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740B1 -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740B1
KR100467740B1 KR10-2002-0030742A KR20020030742A KR100467740B1 KR 100467740 B1 KR100467740 B1 KR 100467740B1 KR 20020030742 A KR20020030742 A KR 20020030742A KR 100467740 B1 KR100467740 B1 KR 10046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fuel tank
counterweight
cradle devic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898A (ko
Inventor
이상헌
심홍섭
박진홍
Original Assignee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740B1/ko
Priority to US10/162,233 priority patent/US6637706B2/en
Priority to AU45805/02A priority patent/AU782189B2/en
Priority to GB0212878A priority patent/GB2376219B/en
Publication of KR2003009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18Fuel or oil tank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2)와, 카운터웨이트(2)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는 제 1크레들 장치(3)및 제 2크레들 장치(5)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크레들 장치(5) 각각은, 카운터웨이트(2)상부의 원점위치(A)와 카운터웨이트(2)외측의 회동위치(B)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카운터웨이트(2)에 장착되는 제 1바디(30)와, 연료탱크(T)를 지지할 수 있고 제 1바디(30)에 대해 펼쳐지는 펴짐위치(C)와 제 1바디(30)에 대해 하방으로 접혀지는 접힘위치(D)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제 1바디(30)에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바디(40)로 된 크레들(20)과; 크레들(20)의 제 1바디(30)와 제 2바디(40) 중 어느 하나에 연료탱크(T)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묶는 클램프 조립체(60)와; 크레들(20)을 원점위치(A)에서 카운터웨이트(2)에 록킹시키기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축선과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크레들을 통하여 연료탱크를 교환하기 용이한 위치로 배치시킴으로써 연료탱크를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연장가능한 크레들을 통해 연료탱크를 지면에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써 고중량의 연료탱크를 들어 올리는데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예비연료탱크를 더 장착하도록 한쌍으로 설치함으로써, 연료의 소진시 예비연료탱크의 연료를 통하여 연속적인 연료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DUAL TYPE CRADLE DEVICE FOR LPG TANK IN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연료 공급이 가능하도록 예비 연료탱크를 더 장착할 수 있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차체와,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마스트 조립체를 따라 승강하면서 하물을 올리거나 내리는 포크 캐리지와, 고중량의 하물을 올리거나 내릴 때 지게차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와, 차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엔진을 갖추고 있다.
한편, 액화석유가스(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지게차의 경우 카운터웨이트의 상부에는 연료탱크, 예를 들어 액화석유가스 탱크를 눕혀서 올려놓고 고정할 수 있는 크레들이 제공되고, 연료탱크의 연료가 소진되면 연료탱크는 새것으로 교환해야 한다. 예컨대, 지게차가 대략 9시간 정도 운행을 하게 되면, 연료탱크의 연료는 거의 소진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하루에 한번 정도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를 도 1a 및 도 1b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차체(1)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웨이트(2)의 상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3)가 볼트(4)에 의해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마운팅 플레이트(3)의 상면에는연료탱크(T)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프 조립체(6)가 설치된다. 클램프 조립체(6)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상,하부 클램프 (6a, 6b)가 힌지(6c)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고, 하부 클램프(6b)는 마운팅 플레이트(3)의 상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하부 클램프(6a, 6b)의 한쪽에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기구(6d)가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T)를 새것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래치기구(6d)의 잠김 상태를 풀어준 후, 힌지(6c)를 중심으로 상부 클램프(6a)를 회전시켜 열어주고, 하부 클램프(6b)에 올려놓여진 연료탱크(T)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꺼낸다. 그런 다음, 새것의 연료탱크(T)를 들어올려 하부 클램프(6b)에 올려놓고, 힌지(6c)를 중심으로 상부 클램프(6a)를 닫는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래치기구(6d)를 이용하여 상하부 클램프(6a, 6b)를 록킹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연료탱크(T)의 교환작업이 매우 힘들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연료가 소진된 액화석유가스 탱크의 무게는 약 20kg 정도이나, 연료가 채워진 경우에는 약 40kg에 이른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하부 클램프(6b)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에는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료탱크(T)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연료탱크(T)를 떨어뜨리면, 부상 또는 폭발의 위험마저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여성 지게차 운전자가 늘어나고 있는 바, 여성 운전가가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에는 더 더욱 큰 어려움과 위험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지게차의 크레들 장치는, 하나의 연료탱크(T)만을 장착하는 바, 연료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서 연료가 소진되면, 운행 또는 작업을 중단해야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하나의 연료탱크(T)를 교체해가며 사용하는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연료 게이지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탱크(T)내의 연료 잔유량을 알 수 없는 바, 연료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원격지에서 연료가 소진되면, 부득이 운행을 중단해야하거나 또는 작업을 중단한 채, 원거리로부터 연료탱크(T)를 운반해와야 하는 것이다. 