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870B1 - 자성 물질상의 실리카 흡착제 - Google Patents

자성 물질상의 실리카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870B1
KR100464870B1 KR10-1999-7006566A KR19997006566A KR100464870B1 KR 100464870 B1 KR100464870 B1 KR 100464870B1 KR 19997006566 A KR19997006566 A KR 19997006566A KR 100464870 B1 KR100464870 B1 KR 10046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adsorbent
core
slurry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335A (ko
Inventor
제임스 닐 프라이어
린다 리 크럼프
Original Assignee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filed Critical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ublication of KR2000007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5Compounds of Fe, Ru, Os, Co, Rh, Ir, Ni, Pd, Pt
    • B01J20/0229Compounds of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9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5Pore diameter being more than 50 nm, i.e. macr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6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metal, other than zeolites, e.g. oxides, hydroxides, sulphides or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3Coatings on a core, the core being particle or fiber shaped, e.g. encapsulated particles, coated fi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26Magnetic particles
    • G01N33/5434Magnetic particles using magnetic particle immunoreagent carriers which constitute new materials per 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43Magnetism, e.g. magnetic lab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함수 규산 산화물로 피복된 초상자성 및/또는 낮은 퀴리 온도 전이 금속-함유 코어를 포함하는 흡착제 입자는 코어를 수용액으로부터 석출시키고, 규산 산화물을 피복시킨 후까지 코어를 완전하게 건조시키는 것을 피하면서 규산 산화물을 피복시키는 수성 공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생성된 규산질 흡착제는 낮은 전이 금속 용해도를 갖는 강한 초상자성 및/또는 낮은 퀴리 온도 자기 특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자성 물질상의 실리카 흡착제 {Silica Adsorbent on Magnetic Substrate}
출원과 관련된 참고문헌
"실리카 자성 입자를 이용한 생물학적 목적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8/786,601호를 참고하며, 그 내용은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배경기술
자기 특성을 갖는 흡착제 물질은 공지되어 있다. 다양한 공정에서 자기장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종종 강자성 및 초상자성과 같은 자기특성이 요청된다. 초상자성은 흡착제 입자를 수집하고 재분산 시키려는 많은 화학 용도면에서 특히 관심을 끌었다. 선행 기술상의 입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물질로 피복되거나 처리된 초상자성 물질 (예컨대, 자철광)을 포함한다.
많은 용도에서, 선행 기술상의 물질은 적당하다고 여겨져 왔으나 어떤 용도에서는 선행 기술상의 물질은 산성 환경 하에서 용해되기 쉬운 취약점과 자기 성능이 불충분하다는 점 때문에 부적당하였다. 식용 물질 또는 민감한 생물학적 물질의 가공 (예컨대, 특허 출원 공개 WO95/06652호에 기술된 핵산 정제) 같은 많은 용도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으로 인하여 성능 불량을 초래하거나 이들 물질을 사용할 수 없게 하였다.
따라서 향상된 초상자성 피복 입자, 특히 초상자성 흡착제로서 유용한 입자가 요구되었다. 또한 그러한 흡착제를 제조하는 향상된 방법도 요구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수성의 산성 환경에 노출시 자성 물질의 용해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갖고 또한 함수 규산 산화물 흡착 표면과 탁월한 자기 반응을 갖는 향상된 규산 산화물-피복 자성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요지는 산성 매질에 노출시켰을 때 입자가 전이 금속 용해를 거의 않거나 전혀 나타내지 않는 함수 규산 산화물 피복으로 둘러싸인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코어를 갖는 입자를 포함한다. 이 입자는 고주파음에 의한 분해처리 (즉, 초음파 처리) 후에도 낮은 금속 용해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코어의 수분산액을 형성하여 분산된 코어에 pH 9 이하에서 규산 산화물을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코어 상에 규산질 피복을 형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의 수분산액은 코어(결정)를 수성매질에서 석출시키고, 석출한 순간부터 수성 매질과 접촉한 코어를 그 위에 실리카 피복하는 동안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함수 규산 산화물 피복으로 둘러싸인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코어를 갖는 입자를 계로부터 물질을 흡착하는데 사용한 다음 자기장을 걸어 계로부터 흡착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을 흡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코어 물질은 자철광과 같은 초상자성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성의 산성 환경에 노출시 전이 금속의 용해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갖고 또한 함수 규산 산화물 흡착 표면 (즉, 실란올기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표면)과 탁월한 자기 반응을 갖는 규산-산화물 피복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코어를 포함하는 향상된 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입자는 이들 규산 산화물 피복 코어의 응집물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자는 (1) 특히 산성 환경에 노출시 자성 코어로부터 금속 용해에 대한 높은 저항력, (2) 탁월한 자기 성능 (예컨대, 자기장을 걸었을 때 액체로부터 분리되는 능력 및 자기장이 없을 때의 분산성) 및 (3) 탁월한 흡착/탈착 작용, 특히 용균물(lysate)로부터 생물학적 유전 물질의 흡착/탈착 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코어"는 규산 산화물 피복으로 둘러싸인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입자의 코어는 초상자성 성능(상대적으로 낮은 잔류 자기를 나타내는 물질 포함) 및/또는 낮은 퀴리 온도를 갖고 실리카 피복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약 10 emu/g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emu/g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 emu/g의 잔류 자기를 갖는 초상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낮은 자기 온도 물질이 사용될 때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0℃ 이하의 퀴리 온도를 갖는다. 코어 물질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이 금속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상자성 물질 중에서 Ⅷ 족 전이금속을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며 자철광 철산화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코어는 본질적으로 철 자철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초상자성 물질은 외부장의 제거시 자력의 손실을 초래하는 온도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낮은 퀴리 온도의 자성 물질이 바람직하다. 초상자성 물질의 입자는 잔류 자기가 낮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외부장의 제거시 쉽게 재분산될 수 있는 반면 낮은 퀴리 온도의 물질은 임의의 외부장의 제거시 입자의 재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상기 퀴리 온도 수준으로 온도를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많은 물질의 자기 특성은 종종 물질의 물리적 크기와 상태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물질은 결정 크기, 온도, 물리적 환경 (예컨대, 매트릭스에 묻혀 있는 경우)에 따라 다른 자기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자철광 또는 다른 초상자성 물질은 1000Å미만, 바람직하게는 600Å미만의 결정 크기 (직경)를 가져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상술한 자기 물질의 조합물로부터 코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사용된 자성 물질과 적용된 자기장에 대한 바람직한 정도에 따라 코어 조성물을 비-자성 물질로 희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어는 근본적으로 초상자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경우에는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물질의 표면에 다양한 비-규산 산화물 물질의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금 또는 귀금속과 같은 금속의 중간층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규산 산화물 피복이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물질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하는 모든 중간층은 피한다. 어떤 경우에는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물질이 물질의 표면의 부수적인 산화와 관련된 약간 높은 산소 함량을 갖는 표면 영역을 가질 수 있거나 약한 산소 환경하에 노출될 수 있다. 산소가 많은 그러한 영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중간층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규산 산화물 피복은 바람직한 실란올 관능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다공성/표면적 및 차단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조성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규산 산화물 피복은 바람직하게는 약 80 중량% 이상 (건조 기준) SiO2,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건조 기준),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중량% (건조 기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규산 산화물 피복은 용해되기 쉬운 형태의 전이 금속을 다량 함유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규산 산화물 피복 안의 전이 금속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 (건조 기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01 중량% 이다. 규산 산화물 피복은 피복의 형성과 관련된 알칼리 금속 이온을 함유할 수 있지만 피복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로 계산하여 약 1 중량% 미만 (건조 기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미만의 알칼리금속을 함유한다.
