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975A -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975A
KR20100114975A KR1020090033442A KR20090033442A KR20100114975A KR 20100114975 A KR20100114975 A KR 20100114975A KR 1020090033442 A KR1020090033442 A KR 1020090033442A KR 20090033442 A KR20090033442 A KR 20090033442A KR 20100114975 A KR20100114975 A KR 20100114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extract
functional beverage
acid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이원갑
김재성
박기주
Original Assignee
김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규 filed Critical 김원규
Priority to KR102009003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975A/ko
Publication of KR2010011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62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23L29/272Gell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42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2Stevios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4Sucralose, halogenated su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54Gell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6Mal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삼 농축액 및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로서 여기에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점도조절제, 향료,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 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이며 또한 흑삼 농축액에 다량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는 중추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주어 신체기능조절에 다양한 효과는 나타나는데 특히 간 보호, 항암제 내성억제, 혈전생성을 억제하여 동맥경화, 뇌졸중 증에 유효하며 해열진통,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 작용, 항산화 활성, 암세포 전이억제 등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위 열거한 효능이외에도 독성이 전혀 없으면서 면역 증강 작용, 골수세포 합성 촉진 작용 등도 있음 알려지면서 생체의 전반적인 면역기능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능성 음료조성물, 흑삼 농축액, 해양심층수

Description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A functional beverage comprising deep sea water, black ginseng}
본 발명은 흑삼 및 해양심층수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해양심층수, 흑삼을 함유하고 보조성분으로서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점도조절제, 보존제, 향료 및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이며 또한 흑삼 농축액에 다량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는 중추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주어 신체기능조절에 다양한 효과는 나타나는데 특히 간보호, 항암제 내성억제, 혈전생성을 억제하여 동맥경화, 뇌졸중 증에 유효하며 해열진통,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 작용, 항산화 활성, 암세포 전이억제 등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위 열거한 효능이외에도 면역 증강 작용, 골수세포 합성촉진 작용 등도 있음 알려지면서 생체의 전반적인 면역기능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체는 영양의 3대요소인 단백질, 전분질, 지질과 비타민류 등의 기본 영양을 필요로 하지만 소량의 미네랄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의 음식문화는 고단백에 비타민을 첨가한 음식이 발달해 있으므로 미네랄이 결핍될 확률이 많으며, 미네랄이 결핍될 경우, 여러 가지 결핍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필수적인 미네랄의 결핍증과 효능을 살펴보면, 먼저 구리(Cu)는 체내에서 효소를 비롯한 여러 단백질의 한 부분으로서 존재하는 중요한 미량원소로서, 저장된 철분과 장관내의 철분을 헤모글로빈 생성장소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또는 미토콘드리아내 전자전달계의 마지막 과정에 작용하여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성에 관여하고, 또한 골격성과 심장 순환계의 결합조직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데에도 기여하고, 단독 또는 아연과 함께 항산화효소인 SOD(Superoxide Dismutase)에 결합되어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결핍 시에는 빈혈, 백혈구 감소, 호중구 감소가 일어나게 되며, 효능으로는 심장혈관질환 예방, 관절염 치료, 산화방지 기능 및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일일 권장량은 1.5 내지 3.0mg/일이다.
나트륨(Na)은 세포외액의 중요한 성분으로서, 염소이온과 중탄산이온과 함께 인체의 산염기평형을 유지하고, 체액의 삼투압유지 및 체액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결핍 시에는 심신이 허약하고 근육경련, 체중감소, 두통 및 불면을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정상 체액유지와 공급, 인체의 정상적인 산염기 균형유지, 정상적인 근육반응 유지 또는 정상적인 삼투압 유지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0g 이하이나 한국인은 보통 10 내지 30g을 섭취한다.
마그네슘(Mg)은 인체 내에 약 20 내지 28g이 존재하며, 약 60%가 뼈, 26%는 근육, 나머지는 연조직과 체액에 있으며, 세포내액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결핍 시에는 신장 결석같은 신장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급성 알코올중독증, 부갑상선장애, 근육경련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당질대사, 지질대사, 단백질 대사와 핵산의 합성분해, 체내의 인지질(레시틴)의 합성을 돕고, 비타민C, B 복합체, 인, 나트륨, 칼륨 및 칼슘의 대사를 보조하고 신경 계통의 흥분 진정 효과를 불 수 있으며, 1일 권장량은 300mg이다.
