항 3기재의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에 의하면 접동자편과 판 스프링은 일체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기부는 기대에 파묻쳐 설치되므로서 접동자편과 판 스프링 간의 위치 정밀도는 높고 접점의 절환동작과 클릭감촉과의 연동성은 현저히 향상한다.
또 청구항 5기재의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에 의하면 제1의 빗살부와 제2의 빗살부와는 동일의 금속판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빗살부간의 위치 엇갈림이 없다.
이 때문에 제1의 빗살부에 의해 형성된 가동접점과 제2의 빗살부에 의해 형성된 클릭감촉을 만들기 위한 요철부와의 사이의 위치정도밀는 극히 높게 되고 접점의 절환동작과 클릭감촉과의 연동성이 향상한다 또, 탄성부재와 요철부의 맞추기는 금속재로 된 제2의 빗살부를 접동면으로 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요철부가 마모에 의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연동성을 장기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8기재의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에 의하면 접동자편과 클릭용 판 스프링들은 동일의 금속평판에 외형이 벗겨진 것이므로 양자의 위치정밀도는 매우 높고 또 접동자편은 금속평판의 얇은부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가볍게 접촉압력을 실현할 수 있고, 한편 클릭용 판 스프링은 금속평판의 두터운부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무거운 접촉압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금속평판의 두터운부에 단자를 외형을 제거한 경우는 외력에 대해서 변형하기 어려운 단자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로터리 스위치 종단면도. 제2도는 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조작축의 측면도. 제4도는 조작축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으로 짜른 단면도. 제6도는 코드판의 정면도. 제7도는 코드판의 이면도. 제8도는 제7도의 B-B선으로 짜른 단면도. 제9도는 접동자 받침체의 정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로터리 스위치는 축받침(1)과 이 축받침(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축(2)과 이 조작축(2)에 일체화 된 코드판(3)과 접동자편(4)및 클릭용 판스프링(5)을 유지한 접동자 받침체(6)와 상기 축받침(1)과 접동자 받침체(6)들을 일체화한 부착판(7)등의 다섯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축받침(1)은 아연 다이캐스트 등의 금속재로 된 외주면에 나사가 새겨진 원통상의 축받침부(8)와 이 축받침부(8)에 연통하는 공간(9)을 가지는 수납부(10)들을 구비하고 이 수납부(10)의 네귀에는 위치 결정구멍(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 받침부(8)의 내주면에는 합성수지로 된 조작축(2)이 회전 자유롭게 축 지탱되어 있고 이 조작축(2)의 일단에는 대구경의 프렌지부(2a)가 일체형성됨과 동시에 프렌지부(2a)의 임의 위치에는 받침구멍(1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축(2)의 중심위치에는 단면원형의 소구경부(2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소구경부(2b)의 선단은 상기 프렌지부(2a)보다도 돌출하고 있다. 제3도 -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구경부(2b)의 주위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원환상의 찬상오목부(13)가 설치되어 있고 소구경부(2b)는 그 환상오목부(13)내를 360도의 전방향으로 변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축(2)에는 코드판(3)이 일체화되고 이 코드판(3)은 상기 축받침(1)의 공간(9)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코드판(3)은 전체적으로 원판상을 이루고, 합성수지재로 된 기판(14a)과, 이 기판(14a)에 아웃트서트된 금속박판으로 된 가동접점(15)과, 같은 기판(14a)에 아웃트서트된 금속박막으로 된 접동판(16)들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4a)의 증심에는 끼워 맞춤구멍(17)이 설치되어 바깥 가장자리에는 결락부(18)가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유지해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15)은 상기 끼워 맞춤구멍(17)과 중심을 일치하는 링크상의 커먼전극(15a)과 이 커먼전극(15a)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의 빗살부(15b)로 되고 이들 각 제1의 빗살부(15b)의 선단에 일체 형성된 폭이 넓은 제2의 빗살부(19)가 상기 접동판(16)으로 되어 있다. 각 접동판(16)은 상기 결락부(18)의 사이에 위치하여 있고 각 결락부(18)와 각 제1 및 제2의 빗살부(15b,19)들은 같은 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 가동접점(15)과 접동판(16)과는 후술하는 아웃트서트 성형법에 의해 기판(14)의 주면(표면)에 설치되어지나 그때 기판(14)의 이면에는 돌기(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돌기(20)는 상기 조작축(2)의 받침구멍(12)에 대해서 원주방향의 칫수는 같으나 반경방향의 칫수는 적게 설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코드판(3)은 그의 끼워 맞춤구멍(17)을 상기 소구경부(2b)로 압입하는 동시에 돌기(20)를 상기 받침구멍(12)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축(2)에 고정된다.
