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626B1 - 좌석 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626B1
KR100470626B1 KR10-2000-7001375A KR20007001375A KR100470626B1 KR 100470626 B1 KR100470626 B1 KR 100470626B1 KR 20007001375 A KR20007001375 A KR 20007001375A KR 100470626 B1 KR100470626 B1 KR 10047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retractor
abandoned
payment
coup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775A (ko
Inventor
스펙흐트마틴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7134907 external-priority patent/DE19734907C1/d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 벨트를 권취 및 풀기 위하여 프레임(1)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릴(2), 벨트 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블로킹 장치(5), 블로킹 장치(5)가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부품(6), 벨트 릴(2)과 함께 회전하는 캐리어 부품(3)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4), 차량 센서 질량부(35) 및 벨트 센서 질량부(4) 및/또는 차량 센서 질량부(35)를 경유하여 캐리어 부품(3)과 제어 부품(6) 사이에 이동 결합이 설치될 수 있는 커플링 요소(14, 34)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retractor)에 관한 것이다. 결합은 블로킹 수단을 작동하기 위하여 풀림 방향으로 벨트 릴의 회전의 전달을 보장한다. 캐리어 부품(3)상에 배치된 벨트 센서 질량부(4)와 함께 갖는 캐리어 부품(3) 및 제어 부품(6)은 사전 조립된 유닛(7)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좌석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좌석 벨트를 감고 풀기 위해 프레임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릴과, 상기 벨트 릴의 회전을 방지하는 블로킹 장치와, 상기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부품과, 상기 벨트 릴과 함께 회전하는 캐리어 부품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와, 차량 센서 질량부와, 상기 캐리어 부품과 상기 제어 부품 사이의 가동 접속이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 및/또는 차량 센서 질량부에 의해 형성되어, 풀리는 방향으로 벨트 릴의 회전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좌석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벨트 릴(belt reel)은 좌석 벨트를 감고(coiling) 풀기(uncoiling) 위해 프레임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블로킹 장치는 특히 차량의 과도한 가속 또는 감속의 경우, 예를 들면 사고의 경우에 벨트 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은, 프레임상에 지지되고 대응하는 치형부(teeth)를 갖는 블로킹 멈춤쇠(blocking pawl)가 벨트 릴과 함께 결합하게 되거나 또는 벨트 릴상에 제공된 블로킹 치형부가 프레임상의 대응하는 치형부와 함께 블로킹 결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멈춤쇠와 벨트 릴 사이의 운동 또는 벨트 릴과 프레임 사이의 운동은 제어 부품에 의해 달성되며, 제어 부품은 벨트 웨빙(belt webbing)에 반응하여 및/또는 차량에 반응하여(즉, 벨트 웨빙 감지 및/또는 차량 감지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벨트 릴과 함께 회전하는 캐리어 부품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는 벨트 웨빙에 반응한 제어 부품의 작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차량 센서 질량부는 차량에 응답하는 제어 부품의 작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벨트 센서 질량부 및 차량 센서 질량부 양자는, 예를 들면 캐리어 부품 및 제어 부품상의 가동 커플링 요소 형태의 결합 장치를 작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캐리어 부품과 제어 부품 사이에 이동 결합이 발생하여, 풀림 방향으로 벨트 릴의 회전을 전달함으로써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킨다.
프레임상의 벨트 릴의 제어된 블로킹 결합 또는 블로킹 요소, 특히 프레임상에 지지된 블로킹 멈춤쇠의 벨트 릴 내로의 블로킹 결합을 위해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풀림 방향으로 벨트 릴의 회전 이동을 전달하기 위해서, 벨트 릴에 대한 운동 전달 수단 및 차단 결합 요소의 정확한 공차를 유지하는 것이 주지된 좌석 벨트 리트랙터에서 요구된다. 이것은, 특히 벨트 리트랙터의 기계적 측면상에 제공된 구성요소의 조립시에 높은 제조 비용을 필요로 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기계적 측면상에 제공된 구성요소의 끼움이 단순화된 전술한 유형의 좌석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 부품 및 그 위에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 및 제어 부품으로 이루어진 사전 조립된 유닛(preassembled unit)이 제공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서로에 대해, 특히 조립 후 릴 축에 일치하는 공통 축에 대해 정확한 배향으로 사전 조립될 수 있다. 벨트 센서 질량부 및 캐리어 부품 및 제어 부품 모두는 유닛내에서 이러한 공통 축 둘레에 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캐리어 부품 및 제어 부품은 피봇 베어링을 형성하는 플러그 인 결합(plug-in connection)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유닛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부품은 유닛을 둘러싸고 그 위에 클립 요소가 배열되는 림(rim)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닛, 이 경우에는, 제어 부품이 홀더 내에 회전가능한 공통 축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식으로, 이들 클립 요소가 홀더의 대응하는 구조의 클립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내부에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는 벨트 리트랙터의 전체의 기계적 측면을 둘러싸고 있다. 이것은, 홀더가 벨트 릴을 갖는 프레임상에 플러그 결합(plugged)될 때 벨트 릴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벨트 웨빙 센서용 캐리어의 부품[차량 및 벨트 웨빙(belt webbing)에 응답함]과, 홀더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특히 대응하는 커플링 요소에 의해 벨트 웨빙 및/또는 차량에 응답하도록 래치트 휠(ratchet wheel)로서 설계된 캐리어 부품에 결합될 수 있는 제어 부품으로 구성된다.
