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231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231A
KR20220140231A KR1020210046461A KR20210046461A KR20220140231A KR 20220140231 A KR20220140231 A KR 20220140231A KR 1020210046461 A KR1020210046461 A KR 1020210046461A KR 20210046461 A KR20210046461 A KR 20210046461A KR 20220140231 A KR20220140231 A KR 2022014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rotating
rotation
cleaner
clean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이승엽
이창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231A/ko
Priority to TW111109481A priority patent/TWI825624B/zh
Priority to PCT/KR2022/003653 priority patent/WO2022215886A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를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재, 본체를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재, 일 단이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타 단이 제1회전부재에 걸리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청소모듈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임의로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여, 직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한 조작성을 확보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핸디형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청소기 헤드는 조향을 위하여 복수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청소기 헤드의 전진방향을 전방으로 가정하여 복수개의 축을 정의한다. 롤링(Rolling)은 청소기 헤드의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좌측단과 우측단이 위아래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피칭(Pitching)은 청소기 헤드의 좌우방향 축을 중심으로, 전단과 후단이 상하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요잉(Yawing)은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좌측단과 우측단이 전후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선행문헌 1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4568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1은 진공청소기용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1은 제1부스러기 개구와, 제1부스러기 개구의 위쪽에 배치되는 제2부스러기 개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애지테이터에서 쓸린 먼지는 제1부스러기 개구 또는 제2부스러기 개구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된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청소기 헤드와 연장관 사이에는 피칭축과 요잉축이 배치된다. 청소기 본체는 피칭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고, 요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우방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좌우 방향 조향을 위하여 청소기 헤드는 롤링 또는 요잉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수행한다. 선행문헌 1은 롤링이 아닌 요잉을 수행하며, 청소기 헤드가 요잉을 하는 경우에는 조작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직진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1에 따른 청소기 헤드는 요잉축에서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구성이 없다. 따라서, 바닥면이 불규칙한 경우 청소기 헤드가 종종 흔들릴 수 있으며, 청소기 헤드가 흔들림에 따라 청소기는 직진을 하지 못하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선회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를 직진시키기 위하여 불필요한 조작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심지어, 선행문헌 1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를 최대한 눕힐 경우에는 상기 문제점은 더욱 심해진다. 청소기의 본체를 세워 요잉축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낮을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의 자중에 의하여 청소기 헤드가 흔들리더라도 어느 정도는 청소기를 전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청소기의 본체를 눕혀 요잉축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높아짐에 따라, 청소기 헤드가 조금만 흔들리더라도 청소기 헤드는 요잉축을 중심으로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 바, 좁고 낮은 틈새를 청소할 때에는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2로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7499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2는 캐니스터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에 관한 발명으로, 롤링기능과 피칭기능을 구비한 청소기 헤드를 개시한다. 선행문헌 2에 따르면, 청소기 헤드를 피칭축을 중심으로 접은 채로 고정시켜 청소기 본체에 거치할 수 있고, 청소기 헤드를 펼쳐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에 관한 발명이다.
하지만, 선행기술 2는 청소를 마친 청소기를 거치할 때 청소기 헤드를 접어 고정하고, 청소하고자 할 때 청소기 헤드를 펼쳐 고정하는 구조로써, 사용중인 청소기의 롤링 또는 피칭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고, 청소기 헤드가 요잉이 아닌 롤링만을 하는 바, 직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은 별론으로 하고, 조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4568호 (2017.12.27.)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74994호 (2007.08.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회하는 청소기 헤드를 구비한 청소기에 있어서, 직진할 때 청소모듈이 불필요하게 임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청소기 본체를 회전하여 좁은 틈새를 청소한 후, 신속하게 정 위치로 복원하여 직진성을 확보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모듈, 청소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본체,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는 청소모듈과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를 회전시킨다. 제2회전부재는 청소모듈과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를 회전시킨다. 또한, 청소기는 일 단이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타 단이 제1회전부재에 걸리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회전축은 제1회전부재의 전단에 배치되고, 제1회전부재는 제1회전축을 통하여 청소모듈의 후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방지 어셈블리는 제1회전부재에 배치된 지지부재, 및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재에 걸리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는 제1회전부재에서 제2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부재는 지지부재의 측면에 걸릴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고정부재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정부재는,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결합부, 회전부재 결합부에서 지지부재의 외둘레를 따라 연장된 고정부재 암, 고정부재 암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부재에 걸리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정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 어셈블리는 제2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축은 제1회전축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모듈, 청소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본체, 전단이 청소모듈과 연통되고 후단이 본체와 연통되는 연장관, 연장관의 길이 방향의 수직으로 배치된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청소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회전부재, 연장관의 길이 방향과 제1회전축에 모두 수직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일 단이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이 연장관에 결합된 제2회전부재, 및 일 단이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타 단이 제1회전부재에 걸리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청소모듈에 있어서, 일 단이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타 단이 제1회전부재에 걸리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바, 청소모듈이 임의의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여 직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고정부재는 지지부재의 외둘레에서 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바,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손쉽게 벌어져 지지부재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따른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회전방지 어셈블리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바, 청소기 본체를 회전시킨 후 복원력에 의하여 신속하게 정 위치로 복원하여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를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제2회전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회전방지 어셈블리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포함된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
도 9은 회전방지 어셈블리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포함된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
도 10는 회전방지 어셈블리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포함된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청소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를 기준으로 청소모듈(160)이 위치하는 방향이 전방이다. 달리 말하면, 전방은 청소기(100)가 전진하는 방향이다.
