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784B1 -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784B1
KR100485784B1 KR10-2002-0065236A KR20020065236A KR100485784B1 KR 100485784 B1 KR100485784 B1 KR 100485784B1 KR 20020065236 A KR20020065236 A KR 20020065236A KR 100485784 B1 KR100485784 B1 KR 10048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link member
magnetic tape
base assembly
po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274A (ko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784B1/ko
Priority to US10/679,390 priority patent/US7032852B2/en
Priority to JP2003355137A priority patent/JP2004146044A/ja
Priority to CNB2003101027037A priority patent/CN100373490C/zh
Priority to EP03256727A priority patent/EP1414032A3/en
Publication of KR2004003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와 같은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베이스 조립체와 그 구동부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에 엠보싱 가공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돌출부가 폴베이스 조립체 구동시 가이드레일 저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가이드레일에 대한 링크부재의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평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 동작에 대한 유연성과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A Magnetic Tape Extending Device of Tape Recorder }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에 접촉주행되도록 안내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드럼 안착면(15)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 샤시(11)와, 그 메인 샤시(11)에 슬라이딩되는 서브 샤시(12)를 가지는 무빙 데크(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샤시(11)와 상기 서브 샤시(12)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마련된 가이드레일(16a)(16b)이 설치되고,자기테이프를 헤드드럼(1)으로 인출하여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17)가 상기 가이드레일(16a)(16b)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메인 샤시(11)에 마련된 구동원(13)의 동력으로 인해 서브 샤시(12)가 헤드드럼(1) 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각 가이드레일(16a)(16b)이 연결되어 폴베이스 조립체(17)의 이동경로를 이루게 된다. 그 이동경로를 따라 폴베이스 조립체(17)가 구동원(13)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면서 자기테이프를 헤드드럼(1)에 접촉주행되게 인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테이프 레코더는 폴베이스 조립체(17)가 가이드레일(16a)(16b)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13)의 동력을 폴베이스 조립체(17)로 전달하여 이동시키는 링크부재(18)와 가이드레일(16a) 사이에는 소정 여유갭(G)이 유지된다. 이 여유갭(G)이 확보되면, 가이드레일(16a)과 링크부재(18)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시켜 폴베이스 조립체(17)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레일(16a)의 하면에는 폴베이스 조립체(17)를 로딩방향 즉, A 방향으로 접촉지지하기 위한 돌기부(16e)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17)의 로딩완료시 상기 돌출부에 접촉지지되어 A 방향으로의 위치가 일정하게 결정되고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상기 여유갭(G)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6a)에 대해 링크부재가 일정한 레벨의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초기 SETTING을 위한 조정으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17)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사용상의 충격 등으로 외란이 가해졌을 때, 결과적으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17)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완료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8)를 통해 A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받게 되는 경우, 상기 유동갭(G)의 여유만큼 폴베이스 조립체(17)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초기 SETTING을 위한 조정으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17)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사용상의 충격 등으로 외란이 가해졌을 때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17)의 자세가 상시 변화될 수 있으므로, 자기테이프를 헤드드럼으로 정상적으로 주행되게 안내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베이스 조립체(17)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언로딩하게 되면, 가이드레일(16a)과 폴베이스 조립체(17)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이 증가하여 정상적인 언로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 과정중 또는 로딩/언로딩 완료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일정한 레벨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는,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에 로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동부와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메인 샤시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폴베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로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일정한 레벨의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를 구속하는 레벨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레벨링수단은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 완료시 또는 로딩/언로딩 과정에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소정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일체의 수단을 뜻하며,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 소정의 평형상태를 이탈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폴베이스 조립체의 자세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안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수단은 상기 메인 샤시에 마련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링크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벨링수단은 상기 메인 샤시의 가이드레일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돌출부 및/또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의 저면에 제1돌출부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링크부재의 상면에 제2돌출부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저면과 상기 링크부재의 상면에 모두 돌출부를 가져 서로 접촉되는 형태로 상기 레벨링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 및/또는 제2돌출부는 엠보싱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테이프 인출장치가 적용된 테이프 레코더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프 레코더는 헤드드럼(1)이 