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293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293B1
KR100349293B1 KR1019990054633A KR19990054633A KR100349293B1 KR 100349293 B1 KR100349293 B1 KR 100349293B1 KR 1019990054633 A KR1019990054633 A KR 1019990054633A KR 19990054633 A KR19990054633 A KR 19990054633A KR 100349293 B1 KR100349293 B1 KR 10034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ipe
vacuum cleaner
connection pip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876A (ko
Inventor
우메자와고이찌
우루시하라아쯔히꼬
나까가와요오지
스즈끼나루히꼬
스나가와마사오
호시노다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514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70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809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71046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4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4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height adjustment of nozzles or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 본체(100), 흡인 호스(200), 손잡이 핸들(300), 접속관(400), 흡입구체(500)로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스위치(301)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접속관(400)의 고정 수단(402)을 해제하여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한다. 또,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선단부에 형성한 흡인 호스 부착부(101)에 연결체(6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연결체(600)를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에 접속관(400)을 등지도록 부착하도록 한다.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관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그 길이를 고정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 및 흡입구 조립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 본체, 흡인 호스, 손잡이 핸들, 접속관, 흡입구체로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관을 신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 및 흡입구 조립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는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에 일단부가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이 흡인 호스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이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이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구성되는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이다.
이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는 손잡이 핸들을 사용자가 손에 잡고 상기 접속관을 거쳐서 상기 흡입구체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선 자세로 바닥면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흡인 호스를 거쳐서 전기 청소기 본체를 끌고 다니며 광범위한 청소를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종래예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가 복수의 다른 형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부터 다양한 수납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현재, 가장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방법은 그 접속을 분리하지 않고 전체를 종자세로 수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본체의 배면부를 마루면과 접촉하도록 세우고, 또 신축 가능한 접속관의 고정을 해제하고 그 길이를 단축하여 흡입구체가 하방으로, 그리고 손잡이 핸들이 상방이 되는 종자세로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면측에 부착하도록 한다. 이 부착 방법은 접속관의 흡입구체측 단부에 형성한 돌기부를 전기 청소기 본체의 선단에 형성한 오목부에 끼워 넣도록 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또, 이들 종래예에서 채용되는 접속관은 외관과 내관의 두 개의 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걸림 고정 오목부를 외관에 설치한 스톱퍼를 거쳐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종래예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191781호, 특허 공개 평9-56648호의 공개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 의하면, 복수의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 종자세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고 싶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과제가 있다.
(1) 우선, 전기 청소기 본체를 세우는 작업을 구부린 자세 또는 웅크린 자세로 행해야 한다(흡인 호스를 거쳐서 세우는 일은 장려되고 있지 않음).
(2) 종래의 접속관은 두 개의 다른 직경의 관을 슬라이드시켜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이 신축을 행하기 위해서는 로크 기구를 조작하여 양손을 사용하여 그 길이를 조절해야 한다. 또, 사용시에는 마찬가지로 양손을 사용하여 접속관의 길이를 조정해야 한다.
(3) 다음에, 구부린 자세 또는 웅크린 자세로 상기 종자세의 전기 청소기 본체를 가압하여 접속관을 전기 청소기 본체의 바닥면측에 부착해야 한다.
(4) 이 종수납 자세로 반송은 금지되어 있으며, 전기 청소기 본체와 접속관을 분리하여 구부린 자세나 웅크린 자세에서 분해, 보유 지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수납이나 반송을 행할 때 구부린 자세 또는 웅크린 자세를 취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했던 면이 있고, 이들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한층 더 사용하기에 편리한 전기 청소기로 구성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관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그 길이를 고정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 및 흡입구 조립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관을 전기 청소기 본체에 고정하고, 종수납 자세에서의 반송이 용이한 전기 청소기 및 그 연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전기 청소기 본체, 흡인 호스, 손잡이 핸들, 접속관,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로부터 흡입된 먼지는 상기 접속관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상기 흡인 호스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로를 통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관은 그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 핸들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관 부재와,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관 부재의 다른 일단부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흡입구체와 연결되는 제2 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관 부재는 상기 제2 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의 미끄럼 이동의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은 상기 해제 수단을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호스 부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체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복수의 이동 차륜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차륜은 주행면과 접촉하는 차륜의 외주 부분을 하면과 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하면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차륜을 구비하고,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호스 부착부를 구비하고, 또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측에 상기 접속관을 등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의하면, 손잡이 핸들 근방에서의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관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그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또,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관을 전기 청소기 본체에 고정하고, 종수납 자세에서의 반송이 용이한 전기 청소기가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수납 자세를 도시한 외관도.
도2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통상의 청소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손잡이 핸들의 후방 사시도.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손잡이 핸들의 외관도.
도5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손잡이 핸들의 제1 관 부재의 부품 전개도.
도6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손잡이 핸들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제2 관 부재의 부품 전개도.
도8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손잡이 핸들의 우측면도의 상세도.
도9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접속관의 부품 전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접속관을 단축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11a 내지 도11c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청소 자세로부터 수납 자세로 변화시키는 동작 설명도.
도12a 내지 도12c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손잡이 핸들의 접속관 신축 스위치 기구부와 접속관의 접속관 신축 고정 기구부의 동작 기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제2 관 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14a 내지 도14d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접속관 신축 고정 기구부에 있어서의 고정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5a 및 도15b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접속관의 신축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6a 내지 도16c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의 흡입구 조립품을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수납 자세를 도시한 외관도.
도18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통상의 청소 상태의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보조 핸들과 흡인 호스의 연결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보조 핸들의 다른 응용예의 분해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22a 및 도22b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보조 핸들에 접속관을 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와 일부 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13의 측면도.
도24a 내지 도24c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의 설명도.
도25a 내지 도25c는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를 이동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26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접속관 부착 기구부와 부착부의 부착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27은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청소기
100 : 전기 청소기 본체
200 : 흡인 호스
300 : 손잡이 핸들
301 : 트리거 스위치
302 : 핸들부
303 : 조작부
370 : 접속관 고정 기구부
380 : 접속관 신축 스위치 기구부
400 : 접속관
402 : 접속관 신축 기구부
500 : 흡입구체
630 : 먼지 통로
640 : 접속관 부착 기구부
700 : 흡입구 조립품
731 : 로크 기구
1000 : 흡입구 본체
1007 : 후방부 롤러
1500 : 자재 연결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도1 및 도2는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3 내지 도8은 손잡이 핸들의 설명도, 도9 및 도10은 접속관의 설명도, 도11a 내지 도11c는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전기 청소기의 수납 자세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2는 통상의 청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도면 부호 1로 총괄적으로 도시한 것은 전기 청소기로서,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기구, 예를 들어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200)와, 상기 흡인 호스(200)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200)에 연통하는 접속관(400)과, 상기 접속관(400)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400)에 연통하는 흡입구체(500)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 핸들(300)을 잡은 선 자세인 채로 흡입구체(500)에 설치한 제1 고정 수단(501)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 후방부에 설치한 제1 고정 수단(101)에 부착하고, 하방을 향해서 손잡이 핸들(300)을 압입함으로써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도2에 도시한 통상의 주행 자세로부터 도1에 도시한 배면을 청소면에 접촉시키는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키고, 이 종수납 자세의 상태에서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접속관(400)의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접속관(400)의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단축하여 상기 접속관(400)의 단부에 설치한 제2 고정 수단(401)을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설치한 제2 고정 수단(108)에 부착하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거쳐서 다시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통상의 선 자세 상태로 손잡이 핸들(300)을 손에 잡고 상기 접속관(400)을 거쳐서 흡입구체(500)를 이동시킴으로써 흡입구체(500)와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호의 제1 고정 수단(501, 101)을 부착하고, 이를 하방으로 압입하는 동작으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주행 자세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구부린 자세나 웅크린 자세 를 취하지 않고 선 자세 상태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접속관(400)의 길이를 고정하는 트리거 스위치(301)를 설치했으므로, 선 자세로부터 크게 자세를 변화시키지 않고 손잡이 핸들(300) 근방의 조작으로 접속관(400)의 길이 조정과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고정 해제와 재차의 고정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 한 손 조작으로 상기 접속관(400)의 신축에 따른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접속관(400)의 한 쪽에는 중량이 있는 흡입구체(50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개방하여 손잡이 핸들(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흡입구체(500)에 중력이 작용하는 관계로 접속관(400)의 길이를 연신할 수 있고, 반대로 손잡이 핸들(30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흡입구체(500)가 청소면에 가압되므로,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손잡이 핸들(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접속관(400)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 자세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 상기 접속관(400)의 신축과 그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단축하여 수납 자세를 취함으로써 종수납시의 상기 청소기(1)의 높이(H1)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시의 높이(H1)를 약 1150㎜로 설정하고 있다.
또,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고정함으로써 이 접속관(400)을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갯수와 조작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관(400)은 종수납 자세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주행 상태에서의 상면측에 고정 지지되므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주행 수단(102)을 거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손잡이 핸들(300)이 종수납 자세의 상단부에 고정되므로, 이 높은 위치에 있는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고, 이를 거쳐서 상기 주행 수단(102)을 이용하여 종수납 자세로 고정되는 전기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사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수납성이 우수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게다가반송성이 우수하다.
이하, 이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이 실시 형태의 개략 구조를 다시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그 내부에 일회용 집진 주머니를 갖춘 집진실을 구비하고, 한 쌍의 큰 차륜(103)과 한 개의 자재 차륜(104)으로 상기 이동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흡인 호스(200)를 거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통상의 주행 자세에서는 상기 큰 차륜(103)과 자재 차륜(104)으로 청소면에 설치한 전후로 긴 자세를 취한다.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 후방부에는 상기 제1 고정 수단(101)이 되는 부착 앤빌(10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부착 앤빌(105)에 상기 흡입구체(500)의 제1 고정 수단(501)을 부착하여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큰 차륜(103)의 회전축(B1)을 중심으로 그 전방부, 즉 자재 차륜(104)을 부상시켜 화살표(Z1)와 같이 회전시켜서 주행 자세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흡인 호스(200)를 거친 인장 주행성을 고려하여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중심 위치(G1)를 상기 자재 차륜(104)과 상기 큰 차륜(103) 사이의 상기 큰 차륜(103)의 회전축(B1)측으로 편중시켜 설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압입되는 조작으로 간단하게 주행 자세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정면 상부에는 상기 제2 고정 수단(108)인 부착 오목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한 운전 표시부(106) 내의 적외선 수광부(107)로 손잡이 핸들(300)로부터 발신되는 조작 신호를 받아 조작된다. 그리고, 손잡이 핸들(300)로부터 흡인 호스(200)를 따라서 전기적인 도전선을 설치하고, 이 도전선을 거쳐서 전기 청소기(1)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예를 들어 송풍기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여 전기 청소기(1)의 운전을 제어해도 좋다.
그리고,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주행 자세에서 상방에 위치하는 상면 중앙과, 종수납 자세에서 상방에 위치하는 정면 하부에 각각 두 개의 출몰 핸들(136, 13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인 호스(200)는 먼지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통로로서의 기능과,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인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주름 상자 형상의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채용하고 있다.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흡인 호스(200)와 상기 접속관(400)을 연통시키는 기능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 및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기능, 그리고 상기 흡입구체(500)의 이동을 조작하는 기능과, 접속관(400)의 신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흡인 호스(200)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상기 접속관(400)과도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흡인 호스(200)와 상기 접속관(400)을 연통시켜서 먼지의 반송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 즉 상기접속관(400)의 중심축(A1)의 연장선 상의 상단부에 상기 중심축(A1)과 90 °이상 16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 °전후의 각도(도면중 α)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A2)이 흡인 호스(200)와 상기 접속관(400)의 접속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핸들부(3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핸들부(302)에 의해 상기 흡인 호스(200)를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 흡입구체(50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이 핸들부(302)에 의하면 비틀림 동작, 즉 중심축(A1)을 중심으로 한 회전(P1)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비틀림 동작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대하여 상기 흡인 호스(200)가 중력에 의해 항상 상기 핸들부(30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핸들부(302)의 비틀림 동작으로 흡인 호스(200)를 인상하지 않으므로,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 때, 핸들부(302)를 상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하방에 설치한 흡인 호스(200)가 상기 비틀림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입구체(500)를 바닥면(청소면) 상에서 90 °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도면중 P2).