청소모듈(160)을 기준으로 본체(110)가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이다.
전방에서 청소기(100)의 전면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우측과 좌측을 정의한다. 우측과 좌측은 대향한다.
청소모듈은 여러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은 적어도 3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청소모듈은 제1회전축(y)을 중심으로 피칭(pitching)이 가능하고,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요잉(yawing)이 가능하고, 제3회전축(x)을 중심으로 롤링(rollint)이 가능하다.
제3회전축(x)은 본체(110)가 회전하는 중심축으로, 연장관(15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직선이다. 제3회전축(x)은 본체(110)의 흡입구(161)의 연장방향과 일치한다. 제3회전축(x)은 청소기 본체(110)의 중심과 청소모듈(160)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과 대부분 일치한다. 하지만, 제3회전축(x)이 회전되는 경우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회전축(y)은 본체(110)가 상하로 회전하는 중심축으로, 청소모듈(160)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직선이다. 제1회전축(y)은 제3회전축(x)과 직교하고, 제3회전축(x)을 회전시킨다. 제1회전축(y)은 후술하는 애지테이터(162)의 회전축과 평행하다.
제2회전축(z)은 본체(110)가 좌우로 회전할 때의 중심축으로, 상하로 배치된 가상의 직선이다. 제2회전축 (z)은 제3회전축(x)과 제1회전축(y) 모두와 직교한다. 제2회전축 (z)은 제1회전축(y)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흡입부(112)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형상이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구성이다. 흡입부(112)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흡입유로를 제공한다. 흡입부(112)를 통해서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본체(110)로 안내된다.
흡입모터(114)는 흡입부(112)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행성하는 구성이다.
흡입 모터(114)는 BLDC(Brushless DC) 모터일 수 있다. BLDC 모터는 브러쉬가 없는 타입의 DC 모터이다. BLDC 모터는 마모성 부품인 브러쉬가 없으므로 전기적, 기계적 잡음이 적을 뿐 아니라 고속회전에 문제가 없고 회전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손잡이(116)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먼지통(120)을 기준으로 흡입부(112)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인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는 대략 원통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조작부(118)를 포함한다. 조작부(118)는 사용자가 청소기(10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조작부(118)는 손잡이(116)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116)를 파지한 채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부(118)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20)을 포함한다. 먼지통(120)은 원통 형상의 집진바디를 포함한다. 먼지통(120)은 흡입부(112)와 연통되므로, 흡입부(11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120)에 집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를 배터리(140)를 포함한다. 배터리(140)는 본체(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체(110)에는 배터리(14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140)는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배터리(140)는 손잡이(116)의 하부에 배치된다. 배터리(140)는 손잡이(116)의 길이 방향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배터리(140)는 좌우방향 중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배치되고, 사용자는 청소기(100)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연장관(150)을 포함한다. 연장관(150)은 본체(110)와 청소모듈(160)을 연통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연장관(150)의 하단은 청소모듈(160)에 결합되고, 청소모듈(160)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관(150)은 제1회전부재에 결합하여 제1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회전부재(164)에 결합하여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장관(150)의 하단은 주름관(166)과 연통한다.