규산 산화물 피복은 함수 표면 즉, 실란올 기를 갖는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규산 산화물 피복이 다공성이라면, 규산 산화물은 기공 안에 유리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공은 규산 산화물 피복이 형성된 후에 물질이 건조되는지에 따라 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채워진다. 규산 산화물은 무정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규산 산화물 피복은 다공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공은 흡착 및/또는 탈착되는 물질과 기공의 성질에 따라 흡착 및/또는 탈착시 물질의 성능에 대하여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친다. 흡착 및 뒤이은 탈착이 모두 요구되는 경우에 규산 산화물 피복의 기공은 흡착을 위한 부가적인 표면을 제공하지만 탈착을 두드러지게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일반적으로 흡착/탈착되는 물질의 크기에 따라 임의의 중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기공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기공은 소망하는 흡착된 물질이 공정의 후반부에서 탈착을 과도하게 방해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크다. 대부분의 경우, 규산 산화물 피복의 외부 표면은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내부 표면 (즉, 기공)은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규산 산화물 피복은 질소 BET 법으로 측정하여 입자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0.2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5 ㎖/g의 전체 기공 부피를 갖는다. 질소 BET 법으로 측정한 전체 기공 부피는 600Å 이상의 직경을 갖는 기공에 약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85%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산 산화물 피복은 입자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5 m2/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m2/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500 m2/g의 질소 BET 표면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자는 규산 산화물 피복된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결정 코어의 집합물을 포함한다. 집합물 자체는 접촉할 수 있는 표면에부가적인 규산 산화물 피복을 할 수 있다. 코어 물질과 규산 산화물 피복의 상대적인 양은 상당히 다양한데, 본 발명의 입자는 전체 입자 조성물을 기준으로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코어 물질을 3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8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코어 물질은 적용된 자기장에 대하여 강한 반응을 나타낸다. 입자가 자기장이 적용되는 동안 액체로 존재하는 경우, 입자 자체의 끌림 항력 성질 (입자-유체 계면 및 입자 형태와 관련된 유체 안 입자 운동에 대한 저항력)이 적용된 자기장에 대한 반응 (즉, 입자 운동)의 강도와 속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발명의 입자는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작은 입자일수록 흡착을 위한 표면적 (무게 기준으로)을 더 많이 제공하지만 더 많은 양의 끌림 항력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입자는 약 1 내지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 ㎛,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의 중간 크기의 입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크기 분포도 또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모노달 (monodal) 입자 크기 분포가 바람직하다. 입자 크기 분포는 입자의 약 80 중량%가 대체로 중간 입자 크기인 10 ㎛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범위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6 ㎛ 범위 이내이다.
본 발명의 입자는 일반적으로 규산 산화물 흡착제가 사용되는 모든 용도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자는 건조제, 향 흡착제 및 휘발성 유기 흡착제 등과 같은 액체에서 선택적인 흡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입자는 특히 액체로부터 고분자 구성요소 (특히 유기물)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데 유용하다. 그 입자는 특히 약한 환경 및 강한 산성 환경 하에서 특히 유용하다.
액체로부터 흡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서, 입자는 적용된 자기장의 부재시 액체에 쉽게 분산될 수 있다. 소망하는 흡착이 한번 일어나면 입자를 원심분리법 또는 여과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액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입자는 액체를 가로질러 자기장을 적용함으로써 액체로부터 분리하는데 특히 적당하다. 본 발명의 입자의 또 다른 장점은 자기장의 제거시 쉽게 재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낮은 퀴리 온도 물질에 있어서, 자기장은 적절한 퀴리 온도 이하에서 적용해야 한다. 자기장의 제거시 낮은 퀴리 온도 물질은 잔류 자성을 줄이고 재분산을 하기 위해 상기 퀴리 온도 점으로 가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용도 면에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산성 환경 하에 입자를 노출시켰을 때 코어로부터 금속이 용해하는 것에 대하여 탁월하게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에 자기장을 적용하였을 때 입자의 분리속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장에 대하여 탁월하게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구성물질, 특히 생물학적 유전 물질 (예컨대, DNA, RNA 등)에 대한 높은 흡착 능력 및 높은 탈착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착제의 금속 용해성은 20㎖의 1N 염산 수용액(탈염수를 사용)에 0.33g의 입자 (약 110℃에서 오븐 건조)를 넣어 측정할 수 있다. 이어, 생성된 혼합물을 입자만이 분산되도록 교반하였다. 약 15분의 전체 접촉 시간 후, 혼합물로부터 액체 부분의 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임의의 통상적인 원소 분석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유도 결합된 플라즈마 스펙트스코피 (ICP)가 바람직하다. 이 실험에서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ppm 이하 (용액 농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pp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ppm 이하의 코어로부터 전이금속에 대한 용해값을 나타내었다. 코어가 철-기재 물질 (자철광)을 함유하는 경우 및 입자가 회복, 치료 또는 생물학적 물질의 분석을 포함하는 용도에 사용될 경우에 작은 용해 값이 특히 중요하다.
