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288B1 - 연료압력조정밸브 - Google Patents

연료압력조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288B1
KR100464288B1 KR10-2002-0002192A KR20020002192A KR100464288B1 KR 100464288 B1 KR100464288 B1 KR 100464288B1 KR 20020002192 A KR20020002192 A KR 20020002192A KR 100464288 B1 KR100464288 B1 KR 10046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ush
flow
valve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168A (ko
Inventor
무라마츠도시히코
후루카와다카시
다카세신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2006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G05D16/0658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obtu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835Valve seating in direction of flow
    • Y10T137/7836Flexible diaphragm or bellows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fety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소음을 연료의 유량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압력조정밸브가 개시된다. 이 밸브에서는, 부시(bush)(26)의 상단개구부에, 흐름충돌방지부재(35)를 끼워붙이고, 이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상단을 밸브시트(seat)(28)[푸시(26)의 상단면] 보다도 밸브본체(33)쪽으로 돌출시킨다. 이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외주부에, 연료를 부시(26)의 내주면에 따라서 그 축방향(하방)으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유로(36)를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밸브시트(28)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밸브본체(33)에,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돌출부분을 회피하는 회피요부(凹部)(37)를 형성한다.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33)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틈새의 내주쪽(內周側)에는,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상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링형상의 틈새의 각 부(部)를 내주방향으로 향해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의 충돌이 흐름충돌방지부재(35)에 따라서 방지되고, 밸브본체(33)의 아래쪽에서 연료흐름의 충돌에 의한 압력맥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그 압력맥동에 의한 소음이 저감된다.

