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739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739B1
KR100471739B1 KR10-1998-0049016A KR19980049016A KR100471739B1 KR 100471739 B1 KR100471739 B1 KR 100471739B1 KR 19980049016 A KR19980049016 A KR 19980049016A KR 100471739 B1 KR100471739 B1 KR 10047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pipe
handle
connection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307A (ko
Inventor
아츠히코 우루시하라
나루히코 스즈키
아츠시 야마구치
마사루 오다
다케시 호시노
마사오 스나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479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468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9359272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63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711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677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1999004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Abstract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핸들부의 비틀림동작을 자유자재로 실행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 및 그 흡입구체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청소기본체, 흡인호스, 손잡이핸들, 접속관 및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전기청소기가 흡입구본체를 접속관에 연결하는 연결관부를 더 갖고, 연결관부는 그의 한쪽끝측이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 및 그의 한쪽끝측이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함과 동시에 그의 다른쪽끝측이 접속관과 연결되는 제2 이음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의 하강관부와 제2 이음매관의 한쪽끝측의 상승 관부가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결합되고, 손잡이핸들부는 한쪽끝이 흡인호스부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연결관부와 그립부를 구비하고, 연결관부는 접속관과 연결하는 제1 연결관부 및 흡인호스부와 연결하는 제2 연결관부로 구성되고, 제1 연결관부에는 그립부가 부착되고 제2 연결관부는 제1 연결관부에 대해 흡인호스부를 요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핸들부의 비틀림동작을 자유자재로 실행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 및 그의 흡입구체가 얻어진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잡이핸들부의 조작성 및 그의 청소성을 개량한 전기청소기 및 그의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청소기에 사용되고 있는 흡입구체는 손잡이 핸들(handle)부에 연장관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이 손잡이핸들부를 연장관의 긴쪽방향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흡입구체에 마련한 굴절된 관형상의 형태를 구비한 이음매구조에 의해 어느정도 회전이 가능하였다. 이들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5-245073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근래 흡입구체를 개량하여 손잡이핸들부의 비틀림각도와 흡입구체의 회전각도를 관련시켜 흡입구체의 회전각도를 180도까지 회전가능하게 한 전기청소기가 히다치세사쿠쇼(주)에 의해서 1997년에 실시되었다.
또한, 손잡이핸들부와 흡인 호스(hose)부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하고 이들 양자사이의 비틀림을 해소하는 것에 의해 조작성이나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하는 것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4-1611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흡입구체는 흡입구체를 손잡이핸들을 거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청소하기 위해 가로로 긴(橫長) 흡입구를 바탕으로 해서 형성되며 바닥면(floor)을 효율좋게 청소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블밑이나 틈새의 청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한 2개의 연결기구(이음매)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체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손잡이핸들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핸들의 상하이동이나 흡입구체 자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흡입구체는 흡입구체 자체의 구조를 견고하게 할 수 있지만, 흡입구체 자체의 동작범위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손잡이핸들에 있어서의 조작성에 과제를 남기고 있었다. 예를 들면, 벽가장자리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흡입구체의 긴쪽방향을 벽면과 평행하게 하여 벽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흡입구체의 구조에서는 손잡이핸들을 90도 회전시키더라도 연결기구의 회전각도를 45도정도밖에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작업을 무리한 자세로 실행하거나 또는 양손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소파밑 등의 낮은 위치에 있는 틈의 청소시에는 상기 굴곡된 이음매가 걸려 의도한 대로의 청소효율을 달성할 수 없었다.
상기 종래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손잡이핸들부에 흡인호스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손잡이핸들부의 비틀림동작은 상기 흡인호스부를 끌어올리게 되고, 그 결과 비틀림동작에서의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 손잡이핸들부와 흡인호스부를 회전가능하게 마련한 종래예는 손잡이핸들부를 구성하는 굴곡이음매의 관축과 흡인호스부의 관축이 직결해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손잡이핸들부를 좌우로 비트는 동작에서는 그립부(쥠부)를 중심으로 흡인호스부가 좌우로 흔들리고 그 결과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이 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손잡이핸들부의 비틀림동작을 자유자재로 실행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 및 그 흡입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이나 먼지막힘을 경감시켜 손잡이핸들의 비틀림 동작에 의해 흡입구본체를 바닥면에 대해 광범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청소성이 양호한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이 전기청소기본체내의 흡인용통로와 연통하도록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는 흡인호스, 이 흡인호스와 연통하도록 흡인호스에 부착되는 손잡이핸들, 이 손잡이핸들과 연통하도록 손잡이핸들에 부착되는 접속관 및 이 접속관과 연통하도록 접속관에 부착되는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 이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과 연통하는 연결관부를 갖고, 상기 연결관부는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연결관) 및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함과 동시에 그의 다른쪽끝측이 상기 접속관과 연결되는 제2 이음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의 하강관부 및 상기 제2 이음매관의 한쪽끝측의 상승관부가 상기한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는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한쪽끝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호스, 상기 흡인호스의 다른쪽끝과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손잡이핸들, 상기 손잡이핸들에 부착되고 상기 흡인호스와 연통하는 접속관 및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고 상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구체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흡입구본체의 먼지통로와 상기 접속관을 연통하는 연결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부는 관형상의 제1 이음매관과 제2 이음매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은 그의 한쪽끝이 제1 회전부를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 앙각으로 되는 Y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이음매관은 그의 한쪽끝이 제2 회전부를 거쳐서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에 상기 흡입구본체를 청소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X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의 아래쪽 위치에서 그 회전면을 상기 평행한 위치에서 각도 Z만큼 앞쪽으로 경사시켜 마련되고, 상기 경사진 회전면의 위쪽측에 상기 제1 이음매관의 한쪽끝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면의 아래쪽측에 상기 제2 이음매관의 한쪽끝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이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전기청소기본체내의 흡인용통로와 연통하는 흡인호스, 이 흡인호스에 부착되고 흡인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핸들, 이 손잡이핸들에 부착되고 손잡이핸들과 연통하는 접속관 및 이 접속관에 부착되고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 이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과 연통하는 자재(自在)연결관부를 갖고, 상기 연결관부는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 및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함과 동시에 그의 다른쪽끝측이 상기 접속관과 연결되는 제2 이음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의 하강관부와 상기 제2 이음매관의 한쪽끝측의 상승관부가 상기한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결합되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이 상기한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이음매관에 가까운 측이 먼 측보다 들어올려지도록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중심축선을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들어올려지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한쪽끝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호스부, 한쪽끝이 상기 흡인호스부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연결관부, 그립(grip)부를 구비한 손잡이핸들부, 한쪽끝이 상기 손잡이핸들부의 연결관부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접속관 및 상기 접속관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흡입구체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체에서 흡입한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손잡이핸들부의 연결관부와 흡인호스부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반송하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과 연결하는 제1 연결관부 및 상기 흡인호스부와 연결하는 제2 연결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부에는 상기 그립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제1 연결관부에 대해 상기 흡인호스부가 요동가능하게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손잡이핸들은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와 흡입구체를 연결하여 상기 흡입구체에서 흡입한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반송하는 반송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결관부 및 핸들부로 구성되는 손잡이핸들로서, 상기 연결관부는 상기 흡입구체에 접속되는 접속관과 연결하는 제1 연결관부 및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연결하는 흡인호스부와 연결하는 제2 연결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부에는 상기 그립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흡인호스부가 상기 제1 연결관부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각 실시예를 도 1∼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로서, 도 1이 전기청소기의 외관사시도, 도 2∼도 6이 흡입구체의 외관도, 도 7 및 도 8이 흡입구체의 단면도, 도 9가 자재연결부의 부품구성도, 도 10이 흡입구체의 동작설명도, 도 11∼도 16이 손잡이핸들의 설명도, 도 17이 흡입구체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1)로 총괄적으로 도시한 것은 전기청소기로서,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기구 예를 들면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100), 한쪽끝이 전기청소기본체(100)에 부착되고 송풍기와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호스(200), 흡인호스(200)의 다른쪽끝에 부착되고 송풍기와 연통하는 손잡이핸들(300), 상기 손잡이핸들(300)에 부착되고 상기 흡인호스(200)과 연통하는 흡인관(400) 및 상기 흡인관(400)에 부착되고 흡인관(400)과 연통하는 흡입구체(500)으로 구성된다.
전기청소기본체(100)은 내부에 1회용 먼지자루를 구비한 집진실을 구비하고, 1쌍의 대차륜(큰바퀴)(101)과 1개의 자재차륜(102)에 의해 흡인호스(200)을 거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운전제어는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상면에 마련한 운전표시부내의 적외선수광부(103)에 의해 손잡이핸들(300)에서 발신되는 조작신호를 받아 조작된다.
또, 손잡이핸들(300)에서 흡인호스(200)을 따라 전기적인 도전선을 마련하고, 이 도전선을 거쳐서 전기청소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예를 들면 송풍기에 마련되어 있는 모터(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고, 전기청소기(1)의 운전을 제어하여도 좋다.
상기 흡인호스(200)은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통로로서의 기능과 전기청소기본체(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인장(잡아당김)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름상자형상의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채용하고 있다.