한편, 연료탱크(T)에 연료게이지를 설치하여 연료의 잔유량을 표시할 수도 있지만, 이같은 경우, 연료탱크(T) 각각에 연료게이지를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바,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되고, 특히 연료탱크(T)를 운반하거나 교환하는 과정에서 연료게이지가 쉽게 손상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연료의 잔유량 측정을 위해 압력게이지를 설치하는 경우, 주위의 온도 및 사용조건에 따라 많은 측정오차가 발생되어 연료 잔유량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게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적인 연료 공급이 가능하도록 예비 연료탱크를 더 구비함으로써 연료의 소진시 작업 또는 운행을 중단해야하거나 원거리로부터 연료탱크를 운반해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기 위한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크레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를 나타낸 지게차의 배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와 도 6b는 제 2댐핑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 및 그 작동도,
도 7은 크레들의 제 2바디를 펴짐위치 또는 접힘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측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크레들을 카운터웨이트에 록킹시키기위한 록킹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체 2: 카운터웨이트
3: 제 1크레들 장치 5: 제 2크레들 장치
10: 베이스 플레이트 18: 록킹핀
20: 크레들 30: 제 1바디
40: 제 2바디 40a: 힌지
45: 실린더 46: 제 1챔버
47: 제 2챔버 48: 연결관
49: 오일 50: 제 3바디
52: 로드 54: 피스톤
60: 클램프 조립체 70: 댐퍼
80: 제 1고정판 82: 제 2고정판
82a: 제 1고정부 82b: 제 2고정부
84: 고정핀 86: 스프링
90: 래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크레들 장치 및 제 2크레들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 1크레들 장치와 제 2크레들 장치 각각은, 상기 카운터웨이트 상부의 원점위치와 카운터웨이트 외측의 회동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장착되는 제 1바디와, 연료탱크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 1바디에 대해 펼쳐지는 펴짐위치와 상기 제 1바디에 대해 하방으로 접혀지는 접힘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바디에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바디로 된 크레들과; 상기 크레들의 제 1바디와 제 2바디 중 어느 하나에 연료탱크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묶는 클램프 조립체와; 상기 크레들을 원점위치에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록킹시키기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듀얼타입 크레들 장치는 카운터웨이트(2)를 갖는다. 카운터웨이트(2)는 차체(1)의 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듀얼타입 크레들 장치는 카운터웨이트(2)의 상면 양쪽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 1크레들 장치(3)와 제 2크레들 장치(5)를 갖는다.
제 1 및 제 2크레들 장치(3, 5)는 두 개의 연료탱크(T)를 각각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카운터웨이트(2)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레들(20)을 갖는다(제 1크레들 장치 (3)와 제 2크레들 장치(5)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제 1크레들 장치(3)를 위주로 설명하여 제 1크레들 장치(3)와 제 2크레들 장치(5)를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복수의 통공(12)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통공(12)에는 볼트(14)가 끼워져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2)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지게차의 카운터웨이트(2)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축받이(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받이(16)에는 힌지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크레들(20)은 연료탱크(T)를 눕혀서 지지하는 것으로, 제 1바디(30)와, 제 1바디(30)에 접철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2바디(40) 그리고 제 2바디 (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바디(40)에 조립되는 제 3바디(50)로 구성된다. 제 1바디(30)에는 힌지볼트(32)가 설치되는데, 이 힌지볼트 (32)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축받이(16)의 힌지구멍(16a)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 조립된다. 이렇게 힌지볼트(32)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조립되는 제 1바디(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따라서 크레들(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해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여 도 3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2) 상부의 '원점위치'(A)로부터 카운터웨이트(2) 외측의 '회동위치'(B)로 회동가능한 것이다.