망간(Mn)은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화 작용에 기여하며, 결핍시에는 체중감소, 피부염, 오심 또는 구토, 머리칼 변색, 생식능력 저하 또는 췌장기능 저하로 인한 당뇨 증상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노이로제, 조울증 또는 정신분열증 등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의 치료 효과, 성적 능력 강화, 당뇨 및 천식 치료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2.5 내지 5mg이다.
셀레늄(Se)은 천연토코페롤의 1,970배에 이르는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결핍시에는 암, 심장질환, 면역기능 저하, 적혈구 기능저하, 근육통, 심근 퇴하, 근긴장 증강, 췌장기능 퇴하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중금속의 무독화, 항산화작용, 항노화, 항암, 심장혈관질환 예방, 간경화 예방, 염증성 질환 예방, 당뇨병 합병증 예방, 간장 및 신장의 기능 강화, 생식기능 강화, 백내장 예방, 면역기능 향상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50 내지 200㎍이다.
아연(Zn)은 모든 체세포안에 있으며, 200개가 넘는 효소들의 구성성분으로서, 결핍시에는 태아의 기형발생 유발, 수면 및 행동장애, 여드름 또는 피부염 발생, 알코올성 간경화, 염증성 장질환, 자폐증 또는 정신병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태아성장 촉진, 정자 형성 촉진, 피부 저항력 강화 및 피부염 치료, 성장 발육 촉진, 인슐린 분비 증강, 동맥경화 예방 또는 갑상선 가능 조절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5mg이다.
인(P)은 칼슘 다음으로 체내에 많은 무기질로 인체의 전체 미네랄 중 22%를 차지하며, 에너지의 저장과 방출에 관여하고 인지질과 리포단백의 구성성분이며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핵산의 보조효소로도 작용한다. 결핍시에는 ATP 합성 저하로 무기력해지며, 유아의 체중 감소, 구루병, 성인의 골연화증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칼슘과 결합하여 구루병과 골연화증을 예방하고 많은 비타민 B와 결합하여 효소활성을 가지며, 1일 권장량은 800mg이다.
칼륨(K)은 성인의 체내총량이 150g 정도로 세포내액의 산, 알카리 평형에 가장 중요한 미네랄이며, 결핍시에는 부정맥, 저혈당, 무력증 등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정상 체액유지와 공급, 인체의 정상적인 산염기 균형유지, 정상적인 근육반응 유지, 정상적인 삼투압 유지, 혈관 확장, 인슐린 분비 촉진, 심근경색의 방어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3,600 내지 10,000이다.
칼슘(Ca)은 체내 무기질 중 가장 양이 많은 원소로, 매일 700mg 정도의 칼슘이 뼈와 혈액사이를 이동한다. 결핍시에는 혈액속의 칼슘저하로 말초신경과 근육접합부의 흥분성이 높아져 가벼운 자극으로 근육, 주로 손, 발, 안면근육이 수축 및 경련을 일으키는 테타니증이 유발되며, 효능으로는 골다공증, 구루병, 골절, 충치, 퇴행변성 관절증의 치료효과, 고혈압, 동맥경화증, 설사 또는 당뇨의 예방, 알레르기 질환 또는 감기 예방, 불면증, 신경과민의 치료, 심근 수축력의 증강, 신경 및 근육의 흥분, 혈액응고작용의 촉진 효과를 볼 수 있고, 1일 권장량은 1내지 1.2g이다.
철(Fe)은 헤모글로빈 속에 함유되어 산소와 결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철분이 부족하면 헤모글로빈을 생성할 수 없어서 적혈구도 보통보다 작아지게 되며 안색이 나빠지고, 쉽게 피로해지며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되어 빈혈이 유발된 다.