적용된 자기장에 대한 본 발명의 물질의 반응성은 외부장을 통하여 자기장을 걸었을 때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를 통해 광투과 (또는 흡수)를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을 하기 위하여 2㎖ 탈염수를 함유하는 1 제곱 센티미터의 스펙트로포토미터 커벳트 (1㎝ 통과 길이)를 참고로 사용하고 590 ㎚ 파장 광원을 사용하여 투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물질은 2 ㎖의 탈염수 샘플 속에 있는 1 중량% 농도의 입자를 측정하였다. 자기장을 걸어 1 ㎝ × 1 ㎝ × 0.7 ㎝ 크기의 희토류 자석 (질량=약 5.8g)을 커벳트 바닥과 상호작용 하도록 스펙트로포토미터 내 커벳트 아래에 직접 놓았다 (Shimadzu Instruments Model U-1601이 바람직함). 이어, 광투과(%)를 40 내지 60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40초 후 약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의 광투과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600초 후 8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광투과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물질의 흡착 능력은 흡착 용량과 탈착 수율에 의해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자성 입자를 이용한 생물학적 목적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에 기술된 흡착/탈착 성능과 비슷하거나 그것을 초과한다.
본 발명의 입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소망하는 자기 특성을 갖는 분산된 코어 입자의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고, 피복시 마지막 슬러리 pH가 약 9 이하인 코어 입자의 표면에 규산질 피복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코어 입자는 시판중인 원료로부터 얻을 수 있거나 소망하는 코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할 수도 있다. 코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규산 산화물 피복하기 전에 수성 매질에서 완전히 분산시킨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수성 매질에서 석출하여 합성하고 실리카 피복하는 동안 석출한 순간부터 수성 매질과 계속 접촉시킨다.
자철광의 경우,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FeCl2(예컨대 약 2.5 내지 4 중량%)와 FeCl3(예컨대 약 1 내지 3 중량%)의 수용액이 형성되는 수성 석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Fe (Ⅱ) 대 Fe (Ⅲ)의 비는 최종 생성물 안의 철 산화물 비율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철 염화물의 상대적인 비율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Fe (Ⅱ) 대 Fe (Ⅲ)의 비는 약 1이다. 강한 교반 하에서 수산화 암모늄 (바람직하게는 14 중량%의 NH4OH 수용액)와 같은 염기를 미정질 자철광이 석출되는 동안 상온에서 용액에 신속하게 부가하여 pH를 약 8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로 올렸다. 이어, 석출 슬러리를 침전시키고, 경사 분리하고 물로 재슬러리화 시켜 과량의 암모늄과 염소 이온을 제거하였다. 침전, 경사 분리 및 세척 작업은 소망하지 않는 이온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복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전체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시키기 위해 침전 및 경사 분리 대신에 원심 분리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카 피복하기 전에 석출물의 건조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물질의 표면에 다양한 비-규산 산화물로 된 하나 이상의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 표면은 약한 산소 환경 하에서 약간 높은 산소 함량을 갖는 표면 영역을 만든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규산 산화물 피복이 초상자성 또는 낮은 퀴리 온도 물질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모든 중간층은 피한다.
규산 산화물 피복 시, 코어 입자 또는 코어 입자 슬러리는 물 (바람직하게는 탈염수)에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슬러리 안의 입자의 농도는 다양하지만 물 1000 중량부 당 코어 입자 약 50 내지 1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코어 입자의 분산이 골고루 되기 위해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방법은 단순히 젓는 것부터 고주파 음에 의한 분해처리 (즉, 초음파 이용) 또는 그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슬러리를 약 60 내지 95℃로 가열하고, 피복시키는 동안 승온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입자에 규산 산화물을 피복하기 위하여 규산 산화물 원료 (바람직하게는 규산 나트륨)와 산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과 같은 무기산)을 슬러리에 가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슬러리를 규산 산화물 원료와 산을 가하는 동안 교반하에 유지시켰다. 규산 산화물 원료와 산은 다양한 순서로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규산 산화물 원료와 산을 동시에 부가하거나 규산 산화물 원료를 먼저 가하고, 나중에 산을 가할 수 있다. 슬러리에 가하는 규산 산화물 원료와 산의 전체 비율은 모든 첨가가 중단된 후, 슬러리의 마지막 pH가 약 9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9,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8이 되도록 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숙성 단계를 첨가 과정 중에 임의의 단계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규산염과 산의 첨가는 균질한 실리카 입자를 석출하지 않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피복될 바람직한 양의 실리카를 함유하는 수성 규산 나트륨 용액 (예컨대 10.7 중량%의 SiO2및 3.24 중량%의 Na2O)을 코어 입자의 초기 슬러리에 느리게 예컨대 약 45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분 이상에 걸쳐 가한다. 이어, 1N 염산 (또는 다른 무기산)과 같은 산 용액을 pH가 약 6 내지 9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가 되도록 슬러리에 가하였다. 이러한 물질을 가하는 동안 승온된 온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에서 교반하면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pH를 소망하는 값까지 감소시킨 후에 산의 첨가를 중단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슬러리를 동일한 승온 온도에서 약 15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동안 숙성하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숙성시키는 동안 교반하였다.
코어 입자에 규산 산화물을 피복한 후, (예컨대 숙성 후) 슬러리는 대부분의 액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경사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피복된 입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한번 이상 물로 세척하고, 이어 경사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트륨 양이온 수준을 좀 더 낮추고 싶다면 침전-함유 부분을 묽은 염화 암모늄 수용액 (예컨대 3 중량%의 NH4Cl)으로 한번 이상 세척한다. 생성된 침전-함유 부분은 한번 이상 최종 물 세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생성된 입자를 건조할 수 있지만 (예컨대, 낮은 온도 오븐 (<120℃)) 일반적으로 생성된 물질을 습윤된 상태 (예컨대, 수성 슬러리)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생성된 입자는 코어로부터 금속이 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한 산화 후처리시킬 수도 있다. 어떠한 후처리도 입자의 실란올 함량 또는 코어의 자기 특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후처리는 일반적으로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불필요하며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성 규산 나트륨 용액을 pH가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8)이 될 때까지 초기 코어 입자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이어, 잔류물 또는 피복될 바람직한 양의 실리카에 상응하는 수성 규산 나트륨 및 무기산을 첨가 작업을 하는 동안 슬러리의 pH가 실제적으로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양으로 슬러리에 천천히 가하였다. 바람직한 양의 규산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는 것을 기초로 계속 첨가하였다. 슬러리는 첨가하는 동안 승온된 온도 (60 내지 95℃)에서 교반하며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슬러리를 동일한 승온된 온도에서 약 15분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동안 숙성시켰다. 바람직하게는 숙성시키는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생성된 피복된 입자를 세척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로 후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A
초상자성 철 산화물 입자의 제조
FeCl3및 FeCl2를 상온에서 탈염수에 용해시켜 3.24 중량%의 FeCl3및 1.5 중량%의 FeCl2를 함유하는 용액을 형성하였다. 강한 교반 하에 14 중량%의 NH4OH 수용액을 pH가 8.5가 될 때까지 그 용액에 급격하게 첨가하였다. 수산화 암모늄을 첨가한 결과 미세한 자철광 석출물 (Fe3O4)을 형성하였다. 그 석출물을 침전시켰다. 혼합물의 액체 성분 대부분을 경사 분리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류하는 습윤 석출물을 세척하기 위하여 탈염수로 재슬러리시켰다. 이러한 세척 작업은 암모늄 및 염소 이온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총 3번 반복하였다. 석출물을 건조하는 것은 피한다.
