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011B1 -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011B1
KR100469011B1 KR10-2002-0035048A KR20020035048A KR100469011B1 KR 100469011 B1 KR100469011 B1 KR 100469011B1 KR 20020035048 A KR20020035048 A KR 20020035048A KR 100469011 B1 KR100469011 B1 KR 10046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urnout
polyester
cellulose fiber
organic ac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558A (ko
Inventor
정인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상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상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상실업
Priority to KR10-2002-003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0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 아웃(burn out) 공정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알려진 무기산 및그 무기산의 산성염 대신에 수용성이며 고온증열시 휘발성이 없고 착색분산 염료의 발색에 큰 부작용을 주지 않고도 유기산을 이용하여 셀룰로스섬유를 효과적으로 분해, 용탈시켜 선명한 색상의 섬유를 경제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번 아웃 가공방법은 셀루로스 섬유분해에 사용되는 종래의 무기산 대신 옥살산, 타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함으로써 좋은 발식성을 가지는 동시에 폴리에스테르에 좋은 발색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Burn out finishing of polyester fiber}
본 발명은 번 아웃 가공용 발식제 및 그 발식제를 사용하는 번 아웃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의 무기산 및 그 무기산의 산성염 대신에 수용성이며 고온증열시 휘발성이 없고 착색  분산 염료의 발색에 큰 부작용을 주지 않는 유기산을 이용하여 셀룰로스 섬유를 효과적으로 분해, 용탈시켜 선명한 색상의 섬유를 경제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번아웃,발식가공(拔食加工)혹은 오펄가공이란 화학적으로 성질이 다른 섬유의 혼방 교직물을 화학 반응에 의해 한쪽의 섬유를 파괴시켜 분리해 냄으로써 부분적으로 투명한 무늬를 만들어 입체적인 디자인을 표현하거나,레이스가공,폴리에스테르에 실크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특수가공 방법이다.
특히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화학적으로 안정한 소재이기  때문에 번아웃 가공의 골격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용탈되는 소재로서 셀룰로스가 흔히 사용 되고 있다.면,마,비스코스 레이온 등의 셀룰로스섬유는 특히 산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되어 제거시킬 수 있어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섬유인 면,마,비스코스, 레이욘, 혼 교직물의 번아웃 및 번아웃 호에 분산염료를 첨가하고 동시에 폴리에스테르를 착색시키는 착색 번아웃 가공방법이 섬유개발연구 Vol.13, No.4(1999)80, 가공기술 Vol.34, No.2(1999)137, 날염기술(신중규 저)등의 여러 기술자료 문헌 및 염 조제 회사의 기술 세미나 자료문헌에 알려져 있다.셀룰로스 섬유는 포도당의 탈수반응에 의한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로서 산 분위기 아래에서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면 중합도가 저하되어 물에 용해된다. 특히 수분이 적은 상태,강산성 조건에서 가열할 경우 셀룰로스 섬유의 탈수화 반응이 진행되어 섬유소가 탄화하게 된다.이때 사용되는 산은 무기산 및 그 산성염인 황산, 황산수소나트륨,황산알루미늄,황산제이철 등이 알려져 있다.이들 무기산 및 그 산성염들은 고온조건하에서 증열할 때 셀룰로스 섬유소를 심하게 탄화고착시켜 수세과정에서 셀룰로스 탄화물의 제거가 쉽지 않으며, 착색 번아웃 공정을 시킬 경우 분산염료를 심하게 소색시켜 그 날염된 색상이 선명하게 살아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번아웃 공정에 있어서 상기의 종래기술에 알려진 무기산 및 그 무기산의 산성염 대신에 수용성이며 고온증열시 휘발성이 없고 착색  분산 염료의 발색에 큰 부작용을 주지 않는 유기산을 이용한 발식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룰로스 섬유를 효과적으로 분해, 용탈시켜 선명한 색상의 섬유를 경제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혼, 교직물의 번아웃 및 착색 번아웃 가공용 발식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기산 발식제는 황산, 인산, 황산수소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제2철 등의 무기산 및 무기산의 산성염을 유기산 중량 대비 1~20%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발식제를 날염호 중량 대비 2~50% 사용하여 날염하고, 건조, 열처리 및 수세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혼, 교직물의 번아웃 가공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기산으로는 2가 산인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시트르산(citric acid) 및 1가 산인 글리콜산(glyco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등이 있다.
상기 유기산 중 분자량이 적으면서 수용액에서 강한 산성인 옥살산이 가장 적합하나 상기 유기산들의 조합에 의한 선택도 가능하다.그 사용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날염호 중량의 2-50% 정도가 적합하며 옥살산의 경우 3-8%에서도 충분한 발식효과와 착색 번아웃의 경우 폴리에스테르에 좋은발색성을 얻을 수 있다. 그 외 유기산의 경우 분자량이 커 질수록 그 사용량도 증가시켜 주어야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하면 옥살산이 가장 바람직한 유기산으로 간주된다.또 이들 유기산에 무기산이나 그 산성염을 유기산 중량 대비 1~20%의 비율로 혼합 사용하여도 좋은 발식성과 착색 번아웃의 경우 폴리에스테르에 좋은 발색성을 얻을 수 있다. 
번아웃 가공의 일반적인 처리방법은 셀룰로스 섬유 발식제인 산과 침투제  및 소포제 그리고 동시에 착색을 시킬 경우 분산염료  및 염료 고착제등을 산 조건에 안정한 호에 녹여 만들어진 날염호를 포에 날염후 써머졸이나 고온증열(HT증열)방법에 의해 열처리를 하여 셀룰로스섬유를 분해한 후 수세하여 완성품을  제작한다.산에 안정한 호제는 구아, 로커스트빈 검이 양호하며 점성 면에서는 합성 호제인 히드록시 메틸셀룰로스가 양호하다. 열처리 방법에는 주로 건열 처리나 HT증열을 행하며 간단히 발식만을 요구하는 경우170~180 /1분 정도의 건열처리 쪽이 문양의 선명성과 발식효과 면에 유리하며 염료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에 착색을 동시에 시키는 착색발염에서는 170~180 /5~10분 정도 HT 증열을 행하는 것이 발식성과 분산염료의 발색성에 효과적이다.
착색 발염시 사용되는 산에 강한 염료는 아조계 보다 퀴논계,퀴노프탈론계,티오인디고계,플라빈계 염료가 비교적 산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염료는 호제와 먼저 혼합 후 나중에 발식제를 첨가하는 것이 염료의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염료고착제,침투제,소포제등의 조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식제 및 번 아웃가공방법은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예를 들어 면, 마, 비스코스 레이욘, 혼, 교직물에 적용된다.
아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시험원단은 정련된 폴리에스테르/레이욘(65/35)의 교직물을 이용하여 아래 날염 조성 호를 만들어 시험포에 날염, 건조(90 /2분)후 HT증열(170 /8분)하여 수세 후 발식성 및 착색 번아웃의 경우 발색성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조성에서 x는 유기산의 양으로 하기 표 1에 그 양을 나타내었다.
 