제 2바디(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바디(50)와 함께 연료탱크(T)를 직접 받혀 지지하는 것으로, 제 1바디(30)에 힌지(40a) 결합되며, 힌지(40a)를 중심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바디(30)와 일직선을 이루는 '펴짐위치' (C)와 제 1바디(30)에 대해 90°각도를 이루는 '접힘위치'(D)를 오가며 접철된다. 이렇게 제 1바디(30)에 힌지결합되는 제 2바디(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2) 외측의 '회동위치'(B)에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40a)를 중심으로 수직하방의 '접힘위치'(D)로 회전됨으로써, 지지된 연료탱크(T)를 수직하게 세울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 2바디(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한 2개 관체 (42)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4)으로 구성된다.
제 3바디(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바디(40)와 함께 연료탱크(T)를 직접 받혀 지지하는 것으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T)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받침부(50a)를 갖추고 있으며, 제 2바디(40)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특히, 제 3바디(50)는 제 2바디(40)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제 3바디(50)는 제 2바디(40)의 관체(42)에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2개의 로드(52)를 갖추고 있다. 이렇게, 2개의 로드(52)가 제 2바디(40)의 관체(42)에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워짐에 따라 제 3바디(50)는 제 2바디(40)의 단부로부터 더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진 연료탱크(T)를 지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3바디(50)의 로드(52)는 상기 제 3바디(50)가 제 2바디(40)로부터 지면에 근접한 위치까지 운동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충분히 길어야 한다.
한편, 제 2바디(40)와 제 3바디(50)에는 연료탱크(T)를 교환가능한 상태로 묶는 한쌍의 클램프 조립체(60)가 설치된다. 이 클램프 조립체(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의 상부 클램프(62)와, 상부클램프(62)에 힌지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하부 클램프(64) 그리고 상하부 클램프(62, 64)의 자유단을 고정시키는 래치기구(66)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쌍의 클램프 조립체(60)는 제 2바디(40)와 제 3바디(50)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바디 (50)가 제 2바디(40)로부터 연장되어 연료탱크(T)를 지면에 가까이 내리더라도 어느 하나의 클램프 조립체(60)는 연료탱크(T)를 제 3바디(50)에 고정적으로 묶기 위함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는 제 1바디(30)에 대한 제 2바디(4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 1댐핑수단과, 제 2바디(40)에 대한 제 3바디 (50)의 직선운동속도를 제어하는 제 2댐핑수단을 갖추고 있다. 제 1댐핑수단은 상기 제 2바디(40)가 제 1바디(30)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철될 수 있도록 그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일단은 제 1바디(30)의 밑면에, 타단은 제 2바디(40)의 밑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가스 봉입식 댐퍼(70)로 구성된다. 이러한 댐핑수단, 즉 댐퍼(70)는 제 1바디(30)와 제 2바디(40)를 대략 일직선이 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지지하는 제 2바디(40)가 제 1바디 (30)에 대해 빠르게 회전하여 카운터웨이트(2)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제 2바디(40)의 밑면에는 쿠션고무(20a)가 장착되는데, 이 쿠션고무 (20a)는 제 2바디(40)가 카운터웨이트(2)와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 2댐핑수단은 제 2바디(40)에 대한 제 3바디(50)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바디(40)의 관체(42)들 각각에 형성되는 실린더(45)들과, 이들 실린더(45)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3바디(50)의 로드(52)들과, 로드(52)의 단부에 형성되어 실린더(45)의 내부를 제 1챔버(46)와 제 2챔버(47)로 나누는 피스톤(54) 그리고 실린더(45)의 제 1챔버(46)와 제 