그때, 받침구멍(12)과 돌기(20)와의 사이에는 반경 방향으로 틈새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틈새에 의해 칫수오차가 흡수되어 조작축(2)의 회전력(결국 원주방향의 힘)은 중심의 끼워 맞춤구멍(17)과 바깥방향의 돌기(20)의 2개소의 압입부분을 통해서 코드판(3)으로 확실하게 전달된다.
상기 접동자 받침체(6)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표리양면의 각 네귀에는 위치결정 핀(21)이 돌출설치됨과 동시에 중심위치에서 축받침구멍(22)이 뚫어져 있고, 이 축받침구멍(22)과 상기 축받침부(8)의 각각의 중심은 조립시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착판(7)은 금속판으로 되고 이 부착판(7)에는 4개의 포지편(抱持片)(23)(제2도에서는 그중 2개를 생략)과 2개의 유지각(24)들이 서로 역방향으로 접혀져 형성됨과 동시에 네귀에 상기 각 위치결정 핀(21)에 대응하는 위치결정구멍(25)이 뚫어져 있다.
상기 축받침체(1)과 접동자 받침체(6)및 부착판(7)들은 각 위치결정 핀(21)을 상기 각 위치 결정구멍(11,25)에 삽입한 상태로 적층되어 각 포지편(23)을 수납부(10)의 능선에서 내측으로 접혀진 것에 의해 서로 접합 일체화 된다.
상기 접동자 축받침체(6)에는 제1의 도피구멍(26)과 제2의 도피구멍(27)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양 도피구멍(26,27)은 상기 축받침구멍(22)를 통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제2도 및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도피구멍(26)내에는 중앙에 볼록부(5a)를 가지는 반원상의 클릭용 판스프링(5)이 배치되어 있고, 이 클릭용 판스프링(5)의 양 고정단은 접동자 받침체(6)의 내부에 파묻혀져 있다.
한편, 상기 제2의 도피구멍(27)내에는 고정 접점으로 된 3개의 접동자편(4)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접동자편(4)의 고정단은 접동자 받침체(6)의 내부에 파묻힘과 동시에 각각 단자(28)로 해서 접동자 받침체(6)의 외부로 연장되어져 있다. 상기 클릭용 판 스프링(5)과 각 단자(28)는 두께 칫수가 약 0.25mm의 비교적 두꺼운 금속판으로 되고 상기 각 접동자 판(4)은 두께 칫수가 약 반인 0.12mm의 얇은 금속판으로 되고 이들 클릭용 판 스프링(5)과 접동자편(4) 및 단자(28)는 후술하는 아웃트서트 성형법에 의해 접동자 받침체(6)에 일체화 되어 있다.