연장관(150)의 상단은 본체(110)의 흡입부(112)에 결합되고, 흡입부(112)와 연통된다.
연장관(150)은 하부관과 상부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관은 하부관에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길이가 가변한다. 하부관은 청소모듈(160)에 연결되고, 상부관은 본체(110)의 흡입부(112)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청소모듈(160)을 포함한다. 청소모듈(16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모듈(160)은 연장관(150)과 연통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청소기(100)의 본체(1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모듈(160)과 연장관(150)을 지나 청소기(100)의 본체(110)로 유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청소모듈(160)은 흡입구(161)를 포함한다. 흡입구(161)는 공기와 함께 먼지를 빨아들이는 구멍이다. 흡입구(161)는 연장관(150)과 연통되어, 먼지는 본체(110)로 유동한다. 보다 상세하게, 흡입구(161)는 주름관(166)의 일 측과 연결되고, 주름관(166)의 타 측은 연장관(150)과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소모듈(160)은 애지테이터(162)를 포함한다. 애지테이터(162)는 바닥에 부착된 먼지를 문질러 바닥으로부터 분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애지테이터(16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애지테이터(162)의 회전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애지테이터(162)는 흡입구(161)의 전방에 배치된다. 애지테이터(162)는 흡입구(161)의 전단에서 바닥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낸다. 애지테이터(162)에 의하여, 바닥에 흡착된 먼지는 바닥에서 분리될 수 있고, 흡입구(161)로 보다 손쉽게 흡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애지테이터(16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청소모듈(160)은 애지테이터(16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하였으나, 도 2를 참조하면, 모터는 청소모듈(160)의 내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청소모듈(160)의 무게중심(160G)은 우측에 치우쳐져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제1회전부재(163)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재 (163)는 본체(110)를 회전시켜, 본체(110)의 높이를 변경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회전부재(163)는 청소모듈(160)과 본체(110)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회전축(y)을 구비하고, 제1회전축(y)을 중심으로 본체(110)를 회전시킨다.
제1회전부재(163)의 전단은 청소모듈(16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회전부재(163)의 후단은 제2회전부재(16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회전부재(163)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주름관(166)이 관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회전부재(16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110)의 높이가 상승하고, 연장관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증가한다. 반대로, 제1회전부재(16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본체(110)의 높이가 하강하고, 연장관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감소한다.
연장관과 지면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 주름관(166)은 상부로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모듈(160)과 제1회전부재(163)는 제1회전축(y)에 의하여 연결되는 바, 지면에서 연장관(150)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를 최소로 할 수 있고, 보다 낮은 틈새에 삽입되어 청소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소모듈의 무게중심(160G)은 제1회전축(y)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전진할 때, 청소모듈(160)이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회전축(y)은 제1회전부재(163)의 전단에 배치되고, 제1회전부재(163)는 제1회전축(y)을 통하여 청소모듈(160)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소모듈(160)은 후면이 전방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몰부에 제1회전축(y) 및 제1회전부재(163)가 배치된다. 상기 함몰부의 내측 벽에는 제1회전축(y)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제1회전축(y)과 일치하는 힌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회전축(y)은 제1회전부재(163)의 전단에 배치되는 바, 제1회전부재(163)는 전단이 고정되고 후단이 원운동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청소모듈(160)과 연장관(150) 사이의 연결부재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서 연장관(150)을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할 경우, 청소모듈(160)의 높이와 제1회전부재(163)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소파 하단의 좁은 틈새 등으로 들어가 청소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제2회전부재(164)를 포함한다. 제2회전부재(164)는 본체(110)를 회전시켜, 본체(110)의 위치를 좌우로 변경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회전부재(164)는 청소모듈(160)과 본체(110)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z)을 구비하고,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본체(110)를 회전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회전축(z)은 제2회전부재(164)의 전단에 배치되고, 제2회전부재(164)는 제2회전축(z)을 통하여 제1회전부재(163)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고, 제2회전부재(164)의 후단은 본체(110)의 전단에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회전부재(164)는 전방이 개방된 U-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회전부재(164)의 상부면은 제1회전부재(163)의 상부면을 커버하고, 제2회전부재(164)의 하부면은 제1회전부재(163)의 하부면을 커버한다.
