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765B1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765B1
KR100482765B1 KR10-2002-0079204A KR20020079204A KR100482765B1 KR 100482765 B1 KR100482765 B1 KR 100482765B1 KR 20020079204 A KR20020079204 A KR 20020079204A KR 100482765 B1 KR100482765 B1 KR 10048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olysilicon film
forming
film
poly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301A (ko
Inventor
이승철
박상욱
조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7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765B1/ko
Priority to TW092118850A priority patent/TWI282149B/zh
Priority to US10/631,200 priority patent/US6780743B2/en
Priority to JP2003386204A priority patent/JP4371360B2/ja
Publication of KR2004005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폴리실리콘막이 적층된 데이터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SiH4 가스를 유입시켜 SiH4 및 SiO2를 Si와 H2 및 Si와 O2로 분해시키고, N2 어닐 공정을 실시하여 분해된 H2 가스 및 O2 가스가 N2 가스와 반응하여 아웃가싱되도록 하며, SiH4 가스 및 PH3 가스를 유입시켜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내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여 데이터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 floating gate in a flas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SiH4 가스를 유입시켜 자연 산화막을 분해(decompositon)시키고, N2 어닐 공정을 실시하여 분해된 H2 가스 및 O2 가스가 N2 가스와 반응하여 아웃가싱되도록 하며, SiH4 가스 및 PH3 가스를 유입시켜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내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여 데이터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0.115㎛ 데이터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는 제 1 및 제 2 폴리실리콘막의 이중 폴리실리콘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 소거 등의 메커니즘에 의해 전자들이 이동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폴리실리콘막은 익스시투 공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에 자연 산화막이 발생된다.
그럼, 현재 개발중인 0.115㎛ 데이터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을 도 1(a) 및 도 1(b)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 상부에 터널 산화막(12) 및 제 1 폴리실리콘막(13)을 형성한 후 그 상부에 질화막(14)을 형성한다. 소자 분리 마스크를 이용한 리소그라피 공정 및 식각 공정으로 질화막(14)을 패터닝한다. 패터닝된 질화막(14)을 마스크로 제 1 폴리실리콘막(13) 및 터널 산화막(12)을 식각한 후 노출된 반도체 기판(11)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한다.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15)을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산화막(15)을 연마한 후 제 1 폴리실리콘막(13) 상부의 질화막(14)을 식각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체 구조 상부에 제 2 폴리실리콘막(16)을 형성한 후 제 2 폴리실리콘막(16) 및 제 1 폴리실리콘막(13)을 패터닝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한다. 그런데, 제 1 폴리실리콘막(13)과 제 2 폴리실리콘막(16)은 연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계면에 자연 산화막(17)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함에 따라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에 자연 산화막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자 동작시 전자들이 자연 산화막에 트랩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자연 산화막에 트랩된 전자들로 인해 셀의 문턱 전압이 떨어지는 비트 페일(bit fail)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자연 산화막이 기생 캐패시터로 작용하게 되어 초기 인가된 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중요한 특성인 셀의 문턱 전압 분포에 있어 전체적인 균일성을 저하시켜 소자의 특성을 악화시킨다.
도 2는 소거 동작시 셀의 문턱 전압과 셀 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로 표시된 부분의 셀들은 전반적으로 셀의 문턱 전압이 떨어진 셀들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비트 페일 테일(bit fail tail)이라 한다.