캐리어 부품과 벨트 릴 사이에 회전 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플러그 결합된 캐리어 부품 및 벨트 릴상에 돌출부 및 관련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어 부품상에 장착되고 또한 결합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벨트 센서 질량부에 의해 작동되는 커플링 요소상에 벨트 릴의 가속된 회전으로 인해 작동을 가하는, 특히 벨트 웨빙의 신장중에 처음에 전술한 유형의 좌석 벨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 15 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독일 특허 공개 제 DE 195 01 679 A1 호에 공개된 유형의 2 측면 레버 형태의 벨트 센서 질량부에 의해 작동되는 커플링 요소는, 충격 에너지 흡수 베어링(impact energy-absorbing bearing)에 의해 캐리어 부품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커플링 요소에 대한 베어링의 충격 흡수 특성으로 인해, 벨트 릴의 가속 회전 구동에 의해 벨트 웨빙의 신장시에 커플링 요소에 작용하는 힘은 결합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신장시에, 특히 신장의 초기에 또는 다단 신장기 구동(multi-stage tensioner drive)의 경우 개개의 구동 단 사이의 전환중에, 그리고 신장 과정의 말기에 발생하는 다양한 부하는 커플링 요소의 에너지 흡수 베어링에 의해 완화되므로, 커플링 요소 및 결합 부품, 특히 커플링 요소가 멈춤쇠로서 설계된 결합 부품과 결합하는 제어 부품의 치형부가 손상되지 않는다.
충격 에너지 흡수 베어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완충 베어링 면(shock-absorbing bearing face)이 커플링 요소상에, 특히 주하중 방향에 따라 제공된다. 여러 방향으로 또는 큰 각도 범위내에서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몇몇의 완충 베어링 면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등변 다각형, 특히 삼각형으로 배열된 3개 이상의 가요성 직선형 베어링 면(flexible rectilinear bearing face)이 중심점 둘레에 배치될 것이다. 커플링 요소의 분리된 결합 위치에서, 가요성 베어링 면은 삼각형의 중앙에서 캐리어 부품상에 고정된 베어링 핀의 둥근 베어링 위치에 놓인다. 커플링 요소의 결합 위치에서, 즉 커플링 요소가 제어 부품상에 관련 커플링 요소에 결합될 때, 커플링 요소의 가요성 직선형 베어링 면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어링 핀의 지지면상에 평탄하게 놓인다. 이러한 지지면은, 예를 들면 베어링 핀상에 규정된 커플링 요소의 피봇 축 둘레에 동일한 각도 피치로 배열된 베어링 핀상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커플링 요소상의 가요성 직선형 베어링 면은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블레이드의 일단부는 커플링 요소 본체에, 특히 일체형으로 견고히 결합되고, 그 자유단은 커플링 요소 본체 내의 리세스 내로 돌출한다. 블레이드는 가요성 탄성(flexibly resilient)이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커플링 요소가 과도한 하중을 받게 될 때 에너지 흡수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커플링 요소의 피봇 축 둘레의 원 위에 지지면을 갖는 추가의 베어링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면은 커플링 요소가 결합 위치에서 추가로 지지되는 추가의 베어링 요소상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요소는 벨트 센서 질량부상의 적어도 레버 아암상의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에 걸릴 수 있고, 이 레버 아암상에는 특히 커플링 요소성의 멈춤쇠 형태의 결합 부품이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은 커플링 요소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탄성 가요성 블레이드(resiliently flexible blad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주 블로킹 공정을 도입하는 사전 블로킹 상태를 제공하는 결합 장치는, 커플링 요소, 예를 들면 특히 제어 부품상에 피봇회전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멈춤쇠 형태의 커플링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요소는 차량에 과도한 가속이 작용할 때에 캐리어 부품, 특히 차량 센서 질량부에 의해 디스크형 캐리어 부품상의 주변 치형부와 커플링 결합(coupling engagement)한다.
따라서, 결합 장치로 인하여, 바람직하게는 래치트 휠로서 설계된 캐리어 부품과 본 발명에서 사전 조립된 구성요소의 외측 커버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제어 부품 사이에 사전 블로킹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부품과 캐리어 부품은 서로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벨트 웨빙 풀림 방향으로 릴의 회전을 전달한다.
블로킹 장치는 프레임상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멈춤쇠를 포함하고, 제어 부품의 제어 이동에 의해 벨트 릴과 주 블로킹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동 전달 요소가 안내되는 제어면은 블로킹 멈춤쇠와 제어 부품 사이에 작용한다. 제어면은 블로킹 멈춤쇠 및 이동 전달 요소상에, 예를 들면 제어 부품상에 핀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어 부품상에 제어면 및 블로킹 멈춤쇠상에 이동 전달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 전달 요소의 이동을 위한 말단 정지부가 제어면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말단 정지부는 사전 블로킹 공정 및 주 블로킹 공정에 관여하는 치형부 사이의 각도 피치를 보상하도록 과이동 위치(overtravel position)에 배치된다.