해수에는 상기 언급된 구리, 나트륨, 마그네슘, 망간, 셀레늄, 아연, 인, 칼륨, 칼슘, 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이 외에도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미량의 원소가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수는 표층수와 구별하여 해양 심층수라고 불려지고 있는데, 해양 심층수라는 것은 해수 표면으로부터 200미터 이하의 해수를 일컫는 것으로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식물성장에 필요한 질소, 인, 규산 등의 무기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대기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및 일반세균에 오염되지 않으므로 해양성 세균수도 적어 물리적 청정성도 매우 뛰어나며, 필수 미량원소와 다양한 미네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고, 또한 4대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외 아연, 셀렌, 망간 등을 포함하여 스트레스나 체질 불량 등으로 발생되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도 우수하며, 식수로 사용하는 지표수나 지하수 등에 비해 청정도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 오염이 심각한 현재의 상태에서 표층수는 식음료로 적합하지 않으나, 해양심층수는 표면층에 비하여 생균수가 그다지 많지 않을뿐더러 병원성 생물이 조금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료로 선택하는 경우에 안전성이 지극히 높다고 할 수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19921호).
이러한 해양 심층수의 특징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심해에서는 영양 물질 을 소비하는 식물 플랑크톤이 없기 때문에 박테리아 등에 의하여 분해된 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부영양성(미네랄성)이 있고, 표면 해수로부터 200미터 이하에는 유기물의 농도가 낮고, 대장균 또는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이 없으며, 육지나 대기로부터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도 적은 청정성을 갖고 있으며, 일년 내내 저온으로 그 변화가 적고 안정된 낮은 수온성을 갖고, 해양 심층수는 수천년 동안 형성된 물이기 때문에 그 성질이 안정되어 있으며, 각종 효소들의 작용으로 인하여 숙성화 되어 있는 숙성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 미량원소나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 등의 특성으로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해양심층수는 해수를 가열 농축하고 그 농축액을 냉각한 후, 농축액으로부터 얻어진 결정분을 제거하고, 이를 농축액의 부피가 원래 부피의 1/1000이하로 농축될 때까지 지속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증진액 및 그 제조방법을 기재하고 있고 그 용액 일부를 음료수에 가함으로써 당뇨병, 알레르기성 질환, 심근경색 등의 현대병의 예방에 유효한 건강음료를 개시하고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 평6-209739호).
또한 이 해양 심층수에 염화나트륨 등의 전해질을 가하여 전기분해장치에서 전기분해를 시행하여 그 양극쪽으로부터 얻어진 강산성 산화수(pH 2.4 내지 2.7이 하에서 산화환원전위가 1000mV 이상)와 음극쪽으로부터 얻어진 알칼리 환원수가 알려져 있는데, 강산성 산화수의 용도로서는 그 산화력과 산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이용하여 의료용 기구의 소독살균 및 식품의 살균소독에 이용되어 왔다. 알칼리 환원수에 대해서는 위장내의 이상발효, 만성설사, 소화불량, 제산 및 위산과다 등의 위장질환에 대하여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98575호 참조).
또한 해양 심층수에 함유된 미네랄 성분에 중점하여 미네랄 성분으로서 종래에 알려진 칼슘, 마그네슘 이외에 동, 아연 등의 금속이나 요소 등의 필수 미네랄 성분이 확인되었고, 생균수가 표층수보다 적기 때문에 이 심층수를 천연 미네랄수로 음료수에 첨가하여 미네랄 음료로서도 개발된 바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19921호).
해양 심층수에는 4대 미네랄(마그네슘, 칼슘, 칼륨, 나트륨), 아연, 망간 등을 포함하여 스트레스나 체질 불량 등으로 발생되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기능도 우수하며, 이처럼 미량원소나 다양한 미네랄 성분에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물 등의 작용으로 활성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심층수를 역삼투압 장치를 이용하여 담수(淡水)화된 물에 해수를 취 하여 얻어진 쓴 맛의 즙과 광산(鑛酸)을 첨가한 음료도 알려져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150960호).
그러나, 상기한 제조공정들은 역삼투압이나 전기분해 등의 증발농축 단계를 필수적으로 거치기 때문에 미네랄 농축액과 미네랄분이 희박하거나 함유되지 않는 물도 생산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광천수로부터 미네랄 성분을 제거한 물에 탈염 처리하여 얻어진 심층수로부터 얻은 미네랄 성분을 첨가한 광천수 음료에 대한 연구도 시행된 바가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90256호).
