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335B1 - 시이트적층물의최상위시이트분리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적층물의최상위시이트분리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335B1
KR100478335B1 KR1019970012859A KR19970012859A KR100478335B1 KR 100478335 B1 KR100478335 B1 KR 100478335B1 KR 1019970012859 A KR1019970012859 A KR 1019970012859A KR 19970012859 A KR19970012859 A KR 19970012859A KR 100478335 B1 KR100478335 B1 KR 10047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tack
air
top shee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847A (ko
Inventor
보스 피터 조오지 라
프레데릭 제랄두스 히만
페트루스 요하네스 마리아 티센
팔스 제리트 파버
Original Assignee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filed Critical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ublication of KR97006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65H3/128Suction bands or belt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2Suction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이트 적층물 상에서 짧은 거리에 배치된 흡인벨트 콘베이어로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흡인벨트 콘베이어는 무단흡인 벨트(4)가 둘레에서 회전이동 하는 흡인상자(3)로 구성된다.
일측 모서리(21)에서 흡인상자(3)는 최상위 시이트를 흡인상자(3)에 대하여 흡인하므로서 이를 전개시키기 위하여 흡인상자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공기운동저항을 갖는다. 이러한 낮은 공기유동저항은 상기 모서리(21)를 제외하고 흡인상자(3)의 천공형 기부상에 짧은 거리를 두고 판(20)을 배치하여 얻는다.
흡인상자(3)의 모서리(21)에 근접하여 공기가 전개흡인작용을 보조하도록 적층물의 측부에 대하여 취입된다.
흡인벨트(4)에는 분리에 도움이 되도록 부착되는 시이트를 변형시키는 주변리브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본 발명은 시이트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를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이트 적층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 적층물상에 배치되고 저면에 상이한 공기유동저항을 갖는 공기통로가 구비된 시이트 이송수단, 적층물상에 짧은 거리를 두고 시이트 이송수단을 고정하는 위치선정수단과, 공기통로를 통하여 상향기류를 발생하기 위한 공기변위수단으로 구성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미국특허 제5,150,892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에 기술된 장치는 상호근접되게 배치된 4개의 유공형 콘베이어 벨트로 둘러싸인 흡인상자를 갖는 시이트 이송로를 가지며, 상기 흡인상자에는 콘베이어 벨트에 대하여 최상위 시이트를 흡인토록 상향기류가 일어나는 공기통공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서, 시이트가 접촉되게 흡인되지 않는 경우에 공기통로가 최외측 콘베이어 벨트에서 밸브로 폐쇄되어 공기유동이 활성화될 때에 최상위 시이트가 중간 콘베이어 벨트에 대하여 흡인되므로서 흡인상자 내의 부압이 증가하고 최외측 공기통로의 밸브가 개방되며, 이로써 이미 흡인접촉된 시이트의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된 시이트의 부분이 흡인상자에 흡인된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의 결점은 적층물의 중앙에서 먼저 느슨하게 된 최상위 시이트를 인상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최상위 시이트의 상향흡인이 최상위 시이트 아래의 중앙부분에 강한 부압이 나타나도록 하며 이완된 최상위 시이트를 인상하기 위하여 시이트 이송수단으로부터 더욱 강한 상향흡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사실에 기인하고 있다.
만약 시이트 사이의 부압이 최상위 시이트 아래의 시이트들 사이 보다는 최상위 시이트와 그 바로 아래의 시이트 사이에서 더 크다면 두개의 최상위 시이트가 시이트 이송수단에 함께 흡인되는 결점이 있게 된다.