또한, 사전 블로킹 상태는 자동 리프트(automatic lift) 롤러 장치의 경우에 사전 블로킹 공정중에 추가의 회전이 방지되는 벨트 릴이, 그것의 블로킹 치형부에 의해 프레임상에 제공된 대향하는 치형부내에결합되는 방식으로 명백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어 부품, 래치트 휠로 설계될 수 있는 캐리어 부품, 벨트 웨빙 및 차량에 반응하여 작동될 수 있는 커플링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웨빙 및 차량에 반응하는 센서 질량부는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형성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의 기계적 측면상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정상 작동 위치에서 벨트 센서 질량부의 장치 및 관련 커플링 요소의 평면도,
도 3은 결합 위치(사전 방지 상태)에서 벨트 센서 질량부 및 캐리어 부품상의 관련 커플링 요소의 배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정상 작동 위치에서 벨트 센서 질량부에 의해 작동되는 커플링 요소의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결합 위치에서 벨트 센서 질량부에 의해 작동되는 커플링 요소의 확대도,
도 6은 정상 작동 위치에서 벨트 릴을 향하는 캐리어 부품의 배면도,
도 7은 사전 방지 위치에서 벨트 릴을 향하는 캐리어 부품의 배면도,
도 8은 벨트 센서 질량부가 그 위에 장착된 래치트 휠로서 설계된 캐리어 부품의 단면도,
도 9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의 기계적 측면상의 구성요소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은 정상 작동시에 벨트 릴에 대한 블로킹 멈춤쇠의 위치 설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벨트 릴의 블로킹 치형부와 블로킹 결합할 때의 블로킹 멈춤쇠의 위치 설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과이동 위치에서 블로킹 멈춤쇠의 블로킹 결합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참조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벨트 리트랙터는 U자형 프레임(1)을 갖는다. 측방향 내부 기어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벨트 릴(2)(도 9)은 좌석 벨트 웨빙을 감거나 풀기 위하여 프레임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기동 스프링은 프레임(1)의 스프링 측면상에 감김 방향으로 작용한다. 벨트 릴(2)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벨트 릴(2)의 블로킹 치형부(40)와 함께 2측면의 블로킹 결합하는 블로킹 멈춤쇠(blocking pawls)(36)를 포함하는 블로킹 장치(5)에 의해 블로킹된다. 블로킹 장치(5)는 프레임(1)(도 1 및 도 10 내지 도 12)상의 지지면(41)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좌석 벨트 리트랙터는 블로킹 장치(5)의 센서 유도 작동을 위한 기계적 측면을 갖는다. 기계적 측면의 구성요소는, 래치트 휠로서 설계된 캐리어 부품(3)과, 이 캐리어 부품(3)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4)와, 차량 센서 질량부(35)와, 벨트 웨빙 및 차량 센서 질량부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커플링 요소(14)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구성요소는 벨트 릴(2)과는 독립된 한정된 공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유닛을 형성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사전 조립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으로 구성된 벨트 센서 질량부(4)는 캐리어 부품(3)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조립시에 릴 축(11)과 일치하는 축(27) 둘레의 캐리어 부품(3)상에 베어링 부시(bush)(42)가 형성된다. 또한 벨트 센서 질량부(4)를 캐리어 부품(3)상에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클립 요소(25, 26)가 캐리어 부품(3)상의 축(27) 둘레에 제공된다. 클립 요소는 캐리어 부품의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조립시에 중첩된 클립 요소 후방에 배치되는 클립 림(clip rims)이 벨트 센서 질량부(4)상에 형성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어면(28, 29)이 벨트 센서 질량부(4)상에 제공된다. 2 측면 레버로 설계된 커플링 요소(14)의 레버 아암은 이들 제어면상에 놓인다. 커플링 요소(14)는 축(43)을 중심으로 피봇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축(43)은 베어링 핀(17)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베어링 핀(17)은 캐리어 부품(3)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부품(3)상의 2 측면 레버로서 설계된 커플링 요소(14)의 회전 장착은, 특히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커플링 요소 본체상에 형성되고 그 자유 단부가 리세스(20)내로 돌출한 블레이드(19)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커플링 요소(14)의 리세스(20)내에 제공된다. 블레이드(19)는 정상 작동 위치(도 2 및 도 4)에서 베어링 핀(17)의 원형 베어링 위치(16)에 존재하는 탄성 직선형 베어링 면(15)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 상태(도 3 및 도 5)에서, 커플링 요소(14)의 직선형 베어링 면(15)은 그것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 베어링 핀(17)상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면(18)상에 평탄하게 놓여 있다. 따라서, 커플링 요소(14)의 결합 위치에서 베어링 핀(17)과 커플링 요소(14) 사이에 평탄한 결합(flat connection)이 형성되고, 블레이드(19)는 벨트 릴의 가속 회전으로 인해 벨트 웨빙의 신장시에 발생할 수 있는, 특히 충격 하중의 경우에 에너지 흡수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극히 다양한 하중하에서 베어링 위치의 훼손, 특히 베어링 핀의 파손은 방지된다.
