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004B1 - 차량용 오디오/비디오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디오/비디오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8004B1 KR100488004B1 KR10-2003-0037364A KR20030037364A KR100488004B1 KR 100488004 B1 KR100488004 B1 KR 100488004B1 KR 20030037364 A KR20030037364 A KR 20030037364A KR 100488004 B1 KR100488004 B1 KR 100488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pivot arm
- ring gear
- rear transfer
- g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모터로 모니터를 0°~ 90°틸팅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모터로 모니터를 0°~ 90°틸팅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이하, AV 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로서, 예컨대 공개특허 제2000-33789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71289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모터의 회전동력을 랙과 이 랙에 부착된 틸트 가이드 및 이 틸트 가이드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힌지로 구성된 전후이송기구에 의해 모니터를 밀고 당김으로써, 모니터를 틸팅하게 된다.
그런데, 모니터가 90°로 틸팅된 후에는 들어올리는 리프트수단이 없이 처음 위치로 틸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의 틸팅 각도(예컨대 52°)가 제한 받기 때문에, 테이프 데크(tape deck)(103)만을 장착하고 있어 CD 체인저(105)를 별도로 장착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틸팅 각도의 제한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모니터 틸팅 장치로서, 등록특허 제345281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13032호의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모니터 틸팅 장치는 종래의 하나의 모터 대신에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하는데, 하나의 모터는 모니터의 하단을 밀고 당기는 전후이송기구에, 다른 하나의 모터는 모니터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리프트기구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모니터를 90°틸팅시킬 수 있다.
이처럼, 모니터를 90°로 틸팅하기 위해 2개의 모터의 사용되는데, 각 모터에는 전후이송기구와 리프트기구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서, AV시스템의 부피가 커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특히 고급차종에 사용하기 부적합 뿐 아니라 부품의 수가 증가함에 따른 작업성이 비능률적이고 고비용으로 차량의 전체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가 45°정도 기울인 동안에는 리프트기구인 피봇암이 가이드에 배치되어 있지만, 모니터가 45°보다 크게 기울어진 경우 피봇암이 가이드에서 벗어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다시 모니터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려면 모니터를 들어올리고 후방으로 당겨 가이드로 위치시키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간소한 메커니즘을 통해 모니터를 90°로 틸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모니터를 틸팅하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모터; 상기 모니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의 하측을 전후 이송시키는 전후이송기구; 상기 모니터가 90도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송기구의 후방 이송시 상기 모니터를 상방으로 쳐주는 리프트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간소한 메커니즘을 통해 모니터를 90°로 틸팅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리프트기구는 일단이 상기 모니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돌기에 배치되는 피봇암; 상기 피봇암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전후이송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피봇암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피봇암의 일단의 회전궤적을 상하직선으로 안내하는 상하궤적결정부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봇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포획하는 포획부재가 더 설치되면, 차량의 운행 등에 따른 모니터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선기어; 상기 전후이송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자전하는 더블피니언; 상기 피봇암이 설치된 채 상기 더블피니언에 연결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되, 90도 틸팅된 상기 모니터를 후방으로 이송시킬 때, 상기 전후이송기구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링기어의 고정에 따른 더블피니언이 공전하는 유성기어타입으로 전환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피봇암이 상기 돌기를 상방으로 쳐주면서 상기 링기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간단한 메커니즘으로 구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후이송기구는 상기 링기어의 회전동력을 제공받는 랙과, 선단은 상기 모니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랙에 결합되는 전후이송레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틸팅 장치를 갖는 차량용 AV시스템에서 모니터가 0°인 상태를 사시도이고, 도 2는 모니터가 0°인 상태에서 모니터 틸팅 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유성기어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틸팅 장치를 갖는 차량용 AV시스템에서 모니터가 90°인 상태를 사시도이고, 도 6은 모니터가 0°인 상태에서 모니터 틸팅 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AV시스템은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의 전면(102)에 배치되는 모니터(120)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다. 이 전면(102)에는 테이프 데크(103)와 CD 체인저(1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니터(120)를 0°~90°로 틸팅시키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20)의 하측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기구(300), 모니터(120)를 상방으로 쳐주는 리프트기구(500) 및 전후이송기구(300)에 동력을 전달하는 하나의 모터(700)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리프트기구(500)는 크게 동력전달부재(530), 모니터(120)와 동력전달부재(530)를 연통시키는 피봇암(510) 및 피봇암(510)을 슬라이딩과 상하로 안내하는 상하궤적결정부재(550)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전달부재(530)는 콤팩트한 구조인 유성기어유닛(530)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 유성기어유닛(5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기어(531), 링기어(53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선기어(533), 링기어(531)와 선기어(533)에 개재되는 더블피니언(535a)(535b) 및 더블피니언(535a)(535b)에 연결되는 캐리어(537)로 구성된다.