또, 상술한 핸들부(302)의 형상에 의해 흡입구체(500)의 회전 조작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핸들부(302)에 각도(도면중 α)를 부여함으로써 핸들부(302)를 비틀었을 때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302)의 근방에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을 조작하는 조작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303)에는 적외선발신부(3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발신부(304)로부터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형성한 적외선 수광부(107)에 조작 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원의 온, 오프와 각종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이 상기 핸들부(302)의 근방에는 접속관(400)의 신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트리거 스위치(30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가 핸들부(302)의 기부 부근의 하부에 설치되고, 핸들부(302)를 잡았을 때 권총의 방아쇠를 당기듯이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에 의해, 사용자는 핸들(302)을 보유 지지하면서 접속관(400)의 신축의 고정과 해제 조작을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접속관(400)은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흡입구체(500)를 연통시키고, 또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흡입구체(500)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변화(이동과 회전)를 상기 흡입구체(500)의 변화(이동과 회전)로 하도록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관 부재, 즉 제1 관 부재(420)와 제2 관 부재(440)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접속관(400)을 소정의 길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고, 한 쪽에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그리고 다른 쪽에 상기 흡입구체(500)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접속관(400)의 신축의 고정 또는 해제를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로 조작할 수 있는 동시에, 손잡이 핸들(300)과 분리되어도 접속관(400)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402)에 제2 로크 스위치(40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됨으로써 흡입구체(500)와의 길이가 변화하는 관 부재의 단부에 상기 제2 고정 수단(401)이 되는 볼록형 부착 돌기부(410)를 형성하고, 이 부착 돌기부(410)에 신축 방향으로 돌출한 끼워 맞춤부(4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상기 접속관(400)을 단축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상기 끼워 맞춤부(411)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형성한 제2 고정 수단(108)인 부착 오목부(109)에 끼워 맞춰질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구체(500)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인구를 바닥면에 구비한 흡입구 본체(1000)와, 상기 흡입구 본체(1000)를 상기 접속관(400)에 연결하고, 상기 접속관(400)을 거쳐서 전달되는 손잡이 핸들(300)의 변화에 대하여 항상 흡입구 본체(1000)의 바닥면을 청소면(마루면)에 접촉시키도록 동작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구 본체(1000)로부터 흡입한 먼지를 함유한 공기류가 상기 접속관(400)으로 유입되도록 연통하는 자재 연결부(1500)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 본체(1000)는 편평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지니고, 그 상면 중앙에 상기 자재 연결부(1500)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자재 연결부(1500)는 관 형상의 제1 아암부(1501)와 제2 아암부(150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아암부(1501)는 그 일단부가 제1 회전부(1503)를 거쳐서 상기 흡입구 본체(1000)에 대하여 앙각이 되는 Y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아암부(1502)는 그 일단부가 제2 회전부(1504)를 거쳐서 상기 제1 아암부(1501)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 본체(1000)를 청소면과 평행하게회전시키는 X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재 연결부(1500)는 상기 흡입구체(500)를 중심으로 해서 손잡이 핸들(300)의 고저 방향(Y)과 좌우 방향(X)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의 회전(P1)을 그대로 흡입구 본체(1000)의 청소면에 대한 회전(P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핸들부(302)를 똑바로 한 자세에서는 도2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 본체(1000)의 깊이 방향이 청소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제1 구동 형태를 취하여 폭넓은 청소가 가능한 V1 방향의 청소가 가능해지고, 상기 핸들부(302)를 90 °비트는 동작으로 도2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 본체(1000)의 길이 방향이 청소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제2 구동 형태를 취하여 폭이 좁은 청소가 가능한 V2 방향의 청소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1 회전부(1503)는 흡입구 본체(1000)의 중심 위치(G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속관(400)을 거쳐서 흡입구체(500)가 마루면으로부터 부상되어도 흡입구 본체(1000)의 바닥면부를 마루면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흡입구 본체(1000)의 후방 중앙에 돌출부(1012)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1012)에 양 쪽을 회전축으로 지지한 큰 후방부 롤러(1007)(도11a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후방부 롤러(1007)는 청소면 청소시에 손잡이 핸들(300)로부터의 가중을 받아 청소시의 흡입구체(500)의 주행 및 회전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후방부 롤러(1007)는 상기 제1 고정 수단(501)으로도 되어, 상기 후방부 롤러(1007)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1 고정 수단(101)인 부착 앤빌(105)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후방부 롤러(1007)가 흡입구 본체(1000)의 중앙 후방으로 크게 돌출하고, 게다가 흡입구체(500)가 부상한 상태라도 흡입구 본체(1000)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후방부 롤러(1007)의 위치가 사용자로부터 보기 쉽고, 상기 부착 앤빌(105)과의 끼워 맞춤이 용이해져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에 의하면,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 및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흡입구체(500)의 변화를 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접속관(400)의 신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선 자세의 사용자가 크게 자세를 바꾸지 않고 운전 조작이나 청소 및 수납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흡입구체(500)에 설치한 제1 고정 수단(501, 101)을 거쳐서 손잡이 핸들(300)의 조작(동작)으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주행 자세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사용자의 자세를 크게 바꾸지 않고 변화시키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접속관(400)의 제2 고정 수단(401, 108)에 의해 상기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흡입구체(500)와 짧게 수납된 접속관(400)과 손잡이 핸들(300)로 구성되는 흡입구 조립품(700)을 종자세로 안정하게 지지하여 부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종수납 자세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이 최상부에 배치되어 보유지지되므로, 이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종수납 자세인 채로 이동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손잡이 핸들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손잡이 핸들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4a는 손잡이 핸들의 외관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 도4b는 평면도, 도4c는 정면도, 도4d는 우측면도이다. 도5는 손잡이 핸들의 제1 관 부재의 부품 전개도이다. 도6은 손잡이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7은 제2 관 부재의 부품 전개도이다. 도8은 손잡이 핸들의 우측면도의 상세도이다.
우선, 도3에 있어서 이 손잡이 핸들(300)은 상기 접속관(40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관 부재(310)와, 상기 흡인 호스(20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관 부재(3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관 부재(310)와 제2 관 부재(350)는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에 대하여 상기 흡인 호스(200)를 선회 가능하게 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핸들부(302)를 화살표(M1) 방향(시계 방향)으로 비트는 것에 의해 제2 관 부재(350)가 상기 비틀림 동작에 따라서 화살표(M2)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항상 흡인 호스(200)가 하방이 되도록 작용한다.
또, 도4a 내지 도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 부재(310)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부(303)와, 상기 접속관(400)과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접속관 고정 기구부(370)의 로크 스위치(3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303)는 상기 적외선 발신부(304) 이외에 각종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관 부재(310)는 그 길이 방향을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의 연장선과 대략 일치시키도록 반송로(311)를 형성하고, 이 반송로(311)의 일단부를 구비한 제1 관 부재(310)의 일단부에 접속관 연결부(305)를 형성하고, 이 접속관 연결부(305)를 상기 접속관(400)의 단부에 끼워 맞춰 접속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 관 부재(310)의 다른 일단부에는 핸들부(302)가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부(302)는 상기 반송로(311)의 다른 일단부(상측 단부)의 상부에 공간(S1)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관 부재(310)의 길이 방향을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선(A1)의 연장선으로부터 어긋나도록 하여 형성되고, 그 선단부를 굴곡시켜서 이 단부가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선(A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선(A1)과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핸들부(302)의 단부에는 손으로 잡기 위한 홀드 부위(302a)가 굴곡되어 형성된다.
도5 및 도6에 있어서, 상기 제1 관 부재(310)는 하측에 형성된 반송로(311)와, 그 상측 내부에 형성된 부품 배치부(3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송로(311)는 그 일단부를 상기 접속관 연결부(305)에 연통시키고, 다른 일단부를 상기 제2 관 부재(350)와 연통시키는 동시에, 이 다른 일단부측에 상기 제2 관 부재(350)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흡입구체(500)로부터 공기류와 함께 흡입된 먼지를 반송한다. 즉, 이 반송로(311)를 거쳐서 상기 제2 관 부재(350)는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고, 이 중심축(A1)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해서 흡인 호스(200)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 부재(310)는 그 하부를 구성하는 수지형성품인 하부 케이스(313)와, 그 상부를 구성하는 수지 형성품인 상부 케이스(314)로 구성된다. 상기 반송로(311)는 상기 하부 케이스(313)에 형성되고, 상기 부품 배치부(312)는 상기 접속관 연결부(305)로부터 핸들부(302)의 선단까지 형성되도록, 또 하부 케이스(313)와 상부 케이스(314)가 상기 접속관 연결부(305)의 상하를 구성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 배치부(312)의 내부에는 제1 관 부재(310)에 강도를 갖게 하는 동시에, 내부 장착품을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리브가 형성되고, 이 리브에 조작 기판(315)과, 전지(317)를 수납하는 전지 수납부(316)와, 접속관 신축 스위치 기구부(380), 접속관(400)의 접속관 고정 기구부(37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기판(315)의 전방부에 접속관 신축 스위치 기구부(380), 상기 조작 기판(315)의 후방부에 트리거 스위치(30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작부(303)의 주변에 조작 범위를 집약할 수 있는 동시에 내부의 장착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306은 전지 수납부(316)에 전지(317)를 장착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314)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지 덮개이다.
또, 접속관 고정 기구부(370)의 상기 로크 스위치(371)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일단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314)에 형성한 개구부(319)로부터 노출되는 스위치부(372)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에 고정 갈고리(3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374)에 의해 항상 상기 고정 갈고리(373)가 하부 케이스(313)에 형성한 개구부로부터 상기 반송로(311)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접속관(400)과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상기 조작 기판(315)은 제어 회로, 스위치, 발광 다이오드 등을 탑재하고 있고, 이 조작 기판(315)에 상기 전지 수납부(316)에 수납된 전지(317)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또, 상부 케이스(314)의 상면에는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적외선 발신부(30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기판(315)이 상기 리브에 의해서 부착 위치가 특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314)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 등과 조작 기판(315)의 위치 관계가 결정됨으로써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한 조작으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내부 회로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광신호를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적외선 발신부(304)를 통해서 천정 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적외선 수광부(107)로 송신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전지 수납부(316)는 상기 핸들부(30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핸들부(302)의 무효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조작 기판(315)의 근방에 전지 수납부(316)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연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속관 신축 스위치 기구부(3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관(400)의 길이를 소정의 길이로 고정 또는 이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원격 조작하기 위해 링크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접속관 신축 스위치 기구부(380)를 하부 케이스(313)의 핸들부(302)의 기부 근방에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301)와, 이 트리거 스위치(301)와 접속관(40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판(381)과, 상기 연결판(381)에 부착되는 스프링(382)과,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와 상기 연결판(381)을 연결하는 제1 연결봉(383)과, 상기 연결판(381)과 그 일단부가 부착되고 다른 일단부가 상기 접속관(400)과의 접속관 연결부(305)로 지지되는 제2 연결봉(384)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케이스(313)의 핸들부(302)의 기부 근방에 스위치 부착 구멍(385)을 형성하고, 이 스위치 부착 구멍(385)에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는 하부 케이스(303)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판부(386)와, 상기 하부 케이스(303)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스위치 부착 구멍(385)을 협지하도록 상기 내측판부(386)와 연결되는 스위치 판(387)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381)은 상기 상하 케이스(313, 314)를 부착하는 나사 다이 시트(318)에 양 케이스를 부착하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연결판(381)은 양측에 각각 상기 제1, 제2 연결봉(383, 384)을 부착하기 위한 연결봉 부착부(381a, 38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 부착부의 한 쪽(381a)에 상기 제1 연결봉(383)의 일단부가 배치되고, 이 제1 연결봉(383)의 타단부가 상기 내측판부(386)에 형성된 연결봉 부착부(386a)에 부착된다. 또, 상기 연결판(381)의 다른 쪽 연결봉 부착부(381b)에는 제2 연결봉(384)의 일단부가 부착되고, 제2 연결봉(384)의 타단부는 상기 접속관 연결부(305)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82)은 상기 연결판(381)의 한 쪽 연결봉 부착부(381a)와 하부 케이스(313)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인장하는 힘(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고정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구조에 의하면, 핸들부(302)를 잡는 이용자는 엄지, 중지, 약지, 소지로 손잡이를 단단히 보유 지지하고, 남은 집게 손가락으로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권총의 방아쇠를 당기듯이 무리없이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에 의해 접속관(4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상기 연결판(381)에 의해서 반대 방향, 즉 접속관(400)에 접근하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2 연결봉(384)의 접속관 연결부(305)측의 단부를 돌출시키도록 작용하고, 뒤에 기술하는 접속관(400)의 접속관 고정 기구부(40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의 힘으로 변환된다. 또, 상기 스프링(382)에 의해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잡아당기지 않은 상태(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항상 고정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부(301)를 잡는 손에서의 한 손 조작에 있어서 힘을 주기 쉬우며, 그 힘이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해제 또는 고정을 행하기 쉬운 힘이 되는 기구로 되어 있다.
