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515B1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2515B1 KR101302515B1 KR1020060133914A KR20060133914A KR101302515B1 KR 101302515 B1 KR101302515 B1 KR 101302515B1 KR 1020060133914 A KR1020060133914 A KR 1020060133914A KR 20060133914 A KR20060133914 A KR 20060133914A KR 101302515 B1 KR101302515 B1 KR 1013025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tank
- cradle
- counter weight
- forklift
- cradl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18—Fuel or oil tank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는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상측에는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바디와, 상기 제 1바디와 접철되게 힌지결합되며, 연료탱크를 지지하는 제 2바디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상에 상기 연료탱크 장착 시 상기 제 2바디로부터 일정길이가 삽입되어 있고,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는 받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를 지면에 원만히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2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지면까지 연장되는 제 3바디로 구성된 크레들과; 상기 크레들에 장착되는 상기 연료탱크를 상측으로 회동하여 수평을 이루기 위한 상승도움수단과; 상기 크레들의 상기 제 3바디가 제 2바디로부터 수축 및 신장하기 위한 댐퍼수단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상에 상기 크레들의 회동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거운 연료탱크를 크레들 장치에 올릴 때, 2인 1조로 올리는 불편함과 1인작업시 안전사고를 해소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a 와 도 5b는, 도 4의 감속수단에 관한 작동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다른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 15 : 카운터 웨이트
20 : 베이스 플레이트 25 : 크레들
35 : 제 1바디 40 : 제 2바디
45 : 제 3바디 50 : 클램프 조립체
55 : 상부 클램프 60 : 하부 클램프
65 : 래치기구 70 : 댐퍼
본 발명은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차체와,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마스트 조립체를 따라 승강하면서 하물을 올리거나 내리는 포크 캐리지와, 고중량의 하물을 올리거나 내릴 때 지게차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차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엔진을 갖추고 있다.
한편, 액화석유가스(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지게차의 경우 카운터 웨이트의 상부에는 연료탱크, 예를 들어 액화석유가스 탱크를 눕혀서 올려놓고 고정할 수 있는 크레들이 제공되고, 연료탱크의 연료가 소진되면 연료탱크는 새것으로 교환해야 한다. 예컨대, 지게차가 대략 9시간 정도 운행을 하게되면, 연료탱크의 연료는 거의 소진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하루에 한번 정도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해야한다.
이와 같은 종래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를 도 1a 및 도 1b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차체(1)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2)의 상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3)가 볼트(4)에 의해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마운팅 플레이트(3)의 상면에 연료탱크(T)를 고정하는 복수의 클램프 조립체(6)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 조립체(6)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상·하부 클램프(6a,6b)가 힌지(6c)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고, 하부 클램프(6b)는 마운팅 플레이트(3)의 상면에 부착된다.그리고, 상·하부 클램프(6a,6b)의 한쪽에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기구(6d)가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T)를 새것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래치기구(6d)의 잠김 상태를 풀어준 후, 힌지(6c)를 중심으로 상부 클램프(6a)를 회전시켜 열어주고, 하부 클램프(6b)에 올려놓여진 연료탱크(T)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꺼낸다. 그런 다음, 새것의 연료탱크(T)를 들어올려 하부 클램프(6b)에 올려놓고, 힌지(6c)를 중심으로 상부 클램프(6a)를 닫는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래치기구(6d)를 이용하여 상·하부 클램프(6a,6b)를 록킹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연료탱크(T)의 교환작업이 매우 힘들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연료가 소진된 액화석유가스 탱크의 무게는 약 20㎏ 정도이나, 연료가 채워진 경우에는 약 40㎏에 이른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하부 클램프(6b)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에는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료탱크(T)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연료탱크(T)를 떨어뜨리면, 부상 또는 폭발의 위험마저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여성 지게차 운전자가 늘어나고 있는바, 여성 운전자가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에는 더 더욱 큰 어려움과 위험성을 갖고있는 것이다.