링기어(531)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00) 상에 설치된 회전중심축(240) 상에 배치되고, 그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각각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선기어(533)는 모터(70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받는 후술된 제4기어(539)와 같은 회전중심축(240) 상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4기어(539)가 회전하면 회전중심축(240)이 회전하고 선기어(533)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선기어(533)가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원의 기능을 한다.
더블피니언(535a)(535b)은 선기어(533)와 링기어(531)에 동시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선기어(533)가 회전(자전)되면, 링기어(531)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더블피니언(535a)(535b) 각각도 자전한다. 이 자전하는 더블피니언(535a)(535b)에 의해 캐리어(537)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선기어(533)는 감속기어유닛을 통해 모터(70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즉, 감속기어유닛은 모터(700)의 웜(710)과 치합되는 제1축 상에 배치되는 웜기어(720a)와 제1평기어(720b)로 구성된 제1기어유닛(720)과, 제1평기어(720b)와 치합되는 제2기어(730)와 제2'기어(740), 제2'기어(740)와 치합되는 제3기어(750), 제3기어(750)와 치합되는 제4기어(539)가 지지플레이트(2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다. 이 제4기어(539)가 최종적으로 선기어(533)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유성기어유닛(53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모니터(120)가 90도로 틸팅될 때까지 선기어(533), 더블피니언(535a)(535b), 링기어(531)는 자전하고, 캐리어(537)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움직이지 않는 캐리어(537)에 의해 리프트유닛(500)도 돌기(130)의 누름에 의해 선회(이 선회를 '자중선회'라 합니다)되게 된다. 다시 모니터(120)를 0도(제위치)로 틸팅할 때에는, 모니터(120)가 90도 틸팅되어 있어서, 모니터(120)를 후방으로 이송시킬 때, 후술된 전후이송기구(30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후이송기구(300)와 연결된 링기어(531)가 일시 정지 또는 고정되면서, 선기어(533)의 자전에 의해 더블피니언(535a)(535b)이 링기어(531)를 타고 공전하게 된다. 이 더블피니언(535a)(535b)은 캐리어(537)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피봇암(510)도 선회(이 선회를 '리트팅선회' 라 합니다)하게 되면서 돌기(130)를 상방으로 쳐주게 된다. 그러면, 모니터(120)가 살짝 들리게 되면, 링기어(531)의 정지/고정이 해제되어 전후이송기구(300)에 의해 다시 제위치로 틸팅하게 된다. 이 순간부터는 돌기(130)가 후술된 포획편(600a)을 들고 올라가다가 포획편(600a)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돌기(130)가 벗어나면, 리프트유닛(500)은 원위치에 배치되면서 피봇암(510)의 선회는 멈추게 된다.