또, 제1 관 부재(310)의 반송로(3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2 관 부재(35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의 연장선과 합치되는 중심축(A4)을 지닌 제1 접속부(351)와, 이 제1 접속부의 중심축선(A4), 즉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의 연장선과 대략 합치되는 상기 반송로(311)의 중심축(A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중심축(A5)을 구비한 제2 접속부(352)를 제1 접속부(351)로부터 하방으로 굴곡시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 관 부재(350)의 제1 접속부(351)가 반송로(31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제1 관 부재(310)의 반송로(311)와 제2 관 부재(350)의 제1 접속부(351)가 결합 수단(353)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이에 의해서 제2 관 부재(350)가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의 연장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로(311)와 제1 접속부(351)의 빠짐 방지용인 상기 결합 수단(353)은 임의의 것을 채용 가능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51)에 환상 홈(354)을 형성하고, 상기 반송로(311)에 상기 제1 접속부(351)를 삽입한 후, 상기 반송로(311)의 양측면에 형성한 개구부(355)로부터 빠짐 방지편(356)의 일부를 환상 홈(354)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관 부재(310)와 제2 관 부재(350)가 회전 가능하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되게 되어 있다. 또, 빠짐 방지편(356)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관 내부에 먼지가 꽉찬 경우 등의 정비시에 빠짐 방지편(356)을 분리하여 제1 관 부재(310)와 제2 관 부재(350)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인 호스(200)의 단부에는 연결 링(210)이 부착되어 있고, 이 연결 링(210)을 제2 관 부재(350)의 제2 접속부(352)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제2 접속부(350)와 흡인 호스(200)가 접속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211은 연결 링(210)의 걸림 고정부, 356은 제2 접속부(352)의 걸림 고정부이고, 걸림 고정부(211)와 걸림 고정부(356)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제2 접속부(352)와 흡인 호스(200)는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210)의 걸림 고정부(211)는 일변을 남기고 다른 세변을 떼어내어 형성함으로써 수지의 탄성을 이용한 스프링의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결합된 상기 걸림 고정부(211)를 양측으로부터 끼워넣어 오목하게 함으로서 이 결합을 해제하여 제2 접속부(352)와 흡인 호스(20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해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먼지가 꽉찼을 때의 정비가 용이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 호스(200)의 단부는 연결 링(210)에 연결 수단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이 결과 흡인 호스(200)가 제2 관 부재(350)의 제2 접속부(352)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흡인 호스(200)는 제2 접속부(35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흡인 호스(20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유 지지하는 핸들부에 대하여 이중의 회전 기구에 의해 흡인 호스(200)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보유 지지하는 손목에 불필요한 부하를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다.
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관 부재(310)와 제2 관 부재(350)를 조립하여 손잡이 핸들(300)을 완성하고, 손잡이 핸들(300)에 흡인 호스(200)와 접속관(400)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의 연장선 상에 있는 반송로(311)의 중심축(A3)과 제1 접속부(351)의 중심축선(A4)과 상기 제2 접속부(352)가 이루는 각도(β)를 90 °내지 15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의미는 청소시에 손잡이 핸들(300)의 핸들부(302)의 홀드 부위(302a)를 손에 잡고 사용자가 섰을 때, 흡인 호스(200)가 경사지게 하방으로 반드시 늘어지는 형태로 되어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용이하게 인장하여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또 핸들부(302)의 홀드 부위(302a)를 잡고 동시에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는 손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도9와 도10을 기초로 접속관(400)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9는 접속관(400)의 부품 전개도, 도10은 접속관(400)을 단축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관(400)은 상기 손잡이 핸들(300)측에 배치되는 제1 접속관(420)과, 흡입구체(500)측에 배치되는 제2 접속관(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접속관(440)은 상기 제1 접속관(420)보다 가늘게 형성되고, 그 일단부가 제1 접속관(420)의 일단부의 연통부(421)(개구부)에 삽입되고, 이 제2 접속관(440)이 제1 접속관(420) 내를 이동함으로써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관(420)은 그 내부에 먼지를 통과시키는 반송로(422)를 구비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접속관부(423)와, 이 접속관부(423)에서 부품 배치부(424)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접속관 덮개(425)로 구성되고, 양 부재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거쳐서 부착된다. 상기 반송로(422)는 접속관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품 배치부(424)는 상기 접속관부(423)의 길이 방향의 일측(상부측)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덮개를 하도록 부착되는 상기 접속관 덮개(425)로 구성된다.
상기 부품 배치부(424)에는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와 제3 연결봉(4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는 상기 부품 배치부(424)의 흡입구체(500)측 단부에 설치되고, 제3 연결봉(426)은 그 일단부가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에 부착되고, 다른 일단부는 손잡이 핸들(300)측 단부에 부착된다.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는 상기 반송로(422)와의 사이의 벽에 형성된 개구부(42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고정 갈고리(428)와, 이 고정 갈고리(428)를 조작하는 제2 로크 스위치(431)와, 이 제2 로크 스위치(431)를 항상 고정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429)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갈고리(428)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상기 개구부(427)에 회전축으로 지지되고, 일단부에 갈고리부가 형성되고, 이 갈고리부가 상기 개구부(427)로부터 반송로(422)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접속관(440)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441)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가 고정 상태로 된다. 상기 고정 갈고리(428)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로크 스위치(431)와 접촉하는 면이 단부로 갈수록 높아(두꺼워)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 경사면에 상기 제2 로크 스위치(431)의 내측에 형성한 돌기가 접촉하여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 갈고리(428)의 갈고리를 상기 반송로(422) 내로 출몰시킨다.
한편, 상기 제2 로크 스위치(431)는 상기 접속관 덮개(425)에 형성된 개구부(430)로부터 노출되는 스위치부(431a)와, 상기 스위치부(431a)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갈고리(428)에 접촉하는 돌기부(4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로크 스위치(431)는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이동으로 상기 고정 갈고리(428)의 갈고리부가 부품 수납부측에 수납되거나 또는 반송로(422)측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429)은 상기 스위치부(431a)를 개구부(430)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항상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작용한다.
또, 상기 제2 로크 스위치(431)에는 상기 제3 연결봉(426)의 일단부가 부착되는 연결봉 부착부(4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봉 부착부(433)가 상기 제3 연결봉(426)에 의해서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힘을 받음으로써 상기 제2 로크 스위치(431)가 가압되어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부(431a)를 독자적으로 이동 조작했을 때와 동일하게 작용하여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 부착부(433)와 제3 연결봉(426)은 반드시 연결될 필요는 없이 접촉하고, 제3 연결봉(426)의 이동에 따라서 고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작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럼,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접속관 덮개(425)와 상기 접속관부(423)로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연결하기 위한 핸들 접속부(434)를 구성한다. 상기 핸들 접속부(434)는 상기 반송로(422)의 단부(435)를 볼록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핸들 접속부(434)와 상기 접속관 연결부(305)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볼록형 반송로(422)의 단부(435)가 상기 접속관 접속부(305)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춰지고, 또 상기 접속관 고정 기구부(370)에 의해서 상기 단부(435)에 형성한 돌기(436)에 도5에 도시한 로크 스위치(371)의 고정 갈고리(373)가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또, 상기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봉(384)의 단부와 상기 제3 연결봉(426)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이동하는 제2와 제3 연결봉(384, 426)이 서로 연결되고, 트리거 스위치(301)의 조작을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의 연결부의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제2 및 제3 연결봉(384, 426)의 단부가 접촉하도록 제2 및 제3 연결봉(384, 426)의 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지지부의 한 쪽 지지부를 오목형, 다른 단부를 볼록형으로 하고, 양 지지부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여 연결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접속관(420)의 접속관부(423)의 단부(제2 접속관측)에는 상기 신축 방향으로 돌출한 끼워 맞춤부(411)를 구비하여 볼록형 부착 돌기부(410)를 형성하고 있다. 이 부착 돌기부(410)는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이면측에 형성되고, 제1 관부의 단부측이며 또한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강도적으로도 강하고, 또 손잡이 핸들(300)을 가장 높은 위치에서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제2 접속관(440)은 먼지의 반송로(452)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의 파이프부(444)와, 이 양단부에 배치되는 수지 재료의 제1 단부 부재(442)와 제2 단부 부재(4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단부 부재(442)는 상기 제1 접속관(420)의 반송로(422) 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주위 측면은 상기 반송로(422) 내를 이동 가능하고 또한 공기 누설이 없도록 상기 파이프부(444)보다 굵게 하여 부착된다. 그리고, 이 제1 단부 부재(442)는 제2 접속관(440)이 상기 반송로(422)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파이프부(44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441)이 대향되어 있다. 이 고정홈(441)에 상기 고정 갈고리(428)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소정의 길이로 접속관(400)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고정홈(441)의 간격은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 이 각 고정홈(441)에 숫자를 부기함으로써 이용자가 항상 사용하는 길이를 인식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 상기 제2 단부 부재(443)는 상기 흡입구체(550)의 자재 연결부(1500)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제2 단부 부재(443)는 상기 파이프부(444)와 연통하는 부착부(453)를 구비한 베이스부(443a)와 상부 덮개(443b)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443a)의 일측면에는 자재 연결부(1500)와 연결하기 위한 흡입구체 연결 기구부(445)가 배치되는 오목형 부품 배치부(446)가 형성되고, 이 부품 배치부(446)를 피복하도록 상기 상부 덮개(443b)가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흡입구체 연결 기구부(445)는 로크 스위치(447)와 스프링(448)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크 스위치(447)는 길이 방향의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일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443b)에 형성한 개구부(449)로부터 노출되는 스위치부(447a)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에 고정 갈고리(4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448)에 의해 항상 상기 고정 갈고리(450)가 상기 부착부(441)와의 사이의 벽면에 형성되는 개구부(45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흡입구체(500)의 자재 연결부(1500)와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관(400)에 의하면, 접속관(400)의 제2 로크 스위치(431)를 조작함으로써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기청소기(1)를 각각의 부품으로 분해하여 수납할 때나 조립할 때 유효하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에서의 조작으로도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청소시의 선 자세에서 크게 자세를 바꾸지 않고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에 있어서의 접속관(400)의 길이 조정 수단을 구비하면서 손잡이 핸들(300)과 접속관(40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1, 도2, 도11a 내지 도11c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의 조작 방법에 대하여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1a 내지 도11c는 청소 자세로부터 수납 자세로 변화시키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2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1)에서는 사용자는 선 자세로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사용자는 핸들부(302)를 똑바로 보유 지지하여 V1 방향으로 손잡이 핸들(300)을 이동시킴으로써 흡입구체(500)를 이동시켜 통상의 흡인구(1004)의 폭넓은 방향으로 청소할 수 있다. 이 때, 손잡이 핸들(300)로부터의 가중을 주체적으로 받는 큰 후방부 롤러(1007)와 상기 전방부 롤러(1006)를 거쳐서 양호한 주행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접속되는 흡인 호스(200)를 거쳐서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인장하여 주행시킬 수 있다.
또, 이 V1 방향의 이동으로부터 상기 핸들부(302)를 비트는 것에 의해 상기 비틀림 각도에 대응하여 흡입구체(500)를 선회시켜 흡입구 본체(1000)를 경사 자세로 이동시키거나, 선회한 흡입구 본체(1000)의 짧은 쪽 방향을 따라서 자동차의 핸들을 꺾듯이 흡입구체(500)의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인 호스(200)는 손잡이 핸들(300)의 상기 접속관(400)의 중심축(A1)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항상 손잡이 핸들(3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동작하므로, 사용자가 핸들부(302)를 비틀어도 흡인 호스(200)를 인상하지 않으므로, 손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이 손잡이 핸들(300)의 회전 동작은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인장 주행에 있어서도 급격하게 손잡이 핸들(300)을 이동시켜도 상기 회전 동작이 완충 작용을 하므로, 손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핸들부(302)를 90 °비트는 것에 의해 흡입구 본체(1000)를 90 °정도 선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체(500)의 길이 방향을 손잡이 핸들(300)의 전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함으로써 좁은 간극에 흡입구체(500)를 삽입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흡입구체(500)의 전방부의 긴 변을 벽면에 접촉시켜서 V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11a 내지 도11c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의 수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11a 내지 도11c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청소 자세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우선, 도11a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기 이동 수단(102)으로 지지하고 있는 가로로 긴 자세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도11a의 상태로부터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키려면, 상기 손잡이 핸들(300) 또는 손잡이 핸들(300)과 접속관(400)을 손으로 보유 지지하여 흡입구체(500)를 부상시키고, 이부상시킨 흡입구체(500)의 제1 고정 수단(501)과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1 고정 수단(101)을 연결시킨다. 이 때, 상기 흡입구체(500)는 상기 흡입구 본체(1000)의 중심 위치(G1)의 근방에 제1 회전부(150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바닥면부를 청소면과 평행한 상태(평행에 가까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 수단(501)인 후방부 롤러(1007)를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사용자측을 향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후방부 롤러(1007)는 흡입구 본체(1000)의 후방부으로 돌출한 돌출부(1012)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 고정 수단(101)이 되는 후방부 롤러(1007)를 보면서 제1 고정 수단(101, 501)의 연결을 위한 위치 맞춤이 용이하다.
