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999B1 -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999B1
KR100482999B1 KR10-2002-0059393A KR20020059393A KR100482999B1 KR 100482999 B1 KR100482999 B1 KR 100482999B1 KR 20020059393 A KR20020059393 A KR 20020059393A KR 100482999 B1 KR100482999 B1 KR 10048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ep
concentrate
beverage composition
health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251A (ko
Inventor
임자
임그리워
Original Assignee
임 그리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 그리워 filed Critical 임 그리워
Priority to KR10-2002-005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999B1/ko
Priority to AU2003265104A priority patent/AU2003265104A1/en
Priority to PCT/KR2003/002013 priority patent/WO2004028275A1/en
Publication of KR2004002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or brackis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Abstract

본 발명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건강음료에 관한 것으로, 본 농축물의 해양미네랄에는 무기성분인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과 항암물질인 셀레늄, 아연성분이 풍부하여 인체내에서 필요한 금속이온의 활성화를 도와 체내흡수를 촉진시켜주며,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당류, 유기산류을 추가로 첨가하여 풍미와 기능성이 뛰어난 미네랄 건강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Health Beverage composition using the concentrate of Deep Ocean Water}
본 발명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영양의 3대 요소인 단백질, 전분질, 지질과 비타민 등의 기본 영양을 필요로 하지만 소량의 미네랄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의 음식문화는 고단백에 비타민을 첨가한 음식이 발달해 있으므로 미네랄이 결핍될 확률이 많으며, 미네랄이 결핍될 경우, 여러 가지 결핍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필수적인 미네랄의 결핍증과 효능을 살펴보면, 먼저 구리(Cu)는 체내에서 효소를 비롯한 여러 단백질의 한 부분으로서 존재하는 필수적인 미량원소로서, 저장된 철분과 장관내의 철분을 헤모글로빈 생성 장소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미토콘드리아내 전자전달계의 마지막 과정에 작용하여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성에 관여하고, 또한 골격성과 심장순환계의 결합조직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단독 또는 아연과 함께 항산화효소인 SOD(Superoxide Dismutase)에 결합되어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결핍시에는 빈혈, 백혈구 감소, 호중구 감소가 일어나게 되며, 효능으로는 심장혈관질환 예방, 관절염 치료, 산화방지 기능 및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일일 권장량은 1.5 내지 3.0㎎/일이다.
나트륨(Na)는 세포외액의 중요한 성분으로서, 염소이온과 중탄산이온과 함께 인체의 산염기평형을 유지하고, 체액의 삼투압유지 및 체액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결핍시에는 심신이 허약하고 근육경련, 체중감소, 두통 및 불면을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정상 체액유지와 공급, 인체의 정상적인 산염기 균형유지, 정상적인 근육반응 유지 또는 정상적인 삼투압 유지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0g 이하이나 한국인은 보통 10 내지 30g을 섭취한다.
마그네슘(Mg)은 인체내에 약 20 내지 28g이 존재하며, 약 60%가 뼈, 26%는 근육, 나머지는 연조직과 체액에 있으며, 세포내액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결핍시에는 신장 결석같은 신장 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급성 알콜중독, 부갑상선장애, 근육경련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당질대사, 지질대사, 단백질 대사와 핵산의 합성분해, 체내의 인지질(레시틴)의 합성을 돕고, 비타민 C, B 복합체, 인, 나트륨, 칼륨 및 칼슘의 대사를 보조하고 신경계통의 흥분 진정 효과를 볼 수 있으며, 1일 권장량은 300㎎이다.
망간(Mn)은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화작용에 기여하며, 결핍시에는 체중감소, 피부염, 오심 또는 구토, 머리칼 변색, 생식능력 저하 또는 췌장기능 저하로 인한 당뇨 증상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노이로제, 조울증 또는 정신분열증 등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의 치료 효과, 성적 능력 강화, 당뇨 및 천식 치료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2.5 내지 5㎎이다.
셀레늄(Se)은 천연토코페롤의 1,970배에 이르는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결핍시에는 암, 심장질환, 면역기능 저하, 적혈구 기능저하, 근육통, 심근 퇴하, 근긴장 증강, 췌장기능 퇴하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중금속의 무독화, 항산화작용, 항노화, 항암, 심장혈관질환 예방, 간경화 예방, 염증성 질환 예방, 당뇨병 합병증 예방, 간장 및 신장의 기능 강화, 생식기능 강화, 백내장 예방, 면역기능 향상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50 내지 200㎍이다.