변부측보다는 중앙에서 시이트를 주로 흡인하는 방식의 결점은 시이트를 중앙부에서 만곡시키는 것이 흡인할 시이트가 강하거나 그 아래의 시이트 상에서 겨우 미끄럼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인 경우에 매우 큰 흡인력을 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이 없는 서두에 언급된 바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지지체 상의 적층물의 변부에 근접배치된 제1 공기통로가 상기 변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제2 공기통로 보다 공기유동에 대한 낮은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상부 시이트가 적층물의 변부로부터 말리지 아니하여 공기가 최상위 시이트와 나머지 적층물 사이로 쉽게 유동하므로서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를 분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다른 효과로서는 적층물상의 요구된 위치에서 보다 큰 정적이고 동적인 부압이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최상위 시이트가 적층물로부터 이송될 수 있는 적층물의 측부에 제1 공기통로를 근접 배치하므로서 시이트 사이에 생성된 부압을 소거하기 위하여 공기가 적층물의 전면측으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만약에 이러한 공기유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취입공기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취입공기는 최상위 시이트가 이송될 때에 다음의 시이트를 고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최상위 시이트가 적층물로부터 이송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시이트 이송수단의 일측변부 영역에 제1 공기통로를 배치하므로서 공기가 적층물의 측부로부터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만약 취입공기가 이러한 공기유통을 보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취입공기는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를 느슨히 취입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제1 공기통로는 시이트 이송수단의 모서리에만 배치된 시이트 이송수단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이 영역은 시이트 이송수단의 두 수직배치변부가 교차하는 라인으로 둘러싸인다. 따라서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가 모서리로부터 전개되며 이 모서리에서는 공기가 최상위 시이트의 효과적인 흡인을 위하여 적층물의 전면과 측부로부터 이송수단으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가지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시이트 이송수단의 저면은 정규패턴의 공기통공이 구비된 외벽과 이로부터 짧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체상에 놓인 시이트의 적층물의 일부분에 근접하여 외벽과의 사이의 짧은 거리보다 큰 구간을 갖는 통공이 형성된 내벽을 갖는다.
따라서, 제1 공기통로는 내벽을 형성하는 판체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판체의 한 모서리가 절치되어 제1 공기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이트 적층물(1)로부터 상부의 시이트를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장치는 공급홀더로부터 한장씩 수상(受像) 시이트를 이들 수상시이트가 인쇄되는 인쇄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 공급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도시된 장치는 시이트 적층물(1)의 상부에 배치되고 무단형의 콘베이어 벨트(4)가 둘레에서 작동하는 고정형 흡인상자(3)로 구성된 흡인벨트 콘베이어(2)로 구성된다. 흡인상자(2)의 저면과 콘베이어 벨트(4)에는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규칙적인 패턴을 이루는 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5)(6)이 일치하는 장소에서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제1도에서 화살표(7)로 보인 바와 같이 상향기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기류(7)는 팬(8)에 의하여 발생되며 이 팬의 흡입측은 흡입관(9)에 의하여 흡인상자(2)에 연결되어 있다. 흡입관(9) 내에 배치되어 제어시스템(도시하지 않았음)으로 작동될 수 있게 된 솔레노이드 밸브(10)는 팬(8)이 작동될 때에 상향기류(7)가 작용하여 흡인벨트 콘베이어(2)에 대하여 적층물(1)의 상부 시이트를 흡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적층물로 부터 분리된 시이트는 콘베이어 벨트(4)의 구동에 의하여 적층물(1)로부터 옳기어진다. 배출경로에 배치된 이송니프(도시하지 않았음)에 시이트가 진입할 때에 무단형의 콘베이어 벨트(4)의 구동이 정지되고 흡인상자(3)의 진공이 차단된다.
팬(8)의 공급측은 시이트 적층물(1)의 일측부에서 배출하는 공급라인(11)에 연결된다. 밸브(10)가 개방되고 적층물(1)의 상부 시이트가 흡인벨트 콘베이어에 대하여 아직 흡인되지 않았을 때에 팬(8)은 흡입관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공급라인(11)측으로 취입한다. 공급라인(11)의 특정 압력 이상에서는 공기가 자유롭게 매달려 있는 밸브(12)를 밀어 개방하고 적층물(1)의 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어 나가도록 하므로서 상부 시이트를 불어내는 최상위 시이트를 흡인벨트 콘베이어(2)의 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적층물의 일측으로부터 상부시이트를 불어내는 동안에 유입되는 공기가 이들 시이트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기초를 이루어 이들 시이트를 분리한다. 수동형의 밸브(12) 대신에 공급라인(11)에 능동제어형 밸브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밸브가 작동상태에서는 적층물 측으로 공기를 방출하지 않으나 그 밖에는 공기를 방출한다.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작동되는 밸브는 공급라인(11)으로 부터의 공기유동의 특징이 상이한 폭의 적층물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이 공급라인(11)과 적층물의 측부사이의 다양한 거리에 따라 크게 좌우되지는 아니하는 잇점을 갖는다 공급라인(11)에 설치되는 능동제어형 밸브의 다른 잇점은 처리되는 시이트에 바인더공이 형성되어 있을 때에 취입작용이 필요없는 것이며, 이 경우에 공기는 이들 바인더공을 통하여 들어간다. 이러한 흡입작용은 적당한 시간에 밸브를 작동시키므로서 방지되어 공기가 적층물에 취입되지 아니하나 그 밖에는 공기가 취입된다.