여기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구체(500)를 청소면으로부터 일단 들어올려 다시 청소면에 착지시킬 때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제1 고정 수단(101, 501)의 연결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입구체(500)의 바닥면을 청소면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구조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제1 고정 수단(101, 501)의 연결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라면, 반드시 상기 평행한 자세를 취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종래의 흡입구체(500)는 전방에 중심 위치(G1)가 있어서 흡입구체(5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흡입구체(500)의 전방부가 쳐져 버리는데, 이 흡입구체(500)의 전방부를 들어올려 상기 후방부 롤러(1007)를 하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수평 위치로부터 오히려 제1 회전부(1503)의 후방측에 흡입구 본체(1000)의 중심 위치(G1)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럼,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도11a의 조작으로 상기 제1 고정 수단(101, 501)을 연결시키고,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압하하는 동작으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선단(호스 부착부측)을 상기 큰 차륜(103)의 회전축(B1)을 중심으로 부상시키도록 하여 회전시켜 도11b의 상태로 변화시키고, 또 다시 압하하여 도11c와 같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배기부(154)측)을 청소면에 접촉시키는 종수납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의 압하 동작에 따라서 제1 고정 수단(101)에 내장된 회전부가 회전하여 전원 코드의 권취 스위치(도시 생략)를 시동시켜서 전원 코드를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부의 코드 릴 장치(도시 생략)로 인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권취 스위치의 조작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중심 위치(G1)가 이러한 전원 코드의 권취 조작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 또 상기 제1 고정 수단(101)이 상기 큰 차륜(103)의 회전축(B1)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 그리고 상기 큰 차륜(103)이 큰 직경을 지닌 차륜이고, 또 상기 압하 동작이 전방부 상방으로부터 경사 후방을 향해서 압하되므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정위치에서 손쉽게 상기 자세의 변화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수납 자세에 있어서는 제1 고정 수단(101, 501)이 연결된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접속관(4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트리거스위치(301)가 잡아당겨진 상태에서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이 트리거 스위치(301)를 원상태로 놓아둠으로써 고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접속관(400)을 단축할 때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잡아당긴 상태로 행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조작과 동작이 연동하여 행해지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또,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또 다시 압하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가 짧아진다. 즉, 제2 관 부재(440)의 단부가 제1 관 부재(420) 내로 취입된다. 이 압하 동작의 연속에 의해, 제1 관 부재(420)의 하측 단부에 형성한 제2 고정 수단(401)인 부착 돌기부(410)가 종수납 자세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2 고정 수단(108)인 부착 오목부(109)에 삽입된다.
상기 부착 오목부(109)는 상기 접속관(400)이 똑바로 경사지게 후방 하부로 압하됨으로써 필연적으로 상기 부착 돌기부(410)가 도달하는 위치이며, 사용자로부터 보아 상기 부착 돌기부(410)가 크게 돌출하고, 또 상기 부착 오목부(109)가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착 돌기부(410)와 부착 오목부(409)를 위치 관계를 보고 취급할 수 있어 그 끼워 맞춤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의 조작에 의해 다시 접속관(400)의 길이를 고정함으로써, 그 상단부에 손잡이 핸들(300)을 구비한 접속관(400)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에 등지도록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전기 청소기(1)를 그 하부가 한 쌍의 큰 차륜(103)과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 상부에 형성한 부착 돌기부(410)로 지지되고, 그 상단부에 손잡이 핸들(300)을 구비한 종수납 자세로 할 수 있다.
이 종수납 자세에 의하면, 설치 상태에서는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가구의 간극이나 방의 구석에 장소를 택하지 못하고 복수의 다른 형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1)를 조립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또, 이 종수납 자세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접속관(400)과 흡입구체(500)로 구성되는 흡입구체 조립품(700)이 상기 제1, 제2 고정 수단(501, 101, 108, 401)에 의해서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고정 지지되므로,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를 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 구석에 배치된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여 가볍게 들어올림으로써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큰 차륜(103)이 향하도록 자세를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가 한 쌍의 큰 차륜(103)으로 지지되도록 종수납 자세를 기울여서 그대로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인장하면 간단하게 상기 전기 청소기(1)를 이륜 주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전기 청소기(1)에서는 종수납 자세를 취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기 접속관(400)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대하여 그 종자세를 유지할 정도로만 상기 접속관(400)에 설치한 고정 수단이 상기 전기 청소기(1)에 걸려 있을 뿐이므로, 손잡이 핸들(300)을 인장하기만 해도 접속관(400)이 전기 청소기(1)로부터 분리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종래예에서는 수납 상태의 전기 청소기(1)를 이동시킬때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설치한 핸들, 예를 들어 제1 출몰 핸들(136) 등으로 보유 지지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 자세로부터 웅크린 자세로 상태를 변화시켜서 상기 전기 청소기(1)의 핸들을 보유 지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접속관(400)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관(4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전기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손잡이 핸들(300)은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선 자세로부터 크게 자세를 바꾸지 않고 전기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소정의 위치에서 청소를 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접속관(400)의 고정을 해제하고, 그대로 손잡이 핸들(300)을 인상함으로써 상기 제2 고정 수단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시 손잡이 핸들(300)을 인상하여 접속관(400)의 길이를 임의의 길이로 한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개방함으로써 다시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고정하고, 또 다시 손잡이 핸들(300)을 인상함으로써 제1 고정 수단(501, 101)을 상기 큰 차륜(103)의 회전축(B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켜서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주행 수단(102)으로 지지되는 가로로 긴 청소 자세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청소 자세로 변화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수단(501, 101)의 연결이 해제되므로, 사용자는 흡입구체(500)를 청소면에 설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코드를 인출하여 가정내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넣으면 청소를 개시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대부분의 조작을 선 자세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의해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선 자세로부터 크게 자세를 변화시키지 않고 전기 청소기의 조작을 행할 수 있어 허리에 부담이 가해지는 가사 노동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물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웅크린 자세로 되어 상기 청소 자세의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종수납 자세로 변화시키고, 또 상기 부착 앤빌(105)을 일으켜 세워서 전원 코드(120)를 인입하거나 또는 인입하면서 이 부착 앤빌(105)과 제1 고정 수단(501, 101) 끼리를 연결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2 로크 스위치(403)를 조작하여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상기 제2 고정 수단(401, 108)을 연결시켜도 좋다. 마찬가지로, 이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사용자가 웅크린 자세로 되어 제2 로크 스위치(103)와 상기 부착 앤빌(105)을 직접 조작하여 청소 자세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두가지 조작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는 트리거 스위치(301)의 조작과 부착 앤빌(105)의 조작을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 조작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흡입구 조립품의 다른 실시 형태>
다음에, 도12a 내지 도12c를 참조하여 흡입구 조립품(700)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2a 내지 도12c는 손잡이 핸들(300)의 접속관 신축 스위치기구부(380)와 접속관(400)의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동작 기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2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개념 기구도, 도12b는 트리거 스위치(301)를 핸들부(302)의 기부의 상부 근방, 예를 들어 조작부(303)의 후방에 배치한 경우의 개념 기구도, 도12c는 도12a의 실시 형태를 보다 간소화한 경우의 개략 개념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입구 조립품(700)은 손잡이 핸들(300)과 신축 기능을 지닌 접속관(400)이 분리 가능하고, 또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301)의 조작으로 접속관(400)이 신축 가능한 구조이면 도12a에 도시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스위치(301)를 핸들부(302)의 하측에 배치하는 경우는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하게 되므로, 도12a 및 도12c와 같은 구조를 취하여 트리거 스위치(301)를 인상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무리없이 조작할 수 있다.
즉, 도12a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301)를 화살표(E1)와 같이 인상함으로써 제1 연결봉(383)이 연결판(381)을 거쳐서 변환되어 제2 연결봉(384)의 단부를 화살표(E2)와 같이 하방으로 가압하는 응력이 된다. 이 응력은 손잡이 핸들(300)과 접속관(400)의 연결에 의해서 접속관(400)의 제3 연결봉(426)의 단부와 접촉하여 이를 하측으로 압하한다. 그리고, 제3 연결봉(426)의 다른 일단부가 고정 갈고리(428)를 회전시켜서 제2 관 부재(440)를 고정하고 있는 갈고리부를 인상하여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있다.
또, 도12c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연결판(381)에 의해서 힘의 방향을 변환시키지 않고 트리거 스위치(301)의 동작을 두 개의 연결봉(제1 연결봉(383)과 제3 연결봉(426))으로 직접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에 전달시키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봉 형상으로 하여 그 중앙을 상기 스위치 구멍(38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일단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키고, 타단부를 내측에 위치시켜서 이 타단부에 제1 연결봉(383)을 부착하도록 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결판(381)을 없애어 연결봉을 두 개로 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갯수를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트리거 스위치(301)를 핸들부(302)의 상부에 배치하는 경우는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하면 힘이 들어가기 쉽다. 이와 같이 트리거 스위치(301)를 누르는 구조로 하는 경우는 응력을 변환시키는 변환 수단, 예를 들어 상기 연결판(381X)을 손잡이 핸들(300) 또는 접속관(400)의 한 쪽에 새롭게 설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12b와 같은 구조에서는 접속관(400)의 핸들 접속부(434)에 연결판(381X)을 설치함으로써, 트리거 스위치(301)를 화살표(E3)와 같이 압하하는 힘을 변환하여 갈고리부를 인상하여 고정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트리거 스위치(301)를 배치하는 장소와 이를 조작하는 응력의 방향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도12a 내지 도12c의 각부의 구조를 적절하게 조합하도록 한다.
또, 도9 및 도10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관 부재(440)에 부품 배치부(42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3 연결봉(426)과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덮개내에 수납하여 접속관(400)의 외관을 요철없이 매끄럽게 하여 청소성과 의장성을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이 공간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를 구비한 흡입구체(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와 신호선을 배선할 수 있다.
그러나, 접속관(400)의 소형화를 꾀하는 경우는 도13과 같이 제3 연결봉(426)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구조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13은 그 일예를 도시한 제2 관 부재(440)의 부분 단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3 관 부재(440)를 관 부재의 외측을 따르게 하는 안내홈(457)을 관 부재와 일체 성형하고, 이 안내홈(457)에 상기 제3 연결봉(426)을 부착하도록 한다. 물론, 동일한 종류의 안내홈(457)을 구비한 별개 부재로 된 어댑터를 관 부재를 따라서 적절하게 부착함으로써 종래 부품과의 범용성을 꾀하는 것도 좋지만, 도13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요철이 경감되므로 청소성과 의장성을 향상시키면서 부품의 갯수를 경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봉(426)을 직접 상기 안내홈(457)에 부착해도 좋지만, 예를 들어 유연성이 있는 수지 재료로 된 관 부재(458)의 내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와이어(459)를 지닌 연결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안내홈(457)과 제3 연결봉(426)에 의한 마모를 경감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14a 내지 도14d는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에 있어서의 고정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4a 및 도14b는 제2 관 부재(440)와 갈고리부(460)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14c는 결합형 고정 구조의 부분 확대도, 도14d는 도14c의 전동 개략 구조도이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관 부재(440)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고정홈(441)에 갈고리부(460)가 끼워 맞춰짐으로써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갈고리부(460)는 스프링(429)(도9 참조)의 힘으로 끼워 맞춰지고, 고정홈(441)은 단면이 V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면 그 응력에 의해 상기 끼워 맞춤이 해제되어 부품의 파손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견고한 고정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441)을 구멍으로 하거나 또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오목부로 하면 좋다.