이러한 심층수는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피부치료를 위한 겔 제제로서 개발되거나(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10702호), 두부 등과 같은 식품가공품 및 의약부외품 등에 배합하거나(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8269호), 이 해양 심층수를 기본구성으로 하여 원료액즙, 당질원료, 부원료, 음료용수 등을 가하여 건강음료로 개발하거나(일본공개특허공보 제5-219921호), 빵을 만드는 공정 중에 사용하는 제조공정 중에 사용되는 수분 또는 액체로서 심층수를 사용하는 제조방법 등이 연구된 바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333592호).
인삼은 이미 오래전부터 그 효능 및 유효성이 잘 알려져 온 한약재이다.
인삼은 수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하는게 전통적인 방법이었다면, 최근에는 증숙과정을 거친 홍삼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많은 연구도 이루어 지고 있다.
홍삼과 같이 인삼을 증숙하게 되면 인삼의 약리작용이 변화하여 수삼에는 없던 활성성분이 생기거나, 기존에 존재하던 활성성분의 함량이 더욱 증가한다는 사실도 많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삼의 활성성분 함량을 더욱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흑삼이 바로 그러한 노력의 산물이다.
흑삼은 여러번 증숙하고 여러번 건조시켜 인삼이 검은 색으로 변한 삼을 지칭하며, 여러번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활성성분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아 인삼 및 홍삼보다 활성성분의 함량이 더 상승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96418(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에는, 인삼부의 미근부를 1 ~ 3 회 정제수로 세척하고, 세척한 세미삼을 60 ~ 70 ℃로 1.5 ~ 2 시간 동안 1차 증숙한 후, 수분함량이 28 %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한 다음, 상기공정을 다시 4 회에 걸쳐 반복한 후, 고압증숙기에서 135 ℃의 온도로 약 2 ~ 3 시간 동안 고압 증숙하고, 열풍회전건조기에서 60 ~ 70 ℃에서 수분 25 % 까지 건조시킨 다음, 상기 공정을 다시 4 회에 걸쳐 반복하고, 이 흑미삼을 벌크건조기에서 최종 수분함량 14 % 로 건조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 흑미삼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05089(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에는, 인삼을 세척한 후, 몸체와 미삼으로 분리하고, 인삼의 몸체와 미삼의 수분함량이 14 %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이 과정을 7 회 이상 반복하여 인삼이 홍삼으로 홍삼이 검게 변하면서 사포닌 속에 함유하고 있는 주요성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흑삼 또는 흑미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된 제조방법으로 수삼을 세척하여 음지에서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공정, 가마솥에 1차 건조물을 넣고 내부온도를 90 ~ 100 ℃로 하여 8 시간동안 증숙하는 1차 증숙공정, 1차 증숙물을 황토건조실에서 인삼의 수분함량이 50 %가 될때까지 60 ~ 70℃로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공정, 2차 건조물을 1차 증숙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5 시간 동안 증숙하는 2차 증숙공정, 2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의 함량이 40 %에 도달할때까지 건조시키는 3차 건조공정, 2차 건조공정 및 2차 증숙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6 회 더 반복하여 인삼의 수분함량이 30 %가 되도록 하는 8차 증숙공정 및 9차 건조공정, 9차 건조물을 1차 증숙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증숙하되, 내부온도를 70 ~ 80 ℃가 되도록 하여 6 시간 동안 증숙하는 9차 증숙공정, 9차 증숙물을 2차 건조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수분함량을 14 %이내로 건조시키는 10차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흑삼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9.0 ~ 15.0 ㎎/g, Rb1이 1.5 ~ 5.0 ㎎/g, Rb2가 1.0 ~ 4.0 ㎎/g, Rc가 1.0 ~ 4.0 ㎎/g, Rd가 1.0 ~ 6.0 ㎎/g, Re가 0.2 ~ 1.5 ㎎/g, Rf가 0.6 ~ 1.5 ㎎/g, Rg가 0.2 ~ 0.6 ㎎/g, Rh1이 1.0 ~ 1.2 ㎎/g, Compound K가 0.05 ~ 0.1 ㎎/g인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흑삼을 준비하는 제1공정, 이 흑삼을 추출기에 넣고 물을 흑삼중량의 6 배가 되도록 넣은 후, 내부온도를 90 ~ 100 ℃로 하여 48 시간 동안 1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2공정, 1차 추출액을 필터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제3공정, 