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235B1 -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3235B1 KR100483235B1 KR10-2002-0053092A KR20020053092A KR100483235B1 KR 100483235 B1 KR100483235 B1 KR 100483235B1 KR 20020053092 A KR20020053092 A KR 20020053092A KR 100483235 B1 KR100483235 B1 KR 1004832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midity
- air conditioner
- drug
- sensitive film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저농도의 방출 속도로써 약제를 평균화하여 휘산(揮散)시켜서 서서히 방출할 수 있고, 습도 변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출을 방지할 수 있는 휘산성 약제 서방(徐放)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약제의 액량이 줄어들더라도 휘산량이 영향을 받기 어려운 구조로 한 것이다.
액체인 약제를 내부에 충전한 용기와, 상기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매체가 되는 액체 흡수체와, 상기 액체 흡수체로부터 휘산한 상기 약제가 내부에 충만(充滿)되기 위한 공간부와, 습도 변화에 따라서 상기 약제의 투과량이 변화되는 습도 감수성막을 구비하고, 상기 약제가 상기 액체 흡수체에 의해서 흡입된 후, 휘산하여 상기 액체 흡수체와 상기 습도 감수성막으로써 형성된 상기 공간부에서 일정한 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습도변화에 따라서 상기 약제가 상기 습도 감수성막으로부터 서서히 방출되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휘산성(揮散性)의 약제를 습도변화에 따라서 서서히 방출시키는 휘산성 약제 서방(徐放) 부재에 관한 것이고, 계절의 변동 혹은 그 때의 분위기 습도 환경이 변화되어, 곰팡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분야에서는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욕실, 탈의실, 신발장, 음식물 저장고, 헛간, 지하 저장고, 또한 빌딩 공기 조절용의 가습용 통로, 환기용 통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히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충전(充塡)된 액체상(狀)의 것을 장기간에 걸쳐서 서서히 방출시키기 위한 기술은 여러 가지로 잡다하게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다공성(多孔性)의 재료물질 안에 함침시켜서 모세관 현상에 따라서 서서히 휘산(揮散)시키는 방법이다. 이 다공성 물질이라는 것은, 제올라이트(zeolite), 실리카겔 등 무기화합물이거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의 발포체 혹은 섬유 묶음이기도 하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이라고 하는 유기물의 작은 구멍에 포접(包接)시켜서 서서히 방출시키는 등의 방법도 특개평5-176733호, 특개평6-40890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캡슐화해서 서방성(徐放性)을 구체화 하는 방법도 특개평6-9377호, 특개평6-65064호, 특개평7-89848호, 특개평9-911호, 특개평9-12447호, 특개평9-57091호 공보 등에 제안되어 있다.
또한 흡입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방충기피제 분야 혹은 방향제 분야에서 자주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흡입체를 히터로 가열하여, 휘산 속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특개소55-57502호, 특개소63-240738호 등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으로서는, 외부의 습도 변화에 따라서 저농도의 휘산성 약제를 안정적으로 방출시킬 수 없었다. 약제의 액량이 많은 초기에는 다량의 약제가 휘산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점점 약제의 감량 변화에 의해서도 방출량까지 감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휘산량 혹은 방출량이 평균화되지 않는 등의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에 대하여, 저농도의 방출 속도로써 약제를 평균화하여 휘산시켜서 서서히 방출할 수 있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이고, 습도 변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약제의 액량이 줄어들더라도 휘산량이 영향을 받기 어려운 구조로 한 것이다.