또한, 팬(13)은 적층물로부터 분리된 상부시이트의 전면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도관(14)을 통하여 공기를 취입하므로서 다음의 시이트가 최상위 시이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적층물을 향하는 기류는 상향기류(7)에 의하여 최상위 시이트의 상부에 부압을 생성하는 동안에 최상위 시이트와 나머지 시이트 적층물사이에 정압을 생성하여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만을 분리하는데 도움이 되며, 상기 정압은 하부 시이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상위 시이트의 아래에 배치된 시이트들을 적층물에 계속 가압하게 된다.
만약 최상위 시이트가 흡인상자(2)의 모든 통공(5)을 덮는 경우 팬(8)을 통한 체적유동이 없으므로 수동형 밸브(2)가 사용될 때에 이 밸브가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반면에 능동형 밸브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조절가능하게 작동되고 더 이상 적층물측으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최상위 시이트의 아래에 위치하는 시이트가 분리되지 아니하고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재개방에 의하여 도입된 다음 최상위 시이트의 분리시에만 반복된다(이 밸브 10은 배출경로의 이송니프에 선행 최상위 시이트의 이송시에 폐쇄된다). 능동형 밸브에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작동은 미국특허 제3,595,563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최상위 시이트의 분리작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흡인상자(2)에는 이 흡인상자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5)의 상부에 짧은 거리를 두고 폐쇄판(20)이 착설된다. 이 폐쇄판(20)에는 적층물의 배출측과 일측부를 향하는 모서리에 경사부(21)가 구비되어 있다. 밸브(10)가 개방되었을 때에 팬(8)은 강한 상향기류(7)를 발생하는데 이 기류는 폐쇄판(20)의 경사부(21)에서는 장애가 없으므로 이 경사부(21)에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적층물(1)의 최상위 시이트의 모서리 부분은 상승분리되어 경사부(21)에서 통공(5)(6)을 폐쇄한다. 만약 팬(8)에 의하여 공기순환이 계속되는 경우 이 부분에서 통공(5)(6)이 폐쇄된 후 공지는 흡인상자(3)의 저면과 폐쇄판(20) 사이의 좁은 공간과 경사부(21)를 통하여 흡입관으로 유동된다. 이러한 작용은 공기 유동이 경사부(21)에 도달할 때에 흡인상자(3)와 폐쇄판(20)의 저면 사이의 증가된 거리에 의하여 저항이 증가하므로서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경사부(21) 가까이에서 흡인상자(3)에 의하여 흡인된 제1 시이트는 점진적으로 상기 경사부로부터 흡인상자의 전체 흡인면에 대하여 흡인된다. 이와 같이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가 흡인상자(3)에 대하여 완전히 전개된 후에 콘베이어 벨트(4)의 구동장치가 작동을 시작하고 흡인접촉된 시이트가 적층물로부터 옮겨진다. 최상위 시이트의 흡인 및 배출중에 공급관(14)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흡인접촉된 최상위 시이트의 아래에 위치하는 시이트를 이들 시이트가 흡인벨트 콘베이어(2)에 대하여 흡인된 시이트와 함께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을 강하여 적층물상에 그대로 남아 있도록 취입된다. 이러한 압력생성은 흡인벨트 콘베이어가 배출측이 타측보다 약간 높게 경사지게 배열된 경우에 증가된 상태로 나타난다. 취입공기가 최상위 시이트와 그 아래의 시이트 사이에 만족스럽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단형의 콘베이어 벨트(4)의 외측부에는 대칭으로 연장되고 콘베이어 벨트(4)의 이송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리브(22)가 구비되어 있다. 콘베이어 벨트(4)에 대하여 최상위 시이트를 전개 시키도록 이를 흡인할 때에 상기 시이트는 리브(22)의 윤곽을 따를 것이며 이에 따라 변형된 상태에서 접촉되게 흡인될 것이다. 시이트의 강도 때문에 최상위 시이트에 다른 시이트가 달라붙을 가능성은 리브(22)의 윤곽을 따르므로 거의 나타날 수 없고 상부의 두 시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들을 분리하도록 이들 사이로 취입공기가 침투한다. 최상위 시이트가 변형상태로 접촉되도록 하는 콘베이어 벨트(4)에 형성된 리브(22)의 잇점은 미국특허 제5,150,89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무단벨트 사이의 흡인상자에 형성된 리브와 비교하여 볼 때에 시이트가 리브를 갖는 콘베이어 벨트(4)에 의하여 이동될 때 리브와 시이트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이 없다는 점이다. 