2챔버(47)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관(48)과, 제 1챔버(46)와 제 2챔버(47)내에 충전되는 오일(4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2바디(40)에 대하여 제 3바디(50)가 직선운동하면, 제 3바디(50)의 로드(52)도 제 2바디(40)의 실린더(45)를 따라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45)의 내부에는 오일(49)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54)을 갖는 로드(52)는 급격한 이동이 방지되면서 실린더(45)를 따라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한편, 로드(52)가 실린더(45)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1챔버(46)와 제 2챔버 (47)중, 이동방향의 챔버(47)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그 용적이 감소되고, 이동방향의 반대방향 챔버(46)는 점차 그 용적이 증가되는데, 이때 용적이 감소되는 챔버(47)의 오일(49)은 연결관(48)을 통하여 용적이 증가되는 다른 챔버 (46)로 이동되며, 따라서 로드(52)는 진행방향을 향해 계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구성의 제 2댐핑수단에 의해 제 2바디(40)에 대한 제 3바디(50)의 운동속도는 제어되며, 따라서 도 5b에서와 같이 연료탱크(T)를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지지하는 제 3바디(50)는 제 2바디(40)로부터 빠르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 2챔버(47)의 오일출입구(47a)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챔버(47)의 일단으로부터 길이"ℓ"만큼 이격되도록 형성하였다. 이는 상기 제 3바디(50)가 제 2바디(40)로부터 연장되었을 때, 로드(52)의 피스톤(54)이 실린더(45)의 일측벽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로드(52)에 형성되는 피스톤(54)을 2개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서로 간격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는 제 3바디(50)가 제 2바디(40)로부터 연장되었을 때, 실린더(45)와 로드(52)의 중첩구간이 가능한 한 많도록 구성하여 제 2바디(40)에 대한 제 3바디 (50)의 결합력을 높여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크레들(20)은 도 3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해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대략 135°회전되어 카운터웨이트(2) 외측의 '회동위치'(B)에 배치되고, 이어서 도 5b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하방의 '접힘위치'(D)로 90°회전되면서 장착된 연료탱크(T)를 수직으로 세우며, 다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장착된 연료탱크(T)를 교환하기 쉽도록 지면에 가까운 위치까지 내린다. 그리고 새것의 연료탱크(T)가 장착된 후, 다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상방의 '펴짐위치'(C)를 향해 90°회전되고,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135°회전되면서 카운터웨이트 (2) 상부의 원점위치(A)로 연료탱크(T)를 배치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크레들(20)의 제 3바디(50)는 크레들(20)을 수평축선과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 2바디(40)로 단축된다.
한편,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는 크레들(20)의 제 2바디(40)를 '펴짐위치'(C) 또는 '접힘위치'(D)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갖는다. 이 위치고정수단은 크레들(20)의 제 1바디(30)에 설치되는 제 1고정판 (80)과, 제 1고정판(80)과 겹쳐지게 대향하도록 크레들(20)의 제 2바디(40)에 설치되는 제 2고정판(82)과, 제 1바디(30)의 제 1고정판(8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84)과, '펴짐위치'(C)와 '접힘위치'(D)에서 상기 제 1고정판(80)의 고정핀 (84)과 정렬되도록 상기 제 2바디(40)의 제 2고정판(82)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고정부(82a, 82b)와, 상기 고정핀(84)을 제 1 및 제 2고정부(82a, 82b)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8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펴짐위치'(C)에서 고정핀(84)과 정렬되는 제 1고정부(82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고정판(82)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82a)이고, '접힘위치'(D)에서 고정핀(84)과 정렬되는 제 2고정부(82b)는 제 2고정판(82)에 형성되는 고정구멍(82b)이다.