도 3은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HR TEM으로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 계면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자연 산화막이 18Å 정도의 두께로 생성된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제 1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을 클리닝한 후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할 때까지 공정 시간이 지연될 경우 자연 산화막의 두께는 더욱 증가하게 되고, 제 1 폴리실리콘막이 표면을 클리닝함에 불구하고 자연 산화막이 성장하는 이유는 클리닝 공정을 실시하더라도 화학 물질에 의한 케미컬 산화막이 소량 존재하여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도 4는 제 1 폴리실리콘막 표면의 클리닝 유무에 따른 인 도핑 프로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SIMS 프로파일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는 열버짓을 주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막을 증착한 웨이퍼를 나타낸 것으로, 제 2 폴리실리콘막 벌크내의 인 농도는 약 3.2E20 atoms/cc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 1 폴리실리콘막내로의 인 확산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B는 제 1 폴리실리콘막 표면을 클리닝한 상태로서, 제 1 및 제 2 폴리실리콘막 계면의 자연 산화막이 18Å 정도의 두께로 성장한 경우 제 1 폴리실리콘막내의 인 농도와 제 2 폴리실리콘막내의 인 농도는 거의 같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C는 제 1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을 클리닝하지 않은 상태로서,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에 30Å 이상의 자연 산화막이 성장되어 제 1 폴리실리콘막내의 인 농도는 약 5.6E19 atoms/cc이고, 제 2 폴리실리콘막내의 인 농도는 그 절반 수준인 약 1.1E20 atoms/cc밖에 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에 자연 산화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인 도핑 프로파일에 큰 차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 사이에 성장하는 자연 산화막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소자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SiH4 가스를 유입시켜 자연 산화막을 분해시키고, N2 어닐 공정을 실시하여 분해된 자연 산화막의 H2 가스 및 O2 가스가 N2 가스와 반응하여 아웃가싱되도록 한 후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내의 자연 산화막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터널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 및 상기 터널 산화막의 소정 영역을 식각한 후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산화막을 연마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SiH4 가스를 유입시켜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 상부의 자연 산화막을 분해시키고, N2 어닐 공정을 실시하여 분해된 물질을 아웃가싱시킨 후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폴리실리콘막 및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 요소를 지칭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레이피로서, 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21) 상부에 터널 산화막(22) 및 제 1 폴리실리콘막(23)을 형성한 후 그 상부에 질화막(24)을 형성한다. 이때, 제 1 폴리실리콘막(23)은 300∼7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소자 분리 마스크를 이용한 리소그라피 공정 및 식각 공정으로 질화막(24)을 패터닝한다. 패터닝된 질화막(24)을 마스크로 제 1 폴리실리콘막(23) 및 터널 산화막(22)을 식각한 후 노출된 반도체 기판(21)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한다.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25)을 형성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산화막(25)을 연마한 후 제 1 폴리실리콘막(23) 상부의 질화막(24)을 식각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클리닝 공정을 실시하여 제 1 폴리실리콘막(23)의 표면에 성장되는 자연 산화막을 최소화한다. 이때, 클리닝 공정에 의해서도 자연 산화막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케미컬 산화막이 존재하게 되며, HF 용액, 희석된 HF 용액 또는 RCA를 이용하여 클리닝 공정을 실시한다. 한편, HF 용액을 이용하여 클리닝 공정을 실시하게 되면 케미컬 산화막의 성장을 최소화하면서 소수성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RCA를 이용하여 클리닝 공정을 실시하게 되면 결함 및 파티클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공정 레시피에 따라 반응로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510∼590℃ 및 200∼600mTorr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SiH4 가스를 0.1∼1.9SLM 정도 유입시키고 5분∼20분정도 반응시켜 [화학식 1]에 의해 SiH4 및 SiO2를 분해(decompositon)시킨다. 그리고, 반응로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750∼950℃ 및 100∼300mTorr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N2 가스를 0.1∼1.9SLM 정도 유입시키고 5분∼20분정도 반응시켜 [화학식 2]에 의해 H2 가스 및 O2 가스가 N2 가스와 반응하여 아웃가싱(outgassing)되도록 한다. 또한, 반응로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510∼590℃ 및 200∼600mTorr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SiH4 가스와 PH3 가스의 혼합 가스를 0.5∼2.0SLM 정도 유입시키고 20분∼40분 정도 반응시켜 제 2 폴리실리콘막(26)을 형성한다. 상기 SiH4 가스를 이용한 분해 및 N2 어닐을 이용한 아웃가싱에 의해 제 1 폴리실리콘막(23) 상부에 실리콘막이 10∼30Å 정도의 두께로 재성장되고, SiH4 가스와 PH3 가스의 혼합 가스에 의해 제 2 폴리실리콘막(26)의 전체 두께가 600∼2000Å 정도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폴리실리콘막(26) 및 제 1 폴리실리콘막(23)을 패터닝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SiH4 가스를 유입시켜 SiH4 및 SiO2를 Si와 H2 및 Si와 O2로 분해시키고, N2 어닐 공정을 실시하여 분해된 H2 가스 및 O2 가스가 N2 가스와 반응하여 아웃가싱되도록 하며, SiH4 가스 및 PH3 가스를 유입시켜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의 계면내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여 데이터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데이터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 2는 소거 동작시 셀의 문턱 전압과 셀 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종래의 방법으로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한 후 제 1 폴리실리콘막과 제 2 폴리실리콘막 계면의 HR TEM 사진.