또, 도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관 부재(440)의 단부에 복수의 절삭부(461)를 형성하고, 이 단부의 잔여부(462)를 단부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서히 굵게 형성하는 동시에 그 표면에 나사홈을 형성한다. 또, 내측에는 상기 나사홈에 끼워 맞춰져서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동하는 링(463)을 배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링(463)을 회전시켜서 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잔여부(462)가 내측으로 밀어붙여져서 내부의 제2 관 부재(440)를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지닌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채용하는 경우는, 이 기구부에 모터(464)를 설치하여 손잡이 핸들(300)로부터 원격 조작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64)에 형성한 기어(456)가 링(463) 주위에 형성한 기어(465)에 맞물리는 구조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경우는 상기 접속관 연결부(305)와 핸들 접속부(434)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접점, 예를 들어 제2 연결봉(384)과 제3 연결봉(426)이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전원을 온, 오프하는 트리거 스위치(301)에의해 예를 들어 상기 전지 수납부(316)로부터 얻은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면 된다.
또,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원을 공급하는 트리거 스위치(301)를 설치하여, 모터(464)에 의해 접속관(400)의 신축을 자동적으로 신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 부재(420)에 기어(465)를 구동하는 모터(464)를 구비하고, 이 기어(465)(기어 기구부)에 맞물리는 판 기어(466)를 제2 관 부재(440)에 형성하고,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464)를 구동시켜서 접속관(400)의 신축을 원격 조작해도 된다. 이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한 중력이나 마루면과의 관계에서 접속관(400)을 신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계단 청소나 천정면 등의 청소를 행할 때 상기 관계를 취하지 않고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관(400)의 신축이 너무 빠르면 소망하는 길이로 맞추는 것이 어렵고, 또 너무 느리면 사용자에게 조바심을 갖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경우는 사용자에게 조바심을 갖게 하지 않는 신축 속도, 예를 들어 신축 거리가 300 ㎜ 전후의 길이인 경우는 5초 내지 10초 범위에서 이동을 완료하면 된다. 이 때, 제2 관 부재(440)에 상기 고정홈(44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관 부재(420)에 상기 고정홈(441)에 접촉하는 나사를 지닌 갈고리부를 구비하여, 소리 등과 맞추어 단계적으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축의 감각을 인식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모터(464)를 스프링(467)으로 바꾸어 접속관(400)을 신축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도15b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관 부재(420)에 이 제1 관 부재(420)와 나란히 설치한 안내 레일(468) 또는 안내관을 배치하고, 상기 제2관 부재(440)에 상기 안내 레일(46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봉(469)을 배치하는 동시에, 이 안내 레일(468)과 상기 안내봉(469)의 단부 사이에 상기 안내봉(469)을 압출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467)을 설치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내 레일(468)에 삽입되는 안내봉(469)은 항상 안내 레일(468)로부터 압출되는, 즉 이 안내봉(469)을 지닌 제2 관 부재(440)를 제1 관 부재(420)로부터 인출하도록 작용하여 접속관(400)을 연장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이 연장하려고 하는 접속관(400)에 도시하지 않은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구비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함으로써 접속관(40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스프링(467)의 힘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접속관(400)을 단축하는 경우는 청소면에 흡입구체(500)를 밀어붙이고 손잡이 핸들(300)을 압입하면서 다시 트리거 스위치(301)에 의해 고정 상태로 하면 된다.
다음에, 도16a 내지 도16c를 참조하여 흡입구 조립품(700)의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의 부착 구조에 대하여 또한 설명한다. 도16a 내지 도16c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흡입구 조립품(700)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구체(500)에 설치한 후방부 롤러(1007)와 제1 관 부재(420)에 형성한 부착 돌기부(410)를 거쳐서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흡입구 조립품(700)을 부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방부 롤러(1007) 대신에 흡입구 본체(100)의 후방 중앙으로 돌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 예를 들어 상면으로부터 보아「ㄷ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파이프의 양단부를 흡입구체(1000)에 형성하여, 이를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설치한 상기 제1 고정 수단(501)으로 해도 좋다.
또는 제2 관 부재(440)와 제1 관 부재(420)에 각각 제1 고정 수단(470)과 제2 고정 수단(401)을 배치하고, 이 제1, 제2 고정 수단(470, 401)의 거리를 접속관(400)의 신축을 이용하여 조정하여 상기 제1, 제2 고정 수단(470, 401)과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배치한 제1, 제2 고정 수단(101, 108)을 끼워 맞춰서 흡입구 조립품(70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해도 된다. 이 경우, 접속관(400)에 배치한 상기 제1, 제2 고정 수단(470, 401)을 단축하도록 하여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는 방법과, 반대로 넓게 하여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이 구조를 도16a 내지 도16c를 참조하여 또 다시 설명한다.
도16a 및 도16b는 접속관(400)을 단축하도록 동작시켜서 부착하는 개략 구조를 도시하고, 도16c는 접속관(400)을 연신하도록 동작시켜서 부착하는 개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6a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돌출부(158)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158)의 상하면에 제1, 제2 고정 수단(101, 108)이 되는 부착 오목부(159, 160)를 각각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접속관(400)의 제1, 제2 고정 수단(470, 401)은 접속관(400)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돌출부(471, 473)와, 이 돌출부(471, 473)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부착 돌출부(472, 474)로 구성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우선 손잡이 핸들(300)을 조작하여 상기 접속관(400)의 제1 고정 수단(47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1 고정 수단(101)에 꽂아서 상기제1 고정 수단(470, 101)을 끼워 맞추고, 이어서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접속관(400)의 고정을 해제하고, 손잡이 핸들(300)을 압하하여 접속관(400)을 단축함으로써 제2 고정 수단(108, 401)을 끼워 맞춰서 흡입구 조립품(70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분리하는 경우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손잡이 핸들(300)을 인상하여 제2 고정 수단(108, 401)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고, 이어서 제1 고정 수단(470, 101)의 끼워 맞춤을 해제한 후 접속관(400)을 임의의 길이로 설정하여 고정 상태로 하면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형성하는 제1, 제2 고정 수단(101, 108)을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도16b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 후방에 제1 고정 수단(101)이 되는 오목부(161)를 형성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종수납 자세의 상면에 제2 고정 수단(108)이 되는 부착 오목부(109)를 형성한다. 게다가, 끼워 맞춤을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161) 내의 종자세에서의 상측에 부착 오목부(16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16a에서 설명한 흡입구 조립품(700)으로 전기 청소기(1)를 구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우선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흡입구체(500)를 들어올려 접속관(400)의 상기 제1 고정 수단(47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1 고정 수단(101)인 오목부(161)에 접속관(400)을 경사지게 하여 삽입하고, 이어서 손잡이 핸들(300)의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고정을 해제하고, 손잡이 핸들(300)을 압하하여 제2 고정 수단(401)인 부착돌기부(474)를 부착 오목부(109)에 끼워 맞출 수 있다. 특히,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1 고정 수단(101)을 상기 오목부(161)로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압하할 때 이 오목부(161) 내의 종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바닥면부로 압하하는 힘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접속관(400)의 단축하는 조작을 한층 더 쉽게 취급할 수 있다.
또, 도16c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는 접속관(400)을 연장하려는 동작에 의해 흡입구 조립품(70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측 및 하측에 상기 도16b에서 설명한 부착 오목부(162)를 구비한 오목부(161)를 제1, 제2 고정 수단(101, 108)으로서 형성한다. 그리고, 도16b에서 설명한 부착 돌출부(472)를 구비한 돌기부(471)를 접속관(400)의 제1, 제2 고정 수단(470, 401)으로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 수단(470)이 되는 돌출부(471)의 부착 돌기(472)와 대향하는 측에 또한 부착 돌기(472a)를 형성하고, 또 상기 오목부(161)의 내부 하측에 상기 돌기(472a)와 끼워 맞추는 부착 오목부(162a)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부착에 있어서는 우선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흡입구체(500)를 들어올려 접속관(400)의 상기 제1 고정 수단(47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1 고정 수단(101)인 오목부(161)에 접속관(400)을 경사지게 하여 삽입하고, 상기 부착 오목부(162a)에 상기 부착 돌기(472a)를 끼워 맞춰서 위치 결정을 행한다. 다음에, 손잡이 핸들(300)의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의 고정을 해제하고, 손잡이 핸들(300)을 압하하여 전기 청소기본체(100)의 제2 고정 수단(108)인 오목부(161)에 접속관(400)의 제2 고정 수단(401)인 돌기부(471)를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 핸들(300)을 인상함으로써 상기 제1 고정 수단(101, 470)의 부착 오목부(162a)와 부착 돌기(472a), 및 상기 제2 고정 수단(108, 401)인 부착 오목부(162)와 부착 돌기(472)가 끼워 맞춰지므로, 이 상태에서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고정 상태로 한다. 또, 제1 고정 수단(470)의 부착 돌기부(472)는 손잡이 핸들(300)을 인상할 때의 위치 결정과 빠짐 방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2 관 부재(440)에 형성한 상기 고정홈(441)은 제2 고정 수단(108, 401)인 상기 돌기부(471)가 오목부(16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고정 상태로 되지 않고, 상방으로 인상되어 상기 부착 오목부(162)에 부착 돌기(472)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고정 상태가 되도록 고정홈(441)의 간격을 조정해 둔다. 이 구조에 의하면, 접속관(400)은 상기 제1 고정 수단(470)과 제2 고정 수단(401)으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제1 고정 수단(101)과 제2 고정 수단(108) 사이에 양측이 개방되도록 끼워 맞춰지므로,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16에서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의 조작으로 접속관(400)이 그 신축에 의해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견고하게 보유 지지되므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고정 수단(470, 101)의 끼워 맞춤이 흡입구체(500)의 구조에 좌우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흡입구체(500)와 조합된 흡입구 조립품(700)으로 채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도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로크 스위치(403)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부린 자세로 되어 상기 제1, 제2 관 부재(420, 440)를 직접 손으로 잡고 신축시킴으로써 조작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기타 응용예>
이상, 청소 작업에 있어서 사용자가 웅크린 자세로 되는 횟수를 경감시킨 전기 청소기를 몇가지 실시 형태를 기초로 설명했는데, 이들 실시 형태는 일 실시 형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은 제1 관 부재(310)에 제2 관 부재(350)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실시 형태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트리거 스위치(310)를 구비한 것이면 상관없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관 부재(310)와 제2 관 부재(350)가 일체화된 것이라도 좋다. 또, 독립된 핸들부(302)를 설치하지 않고 관 부재를「ㄴ자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그 굴곡부를 직접 보유 지지하는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과 접속관(400)을 분리 가능하게 설치했지만, 이를 일체화해도 좋다. 이와 같이 일체화함으로써 부품의 갯수를 경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했지만, 이 트리거 스위치(301)를 접속관(400)의 상단부에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접속관(400)에 의해 신축 고정 기구를 집약할 수 있으므로, 부품갯수를 경감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구조를 채용한 접속관(400)을 다른 손잡이 핸들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의 비틀림 동작으로 흡입구 본체(100)를 90 °회전 가능한 흡입구체(500)를 채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고정 수단(501)을 구비한 흡입구체이면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굴곡 관 커플링을 구비한 흡입구체라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고정 수단(501)을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400)에 배치함으로써, 흡입구체(500)의 형태에 좌우되지 않고 양호한 청소 및 수납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17 내지 도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도17 및 도18이 전기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19 내지 도21은 보조 핸들과 흡인 호스의 연결 상태의 설명도, 도22 및 도23은 보조 핸들에 접속관을 부착하는 설명도, 도24a 및 도24b는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의 설명도, 도25a 내지 도25c는 사용 상태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17은 전기 청소기의 종수납 자세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18은 통상의 청소 자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7 및 도18에 있어서, 도면 부호 1로 총괄적으로 도시한 것은 전기 청소기로서,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기구, 예를 들어 송풍기를 갖춘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되는 연결체(이하, 보조 핸들부라고 함)(600)와, 일단부가 상기 보조핸들부(600)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200)와, 상기 흡인 호스(200)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200)에 연통하는 접속관(400)과, 상기 접속관(400)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400)에 연통하는 흡입구체(500)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보조 핸들부(600)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 부착 기구부(61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부착하기 위한 호스 부착 기구부(620)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연통하는 먼지 통로(630)와, 상기 접속관(400)을 보유 지지하는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이 보조 핸들부(600)를 사용자가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핸들부(660)를 구비함으로써 극히 일반적인 전기 청소기를 수납성과 반송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1)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수단(102)을 구비하여, 도18에 도시한 청소 자세에서는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되는 흡인 호스(200)에 의한 인장 주행이 가능하고, 이 청소 자세로부터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주행 수단(102)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Z)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호스 부착부(101)를 상방에 위치시키는 종수납 자세로 변화 가능한 전기 청소기(1)의 수납성과 반송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2에 도시한 청소 자세에서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상기 보조 핸들부(600)로 연결하여 먼지통로(630)를 확보하고, 상기 흡인 호스(200)에 의한 인장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조 핸들부(600)는 상기 청소 자세에서는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핸들부(660)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핸들부(660)를 거쳐서 호스 부착부(101)가 설치되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선단부를 주행 수단(102)으로 지지되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마루면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까지 편하게 들어올려 상기 청소 자세로부터 상기 종수납 자세로 간단하게 자세 변경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핸들부(660)는 일단부에 상기 먼지 통로(630)가 배치되고, 다른 일단부에 상기 접속관(400)의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종수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시선에 가까운 위치에서 이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에 상기 접속관(400)에 형성한 부착부(401)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접속관(400)을 제1 접속관(420)에 제2 접속관(440)이 수납됨으로써 신축 가능한 구조로 하고, 상기 부착부(401)를 제1 접속관(420)의 하부에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면에 상기 접속관(400)의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140)을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종수납 자세에서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가 상기 접속관(400)을 등지도록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관(400)에는 접속관 신축 기구(402)에 로크 기구부를 배치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는 상기 로크 기구를 해제하거나 또는 로크하는 조작 수단인 트리거 스위치(30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서의 조작으로 상기 접속관(400)의 신축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종수납 자세로 한 상태에서 상기 트리거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단축하면서 이 접속관(400)을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등지도록 부착할 수 있다.