상기 과제에 대하여, 액체인 약제를 내부에 충전한 용기와, 상기 약제를 흡입하는 액체 흡수체와, 상기 액체 흡수체로부터 휘산한 상기 약제를 내부에 충만시키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부터 습도 변화에 따라서 상기 약제의 투과량이 변화되는 습도 감수성막을 구비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이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휘산성의 약제는 액체 흡수체에 의해서 용기로부터 흡입된 후, 휘산한 성분은 일정한 용적을 갖는 공간부에 충만되고, 액체 흡수체의 액면과 공간부와의 기액(氣液) 평형에 도달하여 포화된다. 외부 습도가 낮고, 이 공간부로부터 약제가 외부에도 방출되지 않으면, 포화증기압 농도 상태 이하로 제어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습도가 높으면 휘산해서 충만되어 있던 약제는 습도 감수성막을 통과하여, 외부에까지도 방출된다. 이와 같이, 저농도의 약제를 습도에 따라서 방출하는 데에 있어서 우수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0℃, 상대습도 95%에서 100mg/일 정도 방출시키고자 하는 목적에 효과적이다. 또한 약제는 일단 액체 흡수체로써 충만시키는 공간부에 휘산시켜서, 그 후 외부로 방출시키는 간접 방식이므로, 약제의 액량이 점차 감량 변화해도 액체 흡수체의 액면과 공간부와의 기액 평형에 의해서 공간부에서의 농도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적어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서 온도 조절된 바람을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실내 팬(fan)을 가진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그 내부에 휘산성 약제 서방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휘산성 약제 서방 부재는 액체인 약제를 내부에 충전한 용기와, 상기 약제를 흡입하는 액체 흡수체와, 상기 액체 흡수체로부터 휘산한 상기 약제가 내부에 충만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실내기 내부의 습도변화에 따라 상기 공간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투과량이 변화하는 습도 감수성막을 구비하며, 상기 실내기 내부의 습도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약제를 상기 습도 감수성막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 내부의 공간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삭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액체 흡수체가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不織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액체 흡수체가 세라믹스의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약제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arylisothiocyanate), 티 트리 기름, 유칼리 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습도 감수성막이 비스코스 가공지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95%에서 20∼200mg/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30%에서 10mg/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용기가 내부 액량을 가시화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갖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습도 감수성막의 표면 상부에 비통기성 필름을 용착시켜서 외장으로 하고, 상기 비통기성 필름을 벗김으로써, 상기 습도 감수성막이 노출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용기와 상기 액체 흡수체가, 상기 공간부와 상기 습도 감수성막으로써 구성되는 부분과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습도 감수성막을 상기 열교환기의 상류쪽면과 대면(對面)이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용기가, 상기 액체 흡수체와 상기 공간부와 상기 습도 감수성막으로써 구성되는 부분과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이고, 도 2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A 라인에서의 정면 단면 구성도이다. 1은 약제가 되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고, 2는 이것을 충전하기 위한 무색 투명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로써 형성된 용기이고, 3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모세관 현상으로써 흡입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sheet)로서, 부피 밀도 0.8g/ml이며, 시트의 말단이 용기(2)의 저부(底部)까지 도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4는 비스코스 가공지를 폴리에틸렌에 적층한 습도 감수성막이다. 폴리에틸렌 시트, 80㎛ 상에 레이온/펄프 부직포를 개재시켜서 비스코스 막을 5g/m2의 도포량으로써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5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3)와 습도 감수성막(4)으로 형성되는 공간부이다.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3)에 의하여 흡입되고, 분위기 온도에 대한 증기압 특성에 의해서 휘산하여 최종적으로는 공간부(5)를 포화증기압 농도에 이르게 한다. 이것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3)의, 공간부(5)를 향하여 돌출된 부분에 수용되어 있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액과 공간부(5) 내에 존재하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와의 기액 평형 관계로써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25℃에 있어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증기압은 약 5mmHg이므로, 공간부에서의 포화 증기 농도는 약 6600ppm이 된다. 습도 감수성막(4)에 의해서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증기 방출이 억제되기 때문에, 공간부(5)는 포화증기압 농도 그대로 계속해서 유지된다. 그러나 습도가 높아지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습도 감수성막(4)을 통과하여 외부에도 방출된다. 습도 감수성막(4)은 습도 변화에 의해서 막조직이 팽윤(澎潤)하여, 느슨한 구조로 되어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분자가 투과해서 외부에도 방출되기 쉽게 된다. 이 방출량 만큼을 보충하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3)로부터 흡입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가 더욱 공간부(5)에 휘산한다. 