이처럼, 모니터를 쳐줄 때에만 유성기어타입으로 전환되어, 간소한 메커니즘으로 간단히 90도 틸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피봇암(510)은 모니터(12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돌기(130)와 캐리어(538)에 설치된다. 즉, 피봇암(510)의 선단측에는 돌기(130)를 리프팅하는 U자형의 리프팅홈(510a)이 형성되고, 피봇암(510)의 중심 부근에는 캐리어(537)에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53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롯(590)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리프팅홈(510a)의 크기는 돌기(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로 움직이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중에 의해 또는 캐리어(537)에 의해 피봇암(510)이 자중선회 가능하도록, 피봇암(150)의 타단에는 지지플레이트(200) 상에 돌출된 지지축(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5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봇암(510)의 중심에는 피봇암(510)의 자중선회시 중심축(240)과 간섭되지 않도록 피봇암(510)의 자중선회에 따른 중심축(240)의 상대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일정형상의 슬롯(580)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상하궤적결정부재(550)는 크게 슬라이딩유닛과 상하직선안내유닛(560)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유닛은 전술한 슬롯(590)과 지지부(585)에 의해 구현되고, 상하직선안내유닛(560)은 지지플레이트(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슬롯(561)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이 슬롯(561)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561a)가 피봇암(5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유닛과 상하직선안내유닛(560)을 통하여, 전후이송기구(300)가 모니터(120)를 전방으로 계속 밀게 되면, 돌기(130)가 리프팅홈(510a)에 들어오면서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축(220)을 중심으로 피봇암(510)이 자중선회하게 된다. 피봇암(510)이 회전되면, 안내돌기(561a)가 슬롯(561)을 따라 하강하기 때문에 리프팅홈(510a)이 원호를 그리지 않고 직선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이 지름의 변화를 허용하도록 지지부(585)와 슬롯(590)을 통해 회전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피봇암(510)의 선단은 일직선으로 하강하게 되어, 틸팅되는 모니터(12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전후이송기구(300)는 링기어(531)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랙(310) 및 전후이송부재(320)로 구성된다. 전후이송부재(320)는 일단은 힌지(350a)에 의해 모니터(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랙(310)이 결합되는 제1전후이송레버(330a)와, 일단은 힌지(350b)에 의해 모니터(1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전후이송레버(330b)및 제1전후이송레버(330a)와 제2전후이송레버(330b)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랙(310)은 링기어(531)와 맞물린 기어(410)와 동축 상에 있는 피니언(430)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랙(310)이 전후로 이송되면 전후이송부재도 함께 전후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연결프레임(340) 상에는 90도 틸팅된 모니터(120)가 배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나의 모터와 유성기어타입을 통해 전후이송기구(300)와 리프트기구(500)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 틸팅 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소화시킬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또한, 피봇암(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돌기(130)를 포획하는 포획부재(60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획부재(600)는 전술한 피봇암(510)과 유사한 형상으로서, 선단에는 전후로 상부보다 하부가 더 큰 홈이 형성된 포획편(600a)이 설치되고, 타단에는 피봇암(510)에 천공 설치된 슬롯(570)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돌기(6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봇암(510)이 아래로 자중선회하게 되면, 포획부재(600)도 선회하면서 슬라이딩돌기(61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슬라이딩을 통해 포획편(600a)이 돌기(130)의 상단을 차단하게 되어, 돌기(130) 전체가 리프팅홈(510a)과 포획편(600a)에 의해 포획하게 된다. 돌기(130)가 포획되면, 차량의 주행이나 기관 등의 진동에 따른 모니터(120)의 떨림 현상을 완전히 잡아줄 수 있어, 모니터의 틸팅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 포획편(600a)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포획부재(600)를 원위치로 배치시키는 기능도 한다.
또한, 포획부재(600)도 상하직선안내유닛(560) 상에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슬롯(563)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563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안내슬롯(563)은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 부분이 후방쪽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포획편(600a)이 아래로 향할 때 어느 정도 포획부재(6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를 위해, 안내돌기(563a)도 피봇암(510)에 설치된 슬롯(536b)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120)의 CLOSE 상태(0°)인 초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20)가 하우징(100)의 전면(102)을 막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의 모니터 틸팅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700)를 구동하면, 모니터(120)는 하단이 전방으로 나오면서 상단이 직선을 유지한 채 하방으로 내려오게 된다. 즉, 웜(710)에 연속적으로 맞물린 감속기어유닛(7200)(730)(740)(750)(539)을 통해 유성기어유닛(530)의 선기어(533)에 전달된다.