클릭용 판스프링(5)은 자신의 강성에 의해 상기 코드판(3)의 요면에 압접되어 있고, 코드판(3)의 회전에 따라서 볼록부(5a)가 상기 결락부(18)에서 접동판(제2의 빗살부 19)에 얹히어 재차 결락부(18)에 떨어져 들어간다 하는 동작을 반복해서 클릭감촉을 발생한다. 이 경우 클릭용 판 스프링(5)은 두꺼운 금속판으로 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접동압으로 코드판(3)과 접속하여 필요로 되는 작동력(클릭감촉)이 얻어진다. 또 각 접동자편(4)중 축받침구멍(22)에 가장 가까운 제1의 접동자편(4a)은 상기 코드판(3)의 커먼전극(15a)에 압접되고 나머지 2개의 제2 및 제3 접동자편(4b,4c)은 상기 제1의 밧살부(15b) 또는 각 제1의 빗살부(15b)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기판(14a)의 표면에 압접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접동자편(4a, 4b, 4c)은 얇은 금속판으로 되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접동압으로 코드판(3)과 접속하여 접점의 장수명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들 제2 및 제3의 접동자편(4b,4c)과 코드판(3)과의 접촉포인트는 원주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의 접동자편(4b)이 A상검출용, 제3의 접동자편(4c)이 B상 검출용으로 해서 대응하는 단자(28)에서 꺼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 각 단자(28)는 두꺼운 금속판으로 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축(2)에 설치된 소구경부(2b)의 선단은 접동자 받침대(6)의 축받침구멍(22)으로 회전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걱 있고 조작부(2)는 소구경부(2b)의 선단을 축받침구멍(22)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외주면을 축받침(1)의 축받침부(8)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일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축(2)에 외력을 작용시키지 않을 때 코드판(3)은 클릭용 판 스프링(5)의 볼록부(5a)가 결락부(18)내로 떨어겨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경우 제1의 접동자편(4a)은 커먼전극(15a)과 접촉하여 제2 및 제3의 접동자편(4b,4c)은 각 제1의 빗살부(15b)의 중간기판(14a)표면과 접촉되어 있고, 기판(14a)이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이기 때문에 제1의 접동자편(4a)과 제2 및 제3의 접동자편(4b,4c)과의 사이는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축(2)을 손가락 등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코드판(3)도 동시에 회전한다.
이 경우 조작축(2)은 축받침(1)의 축받침부(8)에 의해 덜거덕거리지 않고 회전을 할 수 있게 되고 또 소구경부(2b)는 접동자 받침체(6)의 축받침구멍(22)에 의해 위치결정(센터링)되어 있기 때문에 소구경부(2b)로 끼워 맞추어겨 고정된 코드판(3)과 접동자 받침체(6)로 일체화된 클릭스프링(5)및 각 접동자편(4a-4c)과의 상대위치는 고정밀도로 유지되어져 있다.
또 조작축(2)의 형성시에 소구경부(2b)가 축심에 대해서 편심해 있어도 이 편심은 조립시에 소구경부(2b)가 환상오목부(13)내를 변동하는 것에 의해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코드판(3)이 회전하면, 이 회전동작 중 제1의 접동자편(4a)은 상시 커먼전극(15a)상을 접속하여 미끄러지지만, 제2의 접동자편(4b)은 기판(14)의 표면에서 제1의 빗살부(I5b)상에 접촉하고 또 기판(14a)의 표면과 제1의 빗살부(15b)에의 접촉을 반복해간다. 같은 모양으로 제3의 접동자편(4c)도 기판(14a)의 표면과 제1의 빗살부(15b)에의 접촉을 반복해 간다. 제2의 접동자편(4b)이 제1의 빗살부(15b)로 접촉하면, 커먼전극(15a)과 제1의 빗살부(15b)를 통해서 제1 핀 제2의 접동자편(4a,4b)사이가 도롱하기 때문에 이들 양 접동자편(4a,4b)에 접속된 단자(28)에서 A상 신호용 펄스가 검출된다. 또 제3의 접동자편(4c)이 제1의 빗살부(15b)에 접촉하면 커먼전극(15a)과 제1의 빗살부(15b)를 통해서 제1 및 제3의 접동자편(4a.4b)이 도통하기 때문에 이들 접동자편(4a,4c)에 접속된 단자(28)에서 B충 신호용의 펄스가 검출된다. 제1의 빗살부(15b)에 대해서 제2의 접동자편(4b)과 제3의 접동자편(4c)의 어느쪽이 먼저 접촉하는가는 코드(3)의 회전 방향에 의해 반대로 되기 때문에 A상신호와 B상신호의 상승 펄스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코드판(3)의 회전방향이 검출되고 또 펄스수를 카운터 하는 것에 의해 코드판(3)의 회전량이 검출된다.