이 때, 습도 감수성막(4)으로부터 외부로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방출 속도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 (3)로부터 공간부(5)로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휘산 속도를 비교하면, 후자의 쪽이 대부분의 경우 빠르므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방출량이 부족하지는 않다. 이러한 구성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에 의해서, 30℃, 상대습도 95% 조건에서 습도 감수성막으로부터 약제를 100mg/일 정도로 계속해서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본 실시예에 의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 구성도이다. 흡입 그릴(6, 7)을 통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8, 9)에 의해서 냉각, 제습된 후, 직교류 팬(cross flow fan)(10)에 의해서 흡입 송풍되면서, 최종 배출구(11)로부터 실내 공간에 찬바람을 제공한다. 배출구(11)에는 상하 편향 날개(vane)(12)가 설치되어서, 실내 공간으로의 배출 방향을 제어하고 있다. 이 때, 열교환기(8, 9)에 의해서 제습된 응결수는 열교환기 알루미늄 핀(fin)을 따라서 이동하여, 드레인 팬(drain pan)부(13, 14)에 도달한다. 드레인 팬부(13)는 실내기 프레임(15)에 일체물로서 구성되고, 드레인 팬부(14)는 배출 그릴(16)에 일체물로서 구성된다. 드레인 팬부(13)에 고인 응결수는 프레임(15)을 통해서 드레인 팬부(14)쪽으로 흘러서 물받이되어, 최종적으로는 배수구(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열교환기(8, 9)의 알루미늄 핀에는 열교환 성능의 고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세로 슬릿(slit)이 형성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응결된 물은 슬릿부에서 표면 장력에 의해서 수막(水膜)을 형성하여, 드레인 팬부 (13, 14)로 곧바로는 적하(滴下)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알루미늄 핀이 건조되는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25℃, 상대습도 90%의 환경 분위기에서는, 열교환기 알루미늄 핀이 건조되는 데에 수 십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좀처럼 건조되지 않는다. 이 때, 실내기 공간, 특히 열교환기(8, 9)로써 구성되는 송풍 회로 내부는 상대습도 95% 이상의 분위기에 노출되어, 곰팡이가 매우 번식하기 쉬운 환경 조건이 된다. 17은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이고, 열교환기(9)에 근접한 하부 상류측에 배치되어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습도 감수성막(4)측이 열교환기를 서로 마주보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서, 냉방, 제습 운전 정지 후, 상하 편향 날개(12)가 폐쇄 상태로 되는 동시에, 고습도 상태로 된 공기가 실내기 전체에 충만하여 습도 감수성막(4)에 도달하면,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내부에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가 열교환기(9)측으로 확산하고, 알루미늄 핀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하 편향 날개(12)가 폐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열교환기(8, 9)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부 등에 서서히 확산, 퇴적해서 충만된다. 이 결과 실내기 내부는 열교환기(8, 9)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 저부(底部)에서 3∼5ppm 정도, 상부 저농도의 공간에서도 1ppm 이상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를 체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17)의 공간부(5)에 체류하고 있는 고농도의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가 습도 감수성막(4)을 투과해서 500∼5000배의 공간에 확산해 가는 구성이다.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임계치는 10ppm 정도이므로 냄새를 느끼지 않는 레벨의 체류 농도이다. 이에 따라서,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Cladosporium, Alternaria, Aspergillus, Penicillium, Rhizopus라고 하는 일반적인 곰팡이에 대해서는 충분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약제의 액량은, 용기(容器)로서 투명한 PET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용자는 육안 관찰에 의해 감량 상태를 언제든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서 바꾸는 교환시기를 판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이고, 도 6은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이다. 18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고, 19는 이것을 충전하기 위한 무색 투명한 PET로써 형성된 용기이고, 20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모세관 현상으로써 흡입하기 위한 연속 기포(氣泡)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서, 부피 밀도 0.8g/ml이고, 21은 비스코스 가공지를 폴리에틸렌에 적층한 습도 감수성막으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이고, 22는 용착된 습도 감수성막(21)을 지지하는 동시에 휘산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충만시키기 위한 공간부(23)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이다. 용기(19)와 용기(22)는 분리 가능하고, 용기(19)를 용기(22)에 밀어 넣음으로써,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 구조로 되어서, 용기(19)의 외주 접촉부가 용기(22)의 접촉부에 내접(內接)됨으로써, 용기(19)와 용기(22)의 기밀성이 유지되고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발포체(20)는 용기(19)에 끼워 넣도록 한 구조로 되어서, 용기(19)의 저부까지 도달하고, 감량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도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8)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20)에 의해서 흡입되고, 분위기 온도에 대한 증기압에 의해서 휘산하여 최종적으로는 공간부(23)를 포화증기압 농도에 이르게 한다. 