손잡이핸들(300)은 상기 흡인호스(200)과 상기 접속관(400)을 연통시키는 기능,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운전제어 및 전기청소기본체(100)을 이동시키는 기능 또 상기 흡입구체(500)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핸들(300)은 상기 흡인호스(200)과 착탈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상기 접속관(400)과도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인호스(200)과 상기 접속관(400)을 연통시켜 먼지의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손잡이핸들(300)은 상기 접속관(400)의 긴쪽방향 즉,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의 연장선상의 상단에 상기 중심축B2와 90도이상, 160도이하, 바람직하게는 100도∼120도전후의 각도(도면중 α)를 갖고 그 긴쪽방향B4가 흡인호스(200)과 상기 접속관(400)의 접속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핸들(30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핸들(301)에 의해, 상기 흡인호스(200)을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을 이동시킬 수 수 있고 또 흡입구체(500)의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이 핸들부(301)에 의하면, 비틀림동작 즉 중심축B2를 중심으로 한 회전P1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비틀림동작에서는 상기 손잡이핸들(300)에 대해 상기 흡인호스(200)이 중력에 의해 항상 상기 핸들부(301)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핸들부(301)의 비틀림동작은 흡인호스(200)을 끌어올리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 때, 핸들부(301)이 상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아래쪽에 마련된 흡인호스(200)이 상기 비틀림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입구체(500)을 바닥면(청소면)상에서 90도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도면중 P2). 또, 상술한 핸들부(301)의 형상에 의해 흡입구체(500)의 회전조작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핸들부(301)에 각도(도면중 α)를 부가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핸들부(301)을 비틀었을 때에 회전 모멘트(moment)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핸들부(301)에는 사용자가 유지하는 핸들커버(307)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들부(301)의 비틀림동작에 따른 각도의 변화를 상기 핸들 커버(cover)(307)이 핸들부(301)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상기 핸들부(301)의 근방에는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운전을 조작하는 조작부(30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302)에는 적외선발신부(303)이 마련되고 있고, 상기 적외선발신부(303)에서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에 마련한 적외선수광부(103)으로 조작신호를 발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전원의 온(ON), 오프(OFF)나 각종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손잡이핸들(30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등의 전원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인호스(200)에 전기배선을 실행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또한, 적외선발신부(303)을 2개소에 마련하고 있고 천정이나 벽면등의 반사를 이용하여 조작신호를 확실하게 전기청소기본체(100)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오동작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접속관(400)은 상기 손잡이핸들(300)과 상기 흡입구체(500)을 연통시키고 또 상기 손잡이핸들(300)과 상기 흡입구체(500)을 소정(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손잡이핸들(300)의 움직임(이동이나 회전)을 상기 흡입구체(500)의 움직임(이동이나 회전)으로 하도록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크기가 다른 2개의 관체(401)과 (402)를 조합하여 상기 접속관(400)을 신축 자유롭게 또 소정 길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한쪽에 상기 손잡이핸들(300)을, 다른쪽에 상기 흡입구체(500)을 착탈 자유롭게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흡입구체(500)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004)(도 6참조)를 밑면(底面)에 구비한 흡입구본체(1000), 상기 흡입구본체(1000)을 상기 접속관(400)에 연결하고 상기 접속관(400)을 거쳐서 전달되는 손잡이핸들(300)의 움직임에 대해 항상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을 바닥면에 접하도록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1000)에서 흡입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가 상기 접속관(400)으로 보내지도록 연통하는 자재연결부(1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본체(1000)은 편평한 대략 장방형상을 구비하고, 그 상면중앙에 상기 자재연결부(1500)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자재연결부(1500)은 손잡이핸들(300)을 흡입구체(500)을 중심으로 해서 고저방향Y와 좌우방향X로 회전가능하게 흡입구본체(1000)에 연결함과 동시에,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본체(1000)의 회전P2로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재연결부(1500)은 상기 흡입구본체(100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저방향Y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관형상의 제1 암부(팔부)(1501)및 한쪽끝이 상기 흡인관(400)에 부착되고 다른쪽끝이 상기 제1 암부(1501)의 다른쪽끝과 좌우방향X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되는 관형상의 제2 암부(150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암부(1501)은 그의 한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1000)에 대해 앙각으로 되는 Y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회전부(1503)을 구성한다. 상기 제2 암부(1502)는 그의 한쪽끝이 상기 제1 암부(1501)의 다른쪽끝에 부착되고 상기 손잡이핸들(300)을 좌우로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500)을 청소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킨다. X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2 회전부(1504)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1504)는 상기 자재연결부(1500)의 고저방향Y의 각도를 최저(최소)로 한 상태에서 그의 회전면F가 바닥면에서 각도Z만큼 앞쪽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진 회전면F(도 7, 도 8참조)의 위쪽측에 상기 제1 암부(1501)의 한쪽끝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면F의 아래쪽측에 상기 제2 암부(1502)의 한쪽끝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핸들(300)의 회전P1의 동작은 흡입구체(500)의 양날개를흔드는 동작으로 되지만,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흡입구체(500)의 밑면이 청소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그 움직임이 제한된다. 그러나, 자재연결부(1500)의 제2 회전부(1504)의 회전면F는 청소면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동작의 회전P1은 제2 회전부(1504)의 회전으로 변환되고, 이 제2 회전부를 좌우방향X, 즉 손잡이핸들(300)을 시계방향으로 비틀면 좌측방향으로, 반시계방향이면 우측방향으로 이동(이탈하도록 흔들리는 움직임)시키려고 동작한다. 이 때, 이 실시예는 고저방향Y로 동작하는 제1 회전부(150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제1 회전부(1503)이 흡입구체(500)의 밑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제2 회전부(1504)의 동작에 따라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1504)의 좌우방향X로의 움직임은 이것에 연결되는 제1 암부(1501)을 거쳐서 흡입구체(500)의 뒤쪽을 흔들도록 동작하여 흡입구체(500)의 회전P2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동작의 회전P1을 흡입구본체(1000)의 회전P2로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의 큰 특징은 상기 제2 회전부(1504)의 회전면F는 접속관(400)의 중심축B와 평행하게 설정되고, 제1 회전부(1503)의 동작범위에 있어서 항상 청소면에 대해 경사진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제1 회전부(1503)의 동작범위에 있어서 흡입구체(500)의 회전P2를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동작의 회전P1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본체(1000)의 상기 X방향의 회전은 흡입구체(500)을 정대향시켜 손잡이핸들(300)을 그의 중심에 위치하고 또한 이것을 직진시키는 V2의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우측방향으로 90도, 좌측방향으로 90도, 즉 180도의 범위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Y방향의 회전은 상기 접속관(400)을 수평에 가까운 위치에서 직립하는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면F의 경사각도Z를 20도로 설정하고 있지만, 경사각도가 10도∼30도의 범위에서 마찬가지의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각도Z가 크면 고저방향Y의 각도가 작은 상태에서의 흡입구체(500)의 동작제어가 양호하고, 고저방향Y의 작은 동작범위에서 흡입구본체(1000)을 90도회전시킬 수 있지만, 상기 회전면F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속관(400)을 수평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와는 반대로 각도Z가 작으면, 상기 각도Z가 큰 경우와 반대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바람직한 각도Z의 크기는 사용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또한, 상기 흡입구체(500)에는 흡입구본체(1000)의 주위에 미끄럼이동(슬라이딩)하기 쉬운 재료로 형성되는 범퍼부(bumper)(1100)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벽가장자리의 청소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밑면에 흡입구체(1000)의 긴쪽방향의 움직임을 완만하게 하는 차륜(1200)을 마련하고 있다. 이후, 설명의 편의상, 흡입구체(1000)의 긴쪽방향을 따른 이동방향을 좌우방향V1로 하고, 상기 좌우방향과 직각방향에서 흡입구체(1000)의 짧은쪽방향을 따른 이동방향을V2로 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청소기(1)에 의하면, 조작신호를 적외선신호를 거쳐서 전달하고 있으므로, 흡인호스(200)에 배선할 필요가 없어 흡인호스(200)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손에 드는 손잡이핸들(300)의 부담이 경감되어 전기청소기본체(100)의 끌고 돌아다니는 주행이나 흡입구체(5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의 큰 특징으로 하는 점은 손잡이핸들(300)을 거친 흡입구체(500)의 동작,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체(500)의 회전P2로 할 수 있다는 등, 사용자가 손잡이핸들(300)에 의해 실행하는 동작을 흡입구체(500)의 움직임으로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손잡이핸들(300)을 90도(회전P1) 비트는 것에 의해, 흡입구체(500)을 도 1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90도회전(회전P2) 시키고, 또 손잡이핸들(300)을 통상의 전후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벽면을 따라 흡입구본체(1000)을 좌우방향V1의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면서 벽가장자리의 바닥면 청소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범퍼부(1100)과 차륜(1200)에 의해 흡입구체(500)을 완만하게 움직일 수 있음과 동시에, 벽면에 손상을 가하는 것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때, 손잡이핸들(300)에 연결되는 흡인호스(200)은 상기 손잡이핸들(300)이 90도 비틀리더라도 항상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므로, 흡인호스부(200)이 상기 비틀림 동작에 따른 조작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고저방향Y의 동작범위에 있어서 손잡이핸들(300)에 의해 흡입구체(500)의 회전P2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직진성을 나쁘게 하는 흡입구체(500)의 좌우의 흔들림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경사진 회전면F에 의해 손잡이핸들(300)의 갑작스런 전환조작, 예를 들면 갑작스런 좌우의 비틀림동작의 전환을 실행해도 흡입구체(500)의 추종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흡입구체(500)의 긴쪽방향의 한쪽이 들떠버리는 트램프(tramp)가 저감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한 자재연결부(1500)에 의하면, 청소면에서 제1 회전부(1503)까지의 높이를 유지하여 먼지의 유통로를 확보함과 동시에, 이 제1 회전부(1503)의 아래쪽위치로 되는 데드스페이스(dead space)를 이용하여 자재연결부(1500)을 대략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제2 암부(1502)를 제1 암부(1501)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흡입구체(500)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예를 들면 침대밑 등의 높이가 낮은 공간에 흡입구체(500)을 밀어넣을 수 있다. 또, 침대 밑으로 밀어넣어도 흡입구체(500)은 좌우로 흔들리는 일 없이 직진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큰 특징중의 하나인 흡입구체(5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기본으로 하고 도 3∼도 6을 참조해서 상기 흡입구체(500)의 외관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흡입구체의 후방사시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정면도, 도 6은 저면도이다.
도 2∼도 5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구체(500)은 흡입구본체(1000)과 이 흡입구본체(1000)의 뒤쪽 중앙에 배치된 자재연결부(1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본체(1000)은 그 외관을 위에서 보아 4모서리가 큰 원호형상의 박형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측면에서 보아 중앙부를 최정상부로 하는 원호형상의 원호형상을 주체로 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가구 등으로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또, 흡입구본체(1000)은 흡입구본체(1000)의 골격을 이루는 수지재료로 성형된 하부케이스(1001)과 흡입구본체(1000)의 상부를 덮는 수지재료로 성형된 상부케이스(1002)로 집진실을 구성한다. 상부케이스(1002)와 하부케이스(1001)은 흡입구본체(1000)의 둘레측에서 결합되고(합쳐지고), 그 결합부에 볼록형상의 범퍼(11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1100)을 별체의 재료, 예를 들면 고무(rubber)등의 연질재 또는 탄력성이 있는 수지재료로 형성하고, 이것을 상부케이스(1002)와 하부케이스(1001)가 상하에서 유지하도록 조립하여 나사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범퍼(1100)을 상부케이스(1002)와 일체 성형하고 이 범퍼(1100)에 하부케이스(1001)이 끼워넣어지도록 조립하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자재연결부(1500)에서는 2개의 관형상의 제1 암부(1501)와 제2 암부(1502)가 제2 회전부(1504)로 연결되고, 제1 암부(1501)의 다른쪽끝이 상기 흡입구본체(1000)의 부착부(1003)에 제1 회전부(1503)을 거쳐서 고저방향Y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암부(1502)의 다른쪽끝이 상기 접속관(400)에 부착하기 위한 접속부(1505)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부(1003)은 상기 상부케이스(1002)의 긴쪽방향의 중앙뒤쪽에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오목형상의 앞부분으로 되는 상기 원호면의 최정상부에 상기 제1 회전부(1503)의 회전축Q1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암부(1501)이 상기 오목형상의 부착부(1003)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 Q1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상기 자재연결부(1500)은 그 자세를 청소면과 대략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제2 암부(1502)가 제1 암부(1501)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양부분의 한쪽끝을 중첩해서 마련되고, 이 중첩된 부분에 제2 회전부(1504)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회전부(1504)의 회전면F를 제1 암부(1501)의 긴쪽방향R1에 대해 앞쪽으로 경사지게 해서 제2 긴쪽방향R2(상기 중심축B2와 동일 방향)와는 평행하게 마련하고 있다. 이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중앙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흡입구(1004)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1004)의 전후에 유연성이 있는 볼록형상의 솔(1005)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 그 솔(1005)의 외측에 상기 흡입구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를 안내하여 기류의 흐름을 정류하는 여러개의 볼록형상의 안내돌기(1006)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004)를 청소면에서 적절히 들뜨게 하여 흡입구체(500)의 주행기능을 확보하는 차륜(1200)이 흡입구본체(1000)의 양측의 전후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입구체(500)을 전후방향V2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 때 상기 솔(1005)이 청소면을 쓸고 이에 따라 날아 오른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륜(1200)은 적절한 경도가 있는 슬라이딩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구체(500)의 회전동작에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방향V 1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륜(1200)을 중앙이 부풀어 오른 북형상으로 하거나 차륜주행면에 솔이나 융단재를 점착하는 등에 의해 회전성능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록형상으로 형성한 범퍼(1100)의 긴쪽방향의 일부를 잘라내어 여러개의 오목부(1101)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흡입구체(500)의 선단부(범퍼(1100)의 앞부분)을 벽쪽으로 밀어누른 경우, 상기 범퍼(1100)에 형성한 오목부(1101)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 흡입되는 공기는 점형상으로 내뿜어지고 또한 상기 여러개의 안내돌기(1006)에 의해 그 유속이 빠르게 되므로, 솔이 닿지 않는 청소면의 부분 예를 들면 벽가장자리의 청소면을 빠른 점형상의 기류에 의해 훑어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 흡입된 공기는 상기 안내돌기(1006)에 의해 정류되고 흡입구(1004)에 흡인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본체(1000)에 의하면, 슬라이딩(미끄럼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차륜(1200)에 의해 흡입구본체(10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안내돌기(1006), 솔(1005)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바닥면(청소면)의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본체(1000)을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차륜(1200)이 슬라이딩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구본체(1000)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흡입구체(500)을 90도회전시킨 상태에서는 흡입구본체(1000)의 투영면적내에 자재연결부(1500)이 들어가므로, 흡입구체(500)은 흡입구본체(1000)의 짧은쪽방향의 폭의 틈에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체(500)을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흡입구본체(1000)의 양 긴쪽방향 모두 벽면에 붙일 수 있으므로, 흡입구체(500)을 우회전시켜도 좌회전시켜도 마찬가지의 청소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도 9에 있어서 흡입구체(500)의 내부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고저방향Y의 각도를 작게 한 상태의 흡입구체의 단면도, 도 8은 고저방향Y의 각도를 크게 한 상태의 흡입구체의 단면도, 도 9는 자재연결부의 부품전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500)은 회전축 Q1, Q2를 구비하고 있고, 흡입구본체(1000)의 X방향의 회전이 제2 회전부(1504)를 구성하는 회전축 Q1을 따라 실행되고, 고저방향의 각도(앙각)Y의 회전이 제1 회전부(1503)을 구성하는 회전축Q2를 따라 실행된다.