제2회전부재(164) 상부면의 안쪽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에 회전방지 어셈블리(170)의 지지부재(172)가 삽입되고, 회전방지 어셈블리(170)의 지지부재(172)는 돌출부를 따라 회전한다. 제2회전부재(164) 하부면의 안쪽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2회전부재(164)의 상부면의 안쪽에 형성된 돌출부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2회전부재(164)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주름관(166)은 제2회전부재(164)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관(150)과 연결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제2회전부재(164)가 좌우로 회전하더라도 주름관(166)을 통하여 먼지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제2회전부재(164)의 전단에는 제2회전축(z)이 배치된다. 제2회전축(z)은 제2회전부재(164)의 상하로 배치된다. 제2회전축(z)은 제1회전부재(163)의 상하로 배치된다. 제2회전축(z)은 회전방지 어셈블리(170)의 지지부재(172)의 중심을 지난다.
제2회전축(z)은 상하로 연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회전부재(164)는 제1회전축(y)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제2회전축(z)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고정되지 않는다.
제2회전축(z)은 제1회전축(y)에 수직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회전축(y)은 좌우로 배치되고, 제2회전축(z)은 상하로 배치되는 바, 전방에서 볼 때 제2회전축(z)은 제1회전축(y)에 수직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회전축(z)은 제1회전축(y)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 제2회전축(z)과 제1회전축(y)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2회전축(z)은 연장관(150)의 길이 방향 직선에 수직한다. 연장관(150)은 제1회전축(y)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제2회전축(z)은 연장관(150)의 길이 방향 직선에 항상 수직한다.
만약 청소기(100)에 연장관(15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제2회전부재(164)의 후단은 본체(110)의 전단에 결합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과 같이 본체(110)의 전단에 연장관(150)이 구비된 경우, 제2회전부재(164)의 후단은 연장관(150)의 전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본체(110)는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좌우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회전축(z)은 제1회전축(y)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회전축(y)은 좌우로 배치되는 바, 제1회전축(y)의 연결부는 제2회전축(z)의 연결부보다 필요한 높이가 낮다. 따라서, 제1회전축(y)의 연결부를 제2회전축(z)의 연결부보다 전방에 배치하여, 청소모듈(160)과 연장관(150) 사이의 연결부의 높이를 최소로 할 수 있으므로, 좁은 틈새에 청소모듈(160)이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축이 최대한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종래의 청소기(100)들의 청소모듈의 무게중심(160G)이 제1회전축(y) 또는 제2회전축(z)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청소모듈의 무게중심(160G)은 제1회전축(y)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회전방지 어셈블리(170)를 포함한다. 회전방지 어셈블리(170)는 청소기(100)가 필요 이상으로 요잉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회전방지 어셈블리(170)는 일 단이 제2회전부재(164)에 결합되고, 타 단이 제1회전부재(163)에 걸린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청소기(100)에 미세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청소모듈(160)은 흔들리지 않음으로써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기준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본체(110)를 좌우로 회전킬 수 있고 청소모듈(160)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방지 어셈블리(170)는 지지부재(172)와 고정부재(171)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72)는 제1회전부재(163)에 배치된다. 고정부재(171)는 제2회전부재(164)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재(172)에 걸린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72)는 제1회전부재(163)에서 제2회전축(z)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부재(171)는 지지부재(172)의 측면에 걸린다.
지지부재(172)는 제1회전부재(163)에 배치된다. 지지부재(172)는 제1회전부재(163)의 상면에서 제2회전축(z) 방향으로 상부로 돌출한다. 지지부재(172)는 제1회전부재(163)의 하면에서 제2회전축(z) 방향으로 하부로 돌출할 수 있다.
지지부재(172)는 제2회전부재(164)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더욱 돌출된 상부면(1721)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172)는 제2회전부재(164)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더욱 돌출된 하부면(1721)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172)는 지지부재의 상부면(1721)과 제2회전부재(164)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지지부재 측면(1722)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72)는 제2회전축(z) 상에 배치된다. 지지부재(172)는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제2회전부재(164)는 지지부재(172)에 걸려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재(172)는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바, 제2회전부재(164)는 제1회전부재(163)의 양단에서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재(171)의 일 측은 제2회전부재(164)에 결합되고, 제2회전부재(164)와 함께 회전한다. 고정부재(171)의 타 측은 지지부재(172)의 측면에 걸린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외란이 작용할 경우에도 청소모듈(160)이 급격하게 꺾이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외란은 불규칙적인 지면 형태, 카페트 등 지면상태의 변경, 사용자의 조작시 흔들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가 기준 이상의 힘을 가하여 본체(1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경우, 고정부재(171)의 걸림은 해제된다. 고정부재(171)의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고정부재(171)는 지지부재(172)의 외둘레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고정부재(171)도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72)는 고정부재(171)가 삽입되는 삽입홈(1723)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71)는 삽입홈(172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713)를 포함한다.