리브와 시이트 사이에 제동마찰력이 없기 때문에 유효이송력은 흡인상자의 특정부압 보다 크다. 또한 무단형의 콘베이어 벨트(4)에 형성된 리브(22)를 이용하므로서 단일(광폭형) 콘베이어 벨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벨트 제어에 유리한 점이 있다. 연속폐쇄형의 벨트면때문에 공기통로가 리브의 부조까지 또는 리브를 지나 연장될 수 있는 반면에 리브가 형성된 무단콘베이어 벨트는 이미지가 실려 있을 수도 있는 시이트가 오염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적다. 흡인상자에 형성된 리브의 양측에 흡인벨트 대신에 하나의 리브형 흡인벨트를 사용하는 상기의 잇점은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동일한 저항력을 갖는 공기통로가 구비된 흡인상자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제6도는 시이트가 하측에 배치되고 흡인 벨트 콘베이어에 대하여 흡인되도록 요구된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두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6도의 도면 A는 상향기류가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저면에서 생성되고 흡인상자의 전체 작동면 상에서 동일한 강도를 가지며 측변부와 저면부로부터의 공기흐름이 도면 A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균일하게 분포된 잘 알려진 상황의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향기류는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각 단위영역에 대하여 최상위 시이트가 접촉토록 충분히 흡인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상향기류가 콘베이어의 전체 저면에 균일하게 작용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많은 양의 공기가 적층물의 측부로부터 유동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비교적 많은 양의 공기가 유동하므로서 이에 비례하여 잡음이 크게 발생한다. 도면 A에 도시하고 공지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러한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제6도의 도면 B에서 보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향기류는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하측에 균일하게 분포되지는 아니한다.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저면에 모서리 부분이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나머지 저면부분보다 공기유동저항이 낮도록 구성하므로서 낮은 공기유동저항을 갖는 부분에서는 제6도의 도면 B에서 상향표시된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이 높은 공기유동저항을 갖는 부분에서 보다 다량의 상향기류가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모서리 부분의 부근에서 적층물의 측부로부터의 공기유동은 제6도의 도면 B에서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이 적층물이 측부의 나머지 부분을 따른 공기 유동보다는 커야할 것이 명백하다. 상기 모서리 부분에서 적층물의 측부로부터의 공기유동량이 커서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라 부분적으로 강한 정적인 부압이 형성될 것이며 이러한 강력한 정적인 부압이 상기 모서리 부분에서 시이트를 보다 더 인상시켜 시이트가 부분적으로 흡인벨트 콘베이어에 대하여 용이하게 흡인될 수 있다. 적층물에 대한 공기의 취입이 이러한 베르누이 효과를 증진시킨다.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모서리 부분의 가까이에서 공기유동이 보다 강하므로 처음에 시이트는 상기 모서리 부분의 가까이에서 흡인벨트 콘베이어에 대하여 흡인되고 이어서 점진적으로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흡인될 것이다. 흡인작동중에 이러한 시이트의 "전개"에 의하여, 시이트는 시이트가 겹치지 아니하고 흡인벨트에 대하여 평탄하게 흡인될 수 있다. 제6도의 도면 B에서 보인 바와 같이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제1 작용부분에 근접하여 강한 공기유동을 유지함에 있어 흡인벨트 콘베이어의 상기 제1 작용부분 가까이에서 적층물에 대한 공기취입으로 전개흡인작용을 보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강력한 공기유동은 최상위 시이트와 그 아래의 시이트 사이에 나타나는 부압을 없애기 위하여 시이트의 인상중에 인상된 시이트부분의 하측으로 공기를 취입하는데 중요하다.