상기 제1 암부(1501) 및 제2 암부(1502)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함께 양끝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연결되는 다른 부재의 개구부와 항상 연통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부(1501)에는 그의 한쪽끝에 형성되는 개구부(1501a)의 상단 양측에 볼록형상으로 마련되고 회전축Q1을 구성하는 제1 회전축부(150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회전축부(1506)이 흡입구본체(10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회전축받이부(1007)에 수지탄성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제1 회전부(1503)을 구성한다. 상기 제1 회전부(1503)의 구조에 의하면, 제1 암부(1501)의 한쪽끝에 마련한 개구부(1501)의 상부를 중심으로 개구부(1501)을 경사지게 하면서 제1 암부(1501)을 수평에 가까운 위치에서 수직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8로 되돌아간다. 이 실시예에서는 흡입구체(500)의 소형화와 V1주행시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 회전부(1503)의 아래쪽에 흡입구(100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흡입구(1004)에서 흡입한 공기류가 크게 굴곡(사행)되는 일이 없고 또한 자재연결부(1500)이 수평에 가까운 위치에서 수직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흡입구본체(1000)의 집진실(1008)에서 큰 개구면적으로, 또한 공기누설이 없도록 흡입구(1004)를 상기 제1 암부(1501)과 연통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부(1503)에 셔터(shutter)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501a)의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개구부(1501a)의 하부가 회전하므로, 상기 개구부(1501a)를 구비한 제1 암부(1501)의 한쪽끝의 하부를 상기 회전축Q1을 중심으로 하는 볼록형상의 원호형상부(1507)로 하고, 상기 원호형상부(1507)이 수납되는 부착부(1003)의 하부를 마찬가지의 오목형상의 원호형상부(1009)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암부(1501)의 원호형상부(1507)과 상기 부착부(1003)의 원호형상부(1009) 사이에 공기누설이 없도록 밀착시켜 배치되고 마찬가지의 원호로 형성된 셔터판(1508)을 마련하도록 한다. 또, 상기 셔터판(1508)은 상기 회전축Q1을 중심으로 하고 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동작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판(1508)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부(1501)이 대략 수평위치에서는 상기 제1 암부(1501)의 원호형상부(1007)과 중첩되어 부착부(1003)에 수납되고, 도 8에 도시한 제1 암부(1501)이 수직인 상태에서는 셔터판(1508)의 양끝이 상기 부착부(1003)과 제1 암부(1501)과 연결하여 인출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흡입구본체(1000)은 그 상면의 중앙부이고 또한 최정상부에서 제1 암부(150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접속관(400)을 거쳐서 들어올려졌을 때, 흡입구본체(1000)이 그 중심위치 근방으로 늘어뜨려지므로, 흡입구본체(1000)은 밑면을 청소면과 평행하게 한 자세에서 그대로 들어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공중자세가 균형잡힌 모습으로 된다. 또한, 흡입구본체가 청소면에 재차 놓여지면, 밑면전체가 청소면에 착지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501a)의 한쪽을 회전축Q1으로 하고 있으므로, 셔터판(1508)을 개구부(1501a)의 한쪽에 마련하면 좋으므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암부(1501)이 수평에 가까운 자세(횡자세)시에 상기 원호형상부(1507)이 흡입구본체(1000)의 부착부(1003)내에 수납되므로, 흡입구체(500)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높이가 낮은 틈에 대한 청소기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1 암부(1501)의 다른쪽끝은 제2 암부(1502)의 다른쪽끝과 서로 둘레측면이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그 중첩된 부분에 제2 회전부(1504)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암부(1501)의 한쪽끝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암부(1501)의 다른쪽끝측의 개구부(1501b)를 구성하는 관형상이고 또한 오목형상인 회전축받이부(1509) 및 상기 제2 암부(1502)의 한쪽끝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2 암부(1502)의 한쪽끝측의 개구부(1502a)를 구성하는 관형상으로 돌출된 회전축부(1510)으로 제2 회전부(1504)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받이부(1509)와 회전축부(1510)을 공기누설이 없도록 회전축 Q2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춘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암부(1501)과 제2 암부(1502)의 한쪽끝이 L형을 이루도록 그의 환형상(環狀)의 통풍로를 굴곡시키고 양 암부의 굴곡된 개구부(1501b), (1502a)를 원형으로 함과 동시에, 제1 암부(1501)의 개구부(1501b)에 회전축받이부(1509)를 형성하고, 제2 암부(1502)의 개구부(1502a)에 회전축부(15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받이부(1509)와 회전축부(1510)을 끼워맞춰 상기 양 개구부(1501b), (1502a)의 원형의 중심인 회전축Q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받이부(1509)와 회전축부(1510)은 서로의 환형상 슬라이딩면에 마련한 링형상의 홈에 걸쳐 마련되는 고정부재(1511)에 의해 연결된다.
이 자재연결부(1500)의 구조에 의하면, 이 자재연결부(1500)이 횡자세인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암부(1501)의 긴쪽방향R1과 제2 암부(1502)의 긴쪽방향R2가 상하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제2 회전부(1504)의 회전면F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면F는 제2 암부(1502)의 긴쪽방향R2, 즉 접속관(400)의 중심축B2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제1 암부(1501)의 긴쪽방향R1과는 경사각도Z를 갖고 앞쪽으로 경사져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자재연결부(1500)에 의하면, 회전부가 직교하는 2개의 회전부Q1, Q2, 즉, 고저방향Y의 제1 회전부(1503)과 좌우방향의 제2 회전부(150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체(500)의 선회동작의 회전P2로 변환할 수 있다. 또, 이 자재연결부(1500)에 의하면, 상기 2개의 회전구조 특히 제2 회전부(1504)를 간단한 회전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도 용이함과 동시에 외관상으로도 오목볼록이 없고 간소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사고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0에 따라서 손잡이핸들(300)의 동작에 따른 자재연결부의 움직임을 또 설명한다. 도 10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500)을 뒤쪽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10b는 제1 암부와 제2 암부의 부착 위치를 상하로 반전시킨 흡입구체(500a)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손잡이핸들(300)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비튼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의 실시예에서는 손잡이핸들(300)의 회전P1은 접속관(400)에 의해 자재연결부(1500)로 전달되고, 흡입구본체(1000)의 긴쪽방향의 좌측을 아래쪽으로, 우측을 위쪽으로 흔들도록 동작시킨다. 그러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은 청소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날개를 흔드는 동작은 저지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부(1504)의 회전면F가 청소면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암부(1502)로 전달되는 중심축B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P1은 제2 회전부(1504)가 회전하고, 제1 암부(1501)과 제2 암부(1502)가 제2 회전부(1504)에서 굴곡되어 상기 제2 회전부(1504)를 횡방향(U1방향)으로 이탈하도록 동작시킨다. 이 때, 제1 회전부(1503)은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키면서 고저방향Y의 각도를 크게 하도록 U2방향으로 동작시켜 상기 제2 회전부(1504)의 동작과 연동해서 동작한다. 이 제2 회전부(1504)의 U1방향의 횡방향으로 이탈하는 동작에 의해 흡입구체(500)의 뒤쪽이 U1방향으로 엉덩이를 흔드는 것과 같이 동작하여 흡입구체(500)의 회전P2가 실행된다.
여기서, 실험적 검증에 의하면, 상기 제2 회전부(1504)의 U1방향(횡방향)으로 이탈하는 동작은 횡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위쪽으로 올라오도록 원호형상으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원호의 크기는 상기 회전면F의 경사각도Z가 작을수록 크고, 경사각도 Z가 90도이면 상기 U1방향의 움직임을 수반하지 않거나 또는 작게 하여 접속관(400)의 회전P1이 흡입구체(400)의 회전P2에 직결한다. 또, 도 10a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의한 흡입구체(500)은 도 10b에 도시한 흡입구체(500a)보다 적은 회전P1으로 회전P2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은 예를 들면 제2 회전부(1504)가 그 위쪽의 회전중심S를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동작하는 것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0a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암부(1502)가 회전중심S에 대해 제2 회전부(1504)의 외측, 즉 상기 회전중심S와 제2 암부(1502) 사이의 길이 Z3이 회전중심S와 제2 회전부(1504) 사이의 길이 Z1보다 길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흡입구체(500)을 회전(P2)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한 흡입구체(500a)에 의하면, 제2 암부(1502)가 회전중심 S에 대해 제2 회전부(1504)의 내측, 즉 상기 회전중심S와 제2 암부(1502) 사이의 길이Z2가 회전중심S와 제2 회전부(1504) 사이의 길이 Z1보다 짧으므로, 흡입구체(500)을 회전(P2)시키기 위해서는 도 10a로 도시한 흡입구체(500)보다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즉, 도 10a로 도시한 본 실시예는 도 10b로 도시한 예에 비해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동작의 회전(P1)이 작은 힘으로 흡입구체(500)을 회전(P2)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2 암부(1502)의 청소면으로부터의 높이(J3)이 제2 회전부(1504)의 청소면으로부터의 높이(J1)보다 작으므로, 동작원인 제2 암부(1502)가 청소면을 회전하고자 하는 흡입구본체(1000)의 회전(P2)에 가까우므로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동작의 회전(P1)을 효율좋게 하고 또한 원활하게 흡입구체(500)의 회전(P2)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중심이고 안정된 회전(P2)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암부(1502)의 청소면에서 높이(J3)가 제2 회전부(1504)의 청소면으로부터의 높이(J1)보다 크므로, 동작원인 제2 암부(1502)가 청소면을 회전시키려고 하는 흡입구본체(1000)의 회전(P2)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도 10a의 실시예보다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동작의 회전(P1)을 흡입구체(500)의 회전(P2)으로 하는 효율이 저하한다. 또한, 동작원인 제2 암부(1502)가 높은 위치로 되므로 흡입구체(500)의 회전(P2)가 도 10a의 실시예보다 불안정하게 된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상기 자재연결부(1500)이 횡자세인 상태에서는 흡입구(1004)에서 흡입된 공기류는 집진실(1008)의 안내(1010)으로 보내져 개구부(1501a)에서 제1 암부(1501)로 들어가고 크랭크(crank)형상의 제2 회전부(1504)를 거쳐서 제2 암부(1502)에서 접속관(400)으로 보내진다.
