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68U - 거푸집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2968U KR20180002968U KR2020170001725U KR20170001725U KR20180002968U KR 20180002968 U KR20180002968 U KR 20180002968U KR 2020170001725 U KR2020170001725 U KR 2020170001725U KR 20170001725 U KR20170001725 U KR 20170001725U KR 20180002968 U KR20180002968 U KR 2018000296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ture
- support portion
- cross
- sec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 연결용 고정구를 개선하여 기존에 비해 경량이면서도 높은 구조적 강도를 보유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2)에 대응하는 체결홀(111)이 양측에 관통 형성된 제1지지부(110)와, 거푸집(1)에 형성된 체결공(1b)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21)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120)가 서로 중앙에서 직각으로 교차하여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거푸집용 고정구(100)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20)는, 한 변의 높이(H1)가 마주보는 변의 높이(H)에 비해 절반 미만을 이루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져, 단면 형상의 개선을 통해 기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로 자체 무게를 경량화 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경량화 정도에 비해 단면계수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굽힘 및 비틀림 강도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시장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푸집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 연결용 고정구를 개선하여 기존에 비해 경량이면서도 높은 구조적 강도를 보유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단면 형상의 개선을 통해 기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로 자체 무게를 경량화 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경량화 정도에 비해 단면계수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굽힘 및 비틀림 강도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시장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이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사용하는데, 공사에 따라 경질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쓰기도 한다.
최근에는 4"×8", 3"×6" 등 일정한 규격으로 미리 합판 등의 뒷면에 강재 틀을 붙인 거푸집 패널인 유로폼 거푸집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로폼 거푸집은 박리제를 따로 바를 필요가 없도록 일반 합판에 번들거리는 재료를 입힌 코팅합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유로폼 거푸집의 가설 공사에 있어서는, 별도의 가설 구조물에 거푸집을 체결시키거나 혹은 거푸집 상호간을 체결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거푸집 가설 공사에 요구되는 체결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십자형상의 고정구와 결합핀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2)에 대응하는 체결홀(11a)이 양측에 관통 형성된 제1지지부(11)와, 거푸집(1)에 형성된 체결공(1b)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2a)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12)가 서로 중앙에서 직각으로 교차하여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11) 및 상기 제2지지부(12)는 정사각형 단면의 중공관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체결홀(11a)에 결합핀(2)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11)에는 상측면에 통공(11b)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유로폼 거푸집(1) 모서리가 만나는 부위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의 설치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거푸집(1)에 형성된 체결공(1b) 내에 제2지지부(12)의 결합돌기(12a)를 삽입한 후, 결합핀(2)을 그 직각 방향으로 체결하여 제2지지부(12)를 거푸집(1)에 고정시킨다.
이후, 제1지지부(11)의 통공(11b)을 통해 체결홀(11a)에 결합핀(2)을 체결하며, 다시 이 결합핀(2)에 형성된 결합홀(2a) 내에 별도의 결합핀(2)을 그 직각 방향으로 추가 체결하여 제1지지부(11)를 거푸집(1)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4개의 유로폼 거푸집(1) 모서리가 만나는 부위에 대하여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와 결합핀(2)으로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시, 작용하는 굽힘 및 비틀림 하중에 의해 유로폼 거푸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는 정사각형 단면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조 원가가 높고, 자체 중량이 너무 무거워 작업자의 시공성이 떨어지며, 게다가 제1지지부(11)를 거푸집(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결합핀(2)을 삽입하기 위한 통공(11b)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성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를 개량한 종래의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의 일예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362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종래의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11) 및 상기 제2지지부(12)가 대략 L자형 단면의 강재로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통공(도 1 및 도 2의 도면부호 11b 참조)이 필요 없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는, L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조 원가가 비교적 낮으며, 자체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작업자의 시공성이 높아지고, 게다가 제1지지부(11)를 거푸집(1)에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핀(2)을 삽입하기 위한 통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성형성이 양호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대략 L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종래의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는, 대략 사각단면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굽힘 강도 및 비틀림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1)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거푸집(1)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면 형상의 개선을 통해 기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로 자체 무게를 경량화 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경량화 정도에 비해 단면계수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굽힘 및 비틀림 강도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시장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용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거푸집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양측에 관통 형성된 제1지지부와, 거푸집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가 서로 중앙에서 직각으로 교차하여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거푸집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한 변의 높이가 마주보는 변의 높이에 비해 절반 미만을 이루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용 굴곡부가 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단면 형상의 개선을 통해 기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로 자체 무게를 경량화 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경량화 정도에 비해 단면계수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굽힘 