이러한 구성의 위치고정수단은 고정홈(82a)과 고정구멍(82b) 그리고 이에 결합되는 고정핀(84)을 통하여 제 2바디(40)를 '펴짐위치'(C) 또는 '접힘위치'(D)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 2바디(40)를 '펴짐위치'(C) 또는 '접힘위치'(D)에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해제토록 구성됨으로써 연료탱크(T)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제 2바디(40)가 임의로 '펴짐위치'(C)에서 '접힘위치'(D)로, '접힘위치'(D)에서 '펴짐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는 크레들(20)을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이 설치된다. 이 록킹수단은 크레들(20)의 제 3바디(50)에 설치되는 래치(90)와, 래치(90)에 록킹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록킹핀(18)으로 구성된다.
래치(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바디(50)에 고정되는 커버(92)를 가지며, 이 커버(92)에는 록킹핀(18)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9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90)는 '록킹위치'(X)와 '해제위치'(Y)로 회동하면서 수용홈(92a)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를 갖는다.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는 상기 커버(92)에 마주보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대칭운동하면서 커버(92)의 수용홈(92a)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는 커버(9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편(93a, 94a)을 갖는데, 이 연장편(93a, 94a) 각각에는 걸림홈(93b, 94b)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90)는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토션스프링(95)을 갖는다. 토션스프링(95)은 그 일단이 커버(92)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의 연장편(93a, 94a) 각각에 지지되어 상기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를 상호 멀어지는 방향, 즉 '해제위치' (Y)로 배치시킨다. 이러한 토션스프링(95)은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를 '해제위치'(Y)에 배치시킴으로써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로 하여금 커버(92)의 수용홈(92a)을 개방시키도록 한다.
또한, 래치(90)는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의 연장편(93a, 94a) 사이에 배치되도록 커버(9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폴플레이트(96)를 갖는다. 폴플레이트(96)는 상기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가 '록킹위치'(X)에 배치됨에 따라 연장편(93a, 94a)의 걸림홈(93b, 94b)에 그 양측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를 '록킹위치'(X)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폴플레이트(96)는 토션스프링(97)에 의해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의 연장편(93a, 94a) 사이로 탄성가압되는데, 이에 따라 폴플레이트(96)는 걸림홈 (93b, 94b)에 끼워진 채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래치(90)는 상기 폴플레이트(96)를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의 연장편(93a, 94a) 사이로부터 이격되게 조작할 수 있는 작동레버(98)를 갖는다. 작동레버(98)는 폴플레이트(96)를 누를 수 있도록 커버(9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커버(92)의 외측으로 뻗어있다. 이같은 작동레버(9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폴플레이트(96)를 눌러줌으로써 폴플레이트(96)의 단부를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의 연장편(93a, 94a) 사이로부터 이격시키며, 이에 따라 제 1로크(93)와 제 2로크(94)가 '록킹위치'(X)에서 '해제위치'(Y)로 회동될 수 있게 한다. 결국, 커버(92)의 수용홈(92a)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연료탱크(T)의 교환이 완료된 크레들(20)을 카운터웨이트(2)의 상부로 회전시키면, 크레들(20)에 설치된 래치(90)의 수용홈(92a)에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록킹핀(18)이 수용된다. 이때, 수용되는 록킹핀(18)은 '해제위치'(Y)에 배치된 채 벌려져 있는 제 1 및 제 2로크(93, 94)를 가압하면서 진입하는데, 이에 따라 가압된 제 1 및 제 2로크(93, 94)는 '해제위치'(Y)에서 '록킹위치' (X)로 회전되면서 오므라지게 되고, 오므라진 채 더 회전되어 '록킹위치'(X)에 도달하면 폴플레이트(9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92)의 수용홈(92a)은 폐쇄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록킹핀(18)은 래치(90)에 록킹되는 것이다. 따라서, 크레들(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록킹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크레들(20)을 회전시키고자 작동레버(98)를 당기게 되면, 작동레버(98)는 폴플레이트(96)를 눌러주게 된다. 이때, 눌러진 폴플레이트(96)는 회전되면서 제 1 및 제 2로크(93, 94)의 걸림홈(93b, 94b)으로부터 이탈되고, 걸림홈(93b, 94b)으로부터 폴플레이트(96)가 이탈됨에 따라 제 1 및 제 2로크(93, 94)는 탄성적으로 회전하면서 '록킹위치'(X)에서 '해제위치'(Y)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92)의 수용홈(92a)은 개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록킹핀(18)은 래치(90)로부터 록킹해제 된다. 