또, 도 8에 도시한 상기 자재연결부(1500)이 종자세인 상태에서는 흡입구(1004)에서 흡입된 공기류는 집진실(1008)의 안내(1010)과 셔터판(1508)로 안내되어 개구부(1501a)에서 제1 암부(1501)로 들어가고 크랭크형상의 제2 회전부(1504)를 거쳐서 제2 암부(1502)에서 접속관(400)으로 보내진다. 또, 상기 도 7 또는 도 8의 상태에 있어서 제2 암부(1502)가 제2 회전부(1504)에서 절곡된 상태에서는 공기류는 제2 회전부(1504)에서 굴절해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자재연결부(1500)의 동작자세에 관계없이 흡입구본체(1000)의 집진실(1008)과 자재연결부(1500)이 안정된 개구면적을 갖고 연결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면F를 제1 암부(1501)에 대해 앞쪽으로 경사져 마련하고 있으므로, 제1 암부(1501)에서 제2 회전부(1504)에 연속하는 L형으로 절곡되는 통풍로의 부분(1512)의 절곡되는 각도, 즉 회전축Q2와 제1 암부(1501)의 긴쪽방향R1이 이루는 각도를 90도이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공기저항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손잡이핸들의 외관사시도, 도 12는 제2 연결관부의 분해도, 도 13은 손잡이핸들의 단면도, 도 14는 전기청소기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핸들커버의 설명도, 도 16은 손잡이핸들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손잡이핸들(300)은 핸들부(301)과 제1 연결관부(305)를 구성하는 핸들본체(308) 및 제2 연결관부(30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본체(308)은 중앙에 대략 삼각형형상의 관통구멍(316)을 구비한 대략 삼각형형상의 외관형상을 구비하고, 이 삼각형형상의 상부의 1변을 조작스위치배치부(308a)로 하고, 다른 상부의 1변을 핸들부(301)이 구성되는 그립배치부(308b)로 하고, 삼각형형상의 밑변을 제1 연결관부(305)를 구비한 연결관배치부(408c)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스위치배치부(308a)의 긴쪽방향을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와 일치시키도록 상기 조작스위치배치부(308a)와 연결관배치부(408c)의 각부(408d)를 거쳐서 상기 접속관부(400)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조작스위치배치부(308a)와 그립배치부(308b)와 연결관배치부(408c)를 각각 대략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스위치배치부(308a)에 있어서는 판형상의 조작기판(302a)(도 13으로 도시)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그립배치부(308b)에 있어서는 회전하는 핸들커버(307)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연결관배치부(350c)에 있어서는 제2 연결관부(306)의 회전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접속관(400)과 제1 연결관부(304)를 소음이 잘 발생하지 않는 완만한 각도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연결관부(304)의 상부에 사용자가 유지하기 쉬운 쥠부(핸들부(301))를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상에 쥐기 쉬운 각도로 위치시키고, 또 상기 핸들부(301)의 배치에 따른 공간(조작스위치배치부(308a))를 이용하여 조작성이 좋은 위치에 조작부(302)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실장효율이 우수한 소형인 형태이고 또한 강도적으로도 강하며 조작성이 우수한 손잡이핸들(300)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관부(305)와 이 제1 연결관부(305)의 주위를 회전하는 제2 연결관부(306)을 연통시키기 위해, 제1 연결관부(305)를 구비한 연결관배치부(408c)의 둘레측면에 큰 개구부(317)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큰 개구부(317)의 배치에 따른 상기 연결관배치부(408c)의 강도부족을 이 연결관배치부(408c)와 그립배치부(308b)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조작스위치배치부(308a)와 그립배치부(308b)를 각각 대략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결합하고 있지만, 상기 접속관(400)에서 연속된 완만한 아치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상기 아치형상의 부분을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핸들부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임의의 각도 부분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본체(308)은 좌우대칭으로 수지성형되는 본체커버(309a), (309b), 조작스위치커버(310), 핸들부(30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핸들커버(307)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커버(309a), (309b)는 조작스위치커버(310)을 사이에 유지해서 분할선(311)에 의해 결합되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관부(306)은 제2 연결관본체(312)와 제2 연결관커버(313)으로 구성되고, 이 제2 연결관본체(312)와 제2 연결관커버(313) 사이에 상기 핸들본체(308)의 상기 제1 연결관부(305)를 끼워 넣어 부착된다. 이 부착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연결관커버(313)에 마련한 부착리브(314a)를 제2 연결관본체(312)의 내측에 마련한 리브부착부(314b)에 부착하고, 바깥쪽에서 나사에 의해 부착하도록 한다. 이 제2 연결관부(306)을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연결관(304)내의 가득찬 먼지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관본체(312)에는 호스연결부(315)가 마련되고, 흡인호스부(200)의 한쪽끝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착탈구조는 흡인호스(200)의 연결부(201)에 마련한 돌기부(201a)가 상기 호스연결부(315)의 연결구멍(315a)에 끼워맞추어져 연결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구멍(315a)에 끼워맞춘 상기 돌기부(201a)를 드라이버 등에 의해 밀어 넣고 끼워맞춤을 해제하면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인호스(200)의 연결부(201)은 흡인호스(200)과 그 축방향B3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흡인호스(200)의 비틀림이 손잡이핸들(30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318)은 손잡이핸들(300)에 내장된 전지의 착탈용 전지커버, (303)은 조작부(302)와 함께 손잡이핸들(300)의 뒤쪽에 마련되는 적외선발신부이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여 손잡이핸들(300)의 내부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우선 이 손잡이핸들(300)은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 연결관부의 관축방향B1, 흡인호스부(200)의 관축방향B3 및 핸들부(301)의 긴쪽방향B4를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이것을 도 14의 사용상태에 따라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우선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서있는 자세로 손잡이핸들(300)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접속관(400)을 거쳐서 흡입구체(500)을 조작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 때, 흡인호스부(200)을 거쳐서 손잡이핸들(300)에 연결되는 전기청소기본체(100)에는 한쌍의 대차륜(101)과 1개의 자재차륜(10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동하면서 청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본 여성의 평균신장은 157㎝이지만, 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손잡이핸들(300)을 잡은 상태에서 접속관(400)을 거쳐 흡입구체(500)을 전후로 이동시켜 청소하려고 한 경우에는 손잡이핸들(300)과 바닥면과의 수직방향의 거리가 78㎝이하이면 손이나 팔에 부담을 가하지 않고 청소할 수 있다. 그 각도는 수직방향으로 45도로 하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조작하는 동작범위로 설정되고, 45도이상이면 반대로 손이나 팔에 부담이 가해지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가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θ4를 45도로 되도록 접속관(400)의 길이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핸들(300)의 핸들부(301)의 긴쪽방향B4가 상기 중심축B2와 이루는 각도θ3을 90도∼150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핸들부(301)을 꽉 쥐는 사용자는 상기 접속관(400)의 각도가 45도의 상태에서 전후방향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관(400)에 의해 손잡이핸들(300)의 최정상부까지 들어 올려진 먼지의 반송통로를 바닥면에 설치되는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최저위치까지 완만히 연속시키고, 또한 상기 손잡이핸들(300)에 접속되는 흡인호스부(200)이 상기 손잡이핸들(300)을 중심으로 해서 흔들리는(도면에서 도시한 전후방향)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므로, 연결관부(304)의 관축방향B1과 상기 중심축B2가 이루는 각도θ1을 바닥면과 대략 평행한 수평위치로 되도록 110도∼150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흡인호스부(200)의 관축방향B3과 연결관부(304)의 관축방향B1이 이루는 각θ2를 110도∼150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실태를 고려한 손잡이핸들(300)을 실현하기 위해, 우선 제1 접속관부(305)를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상에 부착되는 접속관부착부(318) 및 상기 제2 연결관부(306)이 부착되고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에 대해 둔각의 각도θ1로 상기 접속관부착부(318)과 굴곡되어 형성되는 힌지관부(319)로 구성한다.
또, 상기 제2 연결관부(306)은 상기 흡인호스부(200)을 상기 힌지관부(319)의 관축방향B1에 대해 둔각θ2의 각도를 취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관부착부(318)과 힌지관부(319)의 접속을 완만하게 연속하는 내면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관부(319)의 후방부를 큰 원호형상으로 개구부(317)에 연속시키고 제2 연결관부(306)에 연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체(500)에서 흡입된 먼지는 상기 손잡이핸들(300)에서의 흡인호스부(200)이 흔들리는 회전운동 동작을 유지하면서, 접속관(400), 제1 연결관부(305), 제2 접속관부(306) 및 흡인호스부(200)으로 구성되는 산형의 완만한 먼지반송로를 거쳐서 전기청소기본체(100)으로 반송되므로, 상기 손잡이핸들(300)이나 다른 반송로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먼지의 막힘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상에 스위치배치부(308a)를 마련하고, 이 내부에 상기 조작기판(302a) 및 이 조작기판(3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부(320)을 수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배치부(308a)의 상단과 상기 힌지관부(319)를 구비한 연결관배치부(408c)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그립배치부(308b)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핸들부(301)의 긴쪽방향B4의 각도θ3을 결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그립배치부(308b)에 회전가능한 핸들커버(307)을 마련하여 핸들부(301)을 구성한다. 이 핸들커버(307)을 도 15에서 또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도 15a는 핸들커버(307)의 전개도, 도 15b는 핸들부(301)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핸들커버(307)은 반통형상의 커버부재(307a)와 (307b)로 통형상의 형태를 구성하고 그립배치부(308b)의 부착부(321)에 부착된다. 부착에 있어서는 한쪽의 커버부재(307a)에 마련한 부착리브(322a)를 다른쪽의 커버부재(307b)에 마련한 리브받이부(322b)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부착부(321)에 부착된다.
도 13으로 되돌아가 상기 구조를 갖는 핸들커버(307)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B2를 화살표와 같이 비틀어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유지된 핸들커버(307)은 상기 중심축B2를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비틀림동작에 따른 손목의 움직임을 무리없이 흡수할 수 있다. 이 반대의 비틀림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에 의해, 비틀림 동작을 인간의 체형에 맞게 무리없이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의 동작상태를 도 16을 참조하여 또 설명한다. 도 16은 손잡이핸들(300)을 뒷쪽에서 본 사용상태의 참고도로서, 도 16의 (a)는 흡입구체를 곧게 한 상태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이고, 도 16의 (b)는 핸들부를 회전시킨 상태도이며, 도16의 (c)는 종래의 손잡이핸들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 16의 (a) 및 (b)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300)은 도 16의 (a)와 같이 손잡이핸들(300)을 비틀지 않은 상태에서는 흡인호스부(200)은 손잡이핸들(30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도 16의 (b)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핸들(300)을 좌우로 90도 비틀어도 상기 흡인호스부(200)은 제2 연결관부(306)이 제1 연결부(305)의 힌지관부(319)의 주위를 회전하므로, 그 하중에 의해 항상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핸들(300)을 비트는 동작에서는 흡인호스부(200)이 항상 동일 상태로 유지되므로,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부(301)에 회전하는 핸들커버(307)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한층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체(500)을 90도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손잡이핸들(300)을 90도 비틀어도 흡인호스부(200)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제2 연결관부(306)의 회전동작범위를 아래쪽의 위치를 중심으로 좌우90도, 합계180도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범위에서 제1 연결관부(305)와 상기 제2 연결관부(306)이 연통하도록 개구부(317)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도 16의 (c)에 도시한 종래예는 손잡이핸들(300)을 좌우로 90도 비트는 것에 의해 흡인호스부(200)을 위쪽으로 끌어올리게 되므로, 핸들부(301a)를 유지하는 손에 흡인호스부(200)을 아래쪽으로 복원하고자 하는 힘이 화살표방향으로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핸들(300)을 유지하는 사용자의 손에 불필요한 부담을 강요하게 된다. 특히, 근래 긴 흡인호스부(200)이 채용되어 있는 케이스에서는 상기 복원하고자 하는 힘은 큰 것이다. 또, 흡인호스부(200)과 전기청소기본체(100)의 사이에 틈이 있는 경우, 상기 비틀림 동작에 의해 전기청소기본체(100)도 잡아 당기게 되어 손에 가해지는 부담은 커진다. 이 점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300)에 의하면 상기 종래예의 과제가 해결된다.
다음에, 도 17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큰 특징인 손잡이핸들(300)의 낮은 위치에서의 조작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상기 자재연결부(1500)이 수평에 가까운 횡자세의 상태에서도 제2 회전부(1504)의 회전면F가 앞쪽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손잡이핸들(300)에 의해 흡입구체(500)의 회전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도면중, 도 17a는 이 낮은 조작상태를 위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b는 측면쪽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침대밑이나 가구밑 등의 높이가 낮고 깊이가 있는(깊숙한) 틈의 청소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손잡이핸들(300)을 낮게 하고 접속관(400)을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해서 침대 밑 등에 밀어넣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체(500)의 높이를 낮게 하고 있으므로, 더욱 높이가 낮은 틈에 밀어넣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태에서는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1과 흡입구체(500)의 회전P2가 연동하고 있으므로, V2방향으로 전후하는 청소동작에 있어서 흡입구체(500)의 좌우의 흔들림을 손잡이핸들(300)로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2로 흡입구체(500)을 회전시켜 V1방향의 청소동작이 가능하므로 침대 안쪽의 좁은 틈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 1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2 회전부(1504)의 회전면F가 경사져 있으므로, 이것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접속관(400)도 경사진다. 따라서, 손잡이핸들(300)은 청소면에서 약간 들뜬 상태로 되므로, 중심축B2에 경사져 부착되는 핸들부(301)의 동작범위가 확보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손잡이핸들(300)의 하부에 항상 흡인호스(200)이 늘어뜨려지므로, 이 늘어뜨려진 흡인호스(200)이 청소면과 접촉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도 18∼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550)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이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구체(550)이외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제2실시예에 의한 흡입구체의 뒤쪽사시도, 도 19는 우측면도, 도 20은 평면도, 도 21은 정면도, 도 22는 저면도, 도 23 및 도 24는 단면도이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550)은 흡입구본체(1000)내에 회전솔(1050)(도 23 및 24참조)를 채용하면서 전체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 18∼도 21에 있어서, 이 제2실시예에 의한 흡입구체(550)은 흡입구본체(1000)과 이 흡입구본체(1000)의 뒤쪽 중앙에 배치된 자재연결부(1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550)은 그 외관을 박형으로 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1000)의 앞부분을 양측으로 연장시키고 뒷부분중앙에 배치한 상기 자재연결부(1500)의 부착부(1054)를 뒤쪽으로 연장시킨 「대략 T자형」의 평면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상면전체를 원호형상을 주체로 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 각부를 원호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가구등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흡입구본체(1000)은 흡입구본체(1000)의 골격을 이루는 수지재료로 성형된 하부케이스(1051), 흡입구본체(1000)의 앞쪽을 커버하는 수지재료로 성형된 앞부분 상부케이스(1052), 흡입구본체(1000)의 뒤쪽을 커버하는 수지재료로 성형된 뒷부분 상부케이스(105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51)은 그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와 뒷부분 상부케이스(1053)에 의해 자재연결부(1500)의 제1 암부(1501)의 한쪽끝을 그들 사이에 유지해서 제1 회전부(1504)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뒷부분 상부케이스(1053)에는 자재연결부(1500)이 횡자세일 때에 제1 암부(1501)의 끝부를 수납하는 오목형상의 부착부(10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1504)는 상기 부착부(1054)의 앞부분 상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51)과 앞부분 상부케이스(1052)로 집진실(1055)(도 23, 도 24)를 구성하고, 이 집진실(1055)내에 회전솔(1050)을 내장하고 있다. 또, 상기 앞부분 상부케이스(1052)는 회전솔(10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취입구(1056)을 긴쪽방향의 양측뒤쪽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앞부 상부케이스(1052)와 하부케이스(1051)은 흡입구본체(1000)의 둘레측에서 결합되고 그 결합부에 볼록형상의 범퍼(110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본체(1000)을「대략 T자형」으로 하고 있으므로, 범퍼(1100)의 앞부분에 오목부(1101)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자재연결부(1500)은 관형상의 2개의 제1 암부(1501)과 제2 암부(1502)를 제2 회전부(1504)로 연결하고, 제1 암부(1501)의 다른쪽끝을 상기 흡입구본체(1000)의 부착부(1054)에 고저방향Y로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제2 암부(1502)의 다른쪽끝을 상기 접속관(400)에 부착하기 위한 접속부(1505)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부(1054)는 뒤쪽으로 연장시킨 2개의 지지체(1054a), (1054b)에 의해 상기 제1 암부(1501)를 양측에서 그들 사이에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자재연결부(1500)의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있어서,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중앙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흡입구(1004)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1004)의 앞쪽에 유연성이 있는 볼록형상의 솔(1005)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또 그 앞쪽에 상기 흡입구(1004)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를 안내해서 기류의 흐름을 정류하는 여러개의 볼록형상의 안내돌기(1006)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구(1004)의 뒤쪽에는 이 흡입구(1004)에 의해 완전히 흡입하지 못한 먼지를 다시 일으켜 흡입구(1004)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한 볼록형상의 키퍼(keeper)(1057)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004)를 청소면에서 적절히 들뜨게 하여 상기 볼록형상의 솔(1005)나 키퍼(1057)의 효율을 좋게 함과 동시에, 흡입구체(500)의 주행기능을 확보하는 차륜(1200)을 마련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륜(1200)을 흡입구본체(1000)의 앞부분 양측에 배치되는 소차륜(1210) 및 상기 부착부(1054)의 후단부, 즉 자재연결부(1500)의 아래쪽의 위치로 되는 흡입구본체(1000)의 최후부 (最後部)에 뒤쪽으로 연장시킨 2개의 지지체(1054a), (1054b)에 의해 지지하여 마련되는 대차륜(1211)로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차륜(1200)을 횡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키는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핸들(300) 및 접속관(400)을 거쳐서 전달되는 부하를 상기 자재연결부(150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대차륜(1211)에 의해 지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성이나 선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 및 24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55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셔터기구를 채용한 자재연결부(15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흡입구(1004)에서 흡입한 공기류가 크게 사행되지 않고, 또한 자재연결부(1500)이 수평에 가까운 위치에서 수직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흡입구본체(1000)의 집진실(1008)에서 큰 개구면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1에 의해 흡입구체(550)의 회전P2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의 큰 특징으로 하는 점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인 구조를 취하면서 회전솔(1050)을 구비한 흡입구본체(1000)의 뒤쪽에 자재연결부(1500)을 배치한 것에 의해 흡입구체(550)의 높이를 낮게 한 점에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부의 회전축Q1을 흡입구체(550)의 최정상부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자재연결부(1500)의 회전동작을 낮은 위치에서 실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입구체(550)의 회전P2를 안정하고 또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세한 구조설명은 제1실시예와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회전축Q1을 제1 암부(1501)의 개구부(1501a)의 상단부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설명했지만, 상기 개구부(1501b)의 중앙 양측에 회전축Q1을 마련하여 셔터판(1508)을 상하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핸들(300)에 흡인호스(200)을 좌우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지만, 흡인호스(200)을 고정시켜 마련해도 좋다. 또, 상기 손잡이핸들(300)은 핸들부(301)을 독립적으로 마련하고 있지만, 접속관(400)의 상단부를 굴곡시키고, 이 굴곡시킨 끝부에 흡인호스(200)을 직접 접속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굴곡된 관부를 핸들부로서 손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핸들부(301)과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이하, 본 실시예라 한다)를 도 25∼도 36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예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1X)는 전기청소기본체, (2X)는 흡인호스, (3X)는 손잡이핸들, (4X)는 접속관(연장관), (5X)는 흡입구체이다.