한편, 이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고중량의 연료탱크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는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카운터 웨이트 상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단부에서 회전되어 카운터 웨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크레들을 설치한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는 상기 크레들에 연료탱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연료탱크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또는 수평으로 회전시켜 연료탱크의 교환을 손쉽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다른 일례로서, 카운터 웨이트 상에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동시에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카운터 웨이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크레들을 설치한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는 상기 크레들에 연료탱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크레들을 수직축선 또는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연료탱크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또는 수평으로 회전시켜 연료탱크의 교환을 손쉽게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비해 연료탱크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연료탱크의 교환위치가 지면으로부터 높이 위치하기 때문에 연료탱크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연료탱크의 교환위치를 지면까지 닿도록 길이를 연장시켜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최대한 손쉽게 할 수 있는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상측에는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바디와, 상기 제 1바디와 접철되게 힌지결합되며, 연료탱크를 지지하는 제 2바디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상에 상기 연료탱크 장착 시 상기 제 2바디로부터 일정길이가 삽입되어 있고,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는 받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를 지면에 원만히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2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지면까지 연장되는 제 3바디로 구성된 크레들과; 상기 크레들에 장착되는 상기 연료탱크를 상측으로 회동하여 수평을 이루기 위한 상승도움수단과; 상기 크레들의 상기 제 3바디가 제 2바디로부터 수축 및 신장하기 위한 댐퍼수단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상에 상기 크레들의 회동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승도움수단은, 상기 제 1바디와 힌지 결합된 제 2바디의 접철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의 일단이 제 1바디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탱크를 지면으로 탈착 시, 수평상태의 상기 제 1바디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수직방향으로 접철되는 제 2바디와의 사이를 탄성지지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크레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실린더의 내부를 제 1실과 제 2실로 나누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실과 제 2실에 만충된 오일을 서로 연통시키는 오리피스 구멍과; 상기 로드에 삽입되어, 상기 오리피스 구멍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플판이 형성된 푸쉬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는 카운터 웨이트(15)를 갖는다. 카운터 웨이트(15)는 차체(10)의 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는 카운터 웨이트(15)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들(25)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복수의 통공(12)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통공(12)에는 볼트(17)가 끼워져 지게차의 카운터 웨이트(15)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지게차의 카운터 웨이트(15)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축받이(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고정브라켓(23)이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축받이(21)에는 힌지구멍(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23)에는 상면으 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크레들(25)은 연료탱크(T)를 눕혀서 지지하는 것으로, 제 1바디(35)와, 제 1바디(35)에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 2바디(40)와, 그리고 제 2바디(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바디(40)에 조립되는 제 3바디(45)로 구성된다.
먼저 제 1바디(35)는 볼트(17)가 설치되는데, 상기 볼트(17)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축받이(21)의 힌지구멍(22)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볼트(17)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조립되는 제 1바디(35)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따라서 크레들(25)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대해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여,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15)의 외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바디(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바디(45)와 함께 연료탱크(T)를 직접 받혀 지지하는 것으로, 제 1바디(35)에 힌지(61) 결합되며, 힌지(61)를 통해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제 1바디(35)에 접철된다. 이렇게 제 1바디(35)에 힌지결합되는 제 2바디(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바디(35)가 카운터 웨이트(15)의 외측을 향해 회전된 상태에서 힌지(61)를 중심으로 제 1바디(35)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회전하여 연료탱크(T)가 세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크레들(25)에 장착되는 상기 연료탱크(T)를 상측으로 회동하여 수평을 이루기 위한 상승도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승도움수단은, 상기 제 1바디(35)와 힌지 결합된 제 2바디(40)의 접철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일단은 제 1바디(35)의 밑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 2바디(40)의 밑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댐퍼(70)가 구성된다.
상기 댐퍼(70)는 상기 제 1바디(35)와 제 2바디(40)를 대략 일직선이 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고중량의 연료탱크(T)를 지지하는 제 2바디(40)가 제 1바디(35)에 대해 빠르게 회전하여 상기 카운터 웨이트(15)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 2바디(4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한 2개의 관체(41)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2)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체(41)는 후술할 제 3바디(45)가 삽입되어 상기 관체(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바디(40)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15)와 맞닿는 부분에 생길 수 있는 충격을 감쇄하기 위해 상기 관체(41)의 양측으로 쿠션고무(43)를 설치한다.
상기 제 3바디(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바디(40)와 함께 연료탱크(T)를직접 받혀 지지하는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바디(40)의 일정길이가 삽입되어 있고, 연료탱크(T)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턱(31)을 갖추고 있다.