무단 흡인벨트의 외면에 돌출부를 형성하므로서 시이트가 흡인벨트 콘베이어에 대하여 흡인될 때에 하측의 시이트가 상기 돌출부를 따라서 만족스럽지 않게 적응되는 동안에 벨트돌출부를 따라 적응하는 최상위 시이트와 그 하측의 시이트 사이에 공간부가 기계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은 흡인접촉되는 시이트 하측으로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하고, 이는 흡인벨트 콘베이어에 의하여 상부 시이트의 이동시 그 다음의 시이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시이트의 취입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이트의 변형은 만곡지지체 상에 적층물을 배치하므로서 도움이 될 수 있다. 만약 지지체가 시이트 배출측이 타측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 경사면이 배출측으로 시이트 적층물이 미끌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체가 만곡되어 있으므로 시이트 적층물이 미끌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체가 만곡되어 있으므로 시이트 적층물이 어느 정도 변형되어 자유롭게 된 최상위 시이트가 펼쳐지므로서 이 최상위 시이트가 최상위 시이트의 아래에 공기취입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공간의 형성으로 나머지 적층물로부터 이완분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러한 만곡지지체 없이도 얻을 수 있다.
제1도-제5도와 제6B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작용이 제7도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서 팬(8)에 의하여 발생된 압력차 Δp가 단위시간당 팬(8)에 의하여 이동된 공기량 Q에 대하여 좌표로 표시되었다. 도면에서 보인 커어브(30)는 팬의 특성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특성의 커어브(30)는 흡입측과 배출측 사이에서 팬에 의하여 발생된 여러 압력차 Δp에 대하여 단위 시간당 이동된 공기량 Q의 과정을 보인 것이다. 커어브(30)의 위치는 팬의 가동부분이 회전하는 구조와 속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팬에서 Δp와 Q 사이에 관계가 있으며 압력차 Δp가 증가하면 공기 이동량 Q가 감소한다. 제7도는 또한 팬이 일부분을 구성하는 공기순환시스템에서 도관의 특성을 보인 다수의 커어브(31)(32)(33)(34)를 보이고 있다. 이들 도관의 특성에 따라서, 도관의 저항은 도관 내에서 공기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저항은 단위시간당 공기량 Q가 증가하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될 것이다. 공기순환시스템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나타나는 저항을 증가시키므로서 도관특성의 커어브는 커어브(32)(33)(34)로 보인 바와 같이 점차로 가파르게 되며, 매우 가파른 특성을 보이는 커어브(34)는 실제로 공기순환시스템이 폐쇄된 경우를 보이고 있으며 이 경우에서 시이트가 벨트 콘베이어에 대하여 완전히 흡인되고 다만 누설 공기만이 시스템을 통하여 운반된다. 도관특성 커어브(31)는 시이트 벨트 콘베이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을 때의 경우에 해당하며, 흡인상자(3)에서 폐쇄판(20)의 절취부(21)에서의 공기 유동저항 rf1과 흡인상자(3)에서 폐쇄판(20)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공기유동저항 rf2는 두개의 병렬저항으로서 해석된다. 도관 특성 커어브(33)는 흡인상자가 흡인접촉된 시이트에 의하여 폐쇄판(20)의 절취부(21)에서만 폐쇄된 상태에 관련이 있다. 순간도관특성은 팬이 팬특성 커어브에서 작동하는 점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교차점(36)은 시이트가 흡인접촉되지 않는 경우 단위시간당 이동된 공기의 양을 나타낸다. 저항 rf1을 갖는 흡인상자의 부분을 폐쇄시에 교차점은 신속히 교차점(37)으로 이동한다. 흡인상자에 대한 시이트의 연속 전개시에 교차점은 완전히 폐쇄된 흡인상자를 나타내는 점(38)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전개운동 중에 공기가 흡인상자(3)의 저면과 폐쇄판(20)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거리로 유동하여야 하므로 저항이 증가된다. 저항라인(31)(32)이 함께 근접하는 것은 흡인상자의 모든 개방부를 통하여 자유롭게 통과할 때에 공기가 최소 저항을 갖는 흡인상자의 모서리 부분을 통하여 전적으로 유입함을 의미한다. 흡인상자의 모서리 부분에서 공기의 속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흡인상자의 아래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한 시이트를 흡인하여 올릴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공기속도가 흡인상자의 전체 흡인면에 나타난다면 장시간 동안 공기의 속도가 높게 유지되어 잡음이 증가된다. 시이트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소저항을 보이도록 상이한 공기 유동저항을 갖도록 본 발명에 따라 흡인상자를 구성하므로서 적은 양의 공기유동량으로서도 현저한 흡인효과를 보이며 이로써 잡음발생이 적고 장치의 작동이 친환경적인 것이 되는 반면에 흡인벨트 콘베이어에 대하여 두개의 시이트가 동시에 흡인되는 것이 적어진다. 완전히 흡인된 시이트가 흡인벨트 콘베이어에 의하여 유지되는 힘은 흡인상자 흡인면의 면적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흡인상자가 상이한 공기유동저항의 영역을 갖는다 하여도 이송력이 유지된다.