전기청소기본체(1X)는 그의 집진실내에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전기청소기본체(1X)에 흡인호스(2X)의 한쪽끝이 부착되고, 흡인호스(2X)의 다른쪽끝에는 손잡이핸들(3X)의 한쪽끝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핸들(3X)의 다른쪽끝에는 접속관(4X)의 한쪽끝이 부착되고, 접속관(4X)의 다른쪽끝에는 흡입구체(5X)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구체(5X)는 접속관(4X), 손잡이핸들(3X), 흡인호스(2X)를 거쳐서 전기청소기본체(1X)내의 흡인용통로와 연통되어 있다.
전기청소기본체(1X)는 한쌍의 대차륜(11X)와 1개의 자재차륜(12X)를 갖고 있으며, 손잡이핸들(3X)에 의해서 흡인호스(2X)를 거쳐서 바닥면상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기청소기본체(1X)의 운전제어는 전기청소기본체(1X)의 상면에 마련한 운전표시부내의 적외선수신부(13X)에 의해 손잡이핸들(3X)의 적외선발신부(31X), (31X)로부터의 조작신호를 받는 것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흡인호스(2X)는 먼지를 전기청소기본체(1X)내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통로로서의 기능 및 전기청소기본체(1X)를 이동시킬 때의 이동인장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상자형상의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채용하고 있다.
손잡이핸들(3X)는 흡인호스(2X)와 접속관(4X)를 연통시키는 기능, 전기청소기본체(1X)를 이동(주행)시키는 기능, 흡입구체(5X)를 이동(주행)시키는 기능, 흡입구체(5X)의 자세를 조작하는 기능 및 전기청소기본체(1X)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핸들(3X)는 흡인호스(2X) 및 접속관(4X)와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것에 의해 흡인호스(2X)와 접속관(4X)를 연통시키는 먼지의 반송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핸들(3X)에는 손잡이핸들(3X)의 본체에서 연장된 핸들(그립부)(32X)가 마련되어 있고, 이 핸들(32X)는 접속관(4X)의 중심축선A1X에 대해 100° ∼120°정도의 각도αX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핸들(32X)에 의해 흡인호스(2X)를 거쳐서 전기청소기본체(1X)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접속관(4X)를 거쳐서 흡입구체(5X)의 움직임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이 핸들(32X)에 의하면, 핸들(32X)의 비틀림동작(접속관(4X)의 중심축선 A1X를 중심으로 한 회전 P1X)에 의해 흡입구체(5X)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흡입구체(5X)를 접속관(4X)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도 25중의 회전 P2X), 이것에 의해 흡입구체(5X)의 회전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은 핸들(32X)가 접속관(4X)의 중심축선A1X에 대해 각도αX를 갖고, 핸들(32X)를 비트는 것에 의해 흡입구체(5X)의 후술하는 이음매관부재에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키고, 또한 이음매관부재가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 및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2 이음매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이와 같은 흡입구체(5X)로의 회전전달기구는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또, 손잡이핸들(3X)에는 전기청소기본체(1X)의 운전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부(33X)가 마련되어 있고, 이 조작부(33X)의 버튼(button)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33X) 및 핸들(32X)의 그립 끝부에 마련된 적외선발신부(31X)에서 전기청소기본체(1X)의 적외선수신부(13X)로 조작신호가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또, 손잡이핸들(3X)에는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접속관(4X)는 손잡이핸들(3X)와 흡입구체(5X)를 연통시킴과 동시에, 손잡이핸들(3X)의 움직임을 흡입구체(5X)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접속관(4X)는 2개의 관부재를 신축 가능하게 조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고,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체(5X)는 그의 밑면에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51X)와 이 흡입구본체(51X)를 접속관(4X)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51X)를 접속관(4X)와 연통시키는 이음매관부재(52X)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음매관부재(52X)는 그의 한쪽끝측이 흡입구본체(51X)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53X) 및 그의 한쪽끝측이 제1 이음매관(53X)의 다른쪽끝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함과 동시에 그의 다른쪽끝측이 접속관(4X)와 연결되는 제2 이음매관(54X)로 이루어져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음매관(53X)의 종방향의 회전운동 각도 범위는 60°∼85°로 되고, 제2 이음매관(54X)의 좌우방향의 회전운동 각도 범위는 180°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구본체(51X)(흡입구체(5X))는 상면에서 보아 가늘고 긴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흡입구체(5X)는 접속관(4X)의 직선 전후진 동작에 따라 흡입구본체(51X)가 그의 짧은쪽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통상 청소(넓은 장소의 청소)에 적합한 가로로 긴 이동형태(상기한 제1 구동형태) 및 접속관(4X)의 직선전후진 동작에 따라 흡입구본체(51X)가 그의 긴쪽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벽가장자리 등의 청소에 적합한 세로로 긴 이동형태(상기한 제2 구동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을 S1X로 하고, 제2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도 25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흡입구본체(51X)의 이동방향)을 S2X로 한다.
또한, 제2 구동형태에 있어서, 접속관(4X)를 위쪽에서 본 중심축선A2X가 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상태가 손잡이핸들(3X)를 사용해서 흡입구본체(51X)를 제2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2X로 구동하는데 조작성이 좋아 사용하기 편리하지만, 접속관(4X)의 중심축선A2X가 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도록 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의 중심위치에 있어도 흡입구본체(51X)를 제2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2X로 구동하는 것은 가능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구동형태라는 것은 접속관(4X)의 흡입구본체(51X)에 대한 좌우방향의 회전위치의 여하를 불문하고 흡입구본체(51X)가 그의 긴쪽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것은 제1 구동형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서, 제1 구동형태라는 것은 접속관(4X)의 흡입구본체(51X)에 대한 좌우방향의 회전위치의 여하를 불문하고 흡입구본체(51X)가 그의 짧은쪽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도 26은 흡입구체(5X)를 간략화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101X)는 흡입구본체(51X)의 하부케이스로서, 그의 밑면에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102X)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외측면에는 미끄럼이동성과 내마모성이 양호한 재료인 범퍼부(103X)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01X)의 내부에는 제1 이음매관(53X)를 축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부(104X)가 마련되어 있다. (105X)는 흡입구본체(51X)의 상부케이스로서, 하부케이스(101X)로 덮여져 하부케이스(101X)와 일체로 조합되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51X)의 케이싱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6에 있어서는 하부케이스(101X)의 내부구조는 간략화하고, 하부케이스(101X)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 제1 이음매관(53X)는 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중심축선을 갖는 주(主)관부(106X), 주관부(106X)의 한쪽끝측에 마련되고 양끝이 닫힌 홈통형상 연결부(107X) 및 주관부(106X)의 다른쪽끝측에 마련된 하강관부(108X)를 갖고 있다. 그리고, 홈통형상 연결부(107X)의 양끝에 마련된 축지지부(109X)가 하부케이스(101X)의 축받이부(104X)에 축지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제1 이음매관(53X)가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유지되고, 홈통형상 연결부(107X)의 개구부(110X)가 흡입구본체(51X)내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축받이부(104X)는 흡입구본체(51X)의 대략 중심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제의 청소시에 있어서 청소하는 장소를 이동하기 위해 흡입구본체(51X)를 바닥면에서 들어 올린 경우, 바닥에 대해 수평인 상태로 유지되어 다음 청소동작으로 이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축지지부(109X)를 청소면보다 위쪽에 배치하고 또한 흡입구본체(51X)의 대략 중심위치에 배치하면, 제1의 구동형태에 의해서 융단위 등의 저항이 큰 청소면을 전진동작시킬 때에 흡입구본체(51X)가 앞으로 돌입하여 주행성을 저해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점을 해소하고 또한 상기한 흡입구본체(51X)를 바닥면에서 들어 올린 후, 다음의 청소동작으로 이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축지지부(109X)를 흡입구본체(51X)의 중심위치보다 약간 뒤쪽의 위치이고(흡입구본체(51X)의 투영면적의 범위내이고), 또한 축지지부(109X)의 청소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고려하여 축지지부(109X)의 설치위치를 최적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면 좋다.
또, 도 26에 있어서는 홈통형상 연결부(107X)의 축지지부(109X)의 형상은 극히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이음매관(54X)는 접속관(4X)의 중심축선A1X와 일치하는 중심축선을 갖는 주관부(111X) 및 주관부(111X)의 한쪽끝측에 마련된 상승관부(112X)를 갖고, 주관부(111X)의 다른쪽끝측은 접속관(4X)와의 접속부로 되어 있다.