또,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는 상기 접속관(400)의 부착부(401)와의 연결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유 지지 수단은 최저한의 기능으로서 상기 종수납 자세를 유지하는 정도로 보유 지지해도 되고, 또 견고하게 보유 지지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400)을 상방으로 인상하려고 하면,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중량에 의해서 상기 연결 상태가 해제되는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접속관(400)의 부착부(401)를 수지로 형성하고, 이 접촉면의 마찰 및 왜곡을 이용하여 경사지게 잡아당긴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방으로 인상하려고 하는 힘에는 상기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접촉면의 마찰 계수를 설정하고 있다. 이 이외에 상기 조건을 갖춘 로크 기구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의 구체적인 해결 수단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보조 핸들부(600)를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접속관(400)을 연결함으로써 간단하게 종수납 자세를 취하여 이 종수납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핸들부(660)의 양측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접속관(400)을 구분하여 보유 지지하고, 이 핸들부(660)를 거쳐서 종수납 자세의 상기 전기 청소기(1)를 그 상태의 자세를 유지시킨 채로 한 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핸들부(660)의 연결 부분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 핸들부(600)의 구조체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핸들부(660)를 보유 지지하여 들었을 때의 좌우의 중량 균형을 높여서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1) 전체를 들어올리려고 하면,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부착부(401)의 끼워 맞춤이 헤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접속관(400)의 연결을 필요 이상으로 견고하게 할 필요가 없고, 또 가령 들어올려진 경우에는 상기 결합이 해제되므로, 전기 청소기(1)의 낙하에 의한 장치의 파괴 또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과 상기 접속관(400)의 연결부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부착부(401)의 연결은 경사지게 인장해도 그 끼워 맞춤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손으로 보유 지지하여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인장하는 것처럼 또는 가압하는 것처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종수납 자세는 이동 수단(102)과, 종수납 자세에서 바닥면이 되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한 다리부(103)에 의해 유지된다.
또, 상기 접속관(400)은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등지도록 부착되므로, 상기 접속관(400)에 부착되는 상기 흡입구체(500)에 방해되지 않고, 상기 이동 수단(102)을 거쳐서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다리부(103)를 부상시켜서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상기 이동 수단(102)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이 경사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상기 이동 수단(102)을 활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손잡이 핸들(300)이 종수납 자세의 상단부에 고정되므로, 이 높은 위치에 있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고, 이를 거쳐서 상기 주행 수단(102)을 활용하여 종수납 자세로 고정되는 전기 청소기(1)를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보조 핸들부(600)를 흡인 호스(200)와 전기 청소기 본체(10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수납성과 반송성이 우수한 전기 청소기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손잡이 핸들(300)에서의 조작으로 간단하게 단축하여 수납 자세를 취함으로써 종수납시의 상기 청소기(1)의 높이(H1)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시의 높이(H1)를 약 1150㎜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종수납 자세에서의 수납성과 반송성이 우수하다.
이하,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해 도1 및 도2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설명한다.
도18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그 내부에 일회용 집진 주머니를 지닌 도시하지 않은 집진실을 구비하고, 한 쌍의 큰 차륜(104)과 한 개의 자재 차륜(105)으로 상기 이동 수단(102)을 구성하고, 상기 흡인 호스(200)를 거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통상의 청소(주행) 자세에서는 상기 큰 차륜(104)과 자재 차륜(105)에 의해 청소면에 설치한 전후로 긴 자세를 취한다.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길이 방향의 한 쪽에 상기 집진실을 배치하고, 다른 한 쪽에 도시하지 않은 전동 송풍기와 코드 릴부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의 하방에 자재 차륜(105), 전동 송풍기 또는 코드 릴의 양측에 한 쌍의 큰 차륜(104)을 배치하고 있다. 또, 상기 집진실측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평 방향을 향한 호스 부착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큰 차륜(104)은 상기 호스 부착부(101)가 형성된 단부와 대향하는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측에 설치되고, 큰 차륜(104) 주위의 설치부(104a)가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배면(상기 다른 단부)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한 쌍의 큰 차륜(104)과 상기 자재 차륜(105)으로 지지된 청소 자세로부터 상기 큰 차륜(104)의 회전축(B1)을 중심으로 상기 자재 차륜(105)을 부상시키도록 회전시켜서 상기 호스 부착부(101)를 수직 방향을 향하게 하는 세로 위치의 종수납 자세로 할 수 있다.
이 종수납 자세에서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가 상기 한 쌍의 큰 차륜(104)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배면 상부에 배치한 상기 다리부(103)에 의해서안정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큰 차륜(104)이 배치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측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전동 송풍기와 코드 릴부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은 높이가 있는 길이 방향의 상기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를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주행성과 소형화를 꾀하고 있다.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이 가로로 긴 청소 자세를 유지하여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주 핸들부(107)를 형성하고 있다. 이 주 핸들부(107)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중심 위치(G1)의 상방에 설치한 회전축(10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자세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최상부가 되는 상면에 상기 접속관(400)의 자세를 보유 지지하는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140)이 배치된다. 이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140)은 종수납 자세에서 상기 접속관(400)을 좌우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돌기부(141)로 이루어지고, 종수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의 하방 위치가 되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외표면에 배치된다.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에 배치한 적외선 수광부(109)로 상기 손잡이 핸들(300)로부터 발신되는 조작 신호를 받아 조작된다.
상기 보조 핸들부(600)는 이 보조 핸들부(600)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기 위한 기능과, 이 보조 핸들부(600)에 상기 흡인 호스(200)를부착하기 위한 기능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연통하는 기능과, 상기 접속관(400)을 보유 지지하는 기능과, 이 보조 핸들부(600)를 사용자가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핸들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보조 핸들(600)의 외관 구조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연통하는 관 형상의 파이프 구조체(601)와, 이 파이프 구조체(60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와,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를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에 연결하기 위한 주 연결체(603)와, 보조 연결체(604)로 구성되고, 상기 네 개의 구조체는 그 중앙에 관통한 공간(605)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구조체(604)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측에 위치하고, 주 구조체(603)는 이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주 구조체(603)와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는 사용자가 이 두 개의 구조체를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굵기, 및 잡아도 위화감이 없도록 적어도 상기 관통한 공간(605) 부분에 R형상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 보조 핸들(600)에서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가 상기 먼지 통로(630)를 구성하고, 그 일단부에 본체 부착 기구부(610)가 배치되고, 다른 일단부에 호스 부착 기구부(620)가 배치되고,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에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가 배치되고, 상기 주 구조체(603)에 핸들부(660)가 배치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가 상방이 되도록 상기 호스 부착 기구부(620)를 상기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하고, 상기 호스 부착기구부(620)에 상기 흡인 호스(200)의 호스 연결부(230)를 부착하도록 한다.
이 보조 핸들(6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 또는 주 구조체(603)를 잡고 도2에 도시한 청소 자세로부터 도1에 도시한 종수납 자세로 간단하게 자세 변경할 수 있다.
또, 종수납 자세에서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접속관(400)이 그 길이 방향을 대략 평행하게 하는 위치, 즉 상기 접속관(400)을 대략 수직인 자세로 연결함으로써 종수납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는 이동 수단(102)이 배치되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면을 대략 평평(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선)하게 하고, 상기 큰 차륜(104)측이 굵게, 그리고 호스 부착부(101)가 배치되는 선단부가 가늘어지도록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주행시의 쓰러짐을 경감하기 위해 상기 호스 부착부(101)가 낮은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등지도록 대략 수직으로 부착되는 상기 접속관(400)과 상기 호스 부착부(101) 사이에는 넓은 공간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공간을 이용하여 보조 핸들부(600)를 배치하고 있다. 이 보조 핸들부(600)가 배치되는 위치는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의 중심 위치의 상방이 되는 위치로서, 주된 장치인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손잡이 핸들(300)과 흡입구체(500)가 접속되는 접속관(400)의 중간 위치이며, 또한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상방 위치이다.
게다가, 이 보조 핸들부(600)가 배치되는 위치는 공간이 넓으므로, 사용자가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단단히 보유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길이를 갖춘 가로로 긴 핸들부(300)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보조 핸들부(600)에 상기 보조 구조체(604)를 배치하여 강도를 유지시키고 있는데, 보조 핸들부(600)를 금속 재료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반드시 보조 구조체(604)를 배치할 필요는 없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접속관(400)을 대략 수직인 자세로 보유 지지시키고 있지만, 반드시 엄밀하게 수직인 자세를 취하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종수납 자세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300)이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방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접속관(400)의 하방에 배치한 상기 흡입구체(500)를 전기 청소기 본체(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에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종수납 자세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서의 이동을 행할 때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기울이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흡인 호스(200), 상기 손잡이 핸들(300), 접속관(400) 및 흡입구체(500)는 도1 및 도2에서 설명한 내용과 대략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운전 제어 및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기능과 상기 흡입구체(500)의 이동을 조작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접속관(400)의 신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선 자세의 사용자가 크게 자세를 바꾸지 않고 운전 조작이나 청소 및 수납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종수납 자세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이 최상부에 배치되어 보유 지지되므로, 이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종수납 자세인 채로 이동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19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상기 보조 핸들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9는 보조 핸들과 흡인 호스의 연결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20 및 도21은 보조 핸들의 다른 응용예의 분해 사시도, 도22a 및 도22b는 보조 핸들에 접속관을 부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와 일부 단면도, 도23은 도22의 측면도이다.
우선, 도19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상기 보조 핸들(600)과 흡인 호스(200)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에 있어서, 이 도19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관 형상의 파이프 구조체(601)와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와 주 연결체(603)와 보조 연결체(604)를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한 것이다. 물론, 반드시 일체 성형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어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좌우로 분할되는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이를 나사를 거쳐서 부착하는 구조라도 좋다.
또,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본체 부착 기구부(610)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호스 부착부(101)의 부착 형상에 맞춘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한 파이프(617)의 좌우에볼록부(61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부착 기구부(610)를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했을 때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록부(611)에 상기 본체 부착 기구부(610)와 호스 부착부(101)의 결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부(612)를 배치하고 있다.
이 고정 기구부(612)는 상기 볼록부(6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부(613)와, 이 오목부(613)를 피복하는 보호판(614)과, 이 보호판(614) 내에 배치되는 요동 스위치(615)와, 이 고정 기구부(612)를 항상 고정 상태로 하는 스프링(6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요동 스위치(615)는 일단부에 볼록 버튼, 타단부에 고정 갈고리가 배치되고, 상기 보호판(614)에는 상기 볼록 버튼과 고정 갈고리를 노출시키는 창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 버튼과 고정 갈고리는 상기 스프링(616)에 의해 항상 외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했을 때는 이 고정 갈고리가 호스 부착부(101)의 내측에 형성한 오목부에 끼워 맞춰져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경우는 상기 볼록 버튼을 압하하면 된다.