설치되는 메인 샤시(21)와, 상기 메인 샤시(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샤시(22)와, 상기 서브 샤시(22)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1)에 접촉주행되게 안내하는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는,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에 로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동부(미도시)와 링크부재(28)(도 4 참조)에 의해 연결되어 메인 샤시(21)의 가이드레일(26)을 따라 이동하는 폴베이스 조립체(27)를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로서, 상기 링크부재(28)가 상기 가이드레일(26)에 대해 일정한 레벨의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28)를 구속하는 레벨링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6)은 메인 샤시(21)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 가이드레일(26a)과, 서브 샤시(22)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이동 가이드레일(26b)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 가이드레일(26a)(26b)은 서브 샤시(22)가 헤드드럼(1) 쪽으로 이동하는 로딩시 끝단들이 도킹되어 연결되며, 언로딩시에는 분리된다. 각 가이드레일(26a)(26b)에는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2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홈(26c)(26d)이 형성된다.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2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폴베이스(27a)와, 그 폴베이스(27a)에 설치되어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7b) 및 경사폴(27c) 등을 구비한다. 또한, 폴베이스 조립체(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6) 경사홈(26c)을 통과하는 가이드롤러(27b)의 하단에 연결되는 서브베이스(27d)를 가진다. 상기 서브베이스(27d)는 가이드레일(26)의 하측에 위치되어 폴베이스(27a)의 가이드레일(26)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고, 원활한 가이드가 되도록 자세를 유지시키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폴베이스 조립체(27)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벨링수단은 폴베이스 조립체(27)가 자기테이프를 로딩/언로딩시키는 과정 중이나 로딩/언로딩을 완료시킨 시점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폴베이스 조립체(27)가 자기테이프를 로딩 완료시킨 시점에 대하여 상기 레벨링수단이 작용하는 바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28)는 도 1의 구동원(13)의 동력에 의해 소정 거리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27)를 이동시킨다. 상기 링크부재(28)는 가이드레일(26)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단이 폴베이스(27a)에 힌지핀(2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링크부재(28)는 상기 힌지핀(29)의 높이 등에 의해 제어되어 가이드레일(26)과 소정 유동갭(G)을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레벨링수단은 상기 링크부재(28)가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26a)에 대해 일정한 레벨의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28)를 구속하는 제1돌출부(30)를 포함하는 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26a)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30)는 가이드레일(26)의 하측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이 제1돌출부(30)는 상기 링크부재(28)의 상면에 접촉되어, 링크부재(28)와 가이드레일(26) 사이에 상기 유동갭(G)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제1돌출부(30)는 종래와 같이 링크부재(28)가 가이드레일(26)에 대해 일정한 레벨의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여 폴베이스 조립체(27)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27)의 자세가 가이드레일(26)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돌출부(30)의 높이는 상기 유동갭(G)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레일(26a)의 하측으로 소위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26a)을 프레싱가공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돌출부(30)를 가공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벨링수단은 고정가이드레일(26a)의 하면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26e)를 더 구비한다. 이 돌기부(26e)는 앞서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설명한 돌기부(16e)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27) 즉, 상기 서브베이스(27d)를 A 방향에 대해 접촉지지한다. 이러한 돌기부(26e)와 제1돌출부(30)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완료시에 있어서, 어느 하나가 마련되는 실시예에 비해서, 둘 모두가 적용될 경우 상호간의 보완을 통해 링크부재(28)의 평형상태가 더욱 안정되어 폴베이스 조립체(27)를 가이드레일(26)에 대해 안정되고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에 따르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링크부재(28)와 고정 가이드레일(26a) 사이에 유동갭(G)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제1돌출부(30)에 의하여 폴베이스 조립체(27)의 기울어짐이 억제되고 안정된 자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26e)에 의해 제1돌출부(30)의 역할이 보강되어 폴베이스 조립체(27)는 로딩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언로딩시에도 폴베이스 조립체(27)와 가이드레일(26)의 마찰증대를 억제하여 원활한 언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6)의 저면으로 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링크부재(2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30) 대신에 상기 링크부재(28)의 상면을 간섭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6)에 대한 링크부재(28)의 일정 수준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부재(28)를 구속하도록 상기 메인샤시(21)에 브릿지 형태로 스토퍼바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은 자기 테이프의 로딩 완료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1돌출부(30)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반드시 엠보싱 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 중 또는 로딩/언로딩 완료시 상기 링크부재(28)가 상기 가이드레일(26)에 대해 일정한 수준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상기 레벨링수단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캠코더에 적용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DAT)와 같이 무빙 데크 메카니즘을 가지는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는, 가이드레일과 링크부재 사이에 레벨링수단이 마련됨에 따라, 안정된 테이프 주행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의 경우 폴베이스 조립체의 동작에 대한 유연성과 안정감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 중 고정가이드레일을 구성함에 있어 메인 샤시와 일체로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테이프 레코더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수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캠코더의 무빙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폴베이스 조립체와 가이드레일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2b는 도 1의 폴베이스 조립체와 가이드레일의 결합상태에서의 폴베이스 조립체의 유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무빙데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와 가이드레일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가이드레일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8 ; 링크부재 26 ; 가이드레일