호조성(g)
분산염료 0~3
로쿠스트빈검 4
유기산 x
글리세린 3
염착촉진제 0~3
내산성 소포제 1
물       나머지
--------------
계 100
표 1. 본 발명의 각 유기산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레이욘 교직물의 착색 번아웃 공정에 있어서 발식도과 발색도에 관한 비교.
본 발명의 착색 번아웃 방법은 셀루로스 섬유분해에 사용되는 종래의 무기산 대신 옥살산, 타타르산, 말릭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함으로써 좋은 발식성을 가지는 동시에 폴리에스테르에 좋은 발색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Claims (5)

  1.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혼, 교직물의 번아웃 및 착색 번아웃 가공용 발식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황산, 인산, 황산수소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및 황산 제2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기산 중량 대비 1~20%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혼, 교직물의 번아웃 및 착색 번아웃 가공용 발식제.
  3. 발식제로서,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을 2-5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혼, 교직물의 번아웃 및 착색 번아웃 가공용 날염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식제는 황산, 인산, 황산수소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및 황산 제2철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기산 중량 대비 1~20%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혼, 교직물의 번아웃 및 착색 번아웃 가공용 날염호.
  5. 발식제로서,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말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및 글루콘산(gluconic acid)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산을 2-50중량% 포함하는 날염호를 사용하여 날염하고, 건조, 열처리 및 수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셀룰로스 섬유 혼, 교직물의 번아웃 가공방법.
KR10-2002-0035048A 2002-06-21 2002-06-21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 KR10046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048A KR100469011B1 (ko) 2002-06-21 2002-06-21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048A KR100469011B1 (ko) 2002-06-21 2002-06-21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558A KR20040000558A (ko) 2004-01-07
KR100469011B1 true KR100469011B1 (ko) 2005-02-02