실시예1B
초상자성 입자의 과산화수소 처리
실시예 1A로부터 75g의 자철광을 탈염수로 재슬러리하여 7.5 중량%의 고체 농도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교반하였고, 600 ㎖의 3 중량% 과산화수소 용액을 슬러리에 첨가하는 동안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분 동안 이 조건하에서 유지하였고, 자철광을 건조시키는 것을 피하면서 경사 분리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이어, 자철광을 각각 2000㎖의 탈염수를 사용하여 세 번 세척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B에 따라 제조한 75g의 습윤된 자철광 입자 (존재하는 자철광의 양을 기준으로)를 탈염수에서 재슬러리시켜 약 7.5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그 슬러리를 약 90℃에서 가열하고 완만한 교반과 고주파 음에 의한 분해 처리하였다. 수성 규산 나트륨 용액 (10.7 중량% SiO2및 3.24 중량% Na2O)을 약 43분 동안 5㎖/분의 속도로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첨가하는 동안 고주파음에 의한 분해 처리는 처음 15분 동안만 유지하였으나 적당한 교반과 90℃의 온도는 첨가하는 동안 유지하였다. 그 슬러리를 10분동안 숙성시켰다. 이어, 슬러리를 90℃에서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부가적인 양의 규산 나트륨 용액을 약 20분 동안 5㎖/분으로 첨가하였다. 규산염 첨가 후 슬러리 pH는 약 10이었다. 90℃에서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1N 염산을 pH가 약 7.5가 될 때까지 약 12㎖/분의 속도로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그 슬러리를 90℃에서 약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키고 입자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슬러리의 액체 성분을 경사 분리시켰고, 습윤된 입자는 물 세척 (2000㎖ 탈염수) 및 경사 분리하였다. 세척/경사 분리는 두 번 반복하였다. 경사 분리 후 잔류하는 습윤 입자는 약 30분 동안 450㎖의 3 중량% NH4Cl 수용액으로 세척하였고, 이어 추가로 경사 분리하였다. NH4Cl 세척/경사 분리 단계는 두 번 반복하였고, 부가적인 일련의 탈염수 세척/경사 분리 단계는 세 번 반복하였다.
생성된 습윤된 생성물을 약 110℃에서 건조하였고, 입자 크기, 표면적 및 기공 부피를 측정하였다. 중간 입자 크기를 호리바 광 산란 장치 (Horiba lightscattering device)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표면적과 기공 부피는 질소 BET 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건조된 생성물 부분은 상술한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코어 금속의 용해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물질의 조성은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B 에 따라 제조한 75g의 습윤 자철광 입자 (존재하는 자철광의 양을 기준으로)를 탈염수에서 재슬러리시켜 약 7.5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슬러리 (pH<7)를 형성하였다. 슬러리를 약 90℃로 가열하고 완만한 교반과 고주파 음에 의한 분해처리 시키는 동안 소량의 수성 규산 나트륨 용액 (10.7 중량%의 SiO2및 3.24 중량%의 Na2O)을 슬러리의 pH가 약 7.7이 될 때까지 5㎖/분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이어, 규산 나트륨 용액과 1N 염산을 약 43분 동안 동시에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염산 첨가 속도는 규산 나트륨의 경우 5㎖/분 첨가 속도에서 주어진 pH 7.7이 유지 되도록 조정하였다. 첨가를 하는 동안 고주파 음을 이용한 분해처리는 처음 15분만 유지하였으나, 완만한 교반과 90℃의 온도는 첨가를 하는 동안 유지하였다. 슬러리를 10분 동안 숙성시켰다. 이어, 90℃ 및 pH=7.7에서 완만한 교반 하에 슬러리를 유지시키는 동안 부가적인 양의 규산 나트륨 용액 (5㎖/분) 및 염산을 약 20분 동안 동시에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교반하면서 90℃에서 약 30분 동안 숙성시킨 후, 입자를 침전시켰다.
이어, 입자를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세척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물질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B에 따라 제조한 125g의 습윤된 자철광 입자 (존재하는 자철광 양을 기준으로)를 탈염수에 재슬러리시켜 약 7.5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그 슬러리를 90℃에서 가열하고 완만한 교반과 고주파에 의한 분해처리시켰다. 수성 규산 나트륨 용액 (10.7 중량%의 SiO2및 3.24 중량% Na2O)을 약 43분 동안 8.33㎖/분의 속도로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첨가를 하는 동안 고주파 음에 의한 분해처리는 처음 15분만 유지하였으나 완만한 교반과 90℃의 온도는 첨가를 하는 동안 유지하였다. 슬러리를 10분 동안 숙성시켰다. 이어, 슬러리를 90℃에서 완만한 교반 하에 유지하면서 부가적인 양의 규산 나트륨 용액을 약 20분 동안 8.33㎖/분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규산염 첨가 후, 슬러리의 pH는 약 10이었다. 90℃에서 완만한 교반 하에 1N의 염산을 약 20㎖/분의 속도로 pH가 약 7.5가 될 때까지 슬러리에 가하였다. 이어, 슬러리를 90℃에서 약 30분동안 교반하에 숙성시키고 입자를 침전시켰다.
이어, 입자를 상기의 실시예 2와 동일한 세척 및 실험 방법을 실시하였다.건조하지 않은 입자를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자성 분리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물질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부가적인 샘플은 자성 입자를 실시예 1A에 따라 제조하는 것과 규산 나트륨 첨가를 하는 동안 10분의 숙성 단계를 거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입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물질의 조성은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부가적인 샘플은 사용된 자철광 입자의 양이 550g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초기 슬러리 부피 및 규산 나트륨과 염산의 첨가 속도를 사용된 자철광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높이 계산하였다.