제1 이음매관(53X)의 하강 관부(108X)와 제2 이음매관(54X)의 상승 관부(112X)는 축심을 일치시켜 마주보게 하고, 하강 관부(108X)의 플랜지(flange)(108aX)와 상승 관부(112X)의 플랜지부(112aX)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조합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2 이음매관(54X)는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 상기한 플랜지부(108aX), (112aX)는 밀착된 상태에서 이음매커버(113X)에 의해서 끼워 유지되고, 이 이음매커버(113X)에 부착기구(114X)를 나사(115X)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이음매관(53X)와 제2 이음매관(54X)를 일체화된다(도 27 및 도 28참조). 그리고, 제1 이음매관(53X)와 제2 이음매관(54X)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제1 이음매관(53X)의 축지지부(109X)를 하부케이스(101X)의 축받이부(104X)에 축지지시킨 후, 상기 상부케이스(105X)를 하부케이스(101X)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 제1 이음매관(53X)가 흡입구본체(51X)로 빠지지(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상기한 흡입구체(5X)로서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27 및 도 28은 흡입구체(5X)의 중앙단측면도로서, 도 27에는 제1 이음매관(53X)가 상기한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28에는 제1 이음매관(53X)가 상기한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에 있어서의 제2 이음매관(54X)에 가까운 측이 먼 측보다 들어 올려지도록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가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βX를 형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각도βX는 예를 들면 5°∼30°정도로 설정된다. 또,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이음매관(54X)의 주관부(111X)의 중심축선A3X(바꿔 말하면, 접속관(4X)의 중심축선A1X)가 상기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와 평행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수평선에 대해 눕거나 또는 수평선으로 되도록 중심축선A3X가 수평선에 대해 각도γX를 형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각도βX≥각도γX로 설정되어 있다). 이 각도γX는 예를 들면 0°∼15°정도로 설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결합부에 있어서의 대향 회전평면(상기 플랜지부(108aX), (112aX)끼리의 대향면)T1X를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와 평행하게 설정하고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는 수평선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1 이음매관(53X)는 예를 들면, 스프링부재에 의해 힘을 받고 있는(가압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절도(節度)기구등의 위치결정기구에 의해서 그 위치를 잠금상태(록)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중심축선A2X가 수직으로 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제2 구동형태(세로로 긴 이동형태)를 취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기구(위치결정 록기구)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 위치 결정기구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에 도시한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 28에 도시한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 제1 이음매관(53X)가 (90°-βX)만큼 회전시키면 좋게 된다. 따라서, 제1 이음매관(53X)의 회전각도범위가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보다 작아도 좋고, 이 때문에 제1 이음매관(53X)의 홈통형상 연결부(107X)의 개구부(110X)는 제1 이음매관(53X)가 어떠한 회전위치에 있어도 항상 그 개구전체면적을 먼지의 반송통로로 할 수 있다. 또, 제1 이음매관(53X)가 어떠한 회전위치에 있어도 제1 이음매관(53X)의 홈통형상 연결부(107X)는 흡입구본체(51X)의 케이싱의 잘라냄부를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먼지의 반송통로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셔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기구의 간략화가 도모되고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비용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음매관(53X)의 회전각도범위를 작게 하기 위해 도 27에 도시한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가 수평선에 대해 각도βX만큼 들어올려지도록 하고 있지만, 이 때 제2 이음매관(54X)의 주관부(111X)의 중심축선A3X(접속관(4X)의 중심축선A1X)를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와 평행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수평선에 대해 눕거나 수평선으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제2 이음매관(54X) 및 접속관(4X)를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침대밑 등의 높이가 낮고 깊이가 있는 장소를 안까지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와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결합부에 있어서의 대향 회전평면T1X를 평행하게 하고, 대향 회전평면T1X와 제2 이음매관(54X)의 주관부(111X)의 중심축선A3X를 10°정도의 각도차를 갖도록 비평행하게 하고 있으므로, 핸들(32X)의 90°의 비틀림동작(회전P1X)에 의해 정확히 90°는 아니지만 흡입구본체(51X)를 90°근방까지 회전(회전P2X)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9 및 도 30은 흡입구체(5X)의 사시도로서, 도 29에는 도 27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0에는 도 28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에 도시한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매관(53X)의 홈통형상 연결부(107X)가 흡입구본체(51X)의 케이싱상면측의 잘라냄부를 폐색하고, 도 30에 도시한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매관(53X)의 홈통형상 연결부(107X)가 흡입구본체 케이싱의 안쪽측의 잘라냄부를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도 31은 흡입구체(5X)의 이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102X)는 하부케이스(101X)의 밑면에 형성한(하부케이스(101X)의 긴쪽방향을 따라 형성한) 가늘고 긴 흡인구로서, 이 흡인구(102X)의 도 31에 있어서의 하측에는 가요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된 흡인구키퍼(suction keeper)(121X)가 흡인구(102X)와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고, 흡인구키퍼(121X)의 좌우에는(흡입구본체(51X)의 이면의 앞측 양모서리에는) 1쌍의 앞측로울러(122X)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흡입구본체(51X)의 이면 뒤측의 중앙에는 폭이 넓은 뒤측로울러(123X)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흡인구(102X)의 도 31에 있어서의 상측중앙에는 고정솔열(124X)가 흡인구(102X)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고정솔열(124X)의 우측 및 좌측의 약간 상측에는 한쌍의 가동솔열(l25X)가 고정솔열(124X)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 솔열에 의해 하부케이스(101X)(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을 대략 커버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뒤측로울러(l23X)의 우측 및 좌측에는 가동솔열(125X)에 근접해서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가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근접배치된 가동솔열(125X), 출몰로울러(126X)끼리는 일체로 되어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상하이동기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뒤측로울러(123X)의 회전지지축은 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뒤측로울러(123X)는 흡입구본체(51X)(흡입구체(5X))의 상기한 제1 구동형태(가로로 긴 이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1X으로만 회전한다. 또한, 1쌍의 앞측로울러(122X)의 회전지지축은 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에 대해 25°∼35°의 각도θX를 갖도록 설정되고, 앞측로울러(122X)는 흡입구본체(51X)의 제1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1X로 주로 회전함과 동시에, 흡입구본체(51X)의 상기한 제2 구동형태(세로로 긴 이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2X로도 회전한다. 또, 1쌍의 앞측로울러(122X)의 회전지지축은 뒤측로울러(123X)에서 보아 역「ハ 」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의 회전지지축은 흡입구본체(51X)의 짧은쪽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출몰로울러(126X)는 흡입구본체(51X)의 제2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2X로만 회전한다. 또, 출몰로울러(126X)는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을 때 이외에는 바닥면에서 이간(離間)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을 때 이외에는(즉,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가 수직으로 되어 제1 이음매관(53X)가 그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취했을 때 이외에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는 상승위치를 취하고 있고, 이 때, 바닥면에는 한쌍의 앞측로울러(122X)와 뒤측로울러(123X)가 접한 상태로 되고, 또 고정솔열(124X)의 선단은 바닥면과 접하고, 그의 상세를 후술하는 한쌍의 가동솔열(125X)는 스프링에 의해 힘을 받아 고정솔열(124X)의 선단보다 돌출된 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을 때 이외에는 흡입구본체(51X)(흡입구체(5X))는 상기한 제1 구동형태(가로로 긴 이동형태)에 의한 청소를 주로 실행하도록 되어 있고, 이 때 손잡이핸들(3X)에 의한 접속관(4X)의 직선전후진 동작에 의해서 한쌍의 앞측로울러(122X)와 뒤측로울러(123X)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51X)는 제1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1X로 이동한다. 이 때, 융단위 등의 마찰저항이 큰 청소면을 주행할 때에는 청소면으로부터의 저항력을 받은 한쌍의 가동솔열(125X)는 스프링에 대항해서 위쪽으로 이동하고, 또 다다미위 등의 마찰저항이 작은 청소면을 주행할 때에는 한쌍의 가동솔열(125X)는 휘어 청소면을 쓸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을 때에는(즉,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가 수직으로 되어 제1 이음매관(53X)가 그 위치가 잠금상태를 취했을 때에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는 하강위치를 취하고 있고, 이 때 바닥면에는 한쌍의 앞측로울러(122X)와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가 접한 상태로 되고, 뒤측로울러(123X)는 바닥면에서 소정량 들뜨고, 또 고정솔열(124X)의 선단은 바닥면과 접하며, 가동솔열(125X)의 선단은 고정솔열(124X)의 선단보다 돌출된 상태에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을 때에는 흡입구본체(51X)(흡입구체(5X))는 상기한 제2 구동형태(세로로 긴 이동형태)에 의한 청소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고, 이 때 손잡이핸들(3X)에 의한 접속관(4X)의 직선전후진 동작에 의해서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를 회전시키고, 한쌍의 앞측로울러(122X)를 미끄럼이동(슬립(slip))시키면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흡입구본체(51X)는 제2 구동형태에 의한 이동방향S2X로 이동한다. 이 때, 한쌍의 가동솔열(125X)는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와 함께 하강위치가 유지되어 있고, 한쌍의 가동솔열(125X)는 휘어 청소면을 쓸도록 동작한다.
도 32의 (a)는 흡입구본체(51X)가 제1 구동형태(가로로 긴 이동형태)를 취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 때 흡입구본체(51X)는 한쌍의 앞측로울러(122X)와 뒤측로울러(123X)의 회전에 의해 제1 구동형태의 이동방향S1X로 이송된다. 또, 이 제1 구동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매관(53X)를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접속관(4X)를 수평에 가까이 눕힐 수 있고 또한 흡입구체(5X)의 전체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침대밑 등의 높이가 낮고 깊이가 있는 장소를 안쪽깊숙한 곳까지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 도 32의 (a)에 도시한 상태에서 손잡이 핸들(3X)의 핸들(32X)를 90°비틀면, 흡입구본체(51X)는 접속관(4X)에 대해 90°가까이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로 이행해서 잠금상태로 되고, 흡입구본체(51X)가 제2 구동형태(세로로 긴 이동형태)를 취한다. 이 제2 구동형태에서는 흡입구본체(51X)는 한쌍의 앞측로울러(122X)와 한쌍의 출몰로울러(126X)의 회전에 의해서 제2 구동형태의 이동방향S2X로 이송되어 벽가장자리 등을 용이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제1 이음매관(53X)가 잠금기구에 의해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2 구동형태에 의한 흡입구본체(51X)의 주행이 안정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본체(51X)의 제1 및 제2 구동형태 중 어느 1형태에 있어서도 앞측로울러(122X)가 회전하므로(제2 구동형태에 있어서는 앞측로울러(122X)의 회전은 원활하지는 않지만, 회전하는 것은 회전하므로), 앞측로울러(122X)의 회전지지축을 흡입구본체(51X)의 긴쪽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한 경우와 같이 제2 구동형태에 있어서 앞측로울러(122X)가 미끄럼이동해서 한쪽으로만 치우쳐 닳는(偏摩耗) 일이 없어져 앞쪽로울러(122X)의 회전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한쌍의 앞쪽로울러(122X)의 회전지지축은 뒤측로울러(123X)에서 보아 역「ハ」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본체(51X)의 내측방향의 선회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가동솔열(125X)와 출몰로울러(126X)의 상하이동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4는 한쪽측의 가동솔열(125X)와 출몰로울러(126X) 및 그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4에 있어서, (131X)는 홀더(holder)체로서, 이 홀더체(131X)에 상기 출몰로울러(126X)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또 홀더체(131X)의 이면에 상기 가동솔열(125X)가 심어 마련되어 있다. (132X)는 홀더체(131X)에 마련한 축부로서, 이 축부(132X)가 상기 하부케이스(101X)에 마련된 유지부(133X)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의해서 홀더체(131X)는 축부(132X)를 회전운동중심으로 해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부케이스(101X)에는 홀더체(131X)의 상하이동을 허용하는 잘라냄부(134X)가 마련되어 있다. 또, 홀더체(131X)는 스프링(135X)에 의해서 하향방향(하강방향)으로의 스프링력을 부여받고 있다.
(136X)는 홀더체(131X)에 형성된 피제어돌기부로서, 갈고리부(136aX)와 경사측면(136bX)를 갖고 있다. 또, 상기한 제1 이음매관(53X)의 홈통형상 연결부(107X)의 측면에 마련된 상기 축지지부(109X)는 중공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축지지부(109X)에는 상하이동 규제부재(137X)와 아래쪽 누름부재(138X)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이음매관(53X)의 상하이동 규제부재(137X)는 피제어돌기부(136X)의 갈고리부(136aX)와 관련되고 갈고리부(136aX)가 상하이동 규제부재(137X)에 의해서 규제되는 상태에서는 홀더체(131X)의 하강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이음매관(53X)의 아래쪽 누름부재(138X)는 피제어돌기부(136X)의 경사측면(136bX)와 관련되고 아래쪽 누름부재(138X)가 경사측면(136bX)로 눌려지는 상태에서는 홀더체(131X)의 하강위치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 이외의 어떠한회전운동위치를 제1 이음매관(53X)가 취해도 피제어돌기부(136X)의 갈고리부(136aX)의 하측에는 제1 이음매관(53X)의 상하이동 규제부재(137X)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갈고리부(136aX)가 상하이동 규제부재(137X)에 걸어고정되는 것에 의해 홀더체(131X)는 그의 하강이 저지되게 되어 있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솔열(125X)가 바닥면에서 큰 저항을 받으면, 홀더체(131X)는 스프링(135X)의 힘에 대항해서 소정량 t만큼 들떠서(부상해서) 가동솔열(125X)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다미등의 저항이 적은 청소면인 경우에는 가동솔열(125X)가 청소면을 쓸어 청소성을 높일 수 있고, 반대로 융단 등의 저항이 큰 청소면인 경우에는 가동솔열(125X)가 주행저항을 높이는 일 없이 퇴피(退避)하므로, 주행성을 손상하는 일이 없어진다.
