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221B1 -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 Google Patents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221B1
KR100466221B1 KR10-2002-0048388A KR20020048388A KR100466221B1 KR 100466221 B1 KR100466221 B1 KR 100466221B1 KR 20020048388 A KR20020048388 A KR 20020048388A KR 100466221 B1 KR100466221 B1 KR 10046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bar
cutting
punch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140A (ko
Inventor
조윤준
이광열
Original Assignee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2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21Flat leads, e.g. lead frames with or without insulating supports
    • H01L21/4842Mechanical treatment, e.g. punching, cutting, deforming, cold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의 댐바를 제거하는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으로, 다이날(110)과 가이드부(212)와의 이격거리(h2)가 다이날(110)과 절단부(211)와의 이격거리(h3)보다 작게 형성되되, 펀칭바아(210)가 다이날(110)들간의 다이홈(H ; H1,H2) 중간에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다이와 펀치간의 마모가 가능한 한 억제되면서, 펀칭바아가 항상 다이날들간의 다이홈 중간에 정위치되므로, 댐바절단작업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되어 댐바절단불량으로 인한 제품불량이 크게 감소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Press-mold of a trimming equipment}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의 댐바를 제거하는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으로, 다이와 펀치간의 마모가 가능한 한 억제되면서 펀치가 다이의 중심에 정위치되도록 된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의 댐바는, 반도체칩이 탑재되어진 리드프레임의 중심 부분을 수지류로 몰딩처리할 때, 수지류들이 리드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댐바는, 이후 각 리드들이 독자적으로 전기적인 접촉을 이룰수 있도록 제거되는데, 이러한 댐바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통상 트리밍장치라고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 프레스금형을 갖춘 트리밍장치에 의한 트리밍작업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제품(P)이 별도의 이송장치(도시안됨)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다이패드(500)로 공급되어 다이패드(500)의 본체지지부(510)에 얹혀져 고정되면, 금형이송장치(도시안됨)에 의해 펀치리테이너(3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펀치리테이너(300)에 고정되어진 펀치(2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다이(100)의 외측에는 별도의 위치셋팅용 돌출핀이 설치되어 있고, 반제품(P)에는 정위치를 위한 별도의 구멍(도시안됨 ; 이송을 위한 목적으로도 쓰임)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제품(P)이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다이패드(500)에 안착될 때, 반제품(P)의 구멍에 위치셋팅용 돌출핀이 삽입되면서 1차적으로 반제품(P)이 정위치된 상태로 다이패드(500)에 안착된다. 또한, 다이패드(500)의 중심부분에는 흡착구(520)가 형성되고, 이 흡착구(520)는 진공압력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있어서, 다이패드(500)의 본체지지부(510)에 얹혀진 반제품(P)이 흡착구(520)를 통해서 전달되는 진공압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펀치(200)가 연속적으로 하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면, 반제품(P)의 리드(L)들은 다이(100)의 다이날(110)에 얹혀지고, 리드(L)들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댐바(D)는 다이날(110) 사이의 다이홈(H)으로 노출되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이홈(H)으로 삽입되는 펀치(200)의 펀칭바아(210)들이 해당 댐바(D)들을 절단하게 된다.
한편, 펀칭바아(210)는, 댐바(D)를 절단하는 절단부(211)와, 절단부(211)로부터 이의 자유단으로 돌출되어진 가이드부(212)로 이루어지는데, 가이드부(212)는 정위치로부터 이탈되어진 리드(L)들을 정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부(212)의 양쪽 측면에는 경사면(212a)이 형성되어 있어서 리드(L)들이 경사면(212a)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정위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12)의 구조와 역할은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1996-46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보다 정밀한 댐바 제거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다이(100)와 펀치(200) 상호간의 공차로 인해 댐바 제거작업이 불균일하게 수행되고, 이로 인해서 반도체패키지의 제품성능저하가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정밀한 댐바 제거작업을 위해서는 다이(100)의 다이홈(H)과, 펀치(200)의 펀칭바아(210) 폭을 서로 근사하게 정밀가공해야 되지만, 이들(H,210)을 정밀하게 가공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들간의 상호 배치와, 펀치(200)의 수직방향으로의 왕복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다이날(110)의 측면과 펀치(200)의 펀칭바아(210)의 측면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맞대어지면서 다이(100)와 펀치(200)가 크게 손상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00)와 