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58Y1 -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958Y1
KR200464958Y1 KR2020100003620U KR20100003620U KR200464958Y1 KR 200464958 Y1 KR200464958 Y1 KR 200464958Y1 KR 2020100003620 U KR2020100003620 U KR 2020100003620U KR 20100003620 U KR20100003620 U KR 20100003620U KR 200464958 Y1 KR200464958 Y1 KR 200464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ylinder
mounting plate
heavy equipment
cradle
cylind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32U (ko
Inventor
임국건
최성원
우상하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건영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건영테크(주)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3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5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006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장비의 작동을 위한 에너지원인 가스통의 고정하기 위한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장비의 본체 일측에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중장비의 작동을 위한 에너지원인 가스통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가스통 고정부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가스통 고정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가스통 고정부와 각도조절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스통 고정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면서 완충 또는 작동력을 보조하는 조력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방향 일측을 차폐하기 위한 회동방향 제한리브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면 가스통의 교체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A cradle of gas canisters for heavy equipment }
본 고안은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는 경유를 연료로 작동되면서 무거운 장비나 짐을 실어 나를때 사용된다. 그러나, 경유를 사용하는 중장비의 경우 연료의 탄화에 의해 발생되는 매연으로 인하여 실내에서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을 가진다.
실내에서는 주로 LPG와 같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중장비가 사용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를 연료로 하는 중장비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를 연료로 하는 중장비(1)에서는 본체의 후측을 형성하는 카운트 웨이트(30)에 가스통(10)을 탑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카운트 웨이트(30)의 상측에는 카운트 웨이트(30)에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스통(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가스통 고정구(20)가 마련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가스통(10)을 상기 카운트 웨이트(30) 상면에 탑재하게 될 경우에는 작업자가 카운트 웨이트(30)의 상측에 올라가 상기 가스통 고정구(20)를 이용하여 가스통(10)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스통(10)을 고정하게 될 경우 작업자가 직접 카운트 웨이트(30)의 상측에 올라가서 가스통 고정구(20)를 풀고 조이게 되므로 작업의 불편함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무거운 가스통(10)을 상기 카운트 웨이트(30)의 상단에 올려서 고정시키므로 가스통(1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많은 힘을 소요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카운트 웨이트 상단에 올라가지 않고 가스통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스통의 위치 이동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적은 힘으로 가스통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력수단이 마련되는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중장비의 본체 일측에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중장비의 작동을 위한 에너지원인 가스통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가스통 고정부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가스통 고정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가스통 고정부와 각도조절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스통 고정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면서 완충 또는 작동력을 보조하는 조력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방향 일측을 차폐하기 위한 회동방향 제한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가스통 고정부에는 상기 회동방향 제한리브에 접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가 가스통을 가지고 중장비의 카운트 웨이트 상단에 올라갈 필요없이 크래들을 회동 및 틸팅하여 가스통의 위치를 가변시킨 다음 용이하게 가스통을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점으로 인하여 가스통의 교체 작업 중 안전사고의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에는 틸팅 시 작업자가 가스통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스쇼크업소버(Gas shock absorber)와 같은 조력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가스통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를 연료로 하는 중장비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에 의해 가스통이 중장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의 분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의 로테이팅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도 5 에서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이 틸팅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을 이용하여 가스통이 교체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에 의해 가스통이 중장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100)은 중장비의 본체 후측 일부분을 형성하는 카운트 웨이트(30)의 상면에 구비되어 가스통(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카운트 웨이트(3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스통 크래들(100)의 장착위치를 제공하는 크래들 결합부(32)가 마련된다.
즉, 상기 크래들 결합부(32)는 상기 가스통 크래들(100)이 카운트 웨이트(3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가스통(10)의 교체를 위한 이동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크래들 결합부(32)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마운팅 플레이트(120)가 고정볼트(122)를 통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는 상기 크래들 결합부(32) 사이를 연결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크래들 결합부(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21)이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121)에 고정볼트(122)가 끼워지면서 상기 크래들 결합부(32)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각도조절부(160)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동축(128)과, 상기 각도조절부(160)와 연결되는 가스통 고정부(14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부(160)의 회전을 구속하는 로테이팅 구속판(126)이 마련된다.
상세히, 상기 로테이팅 구속판(126)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로테이팅 플런저(124)의 일부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로테이팅 구속홈(125)이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160)에는 이와 같이 형성되는 로테이팅 구속판(126)과 겹치도록 위치되는 회동제한판(144)이 마련되며, 상기 회동제한판(144)에는 상기 로테이팅 구속홈(125)에 대응되어 상기 로테이팅 플런저(143)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로테이팅 구속구 수용홈(14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테이팅 플런저(124)는 상기 로테이팅 구속판(126)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장되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일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로테이팅 구속구(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테이팅 구속구(123)는 상기 로테이팅 구속판(126)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로테이팅 구속홈(125)과 로테이팅 구속구 수용홈(143)을 모두 통과하는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변위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로테이팅 구속구 수용홈(143)에서 단부가 탈출되면서 상기 로테이팅 구속판(126)과 회동제한판(144)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로테이팅 구속구(123)가 탈출하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부(160)가 상기 회동축(12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에는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가스통 고정부(140)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동방향 제한리브(127)가 형성된다.