상기와 같은 코드판(3)이 회전하면 클릭용판 스프링(5)의 볼록부(5a)는 접동판(16)을 타고 넘어서 옆의 결락부(18)내로 떨어겨 들어가는 동작을 반복하고 그때에 클릭(절도)감촉이 발생된다.
결락부(18)와 접동판(16)의 수는 제1의 빗살부(15b)의 수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볼록부(5a)가 하나의 접동판(16)을 타고넘어서 옆의 결락부(17)로 떨어져 들어갈적에 제1의 접동자편(4a)과 제2 및 제3의 접동자편(4b,4c)들은 1회씩 도통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축(2)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킨 경우는 제1의 접동자편(4a)과 제2 및 제3의 접동자편(4b,4c)과의 도통회수와 동수의 클릭감촉이 코드판(3)을 통해서 조작축(2)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상기 코드판(3)의 제조방법을 주로 제10도와 제11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인청동 등으로 되는 금속평판에 프레스가공을 시행해서 외형을 뽑고 제10도에 나타난 블랭크재(29)를 얻는다. 이 블랭크재(29)에는 상기 커먼전극(15a)과 제1의 빗살부(15b) 및 제2의 빗살부(19)의 외형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1의 빗살부(15b)와 제2의 빗살부(19)와의 사이에서 이들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한 판상부(30)가 형성된다. 또 제2의 빗살부(19)의 바깥쪽에 기준구멍(31)을 가지는 프레임부(32)가 형성되고 이 프레임부(32)와 상기 제2의 빗살부(19)와는 4개소의 연결부(33)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블랭크재(29)에 은 도금을 시행한 후, 상기 기준구멍(31)을 위치결정 기준으로 해서 블랭크재(29)에 도시되지 않는 사출 성형금형으로 공급하고 그 사출성형 금형의 빈곳에 용융 수지를 충진한다. 그때 블랭크재(29)에는 수지압이 작용하나 제1 및 제2의 빗살부(15b,19)는 환상부(3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빗살부(15b,19)가 변형하지 않는다.
상기 용융수지를 냉각, 고화한 후, 형틀을 열어서 블랭크재(29)를 꺼내면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랭크재(29)에 상기 기판(14a)이 밀착한 상태로 아웃트서트 성형된다. 최후로 블랭크재(29)의 각 연결부(33)를 제11도의 파선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코드판(3)이 얻어 진다.
다음에 상기 접동자 받침체(6)의 제조방법을 주로 제12도 - 제14도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인청동 등의 탄성이 풍부한 금속평판을 절삭가공-흑은 압연가공을 시행하는 것에 의해 제1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터운부(34a)와 얇은부(34b)를 가지는 이형재(34)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터운부(34a)의 두께 칫수는 0.25mm 정도, 얇은부(34b)의 두께 칫수는 그 반인 0.12mm 정도이다. 이어서 상기 이형재(34)에 은 도금을 시행한 후 이 이형재(34)에 프레스 가공을 시행해서 외형을 롭아서 제13도에 나타난 불랭크재(35)를 얻는다.
이 블랭크재(35)에는 상기 접동자편(4)과 단자(28)및 클릭용 판 스프링(5)의 외형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준구멍(36)을 가지는 프레임부(37)가 형성되고 양자는 복수의 연결부(38)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접동자편(4)는 상기 얇은부(34b)에 클릭용 판 스프링(5)과 단자(28)는 상기 두터운부(34a)로 각각 외형이 뽑아진다.
그러한 후, 상기 블랭크재(35)를 각 기준구멍(36)을 위치 결정 기준으로 해서 도시되지 않는 사출성형금형으로 공급하고 그 사출성형금형의 빈곳에 용융수지를 충진한다.