이에 의하면, 제 3바디(45)는 제 2바디(40)의 상기 관체(41)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직선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제 3바디(45)는 하면에 슬라이드홈(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 2바디(40)의 관체와 연결브라켓(42)의 연결부위가 슬라이드홈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3바디(45)는 제 2바디(40)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 3바디(45)는 제 2바디(40)의 관체(41)가 직선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2개의 로드(46)를 갖추고 있다. 이렇게, 2개의 로드(46)에 제 2바디(40)의 관체(41)가 직선운동되게 끼워짐에 따라 제 3바디(45)는 제 2바디(40)의 단부로부터 더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으며,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바디(45)는 수직으로 세워진 연료탱크(T)를 지면에 원만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충분하게 길이가 연장 형성되어야 하며 지면에 닿을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크레들(25)의 상기 제 3바디(45)가 제 2바디(40)로부터 수축 및 신장하기 위한 댐퍼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연료탱크 크레들장치는, 연료탱크(T)를 지면에 안착시켜 탈착하고자 할 때 상기 연료탱크(T)가 장착된 상기 크레들(25)에 형성된 제 3바디(45)가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상기 연료탱크(T)를 지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하강하는 제 3바디(45)에 생기는 중력에 의한 하강속도를 감쇄시켜 상기 연료탱크(T)가 지면에 충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지면에 닿아 안전하게 연료탱크(T)를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댐퍼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크레들(2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실린더(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6)는 제 3바디(45)에 부착되며, 주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26)에 삽입되며, 상기 실린더(26)의 내부에 이동이 가능 하도록 로드(46)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46)는 상기 실린더(26)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수단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26)로부터 직선운동을 하도록 동작 된다. 이러한 상기 로드(46)는 상기 제 3바디(45)가 일정하게 연장되는 길이만큼 연장된다.
한편, 상기 로드(46)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6)의 내부를 제 1실(72)과 제 2실(73)로 나누는 피스톤(71)과, 상기 피스톤(71)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실(72)과 제 2실(73)을 서로 연통시키는 오리피스 구멍(49)을 구비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72)과 제 2실(73)은 오일(O)이 충만 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O)은 유압에 따라 소정의 행정길이에서도 일정한 탄력변화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실(72)과 제 2실(73)에 각각 충만 되어 있는 오일(O)은 서로 반력을 가지고 균형을 이루고 있어서 이를 나누는 피스톤(71)이 있되, 오일(O)이 서로 연통이 되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71)에 오리피스 구멍(49)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연료탱크(T)가 탈착하고자 할 때 제 3바디(45)에 연결된 상기 감속수단은 상기 실린더(26)에 삽입된 로드(46)가 직선운동을 하되, 상기 로드(46)의 운동에 따라서 오일(O)이 상기 오리피스 구멍(49)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로드(46)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로드(46)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46)에 삽입된 푸쉬 로드(47)와 연결된 스플판(48)이 상기 오리피스 구멍(49)으로 연통되는 오일(O)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댐퍼수단은,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피스톤(71a)으로 제 2실(73)과 제 3실(74)로 나누되 제 3실(74)에는 질소가스(77)가 충전되어 있다. 이는, 질소가스(77)에 의해서 반발력을 얻을 수 있어 상기 감속수단이 스프링 또는 완충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댐퍼수단에 대해서 작동원리를 도 5a 와 도 5b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6)에 삽입된 로드(46)의 움직임을 활성화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로드(46)의 내부에 설치된 푸쉬 로드(47)를 눌러 넣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푸쉬 로드(47)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리피스 구멍(49)을 막고 있는 스플판(48)이 열리게 되고, 제 1실(72)과 제 2실(73)의 오일이 상기 오리피스 구멍(49)사이로 이동하게 되어 로크가 해제가 되어 로드(46)가 움직이게 된다.
도 5b에서는 상기 로드(46)가 로크상태를 나타낸 도면인데, 상기 푸쉬 로드(47)를 놓으면 상기 제 3실(74)에 충전된 질소가스(77)에 의해서 스플판(48)이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실(72)과 제 2실(73)의 오일은 스플판(48)에 의해 흐르지 않고 로크 상태가 된다.