여과물을 침전탱크로 이송한 후, 전분을 제거하는 제4공정, 전분이 제거된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이송하여 고형분 60 ~ 70 %가 되도록 1차 농축하는 제5공정, 1차 농축물을 15 ~ 25 ℃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키는 제6공정, 숙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7공정을 거쳐 제조된 흑삼 농축액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가 10 ~ 30 ㎎/g, 진세노사이드 Rg2가 8 ~ 11 ㎎/g, Rb1이 0.003 ~ 0.03 ㎎/g, Rd가 2.0 ~ 3.01 ㎎/g, Rf가 5.0 ~ 7.0 ㎎/g, Rh1이 7.0 ~ 8.5 ㎎/g, Rh2가 0.02 ~ 0.09 ㎎/g인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공정의 1차 추출물 제조후 남은 잔여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을 2 회 반복하여 2차 및 3차 농축액을 제조하고, 1차 내지 3차 농축물을 혼합한 다음, 숙성하고 살균 및 포장하여 본 발명의 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흑삼은 여러번 증숙하고 여러번 건조시켜 인삼이 검은 색으로 변한 삼을 지칭한다.
여러번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활성성분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아 인삼 및 홍삼보다 활성성분의 함량이 더 상승되게 된다.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는 인삼 사포닌을 가리키는 말로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미쳐 신체기능 조절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는 활성성분이다.
그 중,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의 증가율이 가장 큰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 전이억제, 간보호 작용, 항암제 내성억제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혈전생성을 억제해 동맥경과, 뇌졸증, 치매 등 여러가지 순환기계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추신경 억제, 해열진통, 간기능 보호효과가 있으며, Rb2는 항당뇨, 항동맥경화, 간세포 증식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진세노사이드 Rc는 진통작용,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진세노사이드 Rd는 항산화 활성,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촉진작용이 있고, 진세노사이드 Re는 간보호 작용, 골수세포 합성촉진 작용, 진세노사이드 Rf는 뇌신경세포 진통작용, 지질과산화 억제작용, 진세노사이드 Rg2는 혈소판 응집억제, 기 억력 감퇴 개선작용, 진세노사이드 Rh1은 간보호, 항종양 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삼에는 Compound K라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Compo und K는 20-O-β-D-glucopylracyl-20(S)-protopanaxadiol 이라는 물질로서, 분자식은 C36H63O8 이고, 독성이 전혀 없으면서 면역증강작용을 하고, 종양혈관신생 억제작용을 하고, 암세포전이 억제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의 흑삼 및 홍삼은 한국인삼연초연구원에서 2002년 1월 25일자 의뢰하여 분석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표1> 흑삼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항목 실시예 2
(흑삼근)
실시예 3
(흑삼미)
종래의
흑삼근
종래의
흑삼미
종래의
홍삼근
종래의
홍삼미
수분(%) 10.02 6.83 9.14 15.82 13.88 10.08
진세사이드 Rg3(mg/g) 9.18 14.23 0.41 1.24 0.18 0.10
진세사이드 Rb1(mg/g) 1.78 4.78 0.67 1.91 0.69 1.37
진세사이드 Rb2(mg/g) 1.51 3.99 0.43 0.98 0.19 0.71
진세사이드 Rc(mg/g) 1.32 3.93 0.43 1.19 0.25 0.12
진세사이드 Rd(mg/g) 1.14 5.68 0.18 1.02 0.26 0.10
진세사이드 Re(mg/g) 0.20 1.40 0.40 0.92 0.40 0.99
진세사이드 Rf(mg/g) 0.68 1.00 0.30 0.50 0.22 0.31
진세사이드 Rg(mg/g) 0.28 0.54 0.37 0.50 0.18 0.22
진세사이드 Rh1(mg/g) 1.06 1.17 확인 확인 확인 확인
Compound K(mg/g) 0.07 0.10 - - - -
상기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흑삼 및 홍삼에 비해 본 발명의 흑삼이 유용성분의 함량이 크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흑삼에서 활성성분의 함량변화가 가장 큰 성분은 진세노사이드 Rg3이며, 이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 전이억제, 간보호 작용, 항암제 내성억제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혈전생성을 억제해 동맥경과, 뇌졸증, 치매 등 여러 가지 순환기계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성분이다.