입자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물질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A에 따라 제조한 125g의 습윤된 자철광 입자 (존재하는 자철광의 양에 기준으로)를 탈염수에 재슬러리시켜 약 7.5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슬러리를 약 90℃에서 가열하고, 완만한 교반과 고주파음에 의한 분해 처리시켰다. 수성 규산 나트륨 용액 (10.7 중량%의 SiO2및 3.24 중량% Na2O)을 약95분 동안 8.4㎖/분의 속도로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첨가를 하는 동안 고주파 음에 의한 분해처리는 처음 15분만 유지하였으나 완만한 교반과 90℃의 온도는 첨가를 하는 동안 유지하였다. 90℃에서 완만한 교반하에 1N의 염산을 약 20㎖/분의 속도로 pH가 약 7.5가 될 때까지 상기 슬러리에 가하였다. 이어, 슬러리를 90℃에서 약 30분동안 교반하에 숙성시키고 입자를 침전시켰다.
이어, 입자를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세척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물질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A에 따라 제조한 37.5g의 습윤된 자철광 입자 (존재하는 자철광의 양에 기준으로)를 탈염수에 재슬러리시켜 약 7.5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슬러리를 약 90℃에서 가열하고, 완만한 교반과 고주파음에 의한 분해 처리를 하였다. 수성 규산 나트륨 용액 (10.7 중량%의 SiO2및 3.24 중량% Na2O)을 약 43분 동안 5㎖/분의 속도로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첨가를 하는 동안 고주파 음에 의한 분해처리, 완만한 교반 및 90℃의 온도를 유지하였다. 슬러리를 10분 동안 숙성시켰다. 이어, 슬러리를 90℃에서 완만한 교반하에 유지시키면서 부가적인 양의 규산 나트륨 용액을 약 213분 동안 5㎖/분의 속도로 첨가하였다. 고주파음에 의한 분해처리는 첨가의 마지막 20분을 제외하고 전부 유지하였다. 90℃에서 완만한 교반 하에 1N 염산을 pH가 약 7.5가 될 때까지 약 12㎖/분의 속도로 상기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이어, 슬러리를 90℃에서 약 30분동안 교반하면서 숙성시키고, 입자를 침전시켰다.
이어, 입자를 상기의 실시예 4와 동일한 세척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성된 물질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입자 조성
상기 실시예 2 내지 7로부터 생성된 물질의 화학적 분석으로부터 조성을 하기 표 3에 무게 퍼센트 (건조, 산화물 기준)로 나타내었다.

Claims (28)

  1. (a) 초상자성 물질, 낮은 퀴리 온도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 금속-함유 성분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코어; 및
    (b) 상기 코어 표면에 규산 산화물 피복으로 구성된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복은 흡착제 입자가 20㎖의 1N 염산 수용액에 15분 동안 0.33g의 건조된 흡착제 입자로 존재할 때 용액의 무게를 기준으로 약 50 ppm 금속 이하의 전이 금속 용해 값을 갖도록 코어(들)의 전체 표면을 피복하는 입상 흡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이 Ⅷ족 전이 금속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흡착제.
  3. 제 2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함유 성분이 철, 철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흡착제.
  4. 제 3항에 있어서, 전이 금속-함유 성분이 본질적으로 자철광으로 구성된 흡착제.
  5. 제 1항에 있어서, 규산 산화물 피복이 외부 표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흡착제.
  6. 제 5항에 있어서, 규산 산화물 피복이 본질적으로 실리카로 구성된 흡착제.
  7. 제 1항에 있어서, 규산 산화물 피복이 외부로 접근할 수 있는 기공을 함유하는 흡착제.
  8. 제 7항에 있어서, 입자가 질소 BET 법으로 계산하여 입자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0.2㎖/g 이상의 기공 부피를 함유하는 흡착제.
  9. 제 1항에 있어서, 입자가 질소 BET 법으로 계산하여 입자의 전체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m2/g 이상의 표면적을 갖는 흡착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코어가 코어 및 산화물 피복의 건조 중량의 합을 기준하여 입자의 약 50 중량% 이상을 형성하는 흡착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코어가 코어 및 산화물 피복의 건조 중량의 합을 기준하여 입자의 약 60 중량%를 형성하는 흡착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코어가 약 100㎚ 이하의 결정 크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결정을 포함하는 흡착제.
  13. 제 12항에 있어서, 결정(들)이 약 60㎚ 이하의 평균 결정 크기를 갖는 흡착제.
  14. 제 1항에 있어서, 흡착제 입자가 약 1 내지 15㎛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흡착제.
  15. 제 14항에 있어서, 흡착제 입자가 약 3 내지 10㎛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흡착제.
  16. 제 1항에 있어서, 코어가 상온에서 초상자성 물질인 흡착제.
  17. 제 8항에 있어서, 입자가 질소 BET 법으로 측정하여 60㎚ 이상의 직경을 갖는 기공안에 약 0.2㎖/g 이상의 다공성을 포함하는 흡착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초상자성 물질이 약 10emu/g 이하의 잔류 자성 수준을 갖는 흡착제.
  19. 제 1항에 있어서, 코어가 약 -50℃ 내지 100℃의 퀴리 온도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흡착제.
  20. (a) 초상자성 물질, 낮은 퀴리 온도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전이 금속 -함유 성분을 본질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코어 , 및 (b) 상기 코어(들)의 표면상의 규산 산화물 피복을 포함하는 입자에 있어서,
    (ⅰ) 코어의 수성 슬러리를 형성하고;
    (ⅱ) 슬러리에 규산 산화물 전구체를 첨가하며;
    (ⅲ) 슬러리의 pH를 약 6 내지 9로 감소시키고 슬러리에 수성 산 용액을 첨가하여; 또
    (ⅳ) 단계 (ⅲ)으로부터 생성된 슬러리로부터 흡착제 입자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흡착제 입자의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슬러리를 단계 (ⅲ) 과 (ⅳ) 사이에 약 15분 이상 숙성시키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단계 (ⅰ)이 수성 매질안에서 코어를 석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단계 (ⅱ) 및 (ⅲ)을 약 60 내지 95℃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ⅴ) 회수한 입자를 물로 세척하고 또 (ⅵ) 회수한 입자를 묽은 염화 암모늄 용액으로 추가로 세척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 20항에 있어서, 규산 산화물 원료가 알칼리 금속 규산염 수용액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 20항에 있어서, 산이 무기산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 20항에 있어서, 코어가 자철광으로 구성되어 있는 방법.