제1도-제6도에서 보인 장치에서, 흡인벨트 콘베이어(2)는 적충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를 인상하여 분리하구 적층물로부터 분리된 시이트를 옮기는 작용을 한다. 이들 두 기능은 제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별도의 수단에 의하여 수행된다. 흡인상자(41)는 시이트가 적층물로부터 이동되는 측부(40)로부터 원격한 위치에 배치된 그 후반부상에서 적층물상에 자신의 하중으로 얹힌다. 흡인상자(41)는 이 흡인상자를 수직으로 약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판스프링(42)에 의하여 고정프레임(43)에 연결된다. 흡인상자(41)는 흡인공이 구비된 볼록형의 기판(45)을 갖는다. 이 기판의 만곡부는 흡인상자(41)의 전폭에 걸쳐 연장된다. 취입노즐은 흡인상자(41)에 대향된 측의 적층물 양측에 배치되고 이들로부터 압축공기가 부호(46)로 보인 바와 같이 볼록형의 기판(45)과 시이트 적층물 사이의 공간으로 취입된다. 흡인상자(41)의 부압으로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가 볼록형 기판(45)에 대하여 흡인되고 이때에 적층물의 양측으로부터 취입되는 공기가 하부의 시이트가 적층물에 가압되도록 분리된 최상위 시이트의 아래에서 전후로 폐쇄된 압력실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력실내의 공기압력과 흡인상자(41)의 무게 사이에 평형상태가 이루어진다. 흡인상자(41)는 흡인상자(3)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최상위 시이트의 이러한 분리상태에서 적층물의 전반부상에 배치된 콘베이어(48)는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를 이송하고 압축공기(46)는 하측 시이트의 배출을 방지하는 고정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이러한 하측의 시이트가 서로 가압되게 한다. 고정력의 크기는 흡인상자(41)의 무게에 따라서 달라지며, 이러한 흡인상자는 주입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현가된 상태로 유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예시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당해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다음의 청구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흡인상자의 공기통과공은 유동저항의 차이를 보이기 위하여 달리 구성될 수 있거나 전문가에게 잘 알려져 있는 다른 방법으로 상이한 유동저항을 갖도록 흡인상자의 영역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장치에 사용되는 시이트 이송수단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와 제4도에서 보인 장치의 주요부를 보인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공지된 장치의 작동에서 차잇점을 보인 개략 사시도.
제7도는 제3도에서 보인 시이트 이송수단에서 부압과 공기유동 사이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
제8도는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를 분리이송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흡인벨트 콘베이어 3 … 흡인상자
4… 무단콘베이어 벨트 20… 폐쇄판
21… 경사면

Claims (11)

  1. 시이트 적층물을 지지하는 지지체, 저면에 상이한 공기유동저항을 갖는 공기통로(5, 20, 21)가 구비된 적층물상에 배치되는 시이트 이송수단(2), 적층물상의 짧은 거리에서 시이트 이송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위치선정수단과, 공기통로(5, 20, 21)를 통하여 상향기류(7)를 발생하기 위한 공기변위수단(8)으로 구성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상의 적층물의 모서리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제1 공기통로(21, 5)가 상기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2 공기통로(20, 5) 보다 낮은 공기유동저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기통로(21, 5)가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가 이송될 수 있는 적층물의 변부에 근접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기통로가 적층물로부터 최상위 시이트가 이송될 수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시이트 이송수단(2)의 변부영역의 하나에 근접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공기통로(21, 5)가 시이트 이송수단의 모서리에 근접하여 배치된 시이트 이송수단(2)의 영역에 배치되고, 이 영역은 상기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그 측부에서 시이트 이송수단(2)의 작동부의 두 수직으로 배치된 변부에 교차하는 라인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제1 공기통로(21, 5)가 최상위 시이트가 이송될 수 있는 적층물의 전면에 배치된 영역이 하측에서 시이트 적층물의 전면변부의 직상부의 상기 전면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배치되고 시이트 적층물의 전면변부에 평행한 라인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시이트 이송수단(2)의 저면이 일정한 패턴의 공기통공(5)이 구비된 외벽과 상부에 짧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지지체 상에 놓인 시이트 적층물의 상기 변부에 근접하여 외벽과의 사이 짧은 거리보다 큰 단면을 갖는 통공(21)을 갖는 내벽을 가짐으로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취입수단(8, 11, 12)이 제공되며 시이트 적층물의 변부에 대하여 시이트 이송수단으로부터 공기를 취입하기 