및 비틀림 강도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시장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종래의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있어서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종래의 십자형상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있어서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있어서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는 단면 형상의 개선을 통해 기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로 자체 무게를 경량화 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경량화 정도에 비해 단면계수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굽힘 및 비틀림 강도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시장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2)에 대응하는 체결홀(111)이 양측에 관통 형성된 제1지지부(110)와, 거푸집(1)에 형성된 체결공(1b)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21)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120)가 서로 중앙에서 직각으로 교차하여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거푸집용 고정구(100)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20)는, 한 변의 높이(H1)가 마주보는 변의 높이(H)에 비해 절반 미만을 이루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100)는 크게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강재로, 서로 중앙에서 직각으로 교차하여 대략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20)를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한 후, 서로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등 그 제작 방법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특히,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는 기존의 거푸집용 고정구(도 1의 도면부호 10 및 도 3의 도면부호 10' 참조)와 비교하여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음에 가장 큰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20)는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정 두께(T)로 성형되며, 특히 상방향을 향하여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수직면과, 이 두 수직면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면을 포함하여 3면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수직면 중 하나(도 8에 있어서 좌측 수직면)는 바닥면의 폭(W)과 동일한 높이(H)로 성형되는 반면, 나머지 하나의 수직면(도 8에 있어서 우측 수직면)은 마주보는 수직면의 높이(H)에 대하여 대략 절반 이하의 높이(H1)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에서, 비교적 짧은 수직면의 높이(H1)에 대한 최소값은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의 두께(T)에 대하여 2배(2×T) 보다는 높게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어느 한 수직면의 높이(H)를 기준으로 그 마주보는 수직면의 높이(H1)는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의 두께(T)의 두 배(2×T)보다 크고, 수직면 높이(H)의 절반보다 낮은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2×T < H1 < H/2일 것이다.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진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100)는 일반적인 사각형 중공 단면을 가진 거푸집용 고정구(도 1의 도면부호 10 참조)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의 무게를 가지게 되는 반면, 단면계수의 감소 폭에는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L자형 단면을 가진 거푸집용 고정구(도 3의 도면부호 10' 참조)에 비해 무게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보다 확연히 높은 단면계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110)의 바닥면에는 도 4와 같이 거푸집(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2)에 대응하는 체결홀(111)이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핀(2)은 도 5와 같이 선단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주지의 형태일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홀(111)의 크기는 상기 결합핀(2)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결합핀(2)에는 별도의 결합핀(2)을 직각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결합홀(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120)의 바닥면에는 거푸집(1)에 형성된 체결공(1b)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21)가 양측에 하측방향을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21)는 별물로 가공하여 상기 제2지지부(120)를 관통하도록 위치시킨 후,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결합돌기(121)에는 결합핀(2)을 직각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한 결합공(121a)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돌기(121)가 거푸집(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b) 내에 삽입되었을 때, 이 결합공(121a)은 거푸집(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a)과 대략 정렬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21)의 결합공(121a)과 상기 거푸집(1)의 관통공(1a)이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들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핀(2)을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110)의 양측 모서리는 모따기 되어 있는 것도 양호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110) 및 상기 제2지지부(120)에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용 굴곡부(130)가 추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용 굴곡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교차되는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나누어 각각 2개씩 형성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 보강용 굴곡부(130)의 두께는 다른 부위의 두께(T)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설치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100)는 도 5와 같이, 거푸집(1)에 형성된 체결공(1b) 내에 제2지지부(120)의 결합돌기(121)를 삽입한 후, 결합핀(2)을 직각으로 체결하여 제2지지부(120)를 거푸집(1)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제1지지부(110)의 체결홀(111)에 결합핀(2)을 체결하며, 다시 이 결합핀(2)에 형성된 결합홀(2a) 내에 별도의 결합핀(2)을 직각으로 추가 체결하여 제1지지부(110)를 거푸집(1)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4개의 유로폼 거푸집(1) 모서리가 만나는 부위를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100)와 결합핀(2)으로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시, 작용하는 굽힘 및 비틀림 하중에 의해 유로폼 거푸집(1)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에 비해 무게가 절반에 가깝게 줄어드는 반면 높은 단면계수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고안의 거푸집용 고정구(100)는 다음과 같은 탁월한 이점들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첫째, 단면 형상의 개선을 통해 기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로 자체 무게를 경량화 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는 동시에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둘째, 경량화 정도에 비해 단면계수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높은 굽힘 및 비틀림 강도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시장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게 된다.