이것은 폴리프로필렌 발포체(20)의, 공간부(23)를 향하여 돌출된 부분에 수용되어 있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액과 공간부(23) 내에 존재하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증기와의 기액 평형의 관계로써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습도 감수성막(21)에 의해서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방출이 억제되므로, 공간부(23)는 포화증기압 농도 그대로 계속해서 유지된다. 그러나 습도가 높아지면 습도 감수성막(21)으로부터 외부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8)가 방출된다. 이 방출량 만큼을 보충하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 발포체(20)에 의해서 흡입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8)가 더욱 휘산한다.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8)의 액변화량은 용기(19)를 육안 관찰함으로써 간단히 확인할 수 있고, 바꾸는 교환시기가 되었다고 판단하면, 용기(19)를 용기(22)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교환용 부품으로서 준비된 용기(19)에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18)가 충전되고, 폴리프로필렌 발포체(20)가 끼워 넣어진 상태의 부품을 다시 용기(22)와 끼워맞춤으로써,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를 완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습도 감수성막(21)을 지지하는 용기(22)는 몇번이고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휘산, 방출 성능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것과 거의 변함이 없다.
(실시예 3)
도 7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이고, 도 8은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이다. 24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고, 25는 이것을 충전하기 위한 무색 투명한 PET로써 형성된 용기이고, 26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모세관 현상으로써 흡입하기 위한 연속 기포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서, 부피 밀도 0.8g/ml이고, 27은 비스코스 가공지를 폴리에틸렌에 적층한 습도 감수성막으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이고, 28은 용착된 습도 감수성막(27)을 지지하는 동시에 휘산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충만시키기 위한 공간부(29)를 형성하기 위한 용기이다. 용기(25)와 용기(28)는 분리 가능하고, 용기(25)를 용기(28)에 밀어 넣음으로써,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 구조로 되어서, 용기(25)의 내주 접촉부가 용기(28)의 접촉부에 외접(外接)됨으로써, 용기(25)와 용기(28)의 기밀성이 유지되고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발포체(26)는 용기(25)에 끼워 넣도록 한 지지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습도 감수성막(27)을 지지하는 용기(28)와 함께 액체 흡수체가 되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26)까지 몇 번이고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교환용 부품으로서 용기(25)에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24)가 충전된 것을 준비하여, 용기(25)를 다시 용기(28)와 끼워맞춤으로써,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를 완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는 액체인 약제를 내부에 충전한 용기와 상기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매체가 되는 액체 흡수체로써 구성되는 부분이, 상기 액체 흡수체로부터 휘산한 상기 약제가 내부에 충만되기 위한 공간부와 습도 변화에 따라서 상기 약제의 투과량이 변화되는 습도 감수성막으로써 구성되는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에 대해서 나타내고, 실시예 3에서는 액체인 약제를 내부에 충전한 용기 부분이, 상기 약제를 흡입하기 위한 매체가 되는 액체 흡수체와 상기 액체 흡수체로부터 휘산한 상기 약제가 내부에 충만되기 위한 공간부와 습도 변화에 따라서 상기 약제의 투과량이 변화되는 습도 감수성막으로써 구성되는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이렇게 재사용할 수 있는 부분은 가능한 한 재사용함으로써, 환경을 배려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9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이고, 도 10은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이다. 30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고, 31은 이것을 충전하기 위한 무색 투명한 PET로써 형성된 용기이고, 32는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모세관 현상으로써 흡입하기 위한 세라믹스 소결체로서, 부피 밀도 1.5g/ml이고, 33은 비스코스 가공지를 폴리에틸렌에 적층한 습도 감수성막으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이고, 34는 세라믹스 소결체(32)와 습도 감수성막(33)으로써 형성되는 공간부이다. 35는 폴리에틸렌/나일론/알루미늄 박/폴리에틸렌 구조로 이루어지는 비통기성 필름으로서, 습도 감수성막(33)을 피복하도록 용기 (31)에 초음파 용착되어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30)의 누설을 방지한다. 비통기성 필름(35)의 일부는 용기(31)로부터 의도적인 연장부를 구비하여, 이 연장부로써 비통기성 필름(35)을 벗기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비통기성 필름(35)을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이하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30)는 세라믹스 소결체(32)에 의해서 흡입되고, 분위기 온도에 대한 증기압으로써 휘산하여 최종적으로는 공간부(34)를 포화증기압 농도에 이르게 한다. 습도 감수성막(33)에 의해서,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방출이 억제되기 때문에, 공간부(34)는 포화증기압 농도 그대로 계속해서 유지된다. 그러나 습도가 높아지면 습도 감수성막(33)으로부터 외부에까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30)가 방출된다. 이 방출량 만큼을 보충하기 위해서, 세라믹스 소결체(32)로부터 흡입한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30)가 더욱 휘산한다.