이어서, 선기어(533)가 회전됨에 따라 더블피니어(535a)(535b)를 통해 링기어(531)가 회전하고, 링기어(531)의 외주면에 맞물린 기어(410)와 동일축 상에 있는 피니언(430)이 랙(310)을 전방으로 직선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모니터(120)의 하단은 전후이송부재(320)에 의해 전방을 향해 나오게 된다. 모니터(120)가 약 60도 정도 틸팅될 때 돌기(130)가 리프팅홈(510a)에 들어가 누르게 되면서 피봇암(510)이 자중선회하게 된다. 이 자중선회에 따라 피봇암(510)은 전술한 슬라이딩유닛과 상하직선안내유닛(560)의 제어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이, 링기어(531)의 회전에 따른 전후이송부재(320)의 직선이송과 피봇암(510)의 자중선회가 이루어짐에 따라, 모니터(120)는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면(102)으로부터 90°틸팅된 완전한 OPEN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피봇암(510)의 자중선회에 따라 안내돌기(563a)가 경사진 안내슬롯(563)에서 직선구간인 안내슬롯(563)에 이를 때까지 포획링크(600b)가 슬라이딩하게 되면서 돌기(130) 전체를 감싸 포획하게 된다. 그리고, 직선구간인 안내슬롯(563)부터는 돌기(130)를 포획한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완전 OPEN된 상태의 모니터(120)를 다시 CLOSE 시킬 경우, 모터(7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기어(531)를 통해 랙(310)이 후방으로 이송되려고 한다. 그러나, 모니터(120)와 전후이송부재(320)는 서로 동일 선상에서 나란히 위치해 있어 모니터(120)가 들리려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랙(310)을 통해 링기어(531)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링기어(531)가 고정되는 유성기어타입으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선기어(533)의 회전에 의해 더블유성기어(535a)(535b)가 링기어(531)에 대해 공전하게 되어, 캐리어(537)가 회전하게 된다. 캐리어(537)의 회전은 피봇암(510)을 리프팅선회하도록 한다. 따라서, 피봇암(510)의 리프팅홈(510a)은 돌기(130)를 위쪽으로 쳐주게 되면서 모니터(120)를 살짝 들어 올려주게 된다. 그러면, 링기어(531)의 일시 정지는 해제되고(이때, 피봇암(510)은 돌기(130)가 포획편(600a)에서 벗어날 때까지 자중선회되어 원위치로 배치된다) 다시 전후이송부재(320)가 후방으로 계속 당기게 되어, 모니터(120)의 CLOSE 동작이 완료되어 도 2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봇암(510)의 리프팅홈(510a)이 일시적으로 돌기(130)를 쳐주기 때문에, 모니터(120)의 90°틸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니터(120)가 하우징(100)의 전면(102)으로부터 90°틸팅된 완전한 OPEN 상태가 가능해짐에 따라 본체(100)의 전면(102)이 모니터(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완전히 노출되어 기존의 카세트테이프장치 외에 CD장치까지 함께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있다.
첫째, 하나의 모터로 전후이송기구와 리프트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①장치의 간소화를 통한 AV시스템의 콤팩트를 구현하여 인스트루먼트에 차지하는 공간도 좁아 모든 차종에 적용할 수 있고, ②모니터의 90°틸팅동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하우징 전면 공간이 크게 확장되어 카세트테이프 장치 및 콤팩트 디스크(CD) 장치 등의 다양한 오디오장치를 함께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③CD장치를 AV 시스템 내에 일체로 통합 장착됨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 비디오 장치들이 통합된 AV 시스템 구현이 가능해지고, 동시에 종래의 차량 실내에 별도로 장착하여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하던 복잡한 구조가 배제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의 활용성이 향상되고 금형비 절감에 따른 생산원가가 줄어들게 되며, ④리프트기구의 작동 메커니즘이 단순해질 수 있다.
둘째, 전후이송기구와 리프트기구의 작동을 유성기어유닛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AV시스템의 콤팩트 구현이 보다 확실히 행해질 수 있다.
셋째, 피봇암에 포획부재가 설치됨으로써, ①모니터가 불안정한 틸팅 상태에서도 모니터를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차량에서 전달되는 진동 등에 의한 모니터의 떨림을 해소시킬 수 있고 ②포획편은 리프터를 원래의 위치로 배치시키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모니터의 돌기가 피봇암의 홈에 배치된 상태로 있어 모니터의 탈거가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틸팅 장치를 갖는 차량용 AV시스템에서 모니터가 0°인 상태를 사시도.
도 2는 모니터가 0°인 상태에서 모니터 틸팅 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유성기어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틸팅 장치를 갖는 차량용 AV시스템에서 모니터가 90°인 상태를 사시도.