위하여 지지체 상의 시이트 적층물의 변부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됨으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취입수단(8, 11, 12)이 공기유동으로 개방되는 밸브(12)가 구비된 공기유동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취입수단(8, 11, 12)이 제어장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게된 밸브가 구비된 공기유동도관(11)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시이트 이송수단이 돌출부(22)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시이트 이송수단(2)을 형성하는 무단형 콘베이어 벨트(4)상의 적어도 하나의 리브(22)로 구성되고, 상기 리브(22)가 배출방향에 평행하게 콘베이어 벨트(4) 상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적층물의 최상위 시이트 분리이송장치.
KR1019970012859A 1996-04-09 1997-04-08 시이트적층물의최상위시이트분리이송장치 KR100478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2819A NL1002819C2 (nl) 1996-04-09 1996-04-09 Inrichting voor het losmaken en afvoeren van het bovenste vel van een stapel.
NL1002819 1996-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847A KR970069847A (ko) 1997-11-07
KR100478335B1 true KR100478335B1 (ko) 2005-08-23

Family

ID=1976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859A KR100478335B1 (ko) 1996-04-09 1997-04-08 시이트적층물의최상위시이트분리이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88626A (ko)
EP (1) EP0801016B1 (ko)
JP (1) JP2820677B2 (ko)
KR (1) KR100478335B1 (ko)
DE (1) DE69708490T2 (ko)
NL (1) NL1002819C2 (ko)
TW (1) TW3239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2819C2 (nl) * 1996-04-09 1997-10-14 Oce Tech Bv Inrichting voor het losmaken en afvoeren van het bovenste vel van een stapel.
US6412769B1 (en) 1999-06-28 2002-07-02 Kyocera Mita Corporation Paper feeder
NL1013218C2 (nl) 1999-10-05 2001-04-06 Ocu Technologies B V Inrichting voor het ÚÚn voor ÚÚn afvoeren van vellen vanaf de bovenkant van een stapel vellen.
US6702275B2 (en) * 2000-04-03 2004-03-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per-leaves separating/supplying method and apparatus
US6672038B2 (en) 2001-03-02 2004-01-06 Optima Machinery Corporation Bag manipulating method and assembly for a bag filling station
US20020121074A1 (en) * 2001-03-02 2002-09-05 Optima Machinery Corporation Bag loading method and assembly for a bag filling station
EP1403199B1 (en) * 2002-09-27 2006-11-02 Eastman Kodak Company Sheet feeder for a sheet handling machine
DE10250146A1 (de) * 2002-10-28 2004-05-13 OCé PRINTING SYSTEMS GMBH Einzelblatt-Zuführvorrichtung für einen Drucker
DE10250149A1 (de) * 2002-10-28 2004-05-13 OCé PRINTING SYSTEMS GMBH Einzelblatt-Zuführvorrichtung für einen Drucker
DE102007057225B4 (de) * 2007-11-28 2009-10-22 Bremer Werk für Montagesysteme GmbH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Aufnehmen eines flächigen Gegenstands
JP5550254B2 (ja) * 2009-04-23 2014-07-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US8210519B2 (en) * 2010-05-17 2012-07-0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842430B2 (ja) * 2011-07-22 2016-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00197B2 (ja) * 2019-03-22 2023-1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142A (ja) * 1984-12-27 1986-07-14 Fuji Xerox Co Ltd 用紙給送装置
JPS61254438A (ja) * 1985-05-01 1986-11-12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EP0272153A2 (en) * 1986-12-19 1988-06-22 Xerox Corporation Sheet-feeders
EP0507661A1 (fr) * 1991-04-03 1992-10-07 La Poste, Etablissement Autonome De Droit Public Dispositif d'extraction un à un d'objets plats à partir d'une pile de tels objets, notamment des enveloppes de lettres
JPH06255816A (ja) * 1993-03-03 1994-09-13 Canon Inc シート給紙装置