삽입홈(1723)은 지지부재(172)에 형성된다. 삽입홈(1723)은 지지부재(172)의 측면(1722)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삽입홈(1723)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723)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삽입홈(1723)은 제3회전축(x)을 중심으로 좌우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삽입홈(1723)은 제1회전축(y)을 중심으로 전후로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돌기(1713)는 삽입홈(1723)에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돌기(1713)는 삽입홈(1723)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호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713)는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돌기(1713)는 제3회전축(x)을 중심으로 좌우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고정돌기(1713)는 제1회전축(y)을 중심으로 전후로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삽입홈(1723)은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의 삽입홈(1723)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L1)은 제1회전축(y)과 평행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고정부재(171)의 좌측과 고정부재(171)의 우측에 동일한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71)의 한쪽에 편중된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110)를 좌우로 흔들 때 좌측과 우측으로 동일한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71)는 회전부재 결합부(1711)와 고정부재 암(1712)과 고정돌기(1713)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부재 결합부(1711)는 전방에서 볼 때 제3회전축(x) 상에 배치된다. 회전부재 결합부(1711)는 제2회전부재(164)에 고정되고, 제2회전부재(164)와 함께 회전한다.
고정부재 암(1712)은 회전부재 결합부(1711)에서 지지부재(172)의 외둘레면을 따라 연장된다. 고정부재 암(1712)은 회전부재 결합부(1711)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고정부재 암(1712)은 지지부재(172)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지지부재(172)의 외둘레면을 따라 연장된다.
고정돌기(1713)는 고정부재 암(171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부재(172)에 걸린다. 고정돌기(1713)는 제2회전축(z)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다. 고정돌기(1713)의 내측 단부는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지지부재(172)의 삽입홈(1723)에 걸려 고정된다.
고정부재 암(1712)은 외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부재의 암은 반원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고정부재 암(1712)은 반경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부재 암(1712)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됨으로써 고정부재(171)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고정부재 암(1712)은 제2회전부재(16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2회전부재(16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이라 함은 제3회전축(x)을 의미한다. 고정부재 암(1712)이 제3회전축(x)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회전부재(164)를 좌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필요 힘과 우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필요 힘은 동일하다. 따라서, 조작성이 좋아질 수 있다.
회전부재 결합부(1711)는 제2회전부재(16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회전부재(16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이라 함은 제3회전축(x)과 일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 암(1712)은 가상의 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고정돌기(1713)는 가상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가상의 원의 중심은 제2회전축(z)과 일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부재 암(1712)은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71)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17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재(171)는 신축성 있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고정부재(171) 중 고정부재 암(1712)만을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171)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작은 진동 발생시 제2회전부재(164)를 제1회전부재(163)에 고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청소기(100)를 선회 이동시킬 경우 변형하여 고정이 해제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방지 어셈블리(170)는 탄성부재(173)를 포함한다. 제2회전부재(164)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2회전부재(164)가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 탄성부재(173)는 좌측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한다. 반대로, 제2회전부재(164)가 좌측으로 회전할 경우, 탄성부재(173)는 우측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73a)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73a)는 제2회전축(z)에 권선되고, 일 단이 제2회전부재(164)의 일 측에 지지되고, 타 단이 제2회전부재(164)의 타 측에 지지된다. 탄성부재(173a)는 지지부재(172)에 권선될 수 있다. 탄성부재(173a)는 제1회전축(y)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73a)의 좌측단은 제2회전부재(164)의 좌측 측면에 지지되어, 제2회전부재(164)가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 제2회전부재(164)의 좌측 측면을 좌측방으로 밀어낸다. 탄성부재(173a)의 우측단은 제2회전부재(164)의 우측 측면에 지지되어, 제2회전부재(164)가 좌측으로 회전할 경우 제2회전부재(164)의 우측 측면을 우측방으로 밀어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회전부재(164)가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탄성부재(173a)의 좌측단은 우측으로 이동하고, 탄성부재(173a)의 좌측단은 제2회전부재(164)의 좌측 측면에 좌측으로 복원력을 가한다. 반대로, 미도시하였으나 제2회전부재(164)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탄성부재(173a)의 우측단은 좌측으로 이동하고, 탄성부재(173a)의 우측단은 제2회전부재(164)의 우측 측면에 우측으로 복원력을 가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73b)는 스파이럴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73b)는 내측단이 제1회전부재(163)에 지지되고, 외측단이 제2회전부재(164)에 지지된다. 