실시예에서는 약제를 충전하는 용기로서 무색 투명한 PET수지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 이외에 충전하는 약제와의 내약품성을 감안해서 문제가 없는 재료를 선택하면 좋다. 약제의 액량을 간단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것 이외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메틸펜텐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PET수지는 시트 형상의 것을 프레스 가공으로써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용기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염가로 입수 가능하다.
실시예에서는 액체 흡수체로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세라믹스 소결체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제를 흡입하는 데에 적합한 재질이면 특히 문제는 없다. 또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로서의 약제 휘산 성능은 공간부를 향하여 돌출된 액체 흡수체 부분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와, 공간부 내에 존재하는 약제 증기와의 기액 평형 관계에 의해서 농도가 조절되므로, 더욱 저농도인 약제를 휘산시키고 싶을 때에는 공간부를 향하여 돌출된 액체 흡수체 부분에 수용되는 약제량을 적게 하는 것, 및 약제 증기가 충만되는 공간부의 용적을 작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정유(精油)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저농도로 방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바람직한가 하면 친유성(親油性)이 우수한 쪽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로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티 트리 기름, 유칼리기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농도의 휘산량으로써 항균, 방진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약제이면 본 발명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약제로서 이용 가능하다.
실시예에서는 비통기성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나일론/알루미늄 박/폴리에틸렌 구조로 형성된 것을 사용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비통기성 필름으로서는 알루미늄박이 내층으로 된 적층 구조 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용기가 되는 수지와의 초음파 용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계절의 변동 혹은 그 때의 분위기 습도 환경이 변화되어서, 곰팡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등의 분야에는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욕실, 탈의실, 신발장, 음식물 저장고, 헛간, 지하 저장고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빌딩 공기 조절용의 가습용 통로, 환기용 통로 등에도 응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휘산성 약제는 액체 흡수체에 의해서 용기로부터 흡입된 후, 휘산한 성분은 일정한 용적을 갖는 공간부에 충만되고, 액체 흡수체의 액면과 공간부와의 기액 평형에 도달하여 포화한다. 외부 습도가 낮고, 이 공간부로부터 약제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면, 포화증기압 농도 상태 이하로 제어되어서, 외부로 방출되는 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습도가 높으면 휘산해서 충만되어 있던 약제는 습도 감수성막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렇게 저농도의 약제를 습도에 따라서 방출하는 데에 우수한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0℃, 상대습도 95%에서 100mg/일 정도롤 방출시키고자 하는 목적에 효과적이다. 또한 약제는 일단 액체 흡수체로써 충만시키는 공간부에 휘산시켜서, 그 후 외부로 방출시키는 간접 방식이므로, 약제의 액량이 점차 감량 변화해도 공간부와의 기액 평형에 의해서 공간부에서의 농도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습도가 낮은 계절에는 약제의 불필요한 방출을 억제하고, 습도가 높은 계절 혹은 분위기 상황에 대해서는 약제를 저농도로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서서히 방출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기 내부에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장기간에 걸쳐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액체 흡수체로 함으로써, 충분한 흡입 능력을 보증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스 소결체를 액체 흡수체로 함으로써, 충분한 흡입 능력을 보증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티 트리 기름, 유칼리기름을 약제로 함으로써, 천연 성분을 이용한, 저농도에 의한, 환경에 친숙한 항균, 방진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비스코스 가공지를 포함해서 형성되는 적층 구조인 습도 감수성막을 사용함으로써, 습도에 대하여 예민한 습도 감수성의 막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95%에서 20∼200mg/일이면, 약제의 종류에도 달려있지만 인간의 임계치와 대비해도 동등하거나 그것 이하의 레벨로서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약제의 목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에게도 좋은 인상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30%에서 10mg/일 이하이면, 낮은 습도 조건에서의 불필요한 약제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교환 기간을 장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내부의 액량을 가시화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갖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약제의 액량을 간단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교환 