즉, 상기 회동방향 제한리브(127)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의 일측면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거나, 별도의 플레이트가 덧대어져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에는 상기 회동방향 제한리브(127)와 접하여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149)가 더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149)는 상기 회동제한판(144)에 수직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토퍼(149)에는 상기 회동방향 제한리브(127)와 접촉할 경우 충격을 줄이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160)는 단면이 대략“
Figure 112010022135648-utm00001
”와 같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를 향하는 방향이 개구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128)이 수용되는 회동축 부시(166)가 포함되어, 상기 회동축(128)과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각도조절부(160)에는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가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이를 위해 측면 일측에 틸팅축 수용홀(163)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틸팅축 수용홀(163)은 상기 각도조절부(160)와 가스통 고정부(140)를 연결하여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틸팅축(165)이 끼움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틸팅축(165)와 대응되는 크기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에는 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틸팅축 관통홀(145)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축 관통홀(145)과 틸팅축 수용홀(163)이 일치되노 상태에서 상기 틸팅축(165)이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는 상기 각도조절부(16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대략“
Figure 112010022135648-utm00002
”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160)에 연결된 상태에서 직선 거리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2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에 아래에서 설명할 클램프(18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가스통(10)의 높이는 물론, 상기 각도조절부(16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에 형성되는 회동제한판(144)이 상기 로테이팅 구속판(126)과 겹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가스통 고정부(140)의 단부에는 가스통(10)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가스통 지지판(142)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스통(10)의 측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가스통(10)을 고정시키는 클램프(18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스통 지지판(142)은 상기 가스통(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가스통(10)의 교체시 클램프(180)에 의한 구속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스통 지지판(142)은 상기 가스통(10)의 하면에 대응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상면에는 상기 클램프(18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틀 체결홈(141)이 마련되며, 상기 클램프(180)에는 상기 가스통(10)을 감싸는 조임밴드(182)와, 상기 조임밴드(182)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밴드구속구(186) 및 상기 밴드구속구(186)와 조임밴드(182)가 결합되는 고정틀(184)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틀(184)은 상기 고정틀 체결홈(141)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된 일부분이 끼움 장착되면서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일측에 상기 밴드구속구(186)가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조임밴드(182)의 일측이 밴드고정축(188)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밴드(182)에는 상기 고정틀(184)의 연결부분 타측으로 상기 밴드구속구(186)와 결합되는 연결부(181)가 구비되어, 상기 밴드구속구(186)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임밴드(182)의 조임영역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밴드구속구(186)는 사용자가 회전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조임밴드(182)의 조임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램프(180)에 의해 가스통(10)이 고정되는 가스통 고정부(140)는 상기 각도조절부(160)의 일측에 구비되는 틸팅플런저(162)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 회전이 구속된다.
상세히, 상기 틸팅플런저(162)의 구성은 전술한 로테이팅 플런저(124)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각도조절수단(160)의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 조작이 없을 경우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틸팅플런저(162)를 사용자가 조작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틸팅플런저(162)의 지지력이 해지되므로,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가 틸팅축(165)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틸팅플런저(162)는 전술한 로테이팅 플런저(124)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에 별도의 상하회동 제한판을 구비하고 이에 마련된 수용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상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와 각도조절부(160) 사이에는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하측 회전시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측 회전시 작동력을 보조하기 위한 조력수단(200)이 더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조력수단(200)은 실린더 내부에 오일 또는 질소가스 등이 채워지는 가스 쇼크업소버나 스프링이 포함되는 쇼크업소버로, 일단이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측부에 형성된 조력수단 연결홀(147)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각도조절부(160)의 측부에 형성된 조력수단 고정홀(167)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조력수단(200)은 상기 틸팅플런저(162)에 의해 가스통 고정부(140)가 지지되고 있을 경우가 초기 위치가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의 로테이팅 상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도 5 에서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이 틸팅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을 이용하여 가스통이 교체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장비(1)의 작동 중 가스통(10)이 소진되어 연료부족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상기 가스통(10)을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통 크래들(100)은 상기와 같은 교체작업을 사용자가 상기 가스통(10)이 고정된 카운트 웨이트(30)의 상부에 올라기지 않고,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를 수평으로 회전시킨 뒤, 다시 하측으로 회전하여 가스통(10)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도 5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통 크래들(100)에 고정된 가스통(10)의 교체를 위해 가스통(10)이 고정된 상태의 가스통 고정부(140)가 중장비(1)의 후측을 향하도록 회전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가 상기 로테이팅 플런저(124)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A”방향으로 잡아당긴 이후 상기 회전축(128)을 중심으로 상기 각도조절부(160) 및 이와 연결된 가스통 고정부(140)를 회전시킨 것으로, 상기 로테이팅 플런저(124)를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로테이팅 구속판(126)과 회동제한판(144)의 구속이 해지된다.