또한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베어링 요소(21, 22)는 캐리어 부품(3)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요소(21, 22)는 캐리어 부품(3)상에 커플링 요소(14)를 지지하기 위한 추가의 지지면을 갖는다. 축(43) 둘레에 원형으로 추가의 베어링 요소(21, 22)상에 형성된 지지면(23)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 핀(17)상에 등변 삼각형으로 놓인 블레이드(19)에 부가하여, 지지면에서 커플링 요소(14)상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는 피봇 베어링 요소가 제공된다. 또한, 커플링 요소(14)가 2개의 레버 아암의 영역에서 결합 위치에 배치되는 추가의 지지면(24)이 베어링 요소(21, 22)상에 제공될 수 있다.
벨트 센서 질량부(4)의 제어면(29)상에 커플링 요소(14)의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을 형성하는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32)은, 예컨대 커플링 요소(14)상의 멈춤쇠 형태의 결합 부품(30)이 구비된 레버 아암상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커플링 요소(14)상에 작용하는 충격 하중은 성형된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32)의 에너지 흡수 효과에 의해 완화됨으로써 커플링 요소(14)의 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벨트 센서 질량부(4) 및 커플링 요소(14)는 캐리어 부품과 벨트 릴 사이에 회전 결합으로 인한 벨트 릴의 가속 회전에 의해 신장되는 동안 릴 축(11) 둘레에서 벨트 감김 방향[화살표(44)]으로 구동되고, 결합 부품(30)은 제어 부품(6)상에 치형부로서 설계된 커플링 요소(31) 위를 스쳐지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경 부하는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32)에 의해 또는 블레이드(19)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 흡수 결합에 의해 완화되고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까지 감소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전 블로킹 상태는, 커플링 요소(14)상의 결합 부품(30)을 제어 부품(6)상에 내부 링 기어의 형태로 제공된 커플링 요소(31)와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된다(도 3 및 도 5). 이것은, 벨트의 풀림 방향으로의 벨트 릴의 대응하는 가속 회전 및 회전 부품의 관련된 가속 회전중에, 벨트 센서 질량부(4)가 그것의 관성으로 인해 캐리어 부품(3)에 대해서 센서 스프링(45)의 힘에 대항하여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릴 축(11)과 일치하는 축(27)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 부품(30)은 커플링 요소(14)상의 제어면(29)의 작용으로 인하여 제어 부품(6)상의 치형부로서 설계된 대응하는 커플링 요소(31)에 결합된다.
사전 블로킹 상태에서 나타나는 캐리어 부품(3)과 제어 부품(6) 사이의 회전 결합은 이러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특히 도 6,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트 휠로서 설계되고 벨트 센서 질량부(4) 및 커플링 요소(14)가 상술한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 부품(3)이 캡형 제어 부품(6)과 조립되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 부품(6)상에 형성된 베어링 부시(bush)(47)는 캐리어 부품(3)상의 베어링 부시(42)의 중앙 오리피스내로 삽입된다. 베어링 부시(47)는 제어 부품 및 캐리어 부품의 결합시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형되고, 2개의 부품이 함께 플러그 결합된 후에 다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 세그먼트로부터 형성되므로, 베어링 부시(47)의 링 세그먼트의 자유 단부에서 축방향 고정 수단(48)이 베어링 부시(42)상의 축방향 고정 수단(49)에 중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 부품(3)과 제어 부품(6)은 축방향으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접속은, 제어 부품(6)에 대향하는 캐리어 부품(3)이 2개의 베어링 부시(42, 47)에 의해 형성된 피봇 베어링내에서 함께 회전가능할 정도로 된다.
홀더(10)상의 클립 요소(9)와 결합하는 클립 요소를 형성하는 클립 요소(8)는 제어 부품(6)상의 림(50)의 외측 면상에 배치된다. 홀더(10)는 클립 요소 또는 플러그 인 결합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는 패스너(51)에 의해 프레임(1)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 부품(6)의 림상에 또 홀더(10)상의 상호맞물림(intermeshing) 클립 요소(8, 9)는 사전 조립된 유닛(7)의 조립시에 프레임(1)상에 또는 홀더(10)내에 제어 부품(6)의 피봇 장치를 위한 피봇 베어링을 형성한다. 상호맞물림 클립 요소(8, 9)에 의해 형성된 피봇 베어링은 제어 부품(6)이 릴 축(11)주위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또한 기계적 측면상에서의 커플링 장치가 차량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제어 부품(6)은 래치트 휠로서 설계된 캐리어 부품(3)상의 치형부(52)와 결합될 수 있는 멈춤쇠를 갖는 다른 커플링 요소(34)를 구비한다. 결합 이동은 제어 부품(6) 또는 홀더(10)상에 장착될 수 있는 차량 센서 질량부(35)에 의해 발생된다. 차량에 과도한 가속이 작용한다면, 차량 센서 질량부(35)가 변위됨으로써 커플링 요소(34)상에 제공된 멈춤쇠를 이동시켜 디스크형 캐리어 부품(3)(래치트 휠)의 림상의 치형부(52)와 결합시킨다. 제어 부품(6)상에 커플링 요소(34)의 피봇 장착을 위한 베어링 위치는 도면부호(53)로 도시되어 있다. 구형 차량 센서 질량부(35)의 이동은 홀더(10)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운동 전달 요소(54)에 의해 커플링 요소(34)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가속 증가에 따라 사전 블로킹 상태, 즉 캐리어 부품(3)과 제어 부품(6) 사이의 비회전 결합이 달성된다.