Family

ID=3731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048A KR100469011B1 (ko) 2002-06-21 2002-06-21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668B1 (ko) * 2005-05-11 2006-08-25 주식회사 유상실업 번 아웃 가공방법
KR100925019B1 (ko) * 2009-07-27 2009-11-03 (주)현대특수나염 날염 및 착색 번아웃 동시 가공용 날염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날염 및 착색 번아웃 동시 가공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897A (en) * 1982-03-15 1983-11-29 Cassella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eparing burn-out effects on textile materials
JPH06146180A (ja) * 1991-02-28 1994-05-27 Toyobo Co Ltd セルロ−ス系抜食布
JPH06341066A (ja) * 1993-05-28 1994-12-13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セテート繊維含有織編物の加工方法
JPH0782677A (ja) * 1993-09-08 1995-03-28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セテート系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70273A (ko) * 1997-05-22 1997-11-07 신재명 번아웃 가공용 원단의 재직방법 및 그 재직물
JPH1025674A (ja) * 1996-03-27 1998-01-27 Asakura Senpu Kk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を含む布帛の抜食加工法
KR20030037711A (ko) * 2001-11-05 2003-05-16 김병길 직물의 착색 번아웃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897A (en) * 1982-03-15 1983-11-29 Cassella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eparing burn-out effects on textile materials
JPH06146180A (ja) * 1991-02-28 1994-05-27 Toyobo Co Ltd セルロ−ス系抜食布
JPH06341066A (ja) * 1993-05-28 1994-12-13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セテート繊維含有織編物の加工方法
JPH0782677A (ja) * 1993-09-08 1995-03-28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セテート系繊維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5674A (ja) * 1996-03-27 1998-01-27 Asakura Senpu Kk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を含む布帛の抜食加工法
KR970070273A (ko) * 1997-05-22 1997-11-07 신재명 번아웃 가공용 원단의 재직방법 및 그 재직물
KR20030037711A (ko) * 2001-11-05 2003-05-16 김병길 직물의 착색 번아웃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558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Halim et al. Utilization of hydroxypropyl cellulose and poly (acrylic acid)-hydroxypropyl cellulose composite as thickeners for textile printing
Chattopadhyay et al. Printing of jute fabric with natural dyes extracted from manjistha, annatto and ratanjot
KR100469011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번 아웃 가공방법
JP2996654B1 (ja) 合成系繊維材料の抜蝕剤および抜蝕加工方法
TWI395793B (zh) 紅色甕染料之混合物、彼之製法及彼於染色含羥基的材料上之用途
CN1266332C (zh) 聚酯和纤维素混合的织物的烂花整理方法
CN111320882B (zh) 一种大红色活性染料混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51524B1 (ko) 인디고 염색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디고 염색 원단
DE1012583B (de) Verfahren zur Erhoehung der Anfaerbbarkeit von Faeden, Fasern oder Erzeugnissen hieraus aus Polyacrylnitril oder dieses enthaltenden Mischpolymerisaten
CN108049209B (zh) 一种活性数码印花浆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228918B2 (ja) 合成系繊維材料の抜蝕剤、抜蝕加工方法及び抜蝕加工合成系繊維材料
JP2010163719A (ja) ポリ乳酸繊維と綿又はセルロース系繊維との複合繊維構造物に対するシルケット加工方法
JPS6143472B2 (ko)
KR102450090B1 (ko) 면직물 날염용 조성물
JPS6385186A (ja) セルロ−ス系繊維布帛の染色方法
JPS5848675B2 (ja) 反応染料染色物の抜染方法
CN108505367B (zh) 一种节水低污染的印染方法
CN114687227A (zh) 一种棉/聚酰胺织物喷墨印花处理工艺及预处理剂
Othman et al. Various Printing Techniques of Viscose/polyester Fabric to Enhancing its Performance Properties
RU2021406C1 (ru) Способ придания эффекта полупрозрачности тканям из смеси хлопковых и полиэфирных волокон
KR100776603B1 (ko) 폴리아마이드 인공피혁의 나염방법
CN117802800A (zh) 一种棉纺织品清洁染色工艺
JPH03294576A (ja) 顔料着色繊維の脱色剤及び脱色方法
JPS5887363A (ja) 繊維製品の精練方法
JPS584116B2 (ja) 変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防染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017

Effective date: 200802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286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017

Effective date: 200802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2

Effective date: 20080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324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2

Effective date: 20080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3520;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3681;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328

Effective date: 200812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03520;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328

Effective date: 200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