탄성부재(173b)의 내측단은 제1회전부재(163)에 지지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회전부재(164)가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탄성부재(173b)의 외측단도 우측으로 회전하고, 스파이럴 스프링은 감기며, 제2회전부재(164)에 좌측으로 복원력을 가한다. 반대로, 미도시하였으나 제2회전부재(164)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탄성부재(173b)의 외측단도 좌측으로 회전하고, 스파이럴 스프링은 풀리며, 제2회전부재(164)에 우측으로 복원력을 가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73c)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73c)는 제2회전부재(16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단이 제1회전부재(163)에 지지되고, 후반부의 적어도 일 측이 제2회전부재(164)에 지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회전부재(164)가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회전부재(164)의 전단은 탄성부재(173c)를 좌측으로 밀어내고, 탄성부재(173c)는 좌측으로 벤딩되고, 제2회전부재(164)에 우측방으로 복원력을 가한다. 반대로, 미도시하였으나 제2회전부재(164)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회전부재(164)의 전단은 탄성부재(173c)를 우측으로 밀어내고, 탄성부재(173c)는 우측으로 벤딩되고, 제2회전부재(164)에 좌측방으로 복원력을 가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는 제1회전부재(163)를 구비하지 않고, 제2회전부재(164)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를 때, 제2회전부재(164)는 청소모듈(160)과 본체(110) 사이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y)을 중심으로 본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 어셈블리(170)는 일 단이 제2회전부재(164)에 결합되고, 타 단이 청소모듈(160) 또는 본체(110)에 걸려 본체(110)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회전부재(164)의 후단은 본체(110)에 연결된 연장관(150)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y)을 중심으로 본체(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방지 어셈블리(170) 중 고정부재(171)는 회전부재(164)에 결합되어 회전부재(16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방지 어셈블리(170) 중 지지부재(172)는 청소모듈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부재(164)에 배치된 고정부재(171)가 청소모듈(160)에 배치된 지지부재(172)에 걸려 본체(110) 및 제2회전부재(164)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모듈(160)과 연장관(150) 사이에는 제1회전부재(163)와 제2회전부재(164)가 배치된다. 사용자가 본체(110)를 당겨 하강시킬 경우, 제1회전부재(163)는 제1회전축(y)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사용자가 본체(1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2회전부재(164)는 제2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방지 어셈블리는 제2회전부재(164)에 배치된 고정부재(171)와, 제1회전부재(163)에 배치된 지지부재(172)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71)는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재(172)에 걸려 고정된다. 흔들림 등이 발생하여 회전방지 어셈블리(170)에 기준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부재(171)는 지지부재(172)에 여전히 걸려있으므로, 직진성이 유지된다. 사용자가 조작을 위하여 회전방지 어셈블리(170)에 기준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경우, 고정부재(171)는 변형되며 지지부재(172)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청소기 본체(110)가 좌우로 이동하거나 청소모듈(160)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방지 어셈블리(170)의 고정부재(171)는 회전부재 결합부(1711)와 고정부재 암(1712)과 고정돌기(1713)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 어셈블리(17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고정부재(171)는 기준 이하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계속 고정될 수 있고, 기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르면, 청소모듈(160)의 후단에는 제1회전축(y)을 구비한 피칭모듈이 연결되고, 제1회전축(y)의 후단에는 제2회전축(z)을 구비한 요잉모듈이 연결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청소모듈(160)의 후단의 연결부의 높이를 보다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좁은 틈새에 청소모듈(160)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청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청소기 110: 본체
120: 먼지통 140: 배터리
150: 연장관
160: 청소모듈 160G: 무게중심
161: 흡입구 162: 애지테이터
163: 제1회전부재 164: 제2회전부재
166: 주름관
170: 회전방지 어셈블리 171: 고정부재
1711: 회전부재 결합부 1712: 고정부재 암
1713: 고정돌기
172: 지지부재 1721: 상부면
1722: 측면 1723: 삽입홈
173: 탄성부재
x: 롤링축 z: 제2회전축
L0: 중심축 L1: 삽입홈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

Claims (20)

  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모듈;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청소모듈과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재;
    상기 청소모듈과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재;
    일 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제1회전부재에 걸리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부재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청소모듈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회전부재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제1회전부재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의 후단은 상기 본체의 전단에 결합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1회전부재에 배치된 지지부재;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걸리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에서 상기 제2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걸리는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홈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한 청소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결합부;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외둘레를 따라 연장된 고정부재 암;
    상기 고정부재 암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걸리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암은,