따라서, 크레들(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 1크레들 장치(3)만을 설명하였는 바, 제 1크레들 장치(3)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갖는 제 2크레들 장치(5)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이해하면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레들(20)이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통하여 카운터웨이트(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카운터웨이트(2)에 직접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크레들(20)이 카운터웨이트(2)에 직접회전가능하게 설치될 경우에는, 힌지볼트 (32)는 카운터웨이트(2)상에 직접 고정 설치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크레들(20)을 통하여 연료탱크 (T)를 교환하기 용이한 최적의 위치로 배치시킴으로써 연료탱크(T)의 교환작업을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크레들(20)을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연료탱크(T)를 지면에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써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들어 올리는데 따른 어려움과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예비 연료탱크(T)를 더 장착할 수 있도록 양쪽에 한쌍으로 설치함으로써, 연료의 소진시 예비 연료탱크(T)의 연료를 통하여 연속적인 연료 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연료의 소진으로 인하여 작업 또는 운행을 중단해야하거나 원거리로부터 연료탱크를 운반해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크레들을 통하여 연료탱크를 교환하기 용이한 최적의 위치로 배치시킴으로써 연료탱크를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크레들을 길이방향으로 연장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연료탱크를 지면에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써 고중량의 연료탱크를 들어 올리는데 따른 위험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는 예비 연료탱크를 더 장착할 수 있도록 양쪽에 한쌍으로 설치함으로써, 연료의 소진시 예비 연료탱크의 연료를 통하여 연속적인 연료 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연료의 소진으로 인하여 작업 또는 운행을 중단해야하거나 원거리로부터 연료탱크를 운반해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카운터웨이트(2)와, 상기 카운터웨이트(2)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 1크레들 장치(3) 및 제 2크레들 장치(5)로 구성되며,
    상기 제 1크레들 장치(3)와 제 2크레들 장치(5) 각각은,
    상기 카운터웨이트(2) 상부의 원점위치(A)와 카운터웨이트(2) 외측의 회동위치(B)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카운터웨이트(2)에 장착되는 제 1바디(30)와, 연료탱크(T)를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 1바디(30)에 대해 펼쳐지는 펴짐위치(C)와 상기 제 1바디(30)에 대해 하방으로 접혀지는 접힘위치(D)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바디(30)에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바디(40)로 된 크레들(20)과;
    상기 크레들(20)의 제 1바디(30)와 제 2바디(40) 중 어느 하나에 연료탱크(T)를 착탈가능한 상태로 묶는 클램프 조립체(60)와;
    상기 크레들(20)을 원점위치(A)에서 상기 카운터웨이트(2)에 록킹시키기위한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연료탱크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바디(40)로부터 더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바디(40)에 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3바디(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바디(30)에 대한 제 2바디(40)의 접철속도를 제어하는 제 1댐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댐핑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 1바디 (3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 2바디(4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1바디(30)와 제 2바디(40)를 대략 일직선이 되는 펴짐위치(C)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댐퍼(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바디(40)에 대한 제 3바디(50)의 운동속도를 제어하는 제 2댐핑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댐핑수단은 상기 제 2바디(4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실린더(45)와, 상기 실린더(45)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 3바디(50)로부터 뻗어 있는 로드(52)와, 상기 로드(52)의 단부에 형성되어 실린더(45)의 내부를 양쪽의 제 1챔버(46)와 제 2챔버(47)로 나누는 피스톤 (54)과, 상기 제 1챔버(46)와 제 2챔버(47)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결관(48)과, 상기 제 1챔버(46)와 제 2챔버(47)내에 충전되는 오일(4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바디(40)를 펴짐위치(C) 또는 접힘위치(D)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 1바디 (30)에 설치되는 제 1고정판(80)과, 상기 제 1고정판(80)과 정렬되도록 상기 제 2바디(40)에 설치되는 제 2고정판(82)과, 상기 제 1바디(30)의 