셋째, 별도로 보강용 굴곡부(130)를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에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무게 증가 없이도, 제1지지부(110)나 제2지지부(120)의 휨이나 비틀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거푸집
1a : 관통공
1b : 체결공 2 : 결합핀
2a : 결합홀 100 : 거푸집용 고정구
110 : 제1지지부 111 : 체결홀
120 : 제2지지부 121 : 결합돌기
121a : 결합공 130 : 보강용 굴곡부
1b : 체결공 2 : 결합핀
2a : 결합홀 100 : 거푸집용 고정구
110 : 제1지지부 111 : 체결홀
120 : 제2지지부 121 : 결합돌기
121a : 결합공 130 : 보강용 굴곡부
Claims (2)
- 거푸집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에 대응하는 체결홀이 양측에 관통 형성된 제1지지부와, 거푸집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지지부가 서로 중앙에서 직각으로 교차하여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거푸집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한 변의 높이가 마주보는 변의 높이에 비해 절반 미만을 이루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용 굴곡부가 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725U KR20180002968U (ko) | 2017-04-07 | 2017-04-07 | 거푸집용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1725U KR20180002968U (ko) | 2017-04-07 | 2017-04-07 | 거푸집용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968U true KR20180002968U (ko) | 2018-10-17 |
Family
ID=6404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1725U KR20180002968U (ko) | 2017-04-07 | 2017-04-07 | 거푸집용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2968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6274A (ko) | 2002-10-24 | 2004-04-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
-
2017
- 2017-04-07 KR KR2020170001725U patent/KR2018000296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6274A (ko) | 2002-10-24 | 2004-04-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테이프 레코더의 자기테이프 인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02701B2 (en) | Anchor for handling building elements, in particular a concrete panel | |
US20170336021A1 (en) | Flange Adapter | |
US20040144897A1 (en) | Pipe holding fastener | |
BR102014003796A2 (pt) | Arranjo de retenção de grampo elástico | |
US20180031149A1 (en) | Pipe clamp | |
WO2008038957A1 (en) | Pole for mesh fence | |
CN107605033A (zh) | 外装件的安装配件以及建筑物的外装结构 | |
US20170044787A1 (en) | Connector systems, assemblies, and methods | |
KR910015760A (ko) | 콘크리트 완성품을 위한 강철편 콘크리트 앵커(anchor) | |
CN101432532A (zh) | 固定装置 | |
US7047700B2 (en) | Panel forming system and components | |
KR20180002968U (ko) | 거푸집용 고정구 | |
KR200393433Y1 (ko) | 거푸집 패널을 위한 아웃코너 연결구 | |
KR101264411B1 (ko) | 강성이 보강된 코너용 거푸집조립체 | |
CN113277401B (zh) | 电梯导轨以及电梯导向机构 | |
CA1100343A (en) | Wedge shaped lock washer construction and assembly | |
KR20130091986A (ko) | 외장패널 지지용 브라켓 | |
KR100538280B1 (ko) |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 |
CN206800877U (zh) | 集成墙面用的安装卡件 | |
KR200402360Y1 (ko) | 행거 | |
KR100472603B1 (ko) | 콘트리트 측벽 거푸집 및 그의 결합구조 | |
KR100965815B1 (ko) | 거푸집 코너부재의 마감캡 | |
KR101932139B1 (ko) | 조인트 클립이 결합된 프로파일 어셈블리 및 프로파일 어셈블리 결합용 조인트 클립 | |
CN221215446U (zh) | 集装箱拼缝连接结构 | |
CN217871550U (zh) | 一种百叶立柱侧夹及百叶立柱组合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55;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22 Effective date: 202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