아연(Zn)은 모든 체세포안에 있으며, 200개가 넘는 효소들의 구성성분으로서, 결핍시에는 태아의 기형발생 유발, 수면 및 행동 장애, 여드름 또는 피부염 발생, 알콜성 간경화, 염증성 장질환, 자폐증 또는 정신병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태아 성장 촉진, 정자 형성 촉진, 피부 저항력 강화 및 피부염 치료, 성장발육 촉진, 인슐린 분비 증강, 동맥경화 예방 또는 갑상선 기능 조절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5㎎이다.
인(P)은 칼슘 다음으로 체내에 많은 무기질로 인체의 전체 미네랄 중 22%를 차지하며, 에너지의 저장과 방출에 관여하고 인지질과 리포단백의 구성성분이며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핵산의 보조효소로도 작용한다. 결핍시에는 ATP 합성저하로 무기력해지며, 유아의 체중감소, 구루병, 성인의 골연화증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칼슘과 결합하여 구루병과 골연화증을 예방하고 많은 비타민 B와 결합하여 효소활성을 가지며, 1일 권장량은 800㎎이다.
칼륨(K)은 성인의 체내총량이 150g정도로 세포내액의 산·알칼리 평형에 가장 중요한 미네랄이며, 결핍시에는 부정맥, 저혈당, 무력증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정상 체액유지와 공급, 인체의 정상적인 산염기 균형유지, 정상적인 근육반응 유지, 정상적인 삼투압유지, 혈관 확장, 인슐린 분비 촉진, 심근경색의 방어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3,600 내지 10,000이다.
칼슘(Ca)은 체내 무기질 중 가장 양이 많은 원소로, 매일 700mg 정도의 칼슘이 뼈와 혈액사이를 이동한다. 결핍시에는 혈액속의 칼슘저하로 말초신경과 근육접합부의 흥분성이 높아져 가벼운 자극으로 근육, 주로 손·발·안면 근육이 수축 및 경련을 일으키는 테타니증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골다공증, 구루병, 골절, 충치, 퇴행변성 관절증의 치료효과, 고혈압, 동맥경화증, 설사 또는 당뇨의 예방, 알레르기 질환 또는 감기 예방, 불면증, 신경과민의 치료, 심근 수축력의 증강, 신경 및 근육의 흥분, 혈액응고작용의 촉진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 내지 1.2g이다.
철(Fe)은 헤모글로빈 속에 함유되어 산소와 결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철분이 부족하면 헤모글로빈을 생성할 수 없어서 적혈구도 보통보다 작아지게 되며 안색이 나빠지고, 쉽게 피로해지며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되어 빈혈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일반 식·음료에서 얻을 수 없는 부족된 미네랄 성분들을 용이하게 섭취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천연 미네랄 건강음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해수에는 염화나트륨 이외에 마그네슘, 칼륨, 규소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이 외에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미량의 원소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수는 표층수와 구별하여 해양 심층수라고 불리우고 있는데, 해양 심층수라는 것은 해수 표면으로부터 200미터 이하의 해수를 일컫는 것으로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식물성장에 필요한 질소, 인, 규산 등의 무기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대기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및 태양균이나 일반세균에 오염되지 않으므로 해양성 세균수도 적어 물리적 청정성도 매우 뛰어나며, 필수 미량원소와 다양한 미네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있고, 또한 4대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외 아연, 셀렌, 망간 등을 포함하여 스트레스나 체질 불량 등으로 발생되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도 우수하며, 식수로 사용하는 지표수나 지하수 등에 비해 청정도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 오염이 심각한 현재의 상태에서 표층수는 식음료로 적합하지 않으나, 해양심층수는 표면층에 비하여 생균수가 그다지 많지 않을뿐더러 병원성 생물이 조금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료로 선택하는 경우에 안전성이 지극히 높다고 할 수 있다(일본특허공고 평7-34728호).