캐리어 부품(3)과 제어 부품(6)으로 구성된 사전 조립된 유닛(7)을 홀더(10)상에 조립하고[벨트 센서 질량부(4)는 서로를 향해 배향된 이들 부품(3, 6)의 표면 사이에 배치됨], 차량 센서[차량 센서 질량부(35) 및 운동 전달 요소(54)]를 설치한 후에, 커버링 플랩(55)이 홀더(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이러한 사전 조립된 유닛(56)은 프레임(1)의 기계적 측면상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요소(8)는 180°, 특히 250°내지 260°보다 큰 각도 범위내에서 제어 부품(6)상에 원형 림(50)의 외측 면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홀더(10)상의 제어 부품의 충분한 저마찰 선회 가능성이 보장된다. 이러한 선회(pivoting)는 제어 부품(6)상의 정지부(58)와 홀더(10)상의 정지부(59) 사이에 고정된 보유 스프링(57)의 힘에 대항하여 발생한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부품(3)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4)는 원형 접촉면(13)상에 저마찰로 장착된다. 원형 접촉면(13), 특히 반구형 접촉면은 캐리어 부품(3)의 디스크 면의 리세스내에서 캐리어 부품 본체상에 형성된 스프링 요소(12)상에 배치된다. 벨트 센서 질량부(4)용 원형 접촉면(13)은 스프링 요소의 각각의 팁에 배치된다. 조립 상태에서, 벨트 센서 질량부(4)는 서로 캐리어 부품(3) 및 제어 부품(6)을 향하여 선회되는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캐리어 부품(3)상의 장착은 저마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최소의 마찰을 갖는 소음 없는 축 위치설정을 규정하는 것이 달성된다. 벨트 센서 질량부(4)는 고정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향이 있고, 스프링 요소(12)는 고정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반발력을 형성한다.
캐리어 부품(3)의 배면상에는 벨트 릴(2)에 대한 비회전 결합을 형성하는 돌출부(60, 61)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대응하는 리세스(63, 64)(도 1)가 벨트 릴(2)내에 제공된다. 돌출부(60)는 캐리어 부품(3)의 디스크형 부분내의 리세스(63)를 둘러싼다. 벨트 센서 질량부(4)상에 형성된 돌출부(65)는 이러한 리세스내로 돌출한다. 프레임형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리세스(62) 및 돌출부(60)의 내측 면의 횡방향 경계부는 벨트 센서 질량부(4)가 캐리어 부품(3)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회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stop)를 형성한다. 캐리어 부품(3)의 배면상의 환형 패스너(51)는 대략 사다리꼴 프레임형 돌출부(60)의 옆에 제공된다. 따라서, 캐리어 부품(3)과 벨트 릴(2) 사이에 고정된 회전 결합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벨트 릴(2)상의 리세스(63, 64)가 성형된다. 또한, 축(27) 둘레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벨트 센서 질량부(4)내의 리세스(69)내로 돌출한 기다란 정지부(68)가 캐리어 부품의 다른 측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사전 블로킹 상태[캐리어 부품(3)과 제어 부품(6) 사이의 회전 결합]가, 예를 들면 사고의 경우에 차량에 반응하고 및/또는 벨트 웨빙에 반응하여 작동된 커플링 장치에 의해 형성되면, 풀림 방향으로의 좌석 벨트 웨빙의 이동은 벨트 릴(2)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제어 부품(6)상에 전달된다. 제어 부품(6)은 풀림 방향(66)으로 동시에 선회한다(도 6, 도 7, 도 10 내지 도 12). 따라서 제어 부품상에 고정된, 예를 들면 핀 형상의 운동 전달 요소(38)는 블로킹 장치(5)상의 제어면(37)을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블로킹 멈춤쇠(36)는 도 10에 도시된 정상 작동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블로킹 위치로 된다. 이러한 블로킹 위치에 있어서, 블로킹 멈춤쇠(36)는 벨트 릴(2)의 블로킹 치형부(40)내의 결합 멈춤쇠 부품과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릴(2)의 양 측면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치형부의 피치 내의 편차로부터 발생하는 각도(3°까지)의 차이는 블로킹 장치(5)상에 제공되고 말단 정지부(39)에 의해 형성되는 과이동 위치에 의해 보상된다. 이러한 과이동 위치에서, 운동 전달 요소(38)는 과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말단 정지부(39)상에 배치된다. 벨트 릴(2)은 벨트 릴(2)의 블로킹 치형부내에서 블로킹 멈춤쇠(36)의 결합에 의해 추가의 회전이 방지된다. 벨트 웨빙에 의해 벨트 릴(2)내에 도입된 힘은 프레임상의 지지면(41)내에서 지지되는 벨트 릴(2) 및 블로킹 멈춤쇠(36)에 의해 프레임(1)으로 운반된다.