26a; 고정 가이드레일 26e ; 돌기부
27 ; 폴베이스 조립체 27d ; 서브베이스
30 ; 제1돌출부 29 ; 힌지핀

Claims (4)

  1.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에 로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동부와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메인 샤시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폴베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일정한 갭을 유지하여 일정한 레벨의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를 구속하는 레벨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수단은 상기 메인 샤시에 마련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링크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수단은,
    상기 메인 샤시의 가이드레일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돌출부 및/또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또는 제2돌출부는 엠보싱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KR10-2002-0065236A 2002-10-24 2002-10-24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KR10048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36A KR100485784B1 (ko) 2002-10-24 2002-10-24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US10/679,390 US7032852B2 (en) 2002-10-24 2003-10-07 Tape loading device for a tape recorder
JP2003355137A JP2004146044A (ja) 2002-10-24 2003-10-15 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CNB2003101027037A CN100373490C (zh) 2002-10-24 2003-10-21 用于磁带记录机的磁带装载装置
EP03256727A EP1414032A3 (en) 2002-10-24 2003-10-24 Tape loa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236A KR100485784B1 (ko) 2002-10-24 2002-10-24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274A KR20040036274A (ko) 2004-04-30
KR100485784B1 true KR100485784B1 (ko) 2005-04-28

Family

ID=3733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236A KR100485784B1 (ko) 2002-10-24 2002-10-24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5784B1 (ko)
CN (1) CN1003734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68U (ko) 2017-04-07 2018-10-17 이재웅 거푸집용 고정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8851A (ja) * 1986-10-01 1988-04-19 Nec Corp 入力保護装置
JPH04341963A (ja) * 1991-05-17 1992-11-27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652607A (ja) * 1992-07-30 1994-02-25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8153355A (ja) * 1994-11-29 1996-06-11 Sony Corp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8287557A (ja) * 1995-04-20 1996-11-01 Sanyo Electric Co Ltd 先導ガイドブロック位置決め機構
JPH08297897A (ja) * 1995-04-25 1996-11-12 Sanyo Electric Co Ltd 先導ガイドブロックの位置決め機構
KR19980075578A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테이프 레코더의 폴베이스 조립체 위치 결정용 스토퍼
JPH1186390A (ja) * 1997-09-09 1999-03-30 Canon Inc 記録又は再生装置のテープ引出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8661A (ja) * 1983-05-27 1984-12-08 Canon Inc テ−プ引き出し手段の位置決め装置
JP2730237B2 (ja) * 1989-12-26 1998-03-2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3148876B2 (ja) * 1993-09-17 2001-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32779B2 (ja) * 1998-12-08 2003-08-04 三星電子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8851A (ja) * 1986-10-01 1988-04-19 Nec Corp 入力保護装置
JPH04341963A (ja) * 1991-05-17 1992-11-27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652607A (ja) * 1992-07-30 1994-02-25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8153355A (ja) * 1994-11-29 1996-06-11 Sony Corp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8287557A (ja) * 1995-04-20 1996-11-01 Sanyo Electric Co Ltd 先導ガイドブロック位置決め機構
JPH08297897A (ja) * 1995-04-25 1996-11-12 Sanyo Electric Co Ltd 先導ガイドブロックの位置決め機構
KR19980075578A (ko) * 1997-03-31 1998-11-16 윤종용 테이프 레코더의 폴베이스 조립체 위치 결정용 스토퍼
JPH1186390A (ja) * 1997-09-09 1999-03-30 Canon Inc 記録又は再生装置のテープ引出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274A (ko) 2004-04-30
CN100373490C (zh) 2008-03-05
CN1497569A (zh) 200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86358A1 (en) Slim type optical disc drive
KR10048578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US5526210A (en) Tape cassette for loading by a cassette inserting and ejecting apparatus
KR100412504B1 (ko) 테이프 레코더 주행계의 자기테이프 가이드장치
JP2006079738A (ja) ディスク装置
US20050094310A1 (en) Tape guide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KR10043637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레일 정렬장치
JP2004146044A (ja) 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950012240B1 (ko) 헤드 캐리지 장치
US20050248874A1 (en) Tape guide system
KR200147765Y1 (ko)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바이어스 마그네트 로딩장치
JP2006004609A (ja) デッキプレート及びそれを有する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436370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KR20030067320A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JP4507479B2 (ja) テープ状記録媒体のローディング機構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050180050A1 (en) Tape guide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4800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조립체
JPH1186390A (ja) 記録又は再生装置のテープ引出機構
KR100470860B1 (ko) 카드 리더라이터의 카드 로딩장치
JP2603631Y2 (ja) 記録または再生装置
US7929244B2 (en)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0139895Y1 (ko) 폴 베이스 압착지지장치
JPH08263818A (ja) 記録・再生装置
JPH054336U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H08263894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