도 6은 모니터가 0°인 상태에서 모니터 틸팅 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02 : 전면
120 : 모니터 130 : 돌기
300 : 전후이송기구 310 : 랙
320 : 전후이송부재 330a,330b : 전후이송레버
340 : 연결프레임 350a,350b : 힌지
500 : 리프트기구 510 : 피봇암
510a : 리프팅홈 530 : 유성기어유닛
531 : 링기어 533 : 선기어
535a,535b : 더블피니언 537 : 캐리어
550 : 상하궤적결정부재 560 : 상하직선안내유닛
600 : 포획부재 600a : 포획편
700 : 모터
Claims (5)
-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모니터를 틸팅하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에 있어서,하나의 모터;상기 모니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의 하측을 전후 이송시키는 전후이송기구;상기 모니터가 90도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이송기구의 후방 이송시 상기 모니터를 상방으로 쳐주는 리프트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기구는일단이 상기 모니터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돌기에 배치되는 피봇암;상기 피봇암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전후이송기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상기 피봇암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피봇암의 일단의 회전궤적을 상하직선으로 안내하는 상하궤적결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포획하는 포획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선기어; 상기 전후이송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자전하는 더블피니언; 상기 피봇암이 설치된 채 상기 더블피니언에 연결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되,90도 틸팅된 상기 모니터를 후방으로 이송시킬 때, 상기 전후이송기구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링기어의 고정에 따른 더블피니언이 공전하는 유성기어타입으로 전환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피봇암이 상기 돌기를 상방으로 쳐주면서 상기 링기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기구는 상기 링기어의 회전동력을 제공받는 랙과, 선단은 상기 모니터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랙에 결합되는 제1전후이송레버; 선단은 상기 모니터의 타측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전후이송레버; 상기 제1전후이송레버와 상기 제2전후이송레버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AV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7364A KR100488004B1 (ko) | 2003-06-11 | 2003-06-11 | 차량용 오디오/비디오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7364A KR100488004B1 (ko) | 2003-06-11 | 2003-06-11 | 차량용 오디오/비디오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6134A KR20040106134A (ko) | 2004-12-17 |
KR100488004B1 true KR100488004B1 (ko) | 2005-05-09 |
Family
ID=3738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7364A KR100488004B1 (ko) | 2003-06-11 | 2003-06-11 | 차량용 오디오/비디오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880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0561B1 (ko) | 2005-04-08 | 2007-01-17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구조 |
KR100821678B1 (ko) * | 2007-04-18 | 2008-05-02 | (주)에프엠에스 | 차량의 av시스템용 모니터 틸팅장치 |
-
2003
- 2003-06-11 KR KR10-2003-0037364A patent/KR1004880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6134A (ko) | 2004-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82157B2 (en) | Panel driving device | |
JPH0341756Y2 (ko) | ||
KR100488004B1 (ko) | 차량용 오디오/비디오시스템의 모니터 틸팅 장치 | |
CN213990970U (zh) | 耳机盒 | |
KR100500293B1 (ko) | 차량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모니터 틸팅 장치용 리프터 | |
JP4586000B2 (ja) | 雲台機能付きクレードル | |
US20010013744A1 (en) | Electronic appliance | |
JP2000036186A (ja) | 電気機器 | |
JP2004025967A (ja) | 蓋体の開閉機構 | |
CN112669538A (zh) | 一种具有自动外摆门的自助售药机 | |
JP3120699B2 (ja) | スライドドア駆動ユニット | |
JP2773736B2 (ja) | 電子機器傾斜機構 | |
JP3930609B2 (ja) | 電子機器におけるフロントパネルの作動機構 | |
JP4348621B2 (ja) | 開閉アーム式クレーンゲーム機 | |
JP4062584B2 (ja) | クレーンゲーム機 | |
CN216977142U (zh) | 用于导风板的运动组件、驱动盒 | |
JP2000160929A (ja) | 跳ね上げ式車両ドアの開閉装置 | |
CN213634689U (zh) | 一种具有自动外摆门的自助售药机 | |
JPS6343660Y2 (ko) | ||
JP2621055B2 (ja) |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 |
JPS634197Y2 (ko) | ||
JPS59180845A (ja) |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カセツト移動用駆動装置 | |
JPS58177713A (ja) | 開閉ル−フ式自動車の可動ル−フ操作制御装置 | |
JP3864147B2 (ja) | スライドドア用の可動ヒンジ機構 | |
CN117302002A (zh) | 一种带有自夹紧结构的折叠式水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4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