JPH07281495A (ja) * 1994-04-04 1995-10-27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の記録材搬送装置
KR960009008A (ko) * 1994-08-25 1996-03-22 이노우에 아키라 처리장치 및 드라이 크리닝 방법
EP0801016A1 (en) * 1996-04-09 1997-10-15 Océ-Technologies B.V.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arrying off the topmost sheet of a sta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5563A (en) * 1969-09-15 1971-07-27 Olivetti & Co Spa Sheet-feeding apparatus
DE3068657D1 (en) * 1979-04-20 1984-08-30 Tokyo Shibaura Electric Co Sheet transport apparatus
US4451028A (en) * 1981-11-27 1984-05-29 Xerox Corporation Sheet feeding apparatus
US4662622A (en) * 1984-07-18 1987-05-05 Tektronix, Inc. Air density adaptive vacuum controller
US4627605A (en) * 1985-11-06 1986-12-09 Xerox Corporation Front air knife top vacuum corrugation feeder
JP2533957B2 (ja) * 1990-03-20 1996-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重送防止機能付きシ―ト給送装置
JP2827429B2 (ja) * 1990-03-30 1998-11-25 ミノルタ株式会社 サクション給紙装置
US5478066A (en) * 1992-11-02 1995-12-2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 apparatus
US5707056A (en) * 1995-09-28 1998-01-13 Xerox Corporation Variable ratio feedhead plenu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142A (ja) * 1984-12-27 1986-07-14 Fuji Xerox Co Ltd 用紙給送装置
JPS61254438A (ja) * 1985-05-01 1986-11-12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EP0272153A2 (en) * 1986-12-19 1988-06-22 Xerox Corporation Sheet-feeders
EP0507661A1 (fr) * 1991-04-03 1992-10-07 La Poste, Etablissement Autonome De Droit Public Dispositif d'extraction un à un d'objets plats à partir d'une pile de tels objets, notamment des enveloppes de lettres
JPH06255816A (ja) * 1993-03-03 1994-09-13 Canon Inc シート給紙装置
JPH07281495A (ja) * 1994-04-04 1995-10-27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の記録材搬送装置
KR960009008A (ko) * 1994-08-25 1996-03-22 이노우에 아키라 처리장치 및 드라이 크리닝 방법
EP0801016A1 (en) * 1996-04-09 1997-10-15 Océ-Technologies B.V.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arrying off the topmost sheet of a st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88626A (en) 1999-11-23
NL1002819C2 (nl) 1997-10-14
JPH1035913A (ja) 1998-02-10
EP0801016A1 (en) 1997-10-15
KR970069847A (ko) 1997-11-07
TW323990B (en) 1998-01-01
DE69708490T2 (de) 2002-08-01
JP2820677B2 (ja) 1998-11-05
DE69708490D1 (de) 2002-01-10
EP0801016B1 (en)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335B1 (ko) 시이트적층물의최상위시이트분리이송장치
EP0080865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5150892A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H0353777B2 (ko)
GB2255078A (en) Paper discharging and stacking apparatus
US6629692B2 (en) Device for separating an uppermost sheet from a supply stack by means of air blowers
EP109085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heets one by one from the top of a stack of sheets
JPS6056739A (ja) 給紙装置
JPH0313133B2 (ko)
US4787618A (en) System for feeding flat sheets
JPH10226426A (ja) エアー吸引式給紙装置
EP0676348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H04246035A (ja) シートの積層体の下底から1枚ごとにシートを排出させるための装置
JP3556816B2 (ja) 枚葉印刷機のシート案内装置
JP2588482B2 (ja) 積重ねシート順次放出装置
US4593897A (en) Bottom stacking with air knife levitation and articulating seals
JP3220553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64229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S6019630A (ja) 給紙装置
JPS6216944A (ja) 給紙装置
JPS6311257B2 (ko)
JPS6052429A (ja) 給紙装置
JPH069088A (ja) 空気噴射装置
JPS6256059B2 (ko)
JPH05218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