흑삼에서 활성성분 함량이 크게 증진된 성분으로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추신경 억제, 해열진통, 간기능 보호효과가 있으며, Rb2는 항당뇨, 항동맥경화, 간세포 증식효과가 있고, 진세노사이드 Rc는 진통작용,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작용, 진세노사이드 Rd는 항산화 활성,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촉진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성분이다.
해양심층수와 흑삼 농축액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은 개발된 바 없으며, 본 발명에 의하여 해양심층수에 흑삼 농축액에 보조성분으로서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점도조절제, 보존제, 향료 및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이며 또한 흑삼 농축액에 다량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는 중추신경계,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주어 신체기능조절에 다양한 효과는 나타나는데 특히 간보호, 항암제 내성억제, 혈전생성을 억제하여 동맥경화, 뇌졸중 증에 유효하며 해열진통,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 작용, 항산화 활성, 암세포 전이억제 등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위 열거한 효능이외에도 독성이 전혀 없으면서 면역 증강 작용, 골수세포 합성 촉진 작용 등도 있음 알려지면서 생체의 전반적인 면역기능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흑삼 발효농축액과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Demineraliged or partilly demineraliged deep sea water)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흑삼 농축액 및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를 주성분에 의해 보조성분으로서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점도조절제, 향료, 과일쥬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다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미제는 D-솔비톨, 자일리톨과 같은 다가 알콜, 서당, 글루코스, 말토스, 후락토스, 이성화당과 같은 당류,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꿀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그 금속염, 젖산 또는 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존제로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 p-메틸 안식향산, p-에틸 안식향산, p-프로필안식향산, p-부틸안식향산, 또는 이들의 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보존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는 허벌향, 스트로베리향 및 통상으로 사용되는 천연 또는 인공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일주스는 오렌지 주스 또는 오렌지추출물, 레몬주스 또는 레몬추출물, 자몽주스 또는 자몽추출물, 사과주스 또는 사과추출물, 딸기주스 또는 딸기추출물, 복숭아주스 또는 복숭아추출물, 자두주스 또는 자두추출물, 망고주스 또는 망고 추출물 및 파파야주스 또는 파파야 추출물에서 선택된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산의 금속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에서 선택된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50ml 중에 흑삼 600~3,000mg 외에 위 열거한 보조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탈염 또는 부분 탈염된 해양심층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란 나트륨이온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제거하고 다른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잔존하는 해양심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주성분이외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성분으로서는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글리세린, 점도조절제, 향료 등이고, 과일주스는 시판중인 성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그 금속염, 젖산 또는 그 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는 허벌향, 스트로베리향 및 통상으로 사용되는 천연 또는 인공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50ml당 감미제 1g50g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50ml당 유기산 또는 유기산염 01.000mg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로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점도 조절제를 함유 할수 있다. 이때 사용될수 있는 점도조절제는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 50ml당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 적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음료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점도조절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때에 사용될 수 있는 점도조절제는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조절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부제 또는 보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부제 또는 보존제로서는 안식향산나트륨, p-메틸 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프로필안식향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금속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기능성 음료조성물 50ml당 1mg 내지 100mg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의 제조는 그 취수지역에 따라서 미네랄의 함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 10-0854700호에 의하면, 각 취수 지역에 따른 심층수의 성분분석치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동해심층수
(고성)
일본고치현심층수 일본오끼나와현심층수 미국하외이심층수
염분(mg/ml) 33.72-33.94 34.3-34.4 34.71 34.37-34.29
pH 7.19-7.90 7.8-7.9 7.93 7.45-7.64
인산염 1.7-4.3 1.1-2.0 3.05 2.89-3.15
질산염 3.6-13.3 12.1-26.0 21.89 39.03-40.86
규산염 72.0-108.0 33.9-56.8 44.81 74.56-79.2
용존산소 9.13-9.47 4.1-4.8 1.24-1.45
(mg/ml)
공개특허공보 특 2003-0066025호에 의하면,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의 성상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해양심층수의 탈염 정제법 전기 투석정제 역삼투압여과정제
pH 8.2 5.54
Na(mg/L) 123 25
K(mg/L) 12 1.6
Ca(mg/L) 189 1.1
Mg(mg/L) 830 2.6
Cl(mg/L) 3020 54
SO4 -2(mg/L) 301 3.4
PO4 -3(mg/L) 0.1
PO4 -2-P(mg/L) 0.04
SiO2-Si(mg/L) 1.0
상기의 표 2에서 얻어진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 또는 기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 심층수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공정으로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탱크에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를 투입하고, 감미제, 보존제, 점도조절제, 유기산등을 투입하고 809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다. 여기에 해양 심층수를 더 가하여 전체를 조절한 다음 멸균한 다음 적당한 용기에 한다.