이러한 해양 심층수의 특징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심해에서는 영양 물질을 소비하는 식물플랑크톤이 없기 때문에 박테리아 등에 의하여 분해된 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부영양성(미네랄성)이 있고, 표면 해수로부터 200미터 이하에는 유기물의 농도가 낮고, 대장균 또는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이 없으며, 육지나 대기로부터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도 적은 청정성을 갖고 있으며, 일년 내내 저온으로 그 변화가 적고 안정된 낮은 수온성을 갖고, 해양 심층수는 수천년 동안 형성된 물이기 때문에 그 성질이 안정되어 있으며, 각종 효소들의 작용으로 인하여 숙성화되어 있는 숙성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 미량원소나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해양심층수는 해수를 가열 농축하고 그 농축액을 냉각한 후, 농축액으로부터 얻어진 결정분을 제거하고, 이를 농축액의 부피가 원래 부피의 1/1000이하로 농축될 때까지 지속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액 및 그 제조방법을 기재하고 있고 그 용액 일부를 음료수에 가함으로써 당뇨병, 알레르기성 질환, 심근경색 등의 현대병의 예방에 유효한 건강음료를 개시하고 있다(일본특허공보 제2580428호).
또한 이 해양 심층수에 염화나트륨 등의 전해질을 가하여 전기분해장치에서 전기분해를 시행하여 그 양극쪽으로부터 얻어진 강산성 산화수(pH 2.4 내지 2.7이하에서 산화환원전위가 1000mV 이상)와 음극 쪽으로부터 얻어진 알칼리 환원수가 알려져 있는데, 강산성 산화수의 용도로서는 그 산화력과 산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이용하여 의료용 기구의 소독살균 및 식품의 살균소독에 이용되어 왔다. 알칼리 환원수에 대해서는 위장내의 이상발효, 만성설사, 소화불량, 제산 및 위산과다 등의 위장질환에 대하여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1-198575호 참조).
또한 해양 심층수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에 중점하여, 미네랄 성분부로서 종래에 알려진 칼슘, 마그네슘 이외에 동, 아연 등의 금속이나 요소 등의 필수 미네랄 성분이 확인되어 이 미네랄 성분을 이용하기 위하여 해수를 탈염 처리하여 염화나트륨의 함유량을 저하시킨 해수에 비타민류 등을 가하여 영양음료로서 개발이 알려진 바가 있고(일본특허공개공보 제60-255729호), 생균수가 표층수보다 적기 때문에 이 심층수를 천연 미네랄수로 음료수에 첨가하여 미네랄 음료로서도 개발된 바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평5-219921호).
또한 이 심층수를 역삼투압 장치를 이용하여 담수(淡水)화된 물에 해수를 취하여 얻어진 쓴 맛의 즙과 광산(鑛酸)을 첨가한 음료가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평10-150960호).
그러나, 상기한 제조공정들은 역삼투압이나 전기분해 등의 증발농축단계를 필수적으로 거치기 때문에 미네랄 농축액과 미네랄분이 희박하거나 함유되지 않는 물도 생산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광천수로부터 미네랄 성분을 제거한 물에 탈염 처리하여 얻어진 심층수로부터 얻은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광천수 음료에 대한 연구도 시행된 바가 있다(일본특허공개 제2001-190256호).
이러한 심층수는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피부치료를 위한 겔 제제로서 개발되거나(일본특허공개공보 평9-110702호), 두부 등과 같은 식품가공품 및 의약부외품 등에 배합하거나(일본특허공개공보 평9-28269호), 이 해양 심층수를 기본구성으로 하여 원료액즙, 당질원료, 부원료, 음료용수 등을 가하여 건강음료로 개발하거나(일본특허공개공보 제5-219921호), 빵을 만드는 공정 중에 사용하는 제조공정 중에 사용되는 수분 또는 액체로서 심층수를 사용하는 제조방법 등이 연구된 바 있다(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0-333592호).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사용되는 해양 심층수는 일본 근해의 후지야마만(富山灣) 등지에서 채집한 심층수를 원료로 사용한 것이다.