펀치(200) 사이에 펀치가이드부재(400)를 설치하여, 하강하는 펀치(200)의 펀칭바아(210)가 펀치가이드부재(400)의 펀치가이드용 스트립(410)들간의 틈새로 끼워져서 가이드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펀치가이드용 스트립(410)과 펀칭바아(210)간에 적절한 이격거리를 두어야 하므로, 다이홈(H)과 펀칭바아(210)의 폭을 서로 근사하게 정밀가공하기에는 한계가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00)의 다이홈(H)과, 펀치(200)의 펀칭바아(210)의 폭을 결정함에 있어서, 이들간의 상호 배치와, 펀치(200)의 수직방향으로의 왕복이동시의 오차를 고려하여 충분한 이격거리(h1)를 두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펀칭바아(210)가 어느 한쪽 측면으로 편향되게 되면, 댐바(D)가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진 상태로 절단되므로, 리드(L)를 중심으로 한 양쪽 측면이 비대칭을 이루게 되고, 리드 측면의 절단불량이 초래되어, 완성된 반도체패키지의 성능저하가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펀칭바아(210)가 이보다 더욱 편향되는 경우에는, 펀치(200)의 하강시, 펀칭바아(210)의 가이드부(212) 측면에 배치된 경사면(212a)이 다이(100)의 다이날(110)의 측면에 소정 압력으로 접해지면서 펀칭바아(210)의 가이드부(212)가 정위치로 유도되어 다이홈(H)으로 삽입된 후에, 펀칭바아(210)의 절단부(211)와 가이드부(212)의 측면이 다이날(110)에 소정 압력으로 접해지면서 다이홈(H)으로 삽입되므로, 펀칭바아(210)와 다이날(110)의 상호 간섭에 의한 마모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이와 펀치간의 마모가 가능한 한 억제되면서, 펀칭바아가 항상 다이날들간의 다이홈 중간에 정위치되도록 하는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트리밍처리할 반제품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프레스금형을 갖춘 트리밍장치의 주요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댐바가 제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대한 대응도,
도 6은 도 5의 평면 배치도로서, 도 4에 대한 대응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금형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대한 대응도,
도 8은 도 7의 평면 배치도로서, 도 6에 대한 대응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다이, 110 ; 다이날,
200 ; 펀치, 210 ; 펀칭바아,
211 ; 절단부, 212 ; 가이드부,
212a ; 경사면, 300 ; 펀치리테이너,
400 ; 펀치가이드부재, 410 ; 펀치가이드용 스트립,
500 ; 다이패드, 510 ; 본체지지부,
520 ; 흡착구, D ; 댐바,
H,H1,H2 ; 다이홈, L ; 리드,
M ; 본체, P ; 반제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다이날을 갖춘 다이와, 등간격을 이루면서 다이날들간의 다이홈에 삽입되는 다수의 펀칭바아를 갖춘 펀치로 이루어지되, 펀칭바아는 댐바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부를 가이드하면서 절단부의 자유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에 있어서, 상기 다이날과 가이드부와의 이격거리가 다이날과 절단부와의 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되, 펀칭바아가 다이날들간의 다이홈 중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다이날(110)을 갖춘 다이(100)와, 등간격을 이루면서 다이날(110)들간의 다이홈(H1,H2)에 삽입되는 다수의 펀칭바아(210)를 갖춘 펀치(200)로 이루어지되, 펀칭바아(210)는 댐바(D)를 절단하는 절단부(211)와, 절단부(211)로부터 이의 자유단으로 돌출된 가이드부(212)로 이루어진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펀칭바아(210)의 절단부(211)와 가이드부(212)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가이드부(212)에 해당하는 다이홈(H1)의 폭이 절단부(211)에 해당하는 다이홈(H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다이날(110)과 가이드부(212)와의 이격거리(h2)가 다이날(110)과 절단부(211)와의 이격거리(h3)보다 작고, 펀칭바아(210)가 다이날(110)들간의 다이홈(H1,H2) 중간에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이날(110)과 가이드부(212)와의 이격거리(h2)를 다이날(110)과 절단부(211)와의 이격거리(h3)보다 작게 형성하면, 펀칭바아(210)와 다이날(110)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므로, 가이드부(212)에 해당하는 다이홈(H1)과, 펀치(200)의 펀칭바아(210) 폭을 서로 근사하게 정밀가공하더라도, 다이날(110)과 절단부(211)간의 상호 간섭으로 인한 마멸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212)가 이에 해당하는 다이홈(H1)에 보다 정밀하게 정위치되어, 절단부(211)는 항상 이에 해당하는 다이홈(H2)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절단부(211)의 모서리부분이 다이날(110)에 간섭되어 마멸되는 것은 충분히 안전하게 방지되고, 댐바절단작업의 균일성이 크게 향상되어 댐바절단불량으로 인한 제품불량이 감소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2)의 폭을 절단부(21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가이드부(212)와 절단부(211)에 해당하는 다이홈(H)의 폭을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다이날(110)과 가이드부(212)와의 이격거리(h2)가 다이날(110)과 절단부(211)와의 이격거리(h3)보다 작고, 펀칭바아(210)가 다이날(110)들간의 다이홈(H) 중간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데, 일예로, 각각의 펀칭바아들 및/또는 다이날들이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상호 조립될 수도 있으며, 펀칭바아의 절단부와 가이드부가 개별적으로 제조되어서 상호 조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날과 가이드부와의 이격거리(h2)가 다이날과 절단부와의 이격거리(h3)보다 작게 형성되되, 펀칭바아가 다이날들간의 다이홈(H ; H1,H2) 중간에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다이와 펀치간의 마모가 가능한 한 억제되면서, 펀칭바아가 항상 다이날들 간의 다이홈 중간에 정위치되므로, 댐바절단작업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되어 댐바절단불량으로 인한 제품불량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다이날(110)을 갖춘 다이(100)와, 등간격을 이루면서 다이날(110)들간의 다이홈(H ; H1,H2)에 삽입되는 다수의 펀칭바아(210)를 갖춘 펀치(200)로 이루어지되, 펀칭바아(210)는 댐바(D)를 절단하는 절단부(211)와, 절단부(211)를 가이드하면서 절단부(211)의 자유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212)로 이루어진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에 있어서,