  28. 제 20항에 있어서, 단계 (ⅱ) 및 (ⅲ)을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
KR10-1999-7006566A 1997-01-21 1998-01-07 자성 물질상의 실리카 흡착제 KR100464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660097A 1997-01-21 1997-01-21
US08/786,600 1997-01-21
US8/786,600 1997-01-21
PCT/US1998/000533 WO1998031461A1 (en) 1997-01-21 1998-01-07 Silica adsorbent on magnetic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335A KR20000070335A (ko) 2000-11-25
KR100464870B1 true KR100464870B1 (ko) 2005-01-05

Family

ID=2513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566A KR100464870B1 (ko) 1997-01-21 1998-01-07 자성 물질상의 실리카 흡착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447911B1 (ko)
EP (1) EP0961653B1 (ko)
JP (1) JP2001508701A (ko)
KR (1) KR100464870B1 (ko)
AT (1) ATE229371T1 (ko)
AU (1) AU6021798A (ko)
BR (1) BR9806922A (ko)
CZ (1) CZ297990B6 (ko)
DE (1) DE69810080T2 (ko)
DK (1) DK0961653T3 (ko)
ES (1) ES2187926T3 (ko)
HK (1) HK1024433A1 (ko)
HU (1) HU225261B1 (ko)
PL (1) PL191422B1 (ko)
WO (1) WO19980314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72B1 (ko) 2021-12-28 2023-07-04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자성 흡착제의 재이용이 가능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하폐수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475B1 (ko) 1995-06-08 2005-06-22 로셰 디아그노스틱스 게엠베하 자기성피그먼트
DE19520398B4 (de) * 1995-06-08 2009-04-16 Roche Diagnostics Gmbh Magnetisches Pigment
JP2965131B2 (ja) 1995-07-07 1999-10-18 東洋紡績株式会社 核酸結合用磁性担体およびそれを用いる核酸単離方法
US6027945A (en) 1997-01-21 2000-02-22 Promega Corporation Methods of isolating biological target materials using silica magnetic particles
DE19743518A1 (de) 1997-10-01 1999-04-15 Roche Diagnostics Gmbh Automatisierbare universell anwendbare Probenvorbereitungsmethode
US7078224B1 (en) 1999-05-14 2006-07-18 Promega Corporation Cell concentration and lysate clearance using paramagnetic particles
US6270970B1 (en) 1999-05-14 2001-08-07 Promega Corporation Mixed-bed solid phase and its use in the isolation of nucleic acids
US6310199B1 (en) 1999-05-14 2001-10-30 Promega Corporation pH dependent ion exchange matrix and method of use in the isolation of nucleic acids
EP1232502B1 (en) * 1999-11-17 2006-01-11 Roche Diagnostics GmbH Magnetic glass particles,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ATE419629T1 (de) * 2000-03-24 2009-01-15 Qiagen Gmbh Poröse ferro- oder ferrimagnetische glasteilchen für molekültrennung
US7494817B2 (en) * 2000-09-06 2009-02-24 Transnet Yx, Inc. Methods for genotype screening using magnetic particles
US6607667B2 (en) * 2000-11-28 2003-08-19 W. R. Grace & Co.-Conn. Method for adsorbing substances using silica adsorbent on magnetic substrate
US6987079B2 (en) 2001-08-14 2006-01-17 W.R. Grace & Co.-Conn. Supported catalyst systems
US6802966B2 (en) 2001-08-14 2004-10-12 W. R. Grace & Co. Conn. Solid compositions for selective adsorption from complex mixtures
KR100406851B1 (ko) * 2001-08-21 2003-11-21 이종협 자철광을 함유한 중금속 흡착제용 중형기공성 실리카의제조방법
DE60316748T2 (de) * 2002-06-27 2008-02-07 Toyo Boseki K.K. Magnetischer Träger für biologische Substanzen, Verfahren zur seiner Produktion und seiner Verwendung zur Isolierung dieser biologischen Substanzen
GB0215185D0 (en) 2002-07-01 2002-08-07 Genovision As Binding a target substance
US7354750B2 (en) * 2002-10-18 2008-04-08 Promega Corporation Methods for separating molecules
JP2004000922A (ja) * 2003-03-26 2004-01-08 Toyobo Co Ltd 核酸またはタンパク質抽出用シリカ粒子組成物
JP4612789B2 (ja) * 2003-05-29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Dnaハイブリッド及びdnaハイブリッドを用いた環境浄化システム
EP1861192A1 (en) * 2005-03-11 2007-12-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ir pollutant removal using magnetic sorbent particles
CL2007000734A1 (es) * 2006-03-22 2008-05-02 Grace W R & Co Revestimiento de oxido inorganico transparente producido al preparar composicion de revestimiento que comprende particulas de oxido inorganico y polimero, aplicar composicion sobre sustrato, formar revestimiento y calentar el revestimiento para elimi
DE102008015365A1 (de) 2008-03-20 2009-09-24 Merck Patent Gmbh Magnetische Nanopartike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10167391A (ja) * 2009-01-26 2010-08-05 Toshiba Corp 粒子凝集体、及び粒子凝集体の製造方法
WO2012018596A2 (en) * 2010-07-26 2012-02-09 Waters Technologies Corporation Superficially porous materials comprising a substantially nonporous hybrid core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s
JP2013503352A (ja) 2009-08-31 2013-01-31 エムバイオ 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統合されたサンプル調製及び検体検出
JP2010123984A (ja) * 2010-01-12 2010-06-03 Bando Chem Ind Ltd 磁性粒子及び磁性粒子分散液
EP2345719A1 (en) 2010-01-18 2011-07-20 Qiagen GmbH Method for isolating small RNA
EP2407540A1 (en) 2010-07-15 2012-01-18 Qiagen GmbH Method for purifying a target nucleic acid
US8858821B2 (en) 2010-12-14 2014-10-14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Magnetic extractants,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102011005489A1 (de) 2011-03-14 2012-09-20 Evonik Degussa Gmbh Umhüllte Eisenoxidpartikel
JP6096774B2 (ja) 2011-08-12 2017-03-15 キアゲ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核酸を単離するための方法
KR102010106B1 (ko) 2011-11-09 2019-08-12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자기적-조정가능 고품질 포톤 구조용 개선된 전하 안정성을 가진 초상자성 콜로이드
US9315853B2 (en) 2012-01-30 2016-04-19 Exact Sciences Corporation Modification of DNA on magnetic beads