Claims (32)

  1. - 좌석 벨트를 감고 풀기 위해서 프레임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릴(belt reel)과,
    - 상기 벨트 릴의 회전을 방지하는 블로킹 장치와,
    - 상기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부품과,
    - 상기 벨트 릴과 함께 회전하는 캐리어 부품상에 가동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belt sensor mass)와,
    - 차량 센서 질량부와,
    - 상기 캐리어 부품과 상기 제어 부품 사이의 가동 접속이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 또는 차량 센서 질량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릴이 풀리는 방향으로 벨트 릴의 회전을 전달하여 상기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키는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고,
    - 벨트 센서 질량부(4)가 그 위에 장착된 상기 캐리어 부품(3)과 상기 제어 부품(6)이 사전 조립된 유닛(7)을 형성하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에 있어서,
    -상기 사전 조립된 유닛(7)은 상기 프레임(1)상에 또는 상기 프레임(1)에 고정된 홀더상에 끼워질 수 있고,
    - 상기 프레임(1)상에 또는 상기 홀더(10)상에 및 상기 사전 조립된 유닛(7)상에 서로 끼워진 결합 요소는 상기 릴 축(11)의 둘레에 상기 제어 부품(6)용의 선회 베어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조립된 유닛(7)은 상기 커플링 장치의 요소[커플링 요소(14, 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는 클립 요소(8,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장치(5)는 제어 부품(6)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어 부품(6)은 서로 끼워지고 릴 축(11) 둘레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한 클립 요소(8, 9)에 의해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조립된 유닛(7)상의 클립 요소(9)는 제어 부품(6)의 원형 림(50)상에 180°이상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요소(9)는 원형 림(50)상에 약 250°내지 260°의 각도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요소(8, 9)에 의해서 형성된 피봇 베어링은 반경방향의 유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품(3)과 상기 제어 부품(6)은 상기 릴 축(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상호 대향하는 평행면을 가지며, 이들 평행면 사이에는 디스크 형태로 설계된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4)가 캐리어 부품(3)상의 릴 축(11)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4)의 축방향 변위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형성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1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프링 요소(12)가 상기 릴 축(11) 둘레에 원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2)는 캐리어 부품(3)상에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12)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프링 요소(12)는 벨트 센서 질량부(4)가 안착되는 원형 접촉면(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4개의 스프링 요소(1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좌석 벨트를 감고 풀기 위해서 프레임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릴과,
    -상기 벨트 릴의 회전을 방지하는 블로킹 장치와,
    -상기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부품과,
    -상기 벨트 릴과 함께 회전하는 캐리어 부품상에 가동 장착된 벨트 센서 질량부와,
    -차량 센서 질량부와,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캐리어 부품과 상기 제어 부품 사이의 가동 접속이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 또는 차량 센서 질량부에 의해서 제공되어 릴이 풀리는 방향으로 벨트 릴의 회전을 전달하여, 상기 블로킹 장치를 작동시키는,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4)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커플링 장치의 구성요소인 커플링 요소(14)가 충격 에너지 흡수 베어링에 의해서 캐리어 부품(3)상에 가동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직선형 베어링 면이 상기 커플링 요소(14)상에 형성되어 충격 에너지 흡수 베어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등변 다각형으로 배열된 적어도 3개의 가요성 직선형 베어링 면(15)이 상기 커플링 요소(14)상에 형성되어 충격 에너지 흡수 베어링을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면(15)은, 상기 커플링 요소(14)의 탈착 위치(정상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캐리어 부품(3)상에 체결되고 삼각형의 중심에 놓인 베어링 핀(17)의 원형 베어링 위치(16)에 안착되며, 그리고 상기 커플링 요소(14)의 결합 위치에서는, 상기 커플링 요소(14)의 베어링 면(15)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베어링 핀(17)상에 형성된 지지면(18)에 대해 평탄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직선형 베어링 면(15)은 상기 커플링 요소(14)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 요소 본체 내의 리세스(20)에 배열된 블레이드(19)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19)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커플링 요소 본체에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14)의 회전 장착을 위한 추가의 베어링 요소(21, 22)가 상기 캐리어 부품(3)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베어링 요소(21, 22)는 피봇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커플링 요소(14)의 축(43) 주위에 원형으로 정렬된 지지면(23) 또는 결합 위치에서 상기 커플링 요소를 추가로 지지하는 지지면(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복수의 클립 요소(25, 26)가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4)의 축(27) 둘레의 상기 캐리어 부품(3)상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4)를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14)는 2측면 레버로 설계되고, 상기 2측면 레버의 2개의 레버 