이 용융수지를 냉각, 고화한후, 형틀을 열어서 블랭크재(35)를 꺼내면 제1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랭크재(35)에 상기 접동자 받침체(6)가 밀착한 상태로 아웃트서트 성형된다. 최후로 접동자편(4)과 클릭용 판 스프링(5)은 각각의 기부에서 구부려져 일으킴과 동시에 단자(28)을 직각으로 접어서 각 연결부(38)을 제14도의 파선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에 의해 얇은 접동자편(4)과 두터운 클릭용 판 스프링(5) 및 단자(28)들을 구비한 접동자 받침체(6)가 얻어 진다.
또한 이 절단후의 상태에 있어서 접동자편(4)과 클릭용 판스프링(5)과는 전기적으로 오픈이고 또 각 접동자편(4)은 대응하는 단자(28)와 접동자 받침체(6)의 내부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축(2)의 소구경부(2b)를 접동자 받침체(6)의 축받침구멍(22)으로 지지했으나 소구경부(2b)를 위치결정하는 부재는 접동자 받침체(6)이외의 것 예를들면 부착판(7)이라도 좋고 또는, 축받침(1) 및 접동자편(4)과 고정관계인 부재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드판(3)의 결락부(18)와 제2의 빗살부(19)(접동판16)들에 걸려지거나 벗겨지는 탄성부재로해서 탄성판을 형성한 클릭용 판 스프링(5)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스프링과 판스프링 등으로 탄성의 힘이 가해진 볼을 이용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동접점(15)과 접동판(16)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서 접동자편(4)과 클릭용 판스프링(5)은 전기적으로 절연했으나, 클릭용 판스프링(5)이 접속하여 미끄러지는 부재와 가동접점(15)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면 접동자편(4)과 클릭용 판스프링(5)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기판과 접동자편들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조작축의 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의 절찬과 클릭감촉과의 연동성을 오랜기간에 걸쳐서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는 클릭감촉 부착된 조작가능한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고정부재에 로지된 접동자편과, 이 접동자편에 접접하는 회전기판과, 이 회전기판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축과, 이 조작축의 바깥둘레를 지탱하는 축받침을 구비한 전기부품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의 중심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환상오목부를 통해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가요성을 가지는 소구경부를 설치하고, 이 소구경부에 상기 회전기판의 중심부를 끼워 맞추어 고정함과 동시에 이 소구경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받칟부에 회전자유롭게 지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축에 오목부 또는 복록부의 어느쪽인가 한쪽을 형성하고, 회전기판에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어느쪽인가 한쪽과 요철 끼워 맞추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어느쪽인가 다른쪽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에 설치된 볼록부 혹은 오목부의 원주방향의 칫수는 상기 회전기판에 설치된 볼록부 혹은 오목부의 칫수와 거의 같고, 반경방향의 칫수는 오목부가 볼록부에 비해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3. 회전자유로운 회전기관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과, 이들 가동접점에 접속 격리 가능한 접동자편과, 상기 회전기판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와, 이들 오목부에 걸리거나 벗겨지기 가능한 판스프링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기판이 회전할 때,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접동자편들이 접속 격리하는 것에 의해 접점의 절환이 행하여져 상기 오목부와 상기 판스프링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것에 의해 클릭감촉이 발생하는 클릭감촉부착 전기부품에 있어서, 상기 접동자편과 상기 판스프링은 일체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기부를 합성수지제의 기대로 파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감촉부착된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자편과 상기 판스프링이 형성된 금속판에 외부신호 꺼내기용 단자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클릭감촉부착된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5. 회전자유로운 회전기판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과, 이들 가동접점에 접속 격리 가능한 접동자편과, 상기 회전기판에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와, 이들 오목부에 걸리거나 벗겨지기 가능한 탄성부재들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기판이 회전할 때,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접동자편이 접속, 격리하는 것에 의해 접점의 절환이 행하여지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탄성부재들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것에 의해 클릭감촉이 발생하는 클릭감촉부착된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판이 합성수지제의 기판과, 이 기판에 아웃트서트된 금속판으로되며, 이 금속판에 상기 가동접점을 형성하는 제1의 빗살부와 상기 각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접동면을 형성하는 제2의 빗살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감촉부착된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제1의 빗살부와 제2의 빗살부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한 환상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감촉부착된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7. 