또,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호스 부착 기구부(620)는 흡인 호스(200)의 단부에 배치한 연결 링(230)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주름형 호스의 단부에 고정 링(231)이 부착되고, 이 고정 링(2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또한 이 고정 링(231)으로부터 관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상기 연결 링(230)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링(230)의 외주에는 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항상 외주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 고정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호스 부착 기구부(620)의 먼지 통로(630)의 외벽에는 상기 걸림 고정부(232)와 끼워 맞추는 걸림 고정 구멍(6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결 링(230)이 상기 호스 부착 기구부(620)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 고정부(232)가 걸림 고정 구멍(621)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양자가 연결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상기 흡인 호스(200)는 상기 보조 핸들(6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흡인 호스(200)의 비틀림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걸림 고정 구멍(621)으로부터 상기 걸림 고정부(232)를 내측으로 압입함으로써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정비시에 유효하다.
다음에, 도20을 참조하여 보조 핸들(600)의 응용예를 설명한다. 상기 도19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와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와 주 연결체(603)와 보조 연결체(604)를 수지로 일체 성형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와 다른 구조체를 분리 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20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파이프 구조체(601a)를 다른 구조체와 분리하는 구조로 하고, 이 파이프 구조체(601a)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 부착 기구부(61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부착하기 위한 호스 부착 기구부(620)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흡인 호스(200)를 연통하는 먼지 통로(630)를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a)에 부착하기 위한 관 형상의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와, 이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를 거쳐서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a)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와,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를 상기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에 연결하기 위한 주 연결체(603)와, 보조 연결체(604)로 구성되는 분리 구조체(608)를 수지로 일체 성형하고, 이 분리 구조체(608)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a)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를 관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속에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a)를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a)의 일단부에 배치한 본체 부착 기구부(610)를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a)의 외주에 배치한 위치 결정 돌기(607)에 의해 상기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가 흡인 호스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의 내면에 끼워 맞춤부(609)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 구조체(608)는 도19의 일체 구조와 마찬가지로 좌우로 구분되는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 나사로 고정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 상기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는 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또, 도4와 도3에 도시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위치 및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20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분리 구조체(608)는 이를 없애도 전기 청소기(1)로서의 기능을 해치지 않으므로, 상기 종수납 자세에서의 편리성을 추구하지 않는 것이라면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 상기 파이프구조체(601a)에는 상기 파이프 구조체 부착부(606)를 착탈하기 위한 현저한 설계 변경을 하지 않아도 종수납 자세에서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21은 상기 흡인 호스(200)의 선단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호스 부착부(101)에 접속 가능하게 설치한 접속관 부착 기구부(830)를 배치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호스 부착부(101)와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830) 사이에 착탈 가능한 보조 핸들(600)을 배치한 것이다. 도21은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보조 핸들(600)과 흡인 호스(200)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보조 핸들(600)도 또한 파이프 구조체(601)와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와 주 연결체(603)와 보조 연결체(604)를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하고 있다.
또, 상기 파이프 구조체(601)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본체 부착 기구부(690)는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830)와 동일한 외형을 지니고, 다른 일단부에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호스 부착부(101)와 동일한 형상을 지닌 보조 핸들 호스 부착부(69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부착 기구부(690) 및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830)는 모두 도시하지 않은 상기 고정 기구부(6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보조 핸들(600)의 상기 본체 부착 기구부(690)와, 흡인 호스(200)의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830)는 모두 동일한 외형을 지니고 있으므로, 상기 보조 핸들(600)이 필요하지 않으면 이 보조 핸들(600)을 떼어내고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830)를 직접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호스 부착부(101)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보조 핸들(600)을 도17 및 도18에서 설명한 특징을 갖춘 다양한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간단하게 부착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흡인 호스(200)에 전원과 신호선을 갖춘 것으로 채용하는 경우는 상기 본체 부착 기구부(690)와 상기 보조 핸들 호스 부착부(691)에 각각 전원 또는 신호선 접속 단자를 설치하고, 또 상기 단자관 사이를 접속하는 코드를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에, 도22a 및 도22b, 도23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접속관(400)에 형성한 부착부(401)의 연결 구조를 설명한다. 도22a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401)는 상기 접속관(400)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볼록형 부착 돌기부(410)와, 신축 방향 및 양측으로 돌출한 끼워 맞춤부(4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끼워 맞춤부(411)는 상부에 스톱퍼부(412)를 배치하고, 상기 부착 돌기부(410)의 양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서 오목홈(413)을 형성함으로써, 도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에 있어서 돌출된 부분의 양 쪽이 튀어나온「T자형」으로 형성되고,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에 있어서는 돌출된 선단부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는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 형상의 레일(641)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641)은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안내 레일(642)이 상기 레일(641)을 따라서 형성되고, 이 안내 레일(642)이 상기 오목홈(413)에 끼워 맞춰져서 부착 돌기부(410)를 양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상기 종수납 자세에 있어서 상부측이 되는 상기 레일(641)에는 이 레일(641)에 상기 부착 돌기부(410)를 도입하는 경사면(643)이 형성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도22a, 도22b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401)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에 삽입하려고 한 경우, 상기 부착 돌기부(410)의 하방의 끼워 맞춤부(411a)가 우선 상기 경사면(643)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641)로 안내되고, 또 상기 부착 돌기부(410)의 양측 끼워 맞춤부(411b)에 끼워 맞춰져서 상기 스톱퍼부(412)가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와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보조 핸들부(600)를 거쳐서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602)가 상방으로 인상된 경우, 상기 스톱퍼부(412)와 상기 안내 레일(642)에 의해 상기 부착부(401)가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므로, 상기 접속관(400)을 인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접속관(400)을 인상하려고 한 경우는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부착부(401)의 상기 끼워 맞춤 구조에서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중량을 보유 지지하지 못하므로, 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를 인상하지 않고 상기 끼워 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접속관(400)을 인상할 수 있다.
한편,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경사진 자세로 한 경우는 이 접속관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부착부(401)의 끼워 맞춤 부분에 이동 수단(102)으로 보유 지지되는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중량에 따른 응력이 일부 가해지므로, 상기 레일(641)과 상기 끼워 맞춤부(611)의 끼워 맞춤 부분에 왜곡을 발생시켜서 상기 끼워 맞춤이 해제되기 어려워지므로, 이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여 경사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 맞춤의 강도는 상기 레일(641)과 상기 끼워 맞춤부(611)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끼워 맞춤의 끼움 정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끼워 맞춤의 응력을 얻도록 조절하면 된다. 또, 상기 접촉면에 마찰 계수를 상승시키는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다음에, 도24a 및 도24b를 참조하여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140)을 설명한다. 도24a 및 도24b는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의 설명도로서, 도24a는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이고, 도24b는 상기 도24a의 A-A 단면도이다.
도24a 및 도24b에 있어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접속관(400)에 형성한 상기 부착부(401)의 결합에 의해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접속관(400)의 연결을 충분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연결 부분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상기 연결 부분의 하방 위치, 즉 상기 접속관(400)을 대략 수직인 자세로 상기 보조 핸들(600)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관(400), 또는 이 접속관(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흡입구체(500)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이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관(400)의 하방 위치를 보유 지지하는 한 쌍의 돌기부(141)로 이루어진 상기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140)을 배치하고 있다.
이 접속관 위치 보유 지지 수단(140)은 도24b에 도시한 화살표(Q1) 방향의 응력에 대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24a의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한 경우, 손잡이 핸들(300)을 우측(화살표 Q3)으로 쓰러뜨리려고 하는 힘에는 큰 차륜(104)에 의해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100)가 쓰러지기 쉬우므로, 상기 부착부(101)와 보조 핸들부(600)의 연결부에 걸리는 부하는 큰 것이 아니다.
또, 도24a 및 도24b에서 좌측(화살표 Q2)으로 쓰러뜨리려고 하는 힘에는 접속관(400) 또는 흡입구체(5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으로 밀어붙여지므로, 상기 부착부(101)와 보조 핸들부(600)의 연결부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 핸들(300)을 좌우 방향(화살표 Q1)으로 쓰러뜨리려고 하는 힘은 상기 부착부(101)와 보조 핸들부(600)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이 되므로 상기 연결부에 큰 부하를 부여하게 되고, 이를 막기 위해 견고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관(400) 또는 상기 흡입구체(500)와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면과 접촉하는 위치(청소 자세에서의 최상부)에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한 쌍의 돌기부(141)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필요 이상의 강도를 경감하여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에, 도25a 내지 도25c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핸들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25a 내지 도25c는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이동하는 상태의 설명도로서, 도25a는 종래예의 전기 청소기를 들어올린 상태의 설명도, 도25b는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1)를 들어올린 상태의 설명도, 도25c는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1)를 이동 수단을 거쳐서 이동시키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25a에 있어서 종래예는 종수납 자세에서 접속관(400)을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면측에 부착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 종래 형태의 종수납 자세에서는 접속관(400)에 형성한 부착부를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선단부에 직접 부착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이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를 들어올리려고 하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바닥면(호스 부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음)에 설치한 보조 핸들을 거쳐서 들어올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보조 핸들은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의 중심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보조 핸들로 전기 청소기를 보유 지지한 경우,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를 경사진 자세로 들어야 한다. 특히, 전기 청소기는 들어올릴 때 종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쓰러지므로, 흡인 호스(200)가 방해가 되어 들어올리기 어렵고 또한 균형이 잡히기 어려운 것이다.
한편, 도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1)는 전기 청소기(1)의 중심 위치의 상부 근방에 있는 보조 핸들(600)을 거쳐서 들어올릴 수 있다. 이 경우, 핸들부(660)는 잡기 쉽고, 또 핸들부(660)의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전기 청소기 본체(100)와 접속관(400)을 구분하여 지지하므로 균형을 잡기 쉽다. 또,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 호스(200)를 옆구리에 끼울 수도 있어반송 자세가 양호해진다.
또, 도2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손잡이 핸들(300)을 보유 지지하는 이용자는 종수납 자세의 전기 청소기(1)를 큰 차륜(104)을 중심으로 해서 경사지게 쓰러뜨리고, 보유 지지한 손잡이 핸들(300)을 잡아당기면서 또는 밀면서 상기 큰 차륜(104)을 이용하여 전기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는 상기 접속관(400)을 큰 차륜을 구비한 바닥면측에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관이 방해를 하여 상기 큰 차륜(104)에 의한 이동이 곤란하다. 또, 종래예는 접속관(400)의 부착부를 전기 청소기 본체(100)에 상부로부터 걸치는 구조이므로, 경사지게 인장하려고 하면 접속관(400)이 분리되어 버린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종수납 자세를 경사지게 쓰러뜨릴 뿐의 조작으로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로크 기구를 갖춘 접속관 부착 기구부의 다른 실시 형태>
다음에, 도26 및 도27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부착부(401)의 로크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6은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부착부(401)의 부착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27은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보조 핸들부(600)의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에 상기 부착부(401)를 고정하는 로크 기구부(731)를 배치한 것이다. 이 로크 기구(731)는 상기 보조 핸들(600)의 외표면에 설치되는 로크 레버(732)와, 상기 보조 핸들부에 내장되는 요동 바아(733)와, 스프링(734)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로크 레버(732)를 상기 핸들부(660)의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확인성과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상기 핸들부(660)의 상면은 사용자가 보유 지지하는 경우, 가장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요동 바아(733)는 일단부를 상기 로크 레버(732)와 접촉시키고, 타단부를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에 배치되는 창(737)으로부터 출몰하는 부착 갈고리(735)로 하고, 상기 스프링(734)에 의해 항상 상기 창(737)으로부터 상기 부착 갈고리(735)가 돌출하여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접촉하는 상기 부착부(401)의 표면에는 상기 부착 갈고리(735)와 끼워 맞추는 오목부(736)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핸들(300)을 거쳐서 접속관(400)을 상방으로 인발하려고 한 경우에는 상기 부착 갈고리(735)와 오목부(736)의 끼워 맞춤이 전기 청소기 본체(100)의 자중에 견딜 수 없도록 상기 스프링(734)의 강도가 설정되어 있다. 물론, 이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부착 갈고리(735)는 선단부가 쐐기 형상이고, 또 이에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는 단면 형상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스프링(734)의 밀어붙이는 힘이 약해지면 이 끼워 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접속관 부착 기구부의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
그리고,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의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관(400)의 부착부(401)에 이 접속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형의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에 상기 오목형 레일에 끼워 맞추는 단면 형상이「T자형」인 돌기부(702)를 형성해도 좋다.