아암이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4)의 2개의 제어면(28, 29)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제어 부품(6)상의 대응하는 커플링 요소(31)내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부품(30)이 하나의 레버 아암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14)는 적어도 상기 결합 부품(30)이 제공되는 상기 레버 아암상에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32)을 갖는 상기 벨트 센서 질량부(4)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에너지 흡수 접촉면(32)은 상기 커플링 요소(14)상에 성형된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제어 부품(6)상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차량 센서 질량부(35)에 의해 상기 캐리어 부품(3)과 커플링 결합될 수 있는 커플링 요소(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장치(5)를 작동하기 위한 상기 제어 부품(6)의 이동은 상기 블로킹 장치상의 제어 부품의 과이동 결합(overtravel engagement)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장치(5)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멈춤쇠(36)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멈춤쇠(36)는 상기 프레임(1)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어 부품(6)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벨트 릴(2)과 블로킹 결합할 수 있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품(6)의 이동은 제어면(37)을 따라서 안내되는 운동 전달 요소(38)에 의해 상기 블로킹 멈춤쇠(36)상에 전달될 수 있고, 과이동 위치를 형성하는 말단 정지부(39)가 상기 제어면(37)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품(6), 상기 캐리어 부품(3) 및 상기 커플링 요소(14, 34)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품(3)과 상기 제어 부품(6)은 상기 제어 부품(6)상의 상기 캐리어 부품(3)의 회전가능한 결합을 위한 피봇 베어링을 동시에 형성하는 플러그 인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베어링을 형성하는 상기 플러그 인 결합은 축방향 고정 수단(48, 49)과 서로 플러그 결합되는 상기 캐리어 부품(3)상의 베어링 부시(bush)(42) 및 상기 제어 부품(6)상의 베어링 부시(4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벨트 리트랙터.
KR10-2000-7001375A 1997-08-12 1998-08-04 좌석 벨트 리트랙터 KR100470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4907.2 1997-08-12
DE1997134907 DE19734907C1 (de) 1997-08-12 1997-08-12 Sicherheitsgurtaufroller
PCT/IB1998/001190 WO1999007582A2 (de) 1997-08-12 1998-08-04 Sicherheitsgurtauf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775A KR20010022775A (ko) 2001-03-26
KR100470626B1 true KR100470626B1 (ko) 2005-03-07

Family

ID=783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375A KR100470626B1 (ko) 1997-08-12 1998-08-04 좌석 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3398B1 (ko)
EP (1) EP1003654B1 (ko)
KR (1) KR100470626B1 (ko)
BR (1) BR9811150A (ko)
DE (2) DE19758495C2 (ko)
WO (1) WO19990075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7362A1 (de) 1999-04-16 2000-10-19 Breed Automotive Tech Sicherheitsgurtaufroller
US7857099B2 (en) * 2001-04-24 2010-12-28 Reliance Industries, Llc Twin retractable for fall arrest
GB2379910B (en) * 2001-09-19 2003-09-24 Breed Automotive Tech Seat belt retractor
US7281620B2 (en) * 2003-09-05 2007-10-16 D B Industries, Inc. Self-retracting lifeline
US20050189176A1 (en) * 2004-02-10 2005-09-01 Demeyer Gerald Safety harness with removable outer shell
US7210645B2 (en) * 2004-09-13 2007-05-01 Paterson Richard M Safety element retention reel
DE102004054078B4 (de) * 2004-11-09 2013-03-07 Key Safety Systems, Inc. Verfahren zum Blockieren einer Wickelwelle eines Sicherheitsgurtaufrollers
CN100422002C (zh) * 2005-01-20 2008-10-01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安全带卷绕装置
JP4580253B2 (ja) * 2005-02-21 2010-11-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060188354A1 (en) * 2005-02-24 2006-08-24 Bosley James M Cargo restraint apparatus
US7455256B2 (en) 2005-04-18 2008-11-25 Key Safety Systems, Inc. Seatbelt retractor having a cushioned sensor actuator
US7946387B2 (en) * 2006-01-03 2011-05-24 D B Industries, Inc. Self-retracting lifeline
GB2440134B (en) * 2006-07-14 2011-04-20 Latchways Plc Speed responsive engagement device
KR100835936B1 (ko) * 2007-05-16 2008-06-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KR100835938B1 (ko) * 2007-05-16 2008-06-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
KR100878105B1 (ko) * 2007-05-18 2009-01-14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0850922B1 (ko) * 2007-05-18 2008-08-08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
KR101252511B1 (ko) * 2008-03-31 2013-04-09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DE102009034048B4 (de) 2009-07-21 2015-10-22 Key Safety Systems, Inc.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KR101113183B1 (ko) * 2009-10-14 2012-02-15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