한편, 제 3바디(45)에는 연료탱크(T)를 교환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한쌍의 클램프 조립체(50)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 조립체(5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의 상부 클램프(55)와, 상·하부 클램프(55,60)의 자유단을 고정시키는 래치기구(65)로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3바디(45)에 클램프 조립체(50)가 마련되면, 클램프 조립체(50)의 제 3바디(45)와 같이 승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료탱크(T)를 제 3바디(45)로부터 탈착하기 직전 또는 제 3바디(45)에 장착 직전에만 클램프 조립체(50)를 해제/결합시키면 된다. 즉, 연료탱크(T)의 해체시에는 제 3바디(45)의 하강이 완료된 후에 클램프 조립체(50)의 해체작업을 하기 때문에, 연료탱크(T)의 탈착을 위한 회전/하강작업이 번거롭지 않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연료탱크(T)의 장착시에는 제 3 바디(45)에 연료탱크(T)를 탑재시키고 곧바로 클램프 조립체(50)를 결합시킨 후에는 연료탱크(T)의 장착을 위한 연료탱크(T)의 상승/회동시 클램프 조립체(50)를 더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료탱크(T)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3 바디(45)는 제 2 바디(4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클램프 조립체(50)들 중 하나가 제 2 바디(40)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가 제 3 바디(45)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제 2 바디(40)에 설치된 클램프 조립체(50)는 연료탱크(T)의 상승/하강 전에 반드시 해체/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크레들 장치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T)를 하차하여 교환시 상태를 설명해 보고자 한다.
우선, 상기 카운터 웨이트(15)의 상측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180°회전되어 카운터 웨이트(20)의 외측을 향해 배치가 된다. 이어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하방을 향해 90°회전되면서 장착된 연료탱크(T)가 천천히 수직으로 세워지고 제 2바디(40)에 설치된 클램프 조립체(50)를 푼다.
다음 로크상태의 댐퍼수단을 푸쉬 로드(47)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버튼(51)을 눌러 로크 상태를 풀어준다. 이때, 상기 제 2바디(40)에 삽입되어 있던 제 3바디(45)는 상기 댐퍼수단에 의해서 천천히 하강을 하게 되고, 지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료탱크(T)가 안착이 된다.
다음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교체한 연료탱크(T)를 카운터 웨이트(20)에 올리고자 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새 연료탱크(T)를 교체한 뒤 상승도움수단을 이용하여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90°회전되게 회동시킨다. 이어서 길이방향으로 댐퍼수단의 버튼(51)에 의해 푸쉬 로드(47)를 누르면서 제 3바디(45)를 밀어 상기 제 2바디(40)측으로 수축시킨다.
이어서 고,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180°회전되면서 카운터 웨이트(15)의 상부로 연료탱크(T)를 배치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크레들(25)의 제 3바디(45)는 크레들(25)을 수평축선과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 2바디(40)로 단축된다.
한편, 크레들(25)은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180°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고정브라켓(23)에 형성된 스토퍼(24)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크레들 장치에는 크레들(25)을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이 고정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고정브라켓(23)에 형성된 체결구멍(18)과, 크레들(25)의 제 3바디(45)에 형성된 고정구멍(19) 그리고 정렬된 고정구멍(19)과 체결구멍(18)에 끼워져 체결되는 볼트(17)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크레들(25)을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크레들(25)을 카운터 웨이트(15)의 상면에 위치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구멍(19)과 체결구멍(18)은 상기 크레들(25)이 스토퍼(24)에 걸려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크레들을 통하여 연료탱크를 교환하기 용이한 최적의 위치로 배치시킴으로써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크레들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하여 연료탱크를 지면에 닿게 하여 고중량의 연료탱크를 교환하는데 따른 작업효율이 좋은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평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크레들을 통하여 연료탱크를 교환하기 용이한 최적의 위치로 배치시킴으로써 연료탱크를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크레들에 부착된 연료탱크의 교환위치를 지면까지 닿도록 길이를 연장시켜 연료탱크의 교환작업을 최대한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가 무거운 연료탱크를 크레들 장치에 올 릴 때, 2인 1조로 올리는 불편함과 1인 작업시 안전사고를 해소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 차체(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15)와;상기 카운터 웨이트(15)의 상측에는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바디(35)와, 상기 제 1바디(35)와 접철되게 힌지(61) 결합되며, 연료탱크(T)를 지지하는 제 2바디(40)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15)상에 상기 연료탱크(T) 장착 시 상기 제 2바디(40)로부터 일정길이가 삽입되어 있고,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는 받침턱(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T)를 지면에 원만히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2바디(40)의 길이방향으로 지면까지 연장되는 제 3바디(45)로 구성된 크레들(25)과;상기 크레들(25)에 장착되는 상기 연료탱크(T)를 상측으로 회동하여 수평을 이루기 위한 상승도움수단과;상기 크레들(25)의 상기 제 3바디(45)가 제 2바디(40)로부터 수축 및 신장하기 위한 댐퍼수단과;상기 카운터 웨이트(15)상에 상기 크레들(25)의 회동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에 