한편,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는 경우에는(즉, 제1 이음매관(53X)의 주관부(106X)의 중심축선A2X가 수직으로 되고 제1 이음매관(53X)가 그 위치가 잠겨진(록된) 상태를 취했을 때에는), 피제어돌기부(136X)의 갈고리부(136aX)의 하측에서 제1 이음매관(53X)의 상하이동 규제부재(137X)가 퇴피하고, 홀더체(131X)의 하강을 허용함과 동시에 제1 이음매관(53X)의 아래쪽 누름부재(138X)가 피제어돌기부(136X)의 경사측면(136bX)와 당접하고, 스프링(135X)의 힘으로 하강시킨 홀더체(131X)의 하강위치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출몰로울러(126X)가 하강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구동형태에 적합한 로울러배치구성으로 됨과 동시에 가동솔열(125X)가 항상 청소면을 강하게 문지르게 되므로, 벽가장자리 등의 청소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음매관(53X)가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즉, 흡입구본체(51X)가 제2 구동형태에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서), 홀더체(131X)의 상승/하강을 제어하고, 가동솔열(125X)와 출몰로울러(126X)를 일체로 하여 상하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흡입구본체(51X)가 제1 구동형태를 취할지 또는 제2 구동형태를 취할지에 따라서 흡입구본체(51X)의 이면측의 구성을 구동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부품배치로 할 수 있다. 또, 전환기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체(131X)에 흡인차폐판부(139X)를 마련하고, 이 흡인차폐판부(139X)를 상부케이스에 마련한 흡인구멍(141X)(도 29 및 도 30참조)와 연통시키는 공기흡인통로와 대향시키고, 흡입구본체(51X)가 제2 구동형태를 취했을 때에만 공기흡인통로를 개방하고, 이것에 의해서 와류를 일으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4실시예>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7은 전기청소기의 외관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재연결부(1530)은 상기 흡입구본체(100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고저방향Y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하부암부(1531) 및 한쪽끝이 상기 접속관(400)에 부착되고 다른쪽끝이 상기 하부암부(1531)과 좌우방향X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부착되는 상부암부(1532)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흡입구체(550)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밑면에 구비한 흡입구본체(1000) 및 상기 흡입구본체(1000)을 상기 접속관(400)에 연결하고 상기 접속관(400)을 거쳐서 전달되는 손잡이핸들부(300)의 움직임에 대해 항상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을 바닥면에 접하도록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1000)에서 흡입한 먼지를 포함한 공기류가 상기 접속관(400)으로 보내지도록 연통시키는 자재연결부(1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본체(1000)은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회전솔을 구비한 흡입구를 밑면에 구비하고 있다. 자재연결부(1530)은 흡입구체(550)과 손잡이핸들(300)을 상기 흡입구체(550)을 중심으로 해서 손잡이핸들(300)의 고저방향Y와 좌우방향X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손잡이핸들부(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본체(1000)의 회전P2로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를 바닥면에서 약90도, 좌우방향X에 대해서는 약360도의 범위에서 동작가능하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저방향Y의 각도는 후술하는 수납성을 고려하여 바닥면에서 약90도 이상으로 해도 좋다. 또, 좌우방향X는 약180도정도이면 청소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흡입구체(550)은 흡입구본체(1000) 주위에 슬라이딩부재(1100)을 구비한 범퍼부(103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벽가장자리의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밑면에 흡입구체(1000)의 긴쪽방향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차륜(1200)을 마련하고 있다.
또, 상기 흡입구본체(1000)의 밑면에 마련한 흡입구의 앞부분(선단부와의 사이)에 먼지의 안내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거하기 곤란한 벽가장자리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체(550)을 90도 회전가능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180도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동작범위를 설정하였지만, 종래의 전기청소기에 사용되고 있는 흡입구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245073호에 개시되어 있는 흡입구체와 같이 흡입구체에 마련한 굴절된 관형상의 형태를 구비한 이음매구조에 의해 어느정도 회전가능한 흡입구체가 채용되면, 상기 동작범위를 취할 필요는 없다. 즉, 손잡이핸들부(330)의 비틀림동작에 의해 흡입구체가 다소나마 회전가능한 것이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부(300)의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입구체의 구조에 의해, 제2 연결관부(306)의 회전동작범위를 아래쪽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45도, 합계90도의 범위에서 또는 좌우로 80도, 합계160도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정해도 좋다.
<제5실시예>
도 38∼도 40은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부(3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손잡이핸들부의 제2 연결관부의 분해도, 도 39는 손잡이핸들부의 외관도로서 (a)는 측면도, (b)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0은 손잡이핸들부의 단면도로서 (a)는 중앙단면도, (b)는 (a)중의 화살표의 단면도이다.
도 38∼도 40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부(300)은 핸들부(301)의 한쪽끝이 개방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크게 다르다. 이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핸들부(300)도 마찬가지로 상기 핸들부(301)과 상기 제1 연결관부(305)를 구성하는 핸들본체(350) 및 제2 연결관부(30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본체(350)은 접속관(400)의 상단에 부착되는 접속부(350d), 상기 접속관(400)의 연장선B2를 따라 상기 접속부(350d)에서 연장하는 조작스위치배치부(350a), 상기 조작스위치배치부(350a)의 상단에서 굴곡하여 뒤쪽으로 연장하는 그립배치부(350b) 및 상기 접속부(350d)에서 조작스위치배치부(350a)로 분기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연결관부(305)를 구비한 연결관배치부(350c)로 구성된다.
즉, 이 실시예의 핸들본체(350)은 상기 조작스위치배치부(350a), 그립배치부(350b) 및 연결관배치부(350c)로 대략 삼각을 구성하고, 그의 밑변으로 되는 연결관배치부(350c)의 한쪽끝을 접속관(400)과 접속시키는 접속부(350d)로 하고 다른 한쪽끝을 개방하는 것과 같은 형태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3개의 각부를 각각 직선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접속관(400)과 제1 연결관부(304)를 소음이 잘 발생하지 않는 완만한 각도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연결관부(304)의 상부에 사용자가 유지하기 쉬운 그립부(핸들부(301))를 상기 접속관(400)의 연장선B2상에 쥐기 쉬운 각도로 위치시키고, 또 상기 핸들부(301)의 배치에 따른 공간(조작스위치배치부(350a))을 이용하여 조작성이 좋은 위치에 조작부(302)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실장효율이 우수한 소형의 형태이고 또한 조작성이 우수한 손잡이핸들부(300)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조작스위치배치부(308a)와 그립배치부(308b)를 각각 대략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결합하고 있지만, 상기 접속관(400)에서 연속하는 완만한 아치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핸들본체(350)은 이 핸들본체(350)의 하부를 구성하고 또한 수지성형되는 본체커버(351), 핸들본체(350)의 상부를 구성하고 또한 수지성형되는 조작스위치커버(352) 및 핸들부(301)을 구성하는 전지커버(318)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스위치커버(352)는 내측에 조작기판본체(302a)가 부착되고, 나사 등을 거쳐서 본체커버(351)에 부착된다. 물론, 다른 분할구조에 의해 핸들본체(350)을 구성해도 좋다.
또, 연결관배치부(350c)의 개방된 끝부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측면의 아래쪽에 먼지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개구부(360)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끝부에는 원주형상의 중심위치에 부착구멍(356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관부(306)은 캡(cap)형상의 제2 연결관 본체(353)과 부착핀(354)로 구성된다. 제2 연결관 본체(353)은 한쪽끝에 상기 통형상의 개구부(355)를 구비하고, 그의 다른쪽끝에는 상기 개구부(355)의 중심위치로 되는 위치에 상기 부착핀(354)의 부착구멍(356b)를 마련하고, 이 부착구멍(356b)와 어긋난 위치로 되는 아래쪽에 호스연결부(315)가 마련되고, 흡인호스부(200)의 한쪽끝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관배치부(350c)에 통형상의 개구부(355)를 구비한 제2 연결관 본체(353)이 삽입되고, 상기 부착구멍(356a), (356b)를 관통하도록 부착핀(354)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연결관 본체(353)이 연결관배치부(350c)를 중심으로 해서 흔들리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착핀(354)를 거쳐서 제2연결관 본체(353)을 착탈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관(304)내에 쌓인 먼지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관 본체(353)의 호스연결부(315)에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인호스부(200)의 한쪽끝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318)은 손잡이핸들부(300)에 내장된 전지의 착탈용 전지커버, (303)은 조작부(302)와 함께 손잡이핸들부(300)의 뒤쪽에 마련되는 적외선발신부이다.
다음에,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손잡이핸들부(300)의 내부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핸들부(300)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설계사상에 따라 상기 접속관(400)의 연장선B2, 연결관부의 관축방향B1, 흡인호스부(200)의 관축방향B3 및 핸들부(301)의 긴쪽방향B4로 구성되는 각도 θ1, θ2, θ3이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접속관부(305)를 상기 접속관(400)의 연장선B2상에 부착되는 접속관부착부(318) 및 상기 제2 연결관부(306)이 부착되고 상기 접속관(400)의 연장선B2에 대해 둔각의 각도θ1로 상기 접속관부착부(318) 및 굴곡형성되는 힌지(hinge)관부(319)로 구성한다. 또, 상기 제2 연결관부(306)은 상기 흡인호스부(200)을 상기 힌지관부(319)의 관축방향B1에 대해 둔각θ2의 각도를 취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관부착부(318)과 힌지관부(319)의 접속을 완만하게 연속된 내면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관부(319)의 뒷부분을 큰 원호형상으로 개구부(317)에 연속시키고, 제2 연결관부(306)에 연속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관부(319)의 강도가 필요하면, 예를 들면, 도 40a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301)의 끝부와 상기 힌지관부(319)의 뒷부분을 다른 보강부재로 연결하도록 하면 좋다.
<그 밖의 실시예>
본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핸들부에서는 적외선신호에 의해 손잡이핸들부에 마련한 조작부의 신호를 전기청소기로 전달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흡인호스부에 신호선을 마련하고 이 신호를 상기 손잡이핸들의 가동부를 거쳐서 전달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전달하는 기구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4-161126호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핸들부의 비틀림동작을 자유자재로 실행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 및 그 흡입구체가 얻어지고, 또한 소음이나 먼지막힘을 경감시켜 손잡이핸들의 비틀림 동작에 의해 흡입구본체를 바닥면에 대해 광범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청소성이 양호한 전기청소기가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자재연결부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동작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의 외관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의 부분분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핸들 그립부의 구조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의 동작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저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간략화된 분해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이음매관이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는 상태의 흡입구체의 중앙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이음매관이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상위위치에 있는 상태의 흡입구체의 중앙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27의 상태에 대응하는 흡입구체의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28의 상태에 대응하는 흡입구체의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이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본체의 제1 및 제2 이동형태에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설명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본체의 선회상태의 설명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홀더체가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의 설명도,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입구체의 홀더체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의 설명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4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부의 제2 연결관부의 분해도,
도 39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부의 외관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손잡이핸들부의 단면도.