    외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된 청소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암은,
    상기 제2회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된 청소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2회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된 청소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암은 가상의 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가상의 원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청소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2회전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에 권선되고,
    일 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의 일 측에 지지되고,
    타 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의 타 측에 지지되는 청소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내측단이 상기 제1회전부재에 지지되고, 외측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에 지지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인 청소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회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전단이 상기 제1회전부재에 지지되고,
    후반부의 적어도 일 측이 상기 제2회전부재에 지지되는 청소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보다 후방에 배치된 청소기.
  19.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모듈;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본체;
    전단이 상기 청소모듈과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본체와 연통되는 연장관;
    상기 연장관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배치된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청소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회전부재;
    상기 연장관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1회전축에 모두 수직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일 단이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연장관에 결합된 제2회전부재;
    일 단이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제1회전부재에 걸리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2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모듈;
    상기 청소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청소모듈과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일 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청소모듈 또는 상기 본체에 걸려, 상기 본체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방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210046461A 2021-04-09 2021-04-09 청소기 KR20220140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61A KR20220140231A (ko) 2021-04-09 2021-04-09 청소기
TW111109481A TWI825624B (zh) 2021-04-09 2022-03-15 清掃機
PCT/KR2022/003653 WO2022215886A1 (ko) 2021-04-09 2022-03-16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61A KR20220140231A (ko) 2021-04-09 2021-04-09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31A true KR20220140231A (ko) 2022-10-18

Family

ID=8354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461A KR20220140231A (ko) 2021-04-09 2021-04-09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140231A (ko)
TW (1) TWI825624B (ko)
WO (1) WO20222158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4994A1 (en) 2003-05-29 2007-08-02 Dyson Technology Limited Cleaning head
KR101814568B1 (ko) 2013-07-31 2018-01-0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5276B (en) * 1997-11-17 2001-03-11 Hitachi Ltd Vacuum cleaner
JP3457909B2 (ja) * 1999-02-08 2003-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
KR100768860B1 (ko) * 2006-01-26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소음 저감 흡입부
CA2953105C (en) * 2009-07-30 2020-02-1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DE102016115576A1 (de) * 2016-08-23 2018-03-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JP6516820B2 (ja) * 2017-07-31 2019-05-2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4994A1 (en) 2003-05-29 2007-08-02 Dyson Technology Limited Cleaning head
KR101814568B1 (ko) 2013-07-31 2018-01-0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5886A1 (ko) 2022-10-13
TWI825624B (zh) 2023-12-11
TW202243638A (zh)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1474B1 (en)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US7681279B2 (en) Vacuum cleaner
CA2517694C (en) Rotating operating handle for vacuum cleaner
US6957473B2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spring loaded nozzle
KR100667873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60130259A (ko) 원형의 진공청소기 핸들
US8220108B2 (en) Cleaner apparatus
KR102072381B1 (ko) 청소기
EP292982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ame
KR20220112425A (ko) 청소기
EP2765894B1 (en)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JP2003533317A (ja) 回転式の脚及び移動可能なブラシを含む吸引付属装置
KR20220140231A (ko) 청소기
KR20230086156A (ko) 청소기
EP3823506B1 (en) Vacuum cleaner nozzle
JPH114786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US8099814B1 (en) Device for cleaning and scrubbing
US20120180257A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0548936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40020140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