있어서,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크레들(2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실린더(26)와;상기 실린더(26)에 삽입되며, 상기 실린더(26)의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로드(46)와;상기 로드(46)의 단부에 형성되어 실린더(26)의 내부를 제 1실(72)과 제 2실(73)로 나누는 피스톤(71)과;상기 피스톤(71)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실(72)과 제 2실(73)에 만충된 오일(O)을 서로 연통시키는 오리피스 구멍(49)과;상기 로드(46)에 삽입되어, 상기 오리피스 구멍(49)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플판(48)이 형성된 푸쉬 로드(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승도움수단은, 상기 제 1바디(35)와 힌지 결합된 제 2바디(40)의 접철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댐퍼(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70)의 일단이 제 1바디(35)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바디(4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탱크(T)를 지면으로 탈착 시, 수평상태의 상기 제 1바디(35)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15)의 수직방향으로 접철되는 제 2바디(40)와의 사이를 탄성지지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카운터 웨이트(20)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크레들(25)이 회동가능 하 도록 힌지 결합하여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바디(40)가 상기 카운터 웨이트(15)와 맞닿는 부분에 생길 수 있는 충격을 감쇄하기 위해 설치되는 쿠션고무(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3914A KR101302515B1 (ko) | 2006-12-26 | 2006-12-26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3914A KR101302515B1 (ko) | 2006-12-26 | 2006-12-26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9955A KR20080059955A (ko) | 2008-07-01 |
KR101302515B1 true KR101302515B1 (ko) | 2013-09-02 |
Family
ID=3981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3914A KR101302515B1 (ko) | 2006-12-26 | 2006-12-26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251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24250B2 (en) | 2022-05-25 | 2024-07-02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Fuel tank mount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2680A (ko) | 2016-12-01 | 2018-06-11 | 주식회사 두산 | 지게차의 연료탱크 거치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2618A (ko) * | 2001-06-05 | 2002-12-12 |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KR20030021759A (ko) * | 2001-09-07 | 2003-03-15 |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JP2003118990A (ja) | 2001-10-12 | 2003-04-23 | Komatsu Forklift Co Ltd | 産業車両における燃料ガス用カウンターウエイト装置 |
KR100467740B1 (ko) | 2002-05-31 | 2005-01-24 |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
2006
- 2006-12-26 KR KR1020060133914A patent/KR1013025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2618A (ko) * | 2001-06-05 | 2002-12-12 |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KR20030021759A (ko) * | 2001-09-07 | 2003-03-15 |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JP2003118990A (ja) | 2001-10-12 | 2003-04-23 | Komatsu Forklift Co Ltd | 産業車両における燃料ガス用カウンターウエイト装置 |
KR100467740B1 (ko) | 2002-05-31 | 2005-01-24 |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024250B2 (en) | 2022-05-25 | 2024-07-02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Fuel tank mount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9955A (ko) | 2008-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3062652C (en) | Vehicle lift device | |
GB2376219A (en) | A fuel tank cradle device for forklift trucks | |
US20070262221A1 (en) | Industrial Truck | |
KR20120072587A (ko) | 굴삭기의 카운터 웨이트 볼트 체결 장치 | |
KR101302515B1 (ko)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
KR20130041476A (ko) | 차량의 배터리 탑재장치 | |
CN100506680C (zh) | 带防坑洼倾斜装置的高空作业平台 | |
CN117464629A (zh) | 一种新型折叠式安全防护检修平台 | |
KR100805299B1 (ko)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
CN203112393U (zh) | 一种工程机械支腿及具有该支腿的起重机 | |
CN110342441A (zh) | 一种稳定性高且具有反向伸缩功能的大轮胎剪叉式登高车 | |
CN213416195U (zh) | 一种用于移动式升降工作平台的坑洞防护装置 | |
KR100467740B1 (ko) |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
KR100774339B1 (ko) | 차량용 캡의 틸팅 스테이 유닛 | |
ITMO20080099A1 (it) | Apparato stabilizzatore per veicoli | |
KR20020092618A (ko)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
JP5746491B2 (ja) | 昇降式スライド扉の開閉装置 | |
JP3158925U (ja) | 高所作業車 | |
CN112810733B (zh) | 自行车停放器 | |
KR200184903Y1 (ko) |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 |
KR100682404B1 (ko) | 틈새 잭 | |
JP2014214579A (ja) | 作業機の昇降装置 | |
JP2548629B2 (ja) | トラッククレーン | |
CN220201316U (zh) | 一种可倾式液压升降机用可拆卸防偏载装置 | |
JP6922119B1 (ja) | 自転車用駐輪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