또, 종수납 자세에서 보조 핸들(600)의 상부가 되는 핸들부(660)의 일측에 끼워 맞춤 구멍을 형성하고, 이 끼워 맞춤 구멍에 상기 접속관(400)의 부착부(401)가 끼워 맞춰지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이 끼워 맞춤 구멍은 입구가 넓고 내측을 좁게 하면 된다.
또, 상기 부착부(401)를 고정하는 상기 로크 기구부(731)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접촉하는 상기 부착부(401)의 상호의 표면에 양부재의 미끄럼(미끄럼 이동)을 저지하는 수단을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와 상기 부착부(401)의 상호의 접촉면에 요철 모양, 예를 들어 상기 미끄럼 이동면을 따른 물결 모양을 실시해도 좋다.
또, 상기 부착부(401)와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의 접촉면에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적극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부착부(401)의 착탈을 향상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의 접촉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 내에 판 스프링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때, 상기 삽입시의 위치 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부(641)의 입구 부분을 크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면의 출입 부분으로부터 사이를 두고 상기 판 스프링을 설치하여 삽입의 용이함과 로크했을 때의 클릭감을 얻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부착부(401)를 지닌 접속관(400)측에 상기 부착부(401)와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640)의 로크 기구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30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크 기구부의 로크(고정)를 해제 가능하게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관(400)의 부착부(401)에 이 부착부로부터 출몰하는 부착 출몰 갈고리를 지닌 상기 로크 기구부를 배치하고,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의 상기 레일부에 상기 부착 갈고리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핸들(300)에 설치한 트리거 스위치(301)의 조작 및 제2 로크 스위치(43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접속관 신축 기구부(402)를 동작시켜서 상기 접속관(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보조 핸들(600)과 상기 접속관(40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기타 실시 형태>
흡인 호스에 전원선과 신호선을 구비하여 손잡이 핸들로 전원 등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흡입구체(500)에 회전 브러시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는 상기 보조 핸들과 흡인 호스와 전기 청소기 본체의 호스 부착부, 또는 접속관의 각 연결부에 공지의 접속 단자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관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그 길이를 고정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 및 흡입구 조립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전기 청소기 본체와 흡인 호스와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과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로부터 흡입된 먼지는 상기 접속관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상기 흡인 호스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로를 통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관은,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 핸들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관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관 부재의 타단부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구체와 연결되는 제2 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관 부재는 상기 제2 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의 미끄럼 이동의 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은 상기 해제 수단을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전기 청소기 본체와 흡인 호스와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과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체로부터 흡입된 먼지는 상기 접속관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상기 흡인 호스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로를 통해서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관은 내부에 통풍로가 형성된 제1 관 부재와 내부에 통풍로가 형성된 제2 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 부재보다 상기 제2 관 부재가 가늘게 형성되고, 또 상기 제1 관 부재의 내부에 상기 제2 관 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 부재의 내부를 상기 제2 관 부재의 일단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1 관 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측에 상기 미끄럼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미끄럼 이동의 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에 상기 미끄럼 이동 저지의 해제를 행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1 관 부재에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1 관 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2 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핸들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의 동작이 상기 전달 수단으로부터 상기 해제 수단에 전달되어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한 미끄럼 이동의 저지 동작이 해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전기 청소기 본체와 유연성이 있는 호스와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과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 사이에 상기 유연성이 있는 호스를 설치하고, 또 상기 흡입구체와 상기 손잡이 핸들 사이에 상기 접속관을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은 상기 접속관과 반대측이 만곡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접속관은 내부에 통풍로가 각각 형성된 제1 관 부재와 제2 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 부재보다 상기 제2 관 부재가 가늘게 형성되고, 또 상기 제1 관 부재의 내부에 상기 제2 관 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관 부재의 내부를 상기 제2 관 부재의 일단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1 관 부재에 상기 제2 관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핸들에 상기 미끄럼 이동 저지의 해제를 행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1 관 부재에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해서 상기 제2 관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손잡이 핸들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한 미끄럼 이동의 저지 동작이 해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관은 그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 핸들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관 부재와,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관 부재의 타단부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구체와 연결되는 제2 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관 부재는 상기 제2 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의 미끄럼 이동의 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2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은 상기 해제 수단을 동작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전달하는 제1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달 수단과 제2 전달 수단은 상기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관은 그 일단부가 상기 손잡이 핸들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관 부재와,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관 부재의 타단부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흡입구체와 연결되는 제2 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관 부재는 상기 제2 관 부재의 미끄럼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의 미끄럼 이동의 저지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2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은 상기 해제 수단을 동작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전달하는 제1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달 수단과 제2 전달 수단은 상기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수단과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제2 관 부재와 연결하는 제1 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전달 수단은 상기 해제 수단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연결하는 제1 관 부재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관 부재의 내측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1 관 부재의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갈고리가 상기 제2 관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고정되는 구조이고,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수단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접속관과 연결하는 상기 손잡이 핸들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연결봉이고,
    상기 제2 전달 수단은 상기 해제 수단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연결하는 제1 관 부재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연결봉이고,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을 연결함으로써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해제 수단에 전달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은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봉 형상의 손잡이부를 상기 접속관의 관축의 연장선 상에 구비하는 동시에 그 손잡이부의 전방부 하측에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달 수단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접속관과 연결하는 상기 손잡이 핸들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연결봉이고,
    상기 제2 전달 수단은 상기 해제 수단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연결하는 제1 관 부재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연결봉이고,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을 연결함으로써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해제 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연결봉은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회전 부재와, 이 회전 부재와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1 봉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연결봉과 접촉하는 제2 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접속관의 관축의 연장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부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해제 수단이 해제 동작을 행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은 일단부에 상기 접속관이 접속되는 접속관 연결부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 호스는 상기 접속관 연결부와 상기 핸들부 사이에 상기 접속관의 관축 방향과 굴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흡인 호스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굴곡하여 형성되는 대략 봉 형상의 형태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손잡이부의 전방부 하측에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달 수단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접속관과 연결하는 상기 손잡이 핸들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연결봉이고,
    상기 제2 전달 수단은 상기 해제 수단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연결하는 제1 관 부재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연결봉이고,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을 연결함으로써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해제 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연결봉은,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회전 부재와, 이 회전 부재와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1 봉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연결봉과 접촉하는 제2 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접속관의 관축의 연장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부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해제 수단이 해제 동작을 행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핸들은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봉 형상의 손잡이부를 상기 접속관의 관축의 연장선 상에 구비하는 동시에 그 손잡이부의 전방부 하측에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달 수단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접속관과 연결하는 상기 손잡이 핸들의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연결봉이고,
    상기 제2 전달 수단은 상기 해제 수단과 상기 손잡이 핸들과 연결하는 제1 관 부재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연결봉이고,
    상기 제1 연결봉과 제2 연결봉의 단부는 상기 손잡이 핸들과 접속관을 연결함으로써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상기 해제 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연결봉은,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회전 부재와, 이 회전 부재와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제1 봉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연결봉과 접촉하는 제2 봉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접속관의 관축의 연장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부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해제 수단이 해제 동작을 행하는 구조로 하고,
    상기 손잡이 핸들은 상기 접속관과 상기 흡인 호스를 연결하는 반송로를 지닌 하부 케이스와 조작 스위치를 지닌 상부 케이스로 상기 핸들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품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상기 부품 배치부에는 상기 스위치와 이 스위치의 동작을 전달하는 상기 제1 연결봉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부품 배치부에는 조작 기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 부재는 상기 해제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2.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호스 부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체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복수의 이동 차륜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차륜은 주행면과 접촉하는 차륜의 외주 부분을 하면과 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전기 청소기 본체의 하면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차륜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호스 부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측에 상기 접속관을 등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3. 먼지를 집진실로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본체와, 이 전기 청소기 본체의 호스 부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체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유연성이 있는 흡인 호스와, 상기 흡인 호스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는 손잡이 핸들과, 상기 손잡이 핸들에 부착되어 상기 흡인 호스에 연통하는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에 부착되어 상기 접속관에 연통하는 흡입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는 복수의 이동 차륜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 차륜은 주행면과 접촉하는 차륜의 외주 부분을 하면과 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하면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차륜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선단부에 상기 연결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호스 부착부를 구비하고,
    또,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측으로 돌출한 핸들부를 형성하고, 이 연결체의 하측에 상기 흡인 호스를 부착하고, 상기 핸들부의 상단부에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측에 상기 접속관을 등지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 부착 기구부와, 상기 흡인 호스를 부착하기 위한 호스 부착 기구부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먼지 통로와,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측에 길이 방향을 상기 한 쌍의 이동 차륜의 이동 방향과 대략 일치시키는 자세로 상기 접속관을 보유 지지하는 접속관 부착 기구부와, 이 연결체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핸들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이 연결체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과, 이 연결체에 상기 흡인 호스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연통 수단과,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측에 길이 방향을 상기 한 쌍의 이동 차륜의 이동 방향과 대략 일치시키는 자세로 상기 접속관을 보유 지지하는 이 연결체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핸들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관 형상의 파이프 구조체와, 이 파이프 구조체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와,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를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한 주 연결체와, 보조 연결체로 구성되고,
    상기 네 개의 구조체는 그 중앙에 관통한 공간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일단부에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본체 부착 기구부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상기 흡인 호스를 부착하기 위한 호스 부착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와 상기 흡인 호스를 연통하는 먼지 통로를 구성하는 파이프 구조체와,
    이 파이프 구조체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기 청소기 본체의 상면측에 길이 방향을 상기 한 쌍의 이동 차륜의 이동 방향과 대략 일치시키는 자세로 상기 접속관을 보유 지지하는 접속관 부착 기구부와,
    상기 접속관 부착 구조체를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한 주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 구조체와 상기 접속관 부착 기구부 사이에 핸들을 구성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19990054633A 1998-12-04 1999-12-03 전기 청소기 KR100349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514198A JP3347078B2 (ja) 1998-12-04 1998-12-04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組品
JP98-345141 1998-12-04
JP11080934A JP2000271046A (ja) 1999-03-25 1999-03-25 電気掃除機
JP99-080934 1999-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876A KR20000047876A (ko) 2000-07-25
KR100349293B1 true KR100349293B1 (ko) 2002-08-21

Family

ID=2642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633A KR100349293B1 (ko) 1998-12-04 1999-12-03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349293B1 (ko)
CN (1) CN1178621C (ko)
SG (1) SG81335A1 (ko)
TW (1) TW55905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2191B2 (ja) * 2003-06-13 2007-02-14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1744581B (zh) * 2008-12-04 2013-05-2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吸尘软管与吸尘接管连接结构
CN105411494A (zh) * 2015-11-26 2016-03-23 苏州德易仕清洁科技有限公司 一种蒸汽拖把手柄储存装置
KR102613508B1 (ko) * 2016-08-25 2023-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270A (en) * 1983-03-25 1985-01-22 Electrolux Corporation Vacuum cleaner wand
SE506305C2 (sv) * 1994-03-01 1997-12-01 Electrolux Ab Anordning vid en dammsugare
JP3540052B2 (ja) * 1995-05-29 2004-07-07 安藤化成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引パイプ
JPH1085163A (ja) * 1996-09-13 1998-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9056U (en) 2003-10-21
SG81335A1 (en) 2001-06-19
CN1256110A (zh) 2000-06-14
CN1178621C (zh) 2004-12-08
KR20000047876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8916B2 (en) Vacuum cleaner hose unit having a hose fitting with a coupling protrusion
KR20030072000A (ko) 진공청소기의 관절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337711B1 (ko) 전기청소기
JP3186033B2 (ja) 電気掃除機
KR100349293B1 (ko) 전기 청소기
JP3868679B2 (ja) 電気掃除機
JP3234867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組品
JP3347078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組品
JP2001070211A (ja) 電気掃除機
JP3186032B2 (ja) 電気掃除機
JP3124007B1 (ja) 電気掃除機
JP3868953B2 (ja) 電気掃除機
JP2000166835A (ja) 電気掃除機
JP2963413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067043U (ja) 電気掃除機
JP296342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0265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US759104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JP2000271047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連結体
JP2001061738A (ja) 電気掃除機
JPH10328098A (ja) 電気掃除機
JP2000271046A (ja) 電気掃除機
JP314916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口体
JP3066971U (ja) 電気掃除機
JPH1032809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