도 4는 제 1 폴리실리콘막 표면의 클리닝 유무에 따른 인 도핑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소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폴리실리콘막 형성을 위한 공정 레시피.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및 21 : 반도체 기판 12 및 22 : 터널 산화막
13 및 23 : 제 1 폴리실리콘막 14 및 24 : 질화막
15 및 25 : 산화막 26 및 26 : 제 2 폴리실리콘막
17 : 자연 산화막

Claims (5)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터널 산화막 및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 및 상기 터널 산화막의 소정 영역을 식각한 후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산화막을 연마하여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 상부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클리닝하는 단계;
    상기 클리닝 후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 상부에 잔류하는 산화막을 분해시키고, 분해된 물질을 어닐 공정으로 아웃가싱시켜 제거한 후 제 2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폴리실리콘막 및 제 1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하는 단계는 HF 용액, 희석된 HF 용액 또는 RCA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산화막의 분해는 반응로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510 내지 590℃ 및 200 내지 600mTorr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SiH4 가스를 0.1 내지 1.9SLM 정도 유입시키고 5분 내지 20분정도 반응시켜 SiH4 및 SiO2를 Si와 H2 및 O2로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 공정은 상기 반응로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750 내지 950℃ 및 100 내지 300mTorr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N2 가스를 0.1 내지 1.9SLM 정도 유입시키고 5분 내지 20분정도 반응시켜 H2 가스 및 O2 가스가 N2 가스와 반응하여 아웃가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리실리콘막은 상기 반응로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510 내지 590℃ 및 200 내지 600mTorr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SiH4 가스와 PH3 가스의 혼합 가스를 0.5 내지 2.0SLM 정도 유입시키고 20분 내지 40분 정도 반응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KR10-2002-0079204A 2002-12-12 2002-12-1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KR10048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204A KR100482765B1 (ko) 2002-12-12 2002-12-1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TW092118850A TWI282149B (en) 2002-12-12 2003-07-10 Method of forming a floating gate in a flash memory device
US10/631,200 US6780743B2 (en) 2002-12-12 2003-07-31 Method of forming a floating gate in a flash memory device
JP2003386204A JP4371360B2 (ja) 2002-12-12 2003-11-17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204A KR100482765B1 (ko) 2002-12-12 2002-12-1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301A KR20040051301A (ko) 2004-06-18
KR100482765B1 true KR100482765B1 (ko) 2005-04-14

Family

ID=3250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204A KR100482765B1 (ko) 2002-12-12 2002-12-12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80743B2 (ko)
JP (1) JP4371360B2 (ko)
KR (1) KR100482765B1 (ko)
TW (1) TWI2821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1775B2 (ja) * 2004-06-25 2011-04-2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183161B2 (en) * 2004-09-17 2007-02-2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gramming and erasing structure for a floating gate memory cell and method of making
US20080150028A1 (en) * 2006-12-21 2008-06-26 Advanced Micro Devices, Inc. Zero interface polysilicon to polysilicon gate for semiconductor device
CN102623319A (zh) * 2012-03-22 2012-08-01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一种制备浮栅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3698A (ja) * 1992-06-09 1993-12-24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10065186A (ko) * 1999-12-29 2001-07-11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1284556A (ja) * 2000-03-31 2001-10-1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5688A (ko) * 2001-06-15 2002-12-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26485B1 (ko) * 2001-12-22 2004-04-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028A (en) * 1989-12-29 1991-04-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hot electron programmable, tunnel electron erasable contactless EEPROM
US5493140A (en) * 1993-07-05 1996-02-20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memory cel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604141A (en) * 1994-03-15 1997-02-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virtual-ground flash EPROM array with reduced cell pitch in the X dir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3698A (ja) * 1992-06-09 1993-12-24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10065186A (ko) * 1999-12-29 2001-07-11 박종섭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1284556A (ja) * 2000-03-31 2001-10-1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5688A (ko) * 2001-06-15 2002-12-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26485B1 (ko) * 2001-12-22 2004-04-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0743B2 (en) 2004-08-24
TWI282149B (en) 2007-06-01
JP4371360B2 (ja) 2009-11-25
TW200414451A (en) 2004-08-01
JP2004193583A (ja) 2004-07-08
US20040115885A1 (en) 2004-06-17
KR20040051301A (ko)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55012B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cell
US70377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100674971B1 (ko) U자형 부유 게이트를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KR10053727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90919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TWI325163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and flash memory device
KR10075313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82765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CN100468659C (zh) 制造闪存器件的电介质膜的方法
JP4843205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53727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886558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loating gate memory structure
KR10048276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7534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66189B1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466188B1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 제조방법
US719288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30043498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3892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085489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94443A (ko) 플래시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JPH1123376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01204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70051544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방법
TW200419671A (en) Method for polymer removal after an etch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