    상기 다이날(110)과 가이드부(212)와의 이격거리(h2)가 다이날(110)과 절단부(211)와의 이격거리(h3)보다 작게 형성되되, 펀칭바아(210)가 다이날(110)들간의 다이홈(H ; H1,H2) 중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바아(210)의 절단부(211)와 가이드부(212)의 폭이 서로 동일하고, 가이드부(212)에 해당하는 다이홈(H1)의 폭이 절단부(211)에 해당하는 다이홈(H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12)의 폭이 절단부(211)의 폭보다 크고, 가이드부(212)와 절단부(211)에 해당하는 다이홈(H)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KR10-2002-0048388A 2002-08-16 2002-08-16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KR10046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88A KR100466221B1 (ko) 2002-08-16 2002-08-16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388A KR100466221B1 (ko) 2002-08-16 2002-08-16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40A KR20040016140A (ko) 2004-02-21
KR100466221B1 true KR100466221B1 (ko) 2005-01-13

Family

ID=3732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388A KR100466221B1 (ko) 2002-08-16 2002-08-16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847B1 (ko) 2006-10-30 2007-09-04 주식회사 마이크로닉스 트리밍금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657A (ja) * 1989-08-30 1991-04-10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
KR960000467U (ko) * 1994-06-15 1996-01-17 김광희 일회용 의료 응급처치 세트
KR0134646B1 (ko) * 1994-05-16 1998-04-20 김광호 역적층 초박형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H10189853A (ja) * 1996-12-24 1998-07-21 Apic Yamada Kk 半導体パッケージ製造用切断装置
JP2000334700A (ja) * 1999-05-25 2000-12-05 Sony Corp T/f金型パンチ
JP3085657U (ja) * 2001-09-26 2002-05-17 裕人 坂口 切りかす上がり対策を施したタイバーカットダイ構造
JP2003017643A (ja) * 2001-06-28 2003-01-17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5657A (ja) * 1989-08-30 1991-04-10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
KR0134646B1 (ko) * 1994-05-16 1998-04-20 김광호 역적층 초박형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960000467U (ko) * 1994-06-15 1996-01-17 김광희 일회용 의료 응급처치 세트
JPH10189853A (ja) * 1996-12-24 1998-07-21 Apic Yamada Kk 半導体パッケージ製造用切断装置
JP2000334700A (ja) * 1999-05-25 2000-12-05 Sony Corp T/f金型パンチ
JP2003017643A (ja) * 2001-06-28 2003-01-17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切断装置
JP3085657U (ja) * 2001-09-26 2002-05-17 裕人 坂口 切りかす上がり対策を施したタイバーカットダイ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847B1 (ko) 2006-10-30 2007-09-04 주식회사 마이크로닉스 트리밍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40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4686B (zh) 铁压板连续模
KR100466221B1 (ko) 트리밍장치의 프레스금형
US5495780A (en) Method for sharpening an IC lead-frame punch
CN211965553U (zh) 一种精密冲切模具
CN208288785U (zh) 汽车支撑板连续模
JP2003078095A (ja) リード加工装置
KR10085872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크랩 절단장치
KR100244087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싱귤레이션 장비의 다이
KR920008572B1 (ko) 성형금형
CN214161041U (zh) 一种定位结构及包含其的模具
KR200306076Y1 (ko) 반도체패키지의댐바절단장치
KR200141174Y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트림/포밍 다이
KR100215122B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금형의 가공방법
KR100298514B1 (ko) 마이크로비지에이의싱귤레이션금형
KR0125114Y1 (ko) 반도체 팩키지의 리드성형장치
KR100203929B1 (ko) 돌출형 리드 컷팅 날을 갖는 리드 성형 장치
JP3005503B2 (ja) タイバー切断型用パンチガイドおよびその切断方法
JP2003234448A (ja) リードフレームのタイバー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JP4600797B2 (ja) 電子部品リード切断装置
KR200341562Y1 (ko) 리드프레임 금형
KR200221823Y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림다이
KR100207342B1 (ko) 반도체패키지용 트림폼 시스템의 싱귤레이션 다이홀더
KR0184062B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리드절단장치
KR100225777B1 (ko) 반도체 소재 가공용 펀칭 장치
KR940011092B1 (ko) 비데오 테이프 카세트용 서포트 스프링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