따라서, 회동제한판(144)의 구속이 해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스통(10) 또는 가스통 고정부(140)를 밀게 되면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와 함께 가스통(10)이 도 5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가스통(10)을 고정시키고 있는 클램프(180)를 해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틸팅플런저(162)를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틸팅플런저(162)를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있던 구속력이 해지되면서,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가 도 6에 도시된 위치까지 하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력수단(200)은 그 길이가 늘어나면서 인장되어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면서 안정적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플런저(162)는 단부가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측면과 접하여 탄성 압축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하측 방향 회전이 정지되면, 사용자는 상기 클램프(180)를 조작하여 상기 가스통(10)을 분리하여 교체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통(10)의 교체하여 클램프(180)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교체된 가스통(10)의 고정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가스통(10)이 고정된 가스통 고정부(14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력수단(200)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가스통(1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측면과 접하면서 탄성 압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틸팅플런저(162)의 단부가 릴리즈되면서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스통 고정부(140)의 상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가스통 고정부(140) 또는 가스통(10)을 수평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토퍼(149)가 상기 회동방향 제한리브(127)와 접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49)와 회동방향 제한리브(127)가 접하게 되면, 상기 회동제한판(144)과 로테이팅 구속판(126)이 겹쳐지면서 상기 로테이팅 구속구 수용홈(143)과 로테이팅 구속홈(125)이 일치되어 로테이팅 플런저(124)의 단부 즉, 로테이팅 구속구(123)가 상기 로테이팅 구속구 수용홈(143)에 수용되면서 가스통(10)의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100..... 가스통 크래들 120..... 마운팅 플레이트
124..... 로테이팅 플런저 140..... 가스통 고정부
160..... 각도조절부 162..... 틸팅플런저
180..... 클램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중장비의 본체 일측에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중장비의 작동을 위한 에너지원인 가스통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가스통 고정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가스통 고정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가스통 고정부와 각도조절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스통 고정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면서 완충 또는 작동력을 보조하는 조력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방향 일측을 차폐하기 위한 회동방향 제한리브가 마련되는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 고정부에는 상기 회동방향 제한리브에 접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KR2020100003620U 2010-04-07 2010-04-07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KR200464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20U KR200464958Y1 (ko) 2010-04-07 2010-04-07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620U KR200464958Y1 (ko) 2010-04-07 2010-04-07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32U KR20110009732U (ko) 2011-10-13
KR200464958Y1 true KR200464958Y1 (ko) 2013-01-25

Family

ID=4559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620U KR200464958Y1 (ko) 2010-04-07 2010-04-07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8799A3 (de) * 2021-12-16 2023-10-18 Liebherr-Werk Bischofshofen GmbH Arbeits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18A (ko) * 2001-06-05 2002-12-12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KR20030092898A (ko) * 2002-05-31 2003-12-06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US20100051567A1 (en) 2006-08-14 2010-03-04 Component Concepts International, Llc Container Mounting Assembly
KR20100074764A (ko) * 2008-12-24 2010-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18A (ko) * 2001-06-05 2002-12-12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KR20030092898A (ko) * 2002-05-31 2003-12-06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듀얼타입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US20100051567A1 (en) 2006-08-14 2010-03-04 Component Concepts International, Llc Container Mounting Assembly
KR20100074764A (ko) * 2008-12-24 2010-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8799A3 (de) * 2021-12-16 2023-10-18 Liebherr-Werk Bischofshofen GmbH Arbeits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32U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4400B2 (ja)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US9306272B2 (en) Device for fixing a satellite antenna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255695B1 (ko) 자전거 2중 거치장치
CN102963548A (zh) 容器物料填充振动装置
KR200464958Y1 (ko) 중장비용 가스통 크래들
CN208236451U (zh) 一种矿山井下作业用安全防护支架
CA3030018A1 (en) Protection cover of battery box of electric vehicle
CN108778916B (zh) 用于车辆的座
KR101555320B1 (ko) 쇽 업소버의 스프링 압축장치가 일체화된 샵 프레스
JP2014042715A (ja) 墜落防止用ワイヤの中間支持装置
JP2005511100A (ja) 工具をハーネスに取付けるための装置
CN202896897U (zh) 容器物料填充振动装置
KR200457436Y1 (ko) 주상 안전 유닛
JP7237509B2 (ja) 動力工具およびフック
TW201422469A (zh) 車輛防撞裝置
US9327944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or dismantling a crane
KR200483515Y1 (ko) 차량용 시트에 부속품으로서 제공되는 완충부재
CN209921471U (zh) 一种摩托车主支架保护结构
KR20140000836U (ko) 선박용 스텝 장치
CN206266040U (zh) 一种轿顶轮组件
CN220147991U (zh) 一种改进型的包装桶
CN207906936U (zh) 一种隧道掌子面移动式照明平台
KR101434051B1 (ko) 안전 거치대 및 안전 거치대가 구비된 사다리
EP4046881B1 (en) A carrying mechanism for a battery
CN213442582U (zh) 一种便于运输气瓶的放置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