본 연구자는 한국 근해에서 채취가 가능한 심층수를 연구한 결과, 필수적인 성분이 풍부한 심층수의 해양 미네랄을 발견하고, 이 심층수가 미네랄 건강음료로서 효능이 탁월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탈염 처리 및 증발 농축하여 얻어진 상기 심층수의 농축 분말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해양성 심층수에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뿐만 아니라 셀레늄(Se), 아연 등의 항암 작용을 갖는 무기성분과 철, 망간, 스트론튬 등의 금속이온을 다량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양성 심층수에 다량 함유된 미네랄 성분을 건강음료로 사용하기 위한 심층수를 처리하는 제조공정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를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탈염처리 공정을 거치거나, 심층수를 자연건조를 증발시키거나, 자연건조를 통하여 일부 수분을 제거하고 남은 농축된 심층수를 가열을 통하여 농축시켜서 얻어진 농축물로부터 생성된 염화나트륨 결정을 여과지를 통하여 분리시키는 증발농축과정을 수행하거나, 이조식(二槽式)의 전기분해장치를 통하여 염화나트륨 성분을 분해시키는 전기분해법을 수행하여 탈염시킨 농축물을 자연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건조과정을 거쳐 탈염 건조된 심층수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통한 탈염 고정에 사용하는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음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양이온성 교환수지로는 AG 50W-x8, 앰버라이트(Amberlite) IR-120, 도웩스(Dowex) 50W-x8 등과 같은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Amberlite) IRC-50, 바이오-렉스(Bio-Rex) 70, 듀올라이트(Duolite)-436 등과 같은 약산성 양이온 교환수지; 앰버라이트 (Amberlite) IRA-67, 도웩스(Dowex) 3-x4A 등과 같은 약염기성 양이온 교환수지; AG 2x8, 앰버라이트(Amberlite) IRA-400, 도웩스(Dowex) 2-x8계열 등과 같은 강염기성 양이온 교환수지; 또는 CM-셀룰로오스, SE-셀룰로오스와 같은 양이온 교환수지, DEAE 셀룰로오스와 같은 음이온 교환 수지와 같은 개량된 섬유성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교환수지; 또는 가교 결합된 덱스트란으로 제조되는, 예를 들어, G-25 및 G-50 비드형 양이온 세파덱스형 수지, 아가로즈로 제조되는, 예를 들어, 세파로즈 CL 및 바이오겔 A 세파로즈형 수지 또는 프락토겔(Fractogels)이나 토요펄 (Toyopearl) 수지와 같은 개량된 비드형 이온교환수지가 적합하며, 더욱더 바람직한 교환 수지는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인 토요펄 DEAE 형 교환수지가 바람직하며, 더욱더 바람직한 교환 수지는 토요펄 DEAE-650C 형 교환수지이다.
또한, 전기분해방법을 이용한 탈염방법에 사용되는 전기분해장치로서는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격막이 나누어진 이조식을 사용하여, 저수조에 급수하여 일정기간동안 분해하는 형태, 수돗물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급수하는 형태 등이 바람직하다. 전기분해장치로서, 양극으로서는 페라이트 전극, 백금도금티탄 전극, 티탄 백금 소성 전극 등이 있고, 음극으로서는 스테인레스 전극, 백금도금티탄 전극, 티탄 백금 소성 전극 등 또는 격막으로서는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되는 이조식 저수식의 전기분해장치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을 거친 심층수의 농축물에는 풍부한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해양성 심층수의 농축물 0.0001 내지 20중량%, 아미노산류 0.001 내지 5 중량%, 비타민류는 0.001 내지 2 중량%, 당류 0.001 내지 20 중량%, 유기산류 0.001 내지 10 중량% 및 감미제, 향료 등을 첨가한 건강음료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의 제조예 1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20㎏을 이조 저수식 전기분해장치의 양극 및 음극 각각의 공급조에 가하고, 0.1 내지 3.0A의 직류를 60분간 전류를 통하게 한 후, 전기 분해가 종료된 후에 음극쪽에서 얻어진 용액을 모아서 이를 80 내지 12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얻어진 농축액을 2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건조시켜 미네랄 분말 200㎎을 얻었다.