시기를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습도 감수성막의 표면 상부에 비통기성 필름을 용착시켜서 외장으로 하고, 사용에 있어서는 비통기성 필름을 벗김으로써, 습도 감수성막이 노출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에 대한 필요한 최소한의 간이 포장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1 및 1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에 대해서 교환 가능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구별함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는 부분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고, 환경을 배려한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습도 감수성막면을 열교환기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열교환기측에서의 습도 상승을 신속히 감지하여, 약제의 서방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
도 2는 실시예 1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A 라인에서의 정면 단면 구성도.
도 4는 실시예 1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단면 구성도.
도 5는 실시예 2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
도 6은 실시예 2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
도 7은 실시예 3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
도 8은 실시예 3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
도 9는 실시예 4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정면 외관도.
도 10은 실시예 4의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의 측면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2 : 용기
3 :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시트 4 : 습도 감수성막
5 : 공간부 8 : 열교환기
9 : 열교환기 10 : 직교류 팬(cross fan)
11 : 배출구 17 :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
Claims (13)
- 적어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서 온도 조절된 바람을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실내 팬(fan)을 가진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상기 실내기는 그 내부에 휘산성 약제 서방 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휘산성 약제 서방 부재는 액체인 약제를 내부에 충전한 용기와, 상기 약제를 흡입하는 액체 흡수체와, 상기 액체 흡수체로부터 휘산한 상기 약제가 내부에 충만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실내기 내부의 습도변화에 따라 상기 공간부로부터의 상기 약제의 투과량이 변화하는 습도 감수성막을 구비하며, 상기 실내기 내부의 습도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약제를 상기 습도 감수성막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 내부의 공간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체가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체가 세라믹스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아릴이소티오시아네이트, 티 트리 기름, 유칼리 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감수성막이 비스코스 가공지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95%에서 20∼200mg/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방출량이 30℃, 상대습도 30%에서 10mg/일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내부 액량을 가시화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갖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감수성막의 표면 상부에 비통기성 필름을 용착시켜서 외장으로 하고, 상기 비통기성 필름을 벗김으로써, 상기 습도 감수성막이 노출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상기 액체 흡수체가, 상기 공간부와 상기 습도 감수성막으로써 구성되는 부분과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감수성막을 상기 열교환기의 상류쪽면과 대면(對面)이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액체 흡수체와 상기 공간부와 상기 습도 감수성막으로써 구성되는 부분과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288674A JP2003093489A (ja) | 2001-09-21 | 2001-09-21 |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JPJP-P-2001-00288674 | 2001-09-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5805A KR20030025805A (ko) | 2003-03-29 |
KR100483235B1 true KR100483235B1 (ko) | 2005-04-15 |
Family
ID=1911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3092A KR100483235B1 (ko) | 2001-09-21 | 2002-09-04 |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3093489A (ko) |
KR (1) | KR100483235B1 (ko) |
CN (1) | CN1190237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7041C (zh) * | 2001-11-14 | 2005-02-02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挥发性药剂缓释部件 |
CN104033973A (zh) * | 2014-06-23 | 2014-09-10 | 钱月珍 | 驱蚊空调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94889A (en) * | 1938-01-21 | 1940-03-26 | Lisle Harold L De | Drafting means |