제 1고정판(8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84)과, 펴짐위치(C)와 접힘위치(D) 각각에서 상기 고정핀(84)과 정렬되도록 상기 제 2바디(40)의 제 2고정판(82)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고정부(82a, 82b)와, 상기 고정핀(84)을 제 1 및 제 2고정부(82a, 82b)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8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2) 상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상기 크레들(20)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바디(40) 일단의 저부에는 쿠션고무(2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크레들(20)에 설치되는 래치(90)와, 상기 래치(90)에 록킹되도록 상기 카운터웨이트(2)에 설치되는 록킹핀(1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KR10-2002-0030742A 2001-06-05 2002-05-31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KR10046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742A KR100467740B1 (ko) 2002-05-31 2002-05-31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US10/162,233 US6637706B2 (en) 2001-06-05 2002-06-05 Fuel tank cradle device for forklift trucks
AU45805/02A AU782189B2 (en) 2001-06-05 2002-06-05 Fuel tank cradle device for forklift trucks
GB0212878A GB2376219B (en) 2001-06-05 2002-06-05 Fuel tank cradle device for forklift tru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742A KR100467740B1 (ko) 2002-05-31 2002-05-31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898A KR20030092898A (ko) 2003-12-06
KR100467740B1 true KR100467740B1 (ko) 2005-01-24

Family

ID=3238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742A KR100467740B1 (ko) 2001-06-05 2002-05-31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15B1 (ko) 2006-12-26 2013-09-02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58Y1 (ko) * 2010-04-07 2013-01-25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899A (ja) * 1994-03-28 1995-10-17 Sokichi Sugiyama 燃料ガスボンベを積載の車両
JPH09300990A (ja) * 1996-05-21 1997-11-2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ガスボンベ搭載装置
JPH11314896A (ja) * 1998-05-06 1999-11-16 Mitsubishi Heavy Ind Ltd ボンベの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6899A (ja) * 1994-03-28 1995-10-17 Sokichi Sugiyama 燃料ガスボンベを積載の車両
JPH09300990A (ja) * 1996-05-21 1997-11-2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ガスボンベ搭載装置
JPH11314896A (ja) * 1998-05-06 1999-11-16 Mitsubishi Heavy Ind Ltd ボンベの固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515B1 (ko) 2006-12-26 2013-09-02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898A (ko)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706B2 (en) Fuel tank cradle device for forklift trucks
KR100467740B1 (ko)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CN111942262B (zh) 一种精密设备载车
US4067245A (en) Lever transmission particularly for lifting means
KR100805299B1 (ko)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CN105692508A (zh) 一种多路阀操纵手柄连接装置及多路阀操纵机构
KR20020092618A (ko)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CN216636295U (zh) 背罐车
US5282714A (en) Crane, particularly for material handling
EP2152541B1 (en)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equipped with the lifting device
CN110408731A (zh) 一种水平铰接式抱罐车
KR101302515B1 (ko)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JP2010058874A (ja) 高所作業車
JP5677790B2 (ja) 車両用昇降機のプラットホーム横開き用ロック解除装置
EP1443013B1 (en) Lift truck with telescopic arm
JPH11336614A (ja) ボンベの固定装置
JPH0641994Y2 (ja) 産業車両のlpgボンベ搭載装置
CN114877771B (zh) 一种具有泄压功能的轻量化大型抗爆容器
CN110626964A (zh) 可调节高度并可折叠的新型起重机
CN202785498U (zh) 叉车能源瓶固定架
CA2696598C (en) Hood support
SU1177264A1 (ru) Опора дл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й машины
GB2189580A (en) Arrangement for a power supply unit on a transportable gun
US3261476A (en) Vertically swinging boom having asymmetrical actuation
CN209037689U (zh) 一种基于支座焊接总成的车身后悬置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