실시예 2.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의 제조예 2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20㎏을 탈염 증류수로 평형화시킨 토요펄(Toyo pearlR, 토소(Tosoh)사, 일본) DEAE-650C 이온 교환 수지 160 ㎖에 연속적으로 넣어준 후, 여기에 0M, 0.1M, 0.2M, 0.3M, 3M 염화나트륨 용액을 500㎖씩 흘려보내는 단계적 용출법에 의해 용출 속도를 2㎖/시간으로 하여 용출시켜 얻은 용출액을 다시 투석막(평균 편평 두께 32mm, 용량 100㎖/피트 벤조일화 투석 튜빙, 시그마사, 미국)으로 4시간 동안 탈염 증류수로 3회 반복하여 투석한 다음, 동결건조기(삼원냉열 SFDSM24L, 한국)로 동결 건조하여 150㎎의 미네랄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3. 해양성 심층수의 특성 및 그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와 종래의 해양 심층수(일본산: 한국특허공개공보 2002-4598호 참조)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성상의 차이를 갖고 있었으며, 이로부터 실시예 1로부터 얻어진 미네랄 분말의 성분에 대하여 한국화학시험 연구원에서 APHA (1998년도 개정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성분 분석을 시험한 결과, 표 2와 같은 성분 분석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심층수의 특성
특 성
본 발명의 심층수(한국산) 해양 심층수(일본산)
취수 수심 수심 800m 수심 200m
평균 온도 13.1 ℃ 20℃이상
경 도 8500 mg/ℓ이상 -
평균 pH 7.87
성분 분석 결과
성 분 함 량
본 발명의 심층수(한국산) 해양 심층수(일본산)
칼슘(Ca) >2800 mg/ℓ 1.00 %
마그네슘(Mg) >400 mg/ℓ 0.133 %
나트륨(Na) >3000 mg/ℓ 426mg/ℓ
스트론튬(Sr) >80 mg/ℓ 426mg/ℓ
철 분(Fe) >0.24 mg/ℓ 0.281 ㎍/ℓ
망간(Mn) >1.7 mg/ℓ 0.153 ㎍/ℓ
연(Zn) >0.05 mg/ℓ 0.71 ㎍/ℓ
상기한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한 민국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와 일본근해에서 취수한 해양심층수는 근본적으로 취수 수심, 온도, 경도 및 pH 상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으며, 미네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해양성 심층수가 일부 무기성분의 함량이 적게는 100배 많게는 10000배 가량 비교할 수 없이 많게 존재함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의 해양성 심층수와 해양 심층수는 근본적으로 성분상을 달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
멸균하여 준비한 900㎖ 정제수에 상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 농축분말 100㎎을 첨가한 후, 여기에 구연산 1000㎎과 매실 농축액 2g, 올리고당 100g, 타우린 1g을 첨가하여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멸균한 후, 냉장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조예 2.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 40㎎을 사이다와 같은 소프트 음료 시럽에 용해하여 100㎖ 용량으로 한다.
제조예 3.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 30㎎을 각종 스포츠 드링크에 첨가하여 100㎖ 용량으로 한다.
제조예 4.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 20㎎을 각종 과일, 야채류, 해조류, 콩, 천연 약재 등의 즙 또는 그 추출 농축액에 첨가하여 100㎖ 용량으로 한다.
제조예 5.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 15㎎을 피로회복제 음료에 첨가하여 100㎖ 용량으로 한다.
제조예 6.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 3㎎을 비타민 조제품에 첨가하여 100㎎ 용량으로 한다.