DE102012201774A1 (de) 2012-02-07 2013-08-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agnetisch abtrennbare Mikropartikel mit einer silikatischen Hül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EP2634254A1 (en) 2012-02-29 2013-09-04 QIAGEN GmbH Method for isolating nucleic acids from a food sample
US9403684B2 (en) * 2012-05-07 2016-08-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for separating carbon-based nanostructures
EP2888363B1 (en) 2012-08-21 2018-06-06 Qiagen GmbH Method for isolating nucleic acids from a formaldehyde releaser stabilized sample
WO2014029792A1 (en) 2012-08-21 2014-02-27 Qiagen Gmbh Virus particle stabilisation and method for isolating viral nucleic acids
SG11201500655VA (en) 2012-09-03 2015-05-28 Qiagen Gmbh Method for isolating rna including small rna with high yield
CN104768536B (zh) 2012-09-17 2019-03-29 格雷斯公司 官能化微粒状载体材料和其制备和使用方法
ES2868093T3 (es) 2012-09-17 2021-10-21 Grace W R & Co Medio y dispositivos de cromatografía
US9938520B2 (en) 2012-12-11 2018-04-10 Qiagen Gmbh Preparation of silica particles
WO2014122288A1 (en) 2013-02-08 2014-08-14 Qiagen Gmbh Method for separating dna by size
RU2540312C1 (ru) * 2013-10-22 2015-0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и химической технологии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гнитного аффинного сорбента для выделения рекомбинантных белков
EP3094390B1 (en) 2014-01-16 2021-07-07 W.R. Grace & CO. - CONN. Affinity chromatography media and chromatography devices
US11389783B2 (en) 2014-05-02 2022-07-19 W.R. Grace & Co.-Conn. Functionalized support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functionalized support material
EP3059312A1 (en) 2015-02-20 2016-08-24 QIAGEN GmbH Nucleic acid extraction method
CN104998623B (zh) * 2015-03-24 2018-05-29 浙江工商大学 一种复合磁性纳米颗粒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303582A1 (en) 2015-06-01 2018-04-11 Qiagen GmbH Electrophoresis assisted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a charged target molecule from a sample
WO2016193282A1 (en) 2015-06-01 2016-12-08 Qiagen Gmbh Electrophoresis assisted method for purifying a target nucleic acid using a delayed elution approach
EP3303630B1 (en) 2015-06-05 2022-01-05 Qiagen GmbH Method for separating dna by size
US10695744B2 (en) 2015-06-05 2020-06-30 W. R. Grace & Co.-Conn. Adsorbent biprocessing clarification ag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102015109637B4 (de) * 2015-06-16 2019-05-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uperparamagnetische Mikropartikel, die mit feuchtigkeitsempfindlichen lumineszierenden Verbindungen belegt si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wendung und Arbeitsverfahren zur Detektion von Feuchtigkeit
CN111148834A (zh) 2017-09-27 2020-05-12 凯杰有限公司 以高收率分离rna的方法
JP7048750B2 (ja) 2018-02-12 2022-04-05 ハイク・ライセン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補助ボトム側mdヤーンを有する製紙用多層フォーミング織物
DE102020125278A1 (de) 2020-09-28 2022-03-31 Bundesrepublik Deutschland, Vertreten Durch Das 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 Und Energie, Dieses Vertreten Durch Den Präsidenten Der Physikalischen Bundesanstalt 3D-Druckverfahren, Messverfahren zum Bestimmen der Magnetisierbarkeit eines Druckteils, das Nanopartikel enthält, und 3D-Drucker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3419A (en) 1956-04-18 1959-11-17 Du Pont Chemical process and composition
US2885366A (en) 1956-06-28 1959-05-05 Du Pont Product comprising a skin of dense, hydrated amorphous silica bound upon a core of another solid material and process of making same
DE2625106C2 (de) 1976-06-04 1982-03-11 Bayer Ag, 5090 Leverkusen Eisenoxidschwarz-Pigmente mit verbesserter Oxidationsbeständigkeit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233169A (en) 1979-04-13 1980-11-11 Corning Glass Works Porous magnetic glass structure
US4297337A (en) 1979-04-13 1981-10-27 Corning Glass Works Solid-phase immunoassays using magnetic glass
JPS5676510A (en) 1979-11-28 1981-06-24 Tdk Corp Manufacture of magnetic recording material
JPS56105337A (en) 1980-01-28 1981-08-21 Tdk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its production
US4280918A (en) 1980-03-10 1981-07-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particle dispersions
US4554088A (en) 1983-05-12 1985-11-19 Advanced Magnetics Inc. Magnetic particles for use in separations
US4695392A (en) 1983-05-12 1987-09-22 Advanced Magnetics Inc. Magnetic particles for use in separations
US4698302A (en) 1983-05-12 1987-10-06 Advanced Magnetics, Inc. Enzymatic reactions using magnetic particles
US4628037A (en) 1983-05-12 1986-12-09 Advanced Magnetics, Inc. Binding assays employing magnetic particles
US4695393A (en) 1983-05-12 1987-09-22 Advanced Magnetics Inc. Magnetic particles for use in separations
GB8401636D0 (en) 1984-01-21 1984-02-22 British Petroleum Co Plc Coating process
US5236623A (en) 1984-07-11 1993-08-17 Rhone-Poulenc Chimi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ilica colloid
US5597531A (en) 1985-10-04 1997-01-28 Immunivest Corporation Resuspendable coated magnetic particles and stable magnetic particle suspensions
US5512332A (en) 1985-10-04 1996-04-30 Immunivest 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resuspendable coated magnetic particles
US4751211A (en) * 1986-08-07 1988-06-14 Aluminum Company Of America Composite adsorbent for removing acids from organophosphate functional fluids
JPS63109105A (ja) 1986-10-25 1988-05-13 Chisso Corp 強磁性金属微粒子の製造方法
ES2066851T3 (es) 1988-05-24 1995-03-16 Anagen Uk Ltd Particulas atraibles magneticamente y metodo de preparacion.