본 발명은 흑삼 농축액과 탈염 또는 부분적으로 탈염한 해양심층수(Demineraliged or partilly demineraliged deep sea water)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해양심층수, 흑삼을 함유하고 보조성분으로서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점도조절제, 향료,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식사로는 부족하기 쉬운 해양심층수에 의한 필수미네랄 성분등을 공급하고, 신체의 미네랄 균형을 보완해주는 천연미네랄 함유 건강 음료로서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정력증강,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시키고 고혈압, 당뇨증 개선에도 유효한 작용이 있다.
또한 흑삼의 구성성분 증 유기성 게르마늄, 셀레늄에 의한 암의 억제 및 예방에 도움을 주며, 알레르기 반응시 유리되는 베타헥기 소사미니데스 효소의 유리를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항알레르기 작용이 확인되고 있으며, 또 하나의 구성성분 인 알리신이 위점막을 자극, 위액촉진 및 대장 정장작용에 의한 정장, 소화기능 촉진과 신경세포의 흥분을 진정,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 해소 및 불면증 개선, 해독작용과 간 기능 강화 등을 증가시켜 인체의 전반적인 면역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원료명 함량
흑삼농축액 600mg
구연산 30mg
수크랄로스 5mg
산탄검 30mg
안식향산나트륨 29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5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흑삼농축액, 구연산, 수크랄로스, 산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 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2
원료명 함량
흑삼농축액 660mg
구연산 35mg
수크랄로스 5mg
산탄검 33mg
안식향산나트륨 29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5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흑삼농축액, 구연산, 수크랄로스, 산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3
원료명 함량
흑삼농축액 800mg
구연산 40mg
수크랄로스 5mg
산탄검 36mg
안식향산나트륨 29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5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흑삼농축액, 구연산, 수크랄로스, 산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4
원료명 함량
흑삼농축액 950mg
구연산 45mg
수크랄로스 5mg
산탄검 40mg
안식향산나트 29mg
탈염 해양심 적량을 가하여
전체 5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흑삼농축액, 구연산, 수크랄로스, 산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5
원료명 함량
흑삼농축액 1100mg
구연산 50mg
수크랄로스 5mg
산탄검 42mg
안식향산나트 29mg
탈염 해양심 적량을 가하여
전체 5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흑삼농축액, 구연산, 수크랄로스, 산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실시예 6
원료명 함량
흑삼농 1300mg
구연산 55mg
수크랄 5mg
산탄검 45mg
안식향트륨 29mg
탈염 해양심층수 적량을 가하여
전체 50mL
제조방법
1) 90℃의 해양심층수에 흑삼농축액, 구연산, 수크랄로스, 산탄검, 안식향산나트륨을 가하여 교반, 용해한다.
2) 1)의 액을 완전 용해시킨 후 해양심층수로 표선하고 5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 여 135℃에서 20초간 UHT 멸균한 후 충전하여 밀봉한다.