US4004907A (en) * | 1974-10-22 | 1977-01-25 | Ciba-Geigy Corporation | Arylisothiocyanate for the regulation of plant growth |
EP0019010A1 (en) * | 1979-05-10 | 1980-11-26 | Sy Hyman | Article for the dispersion of a volatile substance and an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said articles |
US5219121A (en) * | 1989-08-26 | 1993-06-15 | Reckitt & Colman Products Limited |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liquids |
KR950009187B1 (ko) * | 1986-09-12 | 1995-08-16 | 렉키트 앤드 콜맨 프로덕트 리미티드 | 휘발성 액체용 발산장치 |
US5497942A (en) * | 1994-01-21 | 1996-03-12 | W. L. Gore & Associates, Inc. | Dispersa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using same |
KR19980042104A (ko) * | 1996-11-11 | 1998-08-17 | 다카노야스아키 | 공기조화기 |
KR20000006703A (ko) * | 1999-10-21 | 2000-02-07 | 심재호 |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특수막 |
-
2001
- 2001-09-21 JP JP2001288674A patent/JP2003093489A/ja active Pending
-
2002
- 2002-09-04 KR KR10-2002-0053092A patent/KR1004832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9-18 CN CNB021428336A patent/CN119023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94889A (en) * | 1938-01-21 | 1940-03-26 | Lisle Harold L De | Drafting means |
US4004907A (en) * | 1974-10-22 | 1977-01-25 | Ciba-Geigy Corporation | Arylisothiocyanate for the regulation of plant growth |
EP0019010A1 (en) * | 1979-05-10 | 1980-11-26 | Sy Hyman | Article for the dispersion of a volatile substance and an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said articles |
KR950009187B1 (ko) * | 1986-09-12 | 1995-08-16 | 렉키트 앤드 콜맨 프로덕트 리미티드 | 휘발성 액체용 발산장치 |
US5219121A (en) * | 1989-08-26 | 1993-06-15 | Reckitt & Colman Products Limited |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liquids |
US5497942A (en) * | 1994-01-21 | 1996-03-12 | W. L. Gore & Associates, Inc. | Dispersa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using same |
KR19980042104A (ko) * | 1996-11-11 | 1998-08-17 | 다카노야스아키 | 공기조화기 |
KR20000006703A (ko) * | 1999-10-21 | 2000-02-07 | 심재호 |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특수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90237C (zh) | 2005-02-23 |
KR20030025805A (ko) | 2003-03-29 |
JP2003093489A (ja) | 2003-04-02 |
CN1410725A (zh) | 2003-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07863B2 (en) | Wick-based delivery system with wick made of different composite materials | |
US9457117B2 (en) | Emanator element for volatile liquids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 |
US8496881B2 (en) | Chemical delivery assembly | |
US20080141928A1 (en) | Useful life indicators | |
US20120181349A1 (en) |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processes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and its use | |
KR100483235B1 (ko) | 휘산성 약제 서방부재와 그것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 |
EP0850563B1 (en) | A harmful insect extermination device | |
ES2213398T3 (es) | Preparacion y dispositivo para la evaporacion termica de un agente quimico activo. | |
CN218307142U (zh) | 一种新型的除湿袋 | |
JP4254097B2 (ja) |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
JP3770152B2 (ja) |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
JP4556390B2 (ja) |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
JP3743349B2 (ja) |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
JP3743361B2 (ja) |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
JPH0626647B2 (ja) | 除湿器 | |
JP2000281505A (ja) | 揮散性包装体 | |
JP2007153774A (ja) | 防虫剤 | |
JP2004215942A (ja) | 揮散性薬剤徐放部材と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 |
JP5263588B2 (ja) | 加熱蒸散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散方法 | |
JP4167466B2 (ja) | 蒸散液収容袋、加熱蒸散方法および装置 | |
JPH0632171Y2 (ja) | 湿気等を取除く装置 | |
JP2002060302A (ja) | 揮散性薬剤製剤、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コン用防カビ材 | |
JP2005126393A (ja) | 放香防虫製品 | |
JP4679831B2 (ja) | 薬剤揮散装置 | |
JPH10180030A (ja) | 除湿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