US8567562B2 (en) * 2009-11-02 2013-10-29 B D Industries, LLC Brake assembly for a self-retracting lifeline assembly
DE102011103113A1 (de) * 2011-05-25 2012-11-29 Trw Automotive Gmbh Baugruppe für einen Gurtaufroller
US9121462B2 (en) 2011-10-28 2015-09-01 D B Industries, Llc Self-retracting lifeline
US9821178B2 (en) 2013-02-08 2017-11-21 D B Industries, Llc Bracket assembly
US11993477B2 (en) * 2020-08-18 2024-05-28 Checkmate Lifting & Safety Ltd Retractable tool lanyar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0421C3 (de) * 1976-05-08 1979-12-13 Hans Kolb Gmbh & Co, 8065 Grossberghofen Sicherheitsgurtauf rollvorrichtung
US4148446A (en) * 1976-05-12 1979-04-10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Dual sensitive retractor
DE8009960U1 (de) * 1980-04-11 1980-08-07 Kolb Gmbh & Co, 8065 Erdweg Fahrzeugsensitive blockiervorrichtung
DE3205515A1 (de) * 1981-11-30 1983-06-09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Vorrichtung zum blockieren einer aufrolleinrichtung fuer sicherheitsgurte
EP0228115A1 (en) * 1982-04-20 1987-07-08 Ase (Uk) Limited Emergency locking vehicle seat belt retractor
US4603819A (en) * 1984-02-22 1986-08-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DE3418378A1 (de) * 1984-05-17 1986-02-13 Britax-Kolb GmbH & Co, 8065 Erdweg Gurtaufroller fuer fahrzeugsicherheitsgurte
SE452444B (sv) * 1986-04-30 1987-11-30 Autoliv Dev Troghetskroppstyrt ingreppsorgan for tandforsedda styrhjul i lasanordningar i sekerhetsselar for fordon
DE3711537A1 (de) * 1987-04-06 1988-11-03 Ase Deutschland Gmbh Sicherheitsgurt-aufrollautomat
DE3920140A1 (de) * 1989-06-20 1991-01-17 Autoliv Kolb Gmbh & Co Gurtaufroller fue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9102117U1 (de) * 1991-02-22 1991-08-29 TRW Repa GmbH, 7077 Alfdorf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m fahrzeugsensitiven und/oder gurtbandsensitiven Sperrmechanismus
DE4314178A1 (de) * 1993-04-29 1994-11-03 Icsrd Rueckhaltesysteme Fuer F Sicherheitsgurtaufrollautomat
EP0631911A1 (de) * 1993-07-02 1995-01-04 Volkseigenes Unternehmen Norma Gurtaufroller für Sicherheitsgurte von Fahrzeug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487515A (en) * 1993-11-23 1996-0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lock bar actuator
US5372294A (en) * 1994-01-27 1994-12-13 Motorola, Inc. Method of preparing a component for automated placement
DE19501679C2 (de) 1995-01-20 1999-07-08 Hs Tech & Design Gurtbandsensor für einen Aufrollautomaten eines Sicherheitsgurtes
US5622327A (en) * 1995-08-29 1997-04-22 Indiana Mills And Manufacturing, Inc. Emergency locking seat belt retractor
DE19648472C1 (de) * 1996-11-22 1998-07-09 Autoliv Dev Sicherheitsgurtauf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58495C2 (de) 2003-12-04
WO1999007582A2 (de) 1999-02-18
EP1003654A2 (de) 2000-05-31
BR9811150A (pt) 2000-07-25
KR20010022775A (ko) 2001-03-26
US6283398B1 (en) 2001-09-04
DE59804447D1 (de) 2002-07-18
EP1003654B1 (de) 2002-06-12
WO1999007582A3 (de) 1999-04-29
DE19758495A1 (de)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626B1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EP0700812B1 (en) Inertia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US5882084A (en) Tilt locking seat belt retractor
US3446454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GB2026305A (en) Safety belt apparatus
KR20090092308A (ko) 벨트끈-감응 및 차량-감응의 제어 시스템과 차단될 수 있는 안전벨트 위축기
US4483495A (en) Mechanism for blocking a roll-up device for safety belts
EP0361075A1 (en) A safety belt arrangement
US6311918B1 (en)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a seat belt
US20010004094A1 (en) Safety belt apparatus for vehicles
CN103298664A (zh) 用于安全带卷收器的带有端位锁紧阻挡的锁紧单元
US4190213A (en) Safety belt take-up device
CZ289577B6 (cs) Spojka mezi hřídelem pásu navíjecího ústrojí pásu a otočným pohonem napínacího ústrojí pásu
US5014926A (en) Web sensitive and vehicle sensitive retractor
US4467980A (en) Safety belt roll-up device
US5820060A (en) Seat belt retractor
US4830310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comfort mechanism
JP2952832B2 (ja) 拘束解除装置を持つベルト巻取り器
US5669573A (en) Belt retractor
US4844375A (en) Winder for a safety belt
EP0680855B1 (en) Tension reducing retractor with an energy absorbing device
JPH078044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85358B2 (ja) 安全ベルト収納器の製作方法
EP0681949B1 (en) Silent seat belt comfort retractor
JPS6056654B2 (ja) 安全ベルト自動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