Claims (44)

  1.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이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전기청소기본체내의 흡인용통로와 연통하는 흡인호스, 이 흡인호스에 부착되고 흡인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핸들, 이 손잡이핸들에 부착되고 손잡이핸들과 연통하는 접속관 및 이 접속관에 부착되고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 및 이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과 연통시키는 연결관부를 갖고,
    상기 연결관부는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 및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함과 동시에 그의 다른쪽끝측이 상기 접속관과 연결되는 제2 이음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의 하강 관부와 상기 제2 이음매관의 한쪽끝측의 상승 관부가 상기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한쪽끝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호스, 상기 흡인호스의 다른쪽끝과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와 연통하는 손잡이핸들, 상기 손잡이핸들에 부착되고 상기 흡인호스와 연통하는 접속관 및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고 상기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구체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흡입구본체의 먼지통로와 상기 접속관을 연통시키는 연결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부는 관형상의 제1 이음매관과 제2 이음매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은 그의 한쪽끝이 제1 회전부를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에 대해 앙각으로 되는 Y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이음매관은 그의 한쪽끝이 제2 회전부를 거쳐서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에 상기 흡입구본체를 청소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X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의 아래쪽의 위치이고 또한 그의 회전면을 상기 평행한 위치에서 각도Z만큼 앞쪽으로 경사시켜 마련되고,
    상기 경사진 회전면의 위쪽측에 상기 제1 이음매관의 한쪽끝이 부착되고, 상기 회전면의 아래쪽측에 상기 제2 이음매관의 한쪽끝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는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의 중앙이고 또한 뒤쪽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는 회전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는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의 중앙이고 또한 상면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이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전기청소기본체내의 흡인용통로와 연통하는 흡인호스, 이 흡인호스에 부착되고 흡인호스와 연통하는 손잡이핸들, 이 손잡이핸들에 부착되고 손잡이핸들과 연통하는 접속관 및 이 접속관에 부착되어 접속관과 연통하는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형성한 흡입구본체 및 이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과 연통시키는 자재연결관부를 갖고,
    상기 연결관부는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흡입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 및 그의 한쪽끝측이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함과 동시에 그의 다른쪽끝측이 상기 접속관과 연결되는 제2 이음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의 다른쪽끝측의 하강관부와 상기 제2 이음매관의 한쪽끝측의 상승관부가 상기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결합되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이 상기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이음매관에 가까운 측이 먼 측보다 들어올려지도록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중심축선을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들어올려지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상기 중심축선 및 상기 제2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중심축선을 비평행으로 하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이 상기 종방향의 회전운동범위의 최하위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상기 중심축선이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상기 중심축선보다 수평선에 대해 눕거나 또는 수평선으로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중심축선이 바닥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이음매관은 그 위치가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직선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흡입구본체가 상기 흡입구본체의 짧은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 구동형태 및 상기 흡입구본체가 상기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 구동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이면에 상기 흡입구본체가 상기 제2 구동형태를 취했을 때에 바닥면측과 연동하여 돌출 동작하는 솔부재와 로울러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는 연직면내를 따른 종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1 이음매관 및 상기 연직면과 직교하는 평면내를 따른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제2 이음매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이음매관의 주관부의 중심축선이 바닥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이음매관은 그 위치가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재 및 상기 로울러부재는 일체로 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바닥면측으로의 돌출방향의 편기력을 스프링에 의해서 부여받고, 상기 로울러부재는 상기 제1 이음매관이 그의 위치를 상기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유지된 상태를 취했을 때 이외에는 바닥면측으로의 돌출이 규제되고, 또한 상기 솔부재는 상기 제1 이음매관이 그의 위치를 상기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유지된 상태를 취했을 때 이외에는 바닥면으로부터의 저항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위쪽으로 퇴피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직선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흡입구본체가 상기 흡입구본체의 짧은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 구동형태 및 상기 흡입구본체가 상기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제2 구동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이면에 있어서의 뒷부분측(상기 연결관부의 배치측)의 긴쪽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제1 구동형태에 있어서 회전하는 뒤측로울러부재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본체의 이면에 있어서의 앞부분측의 긴쪽방향의 양끝부에 상기 제1 구동형태 및 제2 구동형태에 있어서 회전하는 앞측 로울러부재를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앞측로울러부재는 상기 제1 구동형태에 있어서 주로 회전하도록 그 의 회전지지축이 상기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에 대해 25°∼35°의 범위에서 기울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후측 로울러부재에서 보아 상기 2개의 앞측로울러부재의 상기 회전지지축이 역「ハ」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이면측에는 또 바닥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뒤측로울러부재를 바닥면에서 들뜨게 하고, 상기 제2 구동형태에 있어서만 회전하는 출몰로울러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5.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한쪽끝이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호스부,
    한쪽끝이 상기 흡인호스부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연결관부와 그립부를 구비한 손잡이핸들부,
    한쪽끝이 상기 손잡이핸들부의 연결관부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접속관 및
    상기 접속관의 다른쪽끝에 부착되는 흡입구체로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체에서 흡입한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접속관과 상기 손잡이핸들부의 연결관부와 흡인호스부를 거쳐서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반송하는 전기청소기로서,
    상기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과 연결하는 제1 연결관부 및 상기 흡인호스부와 연결하는 제2 연결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부에는 상기 그립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제1 연결관부에 대해 상기 흡인호스부가 요동가능하게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의 연장선상에 부착되는 접속관부착부 및
    상기 제2 연결관부가 부착되고 상기 접속관의 연장선에 대해 둔각의 각도로 상기 접속관부착부와 굴곡해서 형성되는 힌지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흡인호스부를 상기 힌지관부의 관축방향에 대해 둔각의 각도를 취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힌지관부의 긴쪽방향의 양끝를 연결하고, 그의 중간부를 상기 힌지관부와 격리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부의 굴곡각도는 110도∼150도의 범위이고, 상기 힌지관 부와 흡인호스의 부착각도는 110도∼150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제1 연결관부에 대해 170도이상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의 긴쪽방향의 연장선상에 부착되고, 한쪽끝측에 상기 접속관이 부착되고 다른쪽끝측에 상기 핸들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의 긴쪽방향에 대해 둔각의 각도를 가지며 또한 그의 연장선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유지하는 핸들커버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2.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와 흡입구체를 연결하고, 상기 흡입구체에서 흡입한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반송하는 반송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결관부와 핸들부로 구성된 손잡이핸들로서,
    상기 연결관부는 상기 흡입구체에 접속되는 접속관과 연결하는 제1 연결관부 및 상기 전기청소기본체에 연결되는 흡인호스부와 연결하는 제2 연결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부에는 상기 그립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흡인호스부가 상기 제1 연결관부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손잡이핸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의 연장선상에 부착되는 접속관부착부 및
    상기 제2 연결관부가 부착되고 상기 접속관의 연장선에 대해 둔각의 각도로 상기 접속관부착부와 굴곡해서 형성되는 힌지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흡인호스부를 상기 힌지관부의 관축방향에 대해 둔각의 각도를 취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손잡이핸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힌지관부의 긴쪽방향의 양끝을 연결하고, 그의 중간부를 상기 힌지관부와 격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손잡이핸들.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부의 굴곡각도는 110도∼140도의 범위이고, 상기 힌지관 부와 흡인호스의 부착각도는 110도∼140도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손잡이핸들.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제1 연결관부에 대해 170도이상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손잡이핸들.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의 긴쪽방향의 연장선상에 부착되고, 한쪽끝측에 상기 접속관이 부착되고 다른쪽끝측에 상기 핸들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관부는 상기 접속관의 긴쪽방향에 대해 둔각의 각도를 가지며 또한 그의 연장선을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손잡이핸들.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유지하는 핸들커버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손잡이핸들.
  29.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체 및 상기 흡인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보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한쪽끝이 제1 회전부를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한쪽끝이 상기 접속관과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다른쪽끝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과 제2 회전부를 거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0.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체 및 상기 흡인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보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한쪽끝이 제1 회전면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뒤쪽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한쪽끝이 상기 접속관과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다른쪽끝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과 제2 회전면을 거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전면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면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 상기 제2 회전면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바닥면에 대한 회전각도가 가장 작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앞쪽을 향해 경사져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1.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체 및 상기 흡인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보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한쪽끝이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한쪽끝이 상기 접속관과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다른쪽끝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과 제2 회전축을 거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2.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체 및 상기 흡인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보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한쪽끝이 제1 회전부를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한쪽끝이 상기 접속관과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다른쪽끝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과 제2 회전부를 거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구본체는 그의 뒤쪽하부에 차륜이 마련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1 회전부의 뒤쪽이고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의 앞쪽에 배치되고, 또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3.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체 및 상기 흡인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보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한쪽끝이 제1 회전면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뒤쪽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한쪽끝이 상기 접속관과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다른쪽끝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과 제2 회전면을 거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전면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회전면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또 상기 제2 회전면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바닥면에 대한 회전각도가 가장 작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앞쪽을 향해서 경사져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본체는 그의 뒤쪽하부에 차륜이 마련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1 회전부의 뒤쪽이고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의 앞쪽에 배치되고, 또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4.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체 및 상기 흡인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보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한쪽끝이 제1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와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한쪽끝이 상기 접속관과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다른쪽끝은 상기 제1 연결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다른쪽끝과 제2 회전축을 거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구본체는 그의 뒤쪽하부에 차륜이 마련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제1 회전부의 뒤쪽이고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의 앞쪽에 배치되고, 또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5. 먼지를 공기류와 함께 흡입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전기청소기본체,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구비한 흡입구체 및 상기 흡인구에서 흡입한 먼지를 상기 전기청소기본체로 보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접속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는 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흡입구본체 및 상기 흡입구본체를 상기 접속관에 접속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를 보내기 위한 통풍로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수지성형품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그의 한쪽끝에 제1 개구부를 가짐과 동시에 제1 회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를 거쳐서 상기 흡입구본체와 상기 제1 연결부가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1 개구부가 상기 흡인구와 연통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그의 한쪽끝에 상기 접속관과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그의 다른쪽끝에 제2 개구부를 갖는 오목형상의 축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그의 다른쪽끝에 제3 개구부를 갖는 볼록형상의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오목형상의 축받이부와 상기 볼록형상의 축부가 끼워맞추어져 형성되는 제2 회전부를 거쳐서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가 연통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고저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이루어지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밑면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상기 바닥면에 대해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면과 상기 제2 회전면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는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의 중앙이고 또한 뒤쪽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는 흡입구본체의 긴쪽방향의 중앙이고 또한 상면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1.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면과 상기 제2 회전면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4.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깊이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을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흡입구본체의 좌우방향을 상기 바닥면의 전후방향으로 변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98-0049016A 1997-11-17 1998-11-16 전기청소기 KR100471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79597A JPH11146851A (ja) 1997-11-17 1997-11-17 電気掃除機及びその手元ハンドル
JP1997-314795 1997-11-17
JP1997-359272 1997-12-26
JP9359272A JP3066354B2 (ja) 1997-12-26 1997-12-26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1998-067112 1998-03-17
JP06711298A JP3296777B2 (ja) 1998-03-17 1998-03-17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307A KR19990045307A (ko) 1999-06-25
KR100471739B1 true KR100471739B1 (ko) 2005-08-09

Family

ID=2729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016A KR100471739B1 (ko) 1997-11-17 1998-11-16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71739B1 (ko)
CN (1) CN1169487C (ko)
TW (1) TW4252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067A1 (ko) * 2015-12-30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청소기의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300389D0 (sv) * 2003-02-12 2003-02-12 Electrolux Ab Handle arrangement for a blower
JP4309925B2 (ja) * 2007-02-28 2009-08-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2639044B (zh) * 2009-08-11 2014-12-24 碧洁家庭护理有限公司 具有辅助手持工具的直立式蒸汽拖把
US9066660B2 (en) 2009-09-29 2015-06-30 Nellcor Puritan Bennett Ireland Systems and methods for high-pass filtering a photoplethysmograph signal
KR101258493B1 (ko) * 2010-09-06 2013-04-26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힌지 어셈블리
GB2487397B (en) * 2011-01-20 2014-12-03 Dyson Technology Ltd A cylinder vacuum cleaner
EP2929821A4 (en) * 2012-12-06 2015-11-25 Panasonic Ip Man Co Ltd SUCTION INSTRUMENT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THEREFORE EQUIPPED
KR102150311B1 (ko) * 2014-04-09 2020-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그 중력 보상 장치
CN104042165B (zh) * 2014-06-24 2016-03-30 林小泉 地刷
CN104188595B (zh) * 2014-08-29 2017-05-31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吸尘器地刷与弯管的连接结构
NZ740309A (en) * 2015-10-22 2022-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Cleaner head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N113545702B (zh) * 2015-11-02 2023-02-10 三菱电机株式会社 清扫工具及无绳型吸尘器
GB2554937B (en) * 2016-10-14 2020-03-1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td A tool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WO2018158969A1 (ja) * 2017-03-02 2019-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220140231A (ko) * 2021-04-09 202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TWI771108B (zh) * 2021-07-19 2022-07-11 東易芯清潔服務有限公司 刷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067A1 (ko) * 2015-12-30 201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청소기의 핸들
RU2698842C1 (ru) * 2015-12-30 2019-08-3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Пылесос и ручка пылесос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3843A (zh) 1999-07-28
CN1169487C (zh) 2004-10-06
TW425276B (en) 2001-03-11
KR19990045307A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739B1 (ko) 전기청소기
JP3977967B2 (ja) 電気掃除機
US20210068606A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1938930B (zh) 用于抽吸附件的手柄组件
US7559112B2 (en) Passage conversion valv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20000011400A (ko) 전기청소기
EP292982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ame
JP3868679B2 (ja) 電気掃除機
JP3066354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186033B2 (ja) 電気掃除機
JP2012210300A (ja) 電気掃除機用手元ハンドル部
JPH11146851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手元ハンドル
JP3066369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07135651A5 (ko)
JP3066368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868953B2 (ja) 電気掃除機
KR100349293B1 (ko) 전기 청소기
JP3296777B2 (ja) 電気掃除機
JP4650184B2 (ja) 電気掃除機
JP30265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US759104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JP3067043U (ja) 電気掃除機
JP3186032B2 (ja) 電気掃除機
JP3104970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3124007B1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