제5항에 있어서, 제1의 빗살부와 오목부의 수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감촉부착된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8. 두터운부와 얇은부를 가지는 금속평판과, 상기 금속평판의 두터운부에 형성된 클릭용_판 스프링과, 상기 얇은부에 형성된 접동자편과, 상기 금속평판을 유지하는 기대와, 상기 기대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접동자편과 클릭스프링이 접촉하여 미끄러짐과 동시에 접촉하여 미끄러짐에 따라서 전기신호 및 클릭감촉을 일으키는 소자부들을 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금속평판의 두터운부에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10. 제8항에 있어서, 소자부에는 접동자편과 소자부의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 복수의 접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동자편은 접동자편과 소자부와의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방향에 대해서 접촉위치가 어긋나 있음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2, 제3의 접동자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
  11. 금속평판에서 얇은부와 두터운부들을 가지고 이형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얇은부에 접동자편의 외형을 프레스 뽑기함과 동시에 상기 두터운부에 클릭용_판 스프링의 외형을 프레스 뽑기해서 블랭크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이 블랭크재를 합성수지제의 기대에 아웃트서트하는 공정과, 상기 블랭크재의 불용부분을 절단하는 공정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감촉 부착된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재와 상기 접동자편에 연속하는 단자를 가지고 이 단자를 상기 두터운부에 프레스 뽑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감촉 부착된 조작가능한 전기부품의 제조방법.
KR2019920024447U 1991-12-11 1992-12-04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KR2001424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50423A JP3037806B2 (ja) 1991-12-11 1991-12-11 クリック感触付き電気部品の製造方法
JP91-109294 1991-12-11
JP91-109293 1991-12-11
JP1991109294U JP2553973Y2 (ja) 1991-12-11 1991-12-11 クリック感触付きロータリスイッチ
JP91-350423 1991-12-11
JP91-109292 1991-12-11
JP1991109293U JP2553972Y2 (ja) 1991-12-11 1991-12-11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1991109292U JP2553971Y2 (ja) 1991-12-11 1991-12-11 クリック感触付きロータリ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48U KR930016048U (ko) 1993-07-28
KR200142407Y1 true KR200142407Y1 (ko) 1999-06-01

Family

ID=7219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24447U KR200142407Y1 (ko) 1991-12-11 1992-12-04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15B1 (ko) * 2001-08-02 2005-05-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형 전기부품
KR100649515B1 (ko) * 2003-12-05 2006-11-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액정 텔레비젼 및 액정모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15B1 (ko) * 2001-08-02 2005-05-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형 전기부품
KR100649515B1 (ko) * 2003-12-05 2006-11-2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액정 텔레비젼 및 액정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48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1587A (en) Rotary switch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438172A (en) Zero backlash position encoder
EP1028446A2 (en) Combined push-to-activate and rotary switch
EP0874382B1 (en) Rotary-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JPH1041107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2007123459A (ja) 回転型電気部品
KR200142407Y1 (ko) 조작 가능한 전기부품과 그 제조방법
US20050138822A1 (en) Encoder
US4739300A (en) Rotary type electronic part
JP2004362979A (ja) スイッチ装置
JP3037806B2 (ja) クリック感触付き電気部品の製造方法
JP2553972Y2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3589269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S62237357A (ja) 回転センサ
US6946979B1 (en) Encoder having electrode pattern with pairs of non-conductive portions and multiple sliders that contact the electrode pattern
JP2553973Y2 (ja) クリック感触付きロータリスイッチ
US4771149A (en) Compact rotary switch
JP3296673B2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H0518212B2 (ko)
JP2553971Y2 (ja) クリック感触付きロータリスイッチ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3988242B2 (ja) インクリメンタル式回転操作型エンコーダ
JP2583867Y2 (ja) クリック感触付きロータリスイッチ
JP2000123683A (ja) 操作軸収納型電気部品
JP3467371B2 (ja) 回転型パルス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