제조예 7.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공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의 해양성 심층수 농축 분말 30㎎을 알콜성 음료에 첨가하여 100㎖ 용량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농축물은 인체에 필수적인 무기염류 및 해양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기능성 미네랄 건강음료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덕우리 15-5번지 지역 온천지의 지하 800m 지점에서 취수한 해양성 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물은 탈염 처리 및 증발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59393A 2002-09-30 2002-09-30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KR10048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393A KR100482999B1 (ko) 2002-09-30 2002-09-30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AU2003265104A AU2003265104A1 (en) 2002-09-30 2003-09-30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bando deep ocean water or the concentrate thereof
PCT/KR2003/002013 WO2004028275A1 (en) 2002-09-30 2003-09-30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bando deep ocean water or the concentrat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393A KR100482999B1 (ko) 2002-09-30 2002-09-30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51A KR20040028251A (ko) 2004-04-03
KR100482999B1 true KR100482999B1 (ko) 2005-04-15

Family

ID=3733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393A KR100482999B1 (ko) 2002-09-30 2002-09-30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44B1 (ko) 2008-03-26 2008-08-2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미네랄 조성물
KR101171495B1 (ko) * 2010-04-12 2012-08-06 한만수 반도심층수가 코팅된 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895B1 (ko) * 2007-06-22 2008-10-17 서희동 해양 심층수로부터 음료수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19645B1 (ko) * 2009-03-02 2012-03-14 김원규 해양심층수,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제리 및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0458058Y1 (ko) * 2009-08-05 2012-01-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밸브시트면 연마장치
KR20200131555A (ko) 2019-05-14 2020-11-24 김한결 건강기능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5729A (ja) * 1984-05-31 1985-12-17 Koasa Shoji Kk 海水を利用したミネラル栄養補強剤
JPH05219921A (ja) * 1992-02-07 1993-08-31 Kochi Pref Gov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清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0960A (ja) * 1996-07-23 1998-06-09 Hidekazu Itaka 深層海水成分を用いた清涼飲料
JP2001190256A (ja) * 2000-01-07 2001-07-17 Ako Kasei Co Ltd 深層水由来のミネラル成分含有の鉱泉水飲料
KR20030088610A (ko) * 2002-05-13 2003-11-20 김규종 동해 해양 심층수가 함유된 음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5729A (ja) * 1984-05-31 1985-12-17 Koasa Shoji Kk 海水を利用したミネラル栄養補強剤
JPH05219921A (ja) * 1992-02-07 1993-08-31 Kochi Pref Gov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清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0960A (ja) * 1996-07-23 1998-06-09 Hidekazu Itaka 深層海水成分を用いた清涼飲料
JP2001190256A (ja) * 2000-01-07 2001-07-17 Ako Kasei Co Ltd 深層水由来のミネラル成分含有の鉱泉水飲料
KR20030088610A (ko) * 2002-05-13 2003-11-20 김규종 동해 해양 심층수가 함유된 음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44B1 (ko) 2008-03-26 2008-08-2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미네랄 조성물
KR101171495B1 (ko) * 2010-04-12 2012-08-06 한만수 반도심층수가 코팅된 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51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197B1 (ko)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PT102430A (pt) Metodo aditivo de producao de agua potavel e de bebidas padronizadas a partir de agua (destilada ou desmineralizada) e de bebidas, para perfis de saude
KR20110013685A (ko) 해양심층수, 발효흑생강 추출물 및 대추농축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0482999B1 (ko)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KR101171068B1 (ko) 미네랄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개선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CN101263840B (zh) 一种含有核糖的奶粉及其制备方法
KR101171495B1 (ko) 반도심층수가 코팅된 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2215A (ko) 주성분으로 해양심층수, 홍삼 추출물, 대추 엑기스, 천궁 엑기스, 감초엑기스 및 구기자 엑기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20100114974A (ko)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1119645B1 (ko) 해양심층수,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제리 및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0331086B1 (ko) 수액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3571B1 (ko) 미네랄 함유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함유수
KR20100114975A (ko)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Reddy et al. Tender Coconut Water Uses, Health Benefits, Good Nutritive Value and Antioxidant Capacity.
KR20050106631A (ko)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미네랄 건강 음료수
KR101326720B1 (ko) 생약처리된 미네랄 워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0360A (ko) 반도 심층수 또는 그 농축분말을 함유하는 간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KR20100117168A (ko) 해양심층수 및 콜라겐, 매실농축액,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JP2016019536A (ja) 疲労回復(recharge)用の電解質強化組成物、栄養補助水、及びその調製方法
JPH01157363A (ja) 昆布エキス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この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海藻飲料
CN111302449A (zh) 一种富含深海矿物元素的碱性小分子饮用水及其制备方法
Cho et al. Beneficial Effects of Cheonilyeom (a Mineral-Rich Solar Sea Salt) on Health and Fermentation
KR20100117691A (ko) 매실 농축액을 함유한 건강 소금 제조 및 그 제조방법
Pushpa et al. Formulation of hypotonic electrolyte re-hydration whey drinks from paneer and cheese whey.
KR100543574B1 (ko) 미네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