US5312485A (en) * 1988-08-05 1994-05-17 J. M. Huber Corporation Precipitated encapsulated paper pigments and methods
US5055194A (en) 1989-07-28 1991-10-08 University Of Pennsylvania Support for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n a magnetically stabilized fluidized bed
US5698271A (en) 1989-08-22 1997-12-16 Immunivest Corporatio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magnetically responsive particles
US5279936A (en) 1989-12-22 1994-01-18 Syntex (U.S.A.) Inc. Method of separation employing magnetic particles and second medium
EP0443840B1 (en) 1990-02-21 1995-04-19 Toda Kogyo Corp. Superparamagnetic fine particles of iron oxide and magnetic recording media containing said particles
US5316699A (en) 1990-03-28 1994-05-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esent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Process for the controlled preparation of a composite of ultrafine magnetic particles homogeneously dispersed in a dielectric matrix
US5217804A (en) 1990-11-06 1993-06-08 Eastman Kodak Company Magnetic particles
US5734020A (en) 1991-11-20 1998-03-31 Cpg, Inc. Production and use of magnetic porous inorganic materials
US5610274A (en) 1991-11-20 1997-03-11 Cpg, Inc. Production and use of magnetic porous inorganic materials
CZ733U1 (cs) * 1992-02-05 1993-09-22 Cinis, Spol. S R.O. Sorbent pro fixaci toxických radioaktivních a znečišťujících látek
JP3317359B2 (ja) 1992-04-03 2002-08-26 戸田工業株式会社 磁気画像文字認識に用いる磁性トナー用磁性粒子粉末
US5389482A (en) 1992-04-23 1995-02-14 Toda Kogyo Corp. Magnetic particle powder included in magnetic toners for magnetic image character recognition
TW221381B (ko) 1992-04-28 1994-03-01 Du Pont
CA2107524C (en) 1992-10-06 1999-01-19 Hiromitsu Misawa Iron oxid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578238A (en) 1992-10-30 1996-11-26 Lord Corporation Magnetorheological materials utilizing surface-modified particles
DE4307262A1 (de) * 1993-03-02 1994-09-08 Christian Bergemann Magnetisches polymeres Siliciumdioxid
US5648170A (en) * 1993-04-27 1997-07-15 Toda Kogyo Corporation Coated granular magnetit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69433425T2 (de) 1993-08-30 2004-10-07 Promega Corp 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nukleinsäuren
US5599627A (en) 1993-10-08 1997-02-04 Toda Kogyo Corporation Magnetic particles comprising magnetite co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7235407A (ja) 1994-02-22 1995-09-05 Hitachi Ltd 磁気粒子
US5928958A (en) * 1994-07-27 1999-07-27 Pilgrimm; Herbert Superparamagnetic particles,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age
IL111186A (en) 1994-10-06 1999-09-22 Univ Bar Ila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icrospheres and microspheres made thereby
US5683875A (en) 1995-05-04 1997-11-0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detecting a target nucleic acid analyte in a sample
IN188702B (ko) 1995-06-01 2002-10-26 Degussa
JP2965131B2 (ja) * 1995-07-07 1999-10-18 東洋紡績株式会社 核酸結合用磁性担体およびそれを用いる核酸単離方法
US6027945A (en) 1997-01-21 2000-02-22 Promega Corporation Methods of isolating biological target materials using silica magnetic part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72B1 (ko) 2021-12-28 2023-07-04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자성 흡착제의 재이용이 가능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하폐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25261B1 (en) 2006-08-28
PL191422B1 (pl) 2006-05-31
DE69810080T2 (de) 2003-10-09
CZ297990B6 (cs) 2007-05-16
ES2187926T3 (es) 2003-06-16
HK1024433A1 (en) 2000-10-13
HUP0001265A3 (en) 2004-03-29
DK0961653T3 (da) 2003-03-31
PL334703A1 (en) 2000-03-13
DE69810080D1 (de) 2003-01-23
US20010007713A1 (en) 2001-07-12
BR9806922A (pt) 2000-04-18
EP0961653A1 (en) 1999-12-08
EP0961653B1 (en) 2002-12-11
JP2001508701A (ja) 2001-07-03
HUP0001265A2 (hu) 2001-06-28
ATE229371T1 (de) 2002-12-15
US6447911B1 (en) 2002-09-10
US6296937B2 (en) 2001-10-02
KR20000070335A (ko) 2000-11-25
AU6021798A (en) 1998-08-07
CZ250099A3 (cs) 2000-01-12
WO1998031461A1 (en) 199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870B1 (ko) 자성 물질상의 실리카 흡착제
Khraisheh et al. Remediation of wastewater containing heavy metals using raw and modified diatomite
Ren et al. Magnetic EDTA-modified chitosan/SiO2/Fe3O4 adsorbent: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in heavy metal adsorption
US6607667B2 (en) Method for adsorbing substances using silica adsorbent on magnetic substrate
JP4630456B2 (ja) 水処理方法
US3803033A (en) Process for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a fluid stream
EP0937497B9 (en) Magnetic carrier, preparation thereof, and method of extraction of nucleic acid
JPH09503989A (ja) ジルコニア粒子
Hou et al. Synthesis of core–shell structured magnetic mesoporous silica microspheres with accessible carboxyl functionalized surfaces and radially oriented large mesopores as adsorbents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 ions
Mirzajani et al. Fabrication of magnetic Fe3O4@ nSiO2@ mSiO2–NH2 core–shell mesoporous nanocomposite and its application for highly efficient ultrasound assisted dispersive µSPE-spectrofluorimetric detection of ofloxacin in urine and plasma samples
Sobhanardakani et al. Removal of cationic dyes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NiFe2O4 nanoparticles
US6013187A (en) Method for removing metal contaminants from solution using mercapto-functional silica xerogels
CN114225909A (zh) 氨基活化的磁性大孔径介孔二氧化硅复合微球的制备方法及应用
JP4196459B2 (ja) 磁性担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核酸抽出方法
Mohammadi et al. Preconcentration of trace amounts of Pb (ii) ions without any chelating agent by using 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prior to ETAAS determination
Sugawara et al. Synthesis of temperature-responsive magnetic mesoporous silica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its physical properties
Zhu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water-soluble magnetic fluorescent nanoparticle for the selective detection and removal of Cu2+
CA2207039A1 (en) Acid contacted enhanced adsorbent particl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refor
JP2004031792A (ja) 核酸結合用磁性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14406B1 (ko) 자성을 보유하는 실리카 입자의 제조 방법
Căpăţână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agnetic oxide nanoparticles and corresponding thin films for wastewaters treatment
RU2653130C1 (ru) Магнитный сорбент,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молекул нуклеиновых кислот
CN109200993B (zh) 一种磁性纳米伊蒙黏土及其机械力化学制备方法与应用
RU257545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гн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основе оксидов кремния и железа
Ríos et al. Solid Phase Extraction Based on Magnetic Nano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