Claims (7)

  1. 탈염해양심층수와 흑삼 농축액 주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 기능성 음료조성물 50ml 당 흑삼 농축액 600~1300mg, 감미제 5~20000mg, 유기산30~55mg, 점도조절제 30~45mg을 함유하며 탈염 또는 탈염된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감미제로, 수크랄로스, D-솔비톨, 자일리톨과 같은 다가 알콜, 서당, 글루코스, 말토스, 후락토스, 과당, 이성화당과 같은 당류, 스테비오사이드 및 꿀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 의 당류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유기산으로 구연산, 또는 그 금속염, 젖산 또는 금속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기산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과일주스로서 오렌지 주스 또는 오렌지추출물, 레몬주스 또는 레몬추출물, 자몽주스 또는 자몽추출물, 사과주스 또는 사과추출물, 딸기주스 또는 딸기추출물, 복숭아주스 또는 복숭아추출물, 자두주스 또는 자두추출물, 망조주스 또는 망고 추출물 및 파파야주스 또는 파파야 추출물에서 선택된 과일주스 또는 과일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점도조절제가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보존제가 안식향산 나트륨, p-메틸 안식향산, p-에틸안식향산, p-프로필안식향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금속나트륨에서 선택된 보존제인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20090033442A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100114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442A KR20100114975A (ko)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442A KR20100114975A (ko)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975A true KR20100114975A (ko) 2010-10-27

Family

ID=4313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442A KR20100114975A (ko) 2009-04-17 2009-04-17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9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94B1 (ko) * 2013-11-13 2014-06-03 농업회사법인 내몸애 주식회사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개똥쑥 어린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960681B1 (ko) * 2017-10-25 2019-03-21 송순영 흑삼 양갱 제조방법
CN111149964A (zh) * 2020-02-19 2020-05-15 吉林人参研究院(吉林省长白山天然药物研究院) 一种以黑参、肽为原料的液体饮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94B1 (ko) * 2013-11-13 2014-06-03 농업회사법인 내몸애 주식회사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개똥쑥 어린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960681B1 (ko) * 2017-10-25 2019-03-21 송순영 흑삼 양갱 제조방법
CN111149964A (zh) * 2020-02-19 2020-05-15 吉林人参研究院(吉林省长白山天然药物研究院) 一种以黑参、肽为原料的液体饮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160B1 (ko) 식혜의 제조방법
JP6876724B2 (ja) 塩生植物由来の機能性が強化した脱塩栄養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US20030143311A1 (en) Recovery drink formula and method
CA2798559C (en) Plant-based electrolyte compositions
KR20050059063A (ko) 해수를 이용한 미네랄 조성물
KR20110013685A (ko) 해양심층수, 발효흑생강 추출물 및 대추농축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20100112215A (ko) 주성분으로 해양심층수, 홍삼 추출물, 대추 엑기스, 천궁 엑기스, 감초엑기스 및 구기자 엑기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20100114974A (ko) 해양심층수, 흑마늘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유기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20100114975A (ko) 해양심층수 및 흑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CN103932341A (zh) 一种含香菇提取液的苏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318862B (zh) 一种苦菊菜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119645B1 (ko) 해양심층수, 타우린 비타민류, 로얄제리 및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0482999B1 (ko) 심층수 농축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조성물
KR100331086B1 (ko) 수액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90246322A1 (en) Trace mineral-infused beverage to provide increased athletic performance, long-lasting energy, and health benefits
KR20050106631A (ko)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미네랄 건강 음료수
KR20100117168A (ko) 해양심층수 및 콜라겐, 매실농축액,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9990001026A (ko) 홍삼과 가시오가피 및 전해질을 병용한 스포츠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5861A (ko) 연과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0360A (ko) 반도 심층수 또는 그 농축분말을 함유하는 간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JP2016019536A (ja) 疲労回復(recharge)用の電解質強化組成物、栄養補助水、及びその調製方法
KR100396586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모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CN106922883A (zh) 一种健脾开胃绿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311258A (zh) 芦荟枸杞保健酒
CN117016707A (zh) 桃胶银耳悬浮饮料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9

Effective date: 201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