Description

연료압력조정밸브{FUEL PRESSURE REGULATING VALVE}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하는 수단을 구비한 연료압력조정밸브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자동차는, 정숙성(靜肅性)을 중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정숙화가 증진함에 따라, 연료압력조정밸브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새로운 소음원으로서 문제로 되고 있다.
종래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일반으로,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housing;10)내에 연료펌프로부터 토출된 연료가 유입구(11)에서 유입하는 연료실(12)과, 스프링(13)을 수용하는 스프링실(14)을 칸막이판(diaphragm;15)으로 칸막이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료실(12)내의 연료를 유출시키는 통형상의 부시(16)를 설치하고, 칸막이판(15)에 부착한 밸브본체(17)를 부시(16)의 개구부(開口部) 주연(周緣)에 형성한 밸브시트(18)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스프링(13)에 따라서 밸브본체(17)를 밸브시트(valve seat;18)의 방향(열린밸브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료압력조정밸브는, 밸브본체(17)[칸막이판(15)]에 대하여, 연료실(12)내의 연료압력(燃料壓力)에 의한 열린밸브방향의 힘과, 스프링(13)에 의한 닫힌밸브방향의 힘(설정압력)이 작용하여, 연료실(12)내의 연료압력에 의한 열린밸브방향의 힘이 스프링(13)에 의한 열린밸브방향의 힘 보다도 크게 되면, 양자의 힘이 적합한 위치까지 밸브본체(17)가 연료압력에 따라서 열린밸브방향으로 밀어올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밸브본체(17)와 밸브시트(18)의 사이에 링(ring)형상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 링형상의 틈새의 각 부분에서 연료실(12)내의 연료가 부시(16)의 개구부의 중심방향을 향해서 흐르고, 하우징(10)의 유출구(19)에서 연료탱크내로 되돌아간다.
상기 종래의 연료압력조정밸브에서는, 연료실(12)내의 연료가 밸브본체(17)와 밸브시트(18)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 틈새의 각 부분에서 부시(16)의 개구부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세력이 좋게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링형상 틈새의 각 부분에서 세력이 좋게 흘러들어간 연료가 부시(16)의 개구부의 중심부에서 충돌하여, 그 충돌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정압(正壓)으로 되며, 그 정압력이 밸브본체(17)의 하면의 중심부에 작용한다. 또, 부시(16)의 개구부의 내주면 부근에서는, 연료가 부시(16)의 개구부의 중심방향으로 향하여 세력이 좋게 흐르기 때문에, 연료 흐름의 박리(剝離)가 발생하여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이 부압이 밸브본체(17)의 하면에 작용한다.
엔진운전중에는, 운전상태에 따라서 연료소비량이 시시각각 변화하여, 그것에 따라서 밸브본체(17)의 리프트량(lift量)[밸브본체(17)와 밸브시트(18)의 사이의 틈새치수]이 시시각각 변화하여, 밸브본체(17)와 밸브시트(18)의 사이의 틈새에서 부시(16)의 개구부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흐르는 연료의 유량이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밸브본체(17)의 하면 부근에서 발생하는 상술한 정압(正壓)과 부압(負壓)이 맥동하여, 그 압력맥동에 따라서 밸브본체(17)와 칸막이판(15)이 진동하는 형상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프링(13)이 공진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이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진동이 연료배관이나 연료탱크에도 전달하여, 이들을 공진시켜서 소음을 크게 하고 있다.
또, 유출구(19) 보다도 하류쪽에 배치되는 기기(器機)와의 맥동공진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즉, 부시의 개구부에 있어서 연료의 압력분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정압, 내주면 부근이 부압으로 되어 있다. 즉, 압력분포는 불균일하다. 이 불균일한 압력분포를 가진 연료가, 예컨대 제트펌프나 연료배관 등의 유출구(19) 보다도 하류쪽에 배설되는 기기에 유입하면, 압력분포의 영향에 의하여 이들 기기가 진동한다. 그 결과,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사이에서 맥동공진이 발생하여, 이 진동에 의해서도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료압력조정밸브가 일본국 특표평11-501388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다. 이 연료압력조정밸브는, 부시의 내주면에, 하류쪽을 향하여 지름이 축소되는 단차(段差)를 구비한다. 즉, 단차의 경계에, 상류쪽에 큰 지름부가, 하류쪽에 작은 지름부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큰 지름부 및 작은 지름부의, 직경, 단면적, 길이 등의 치수를 적정화함으로써, 다시 말하면 작은 지름부에 있어서의 흐름의 압축량(壓縮量)을 적정화함으로써, 소음을 저감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치수는, 부시내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량을 특정범위내에 있는 경우를 상정(想定)하여 설정되어 있다. 부시내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량은, 운전상황 등에 따라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공보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연료의 유량이 특정범위내에 있는 경우는 유효하지만, 모든 연료유량에 대하여 효과적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틈새에서 부시에 연료가 고속으로 흘러들어갈 때, 유속차(差)에 의하여 부압영역이 발현(發現)하여 연료내에 기포핵이 생성하는, 소위 감압비등(減壓沸騰)이 발생할 경우가 있었다. 생성된 기포핵은 부시내의 부압영역에 있어서, 팽창하여 파열한다. 이 파열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파(壓力波)도, 소음발생의 하나의 원인으로 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감압비등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압력제어밸브가 일본국 특개평12-104642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다. 이 연료압력조정밸브는, 부시의 하류쪽에 접속된 리턴(return)파이프에 연료탱크와 연통하는 도입구를 뚫어서 설치하는 것이다. 이 연료압력조정밸브에서는, 이 도입구에서 거의 대기압인 연료탱크내의 분위기를 도입하므로써, 부압영역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그리고 감압비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포핵의 파열을 제어하여, 소음을 저감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공보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리턴파이프와 연결됨으로써 비로소 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즉, 연료압력조정밸브가 리턴파이프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소음을 저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의 유량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연료압력조정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종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리턴(return)유량에 대한 제어연료압력의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는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종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 (2)의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
도 7은 압력 격벽부(隔璧部)의 확대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는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종단면도.
도 9는 실시형태 (3)의 등압화(等壓化) 격벽부의 확대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부시(bush)부근의 확대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부시부근의 확대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등압화 격벽부의 확대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부시부근의 확대종단면도.
도 14는 실시형태 (8)의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
도 15는 실시형태 (9)의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
도 16은 실시형태 (10)의 주요부의 확대종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연료압력조정밸브의 종단면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21: 하우징 24: 유입구25: 연료실 26: 부시27: 유출구 28: 밸브시트29: 스프링실 30: 칸막이판33: 밸브본체 34: 스프링35: 흐름충돌방지부재 36: 유로37: 회피요부 41: 압력 격벽부42: 유입 구멍 50: 등압화 격벽부51: 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틈새의 각 부분에서 부시의 개구부의 중심방향을 향해서 흐르는 연료의 충돌을 방지하는 흐름충돌방지수단을 부시에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틈새의 각 부분에서 부시의 개구부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흐르는 연료의 흐름의 충돌이 흐름충돌방지수단에 따라서 방지되기 때문에, 연료의 흐름의 충돌에 의한 정압영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밸브본체의 하면에 정압의 맥동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밸브본체와 칸막이판이 진동하는 형상이 제어되고, 그 진동전달에 따라서 유발되는 스프링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나, 연료배관이나 연료탱크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 저감된다.
이 경우, 흐름충돌방지수단을 부시에 일체로 형성해도 좋지만, 부시와는 별체로 형성한 흐름충돌방지수단을 부시의 개구부에 끼워붙여서, 이 흐름충돌방지수단의 일부를 밸브시트 보다도 밸브본체쪽으로 충돌시키고, 해당 밸브본체에는, 해당 흐름충돌방지수단의 충돌부분을 회피하는 회피요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부시의 형상은 종래와 동일해도 좋고, 부시의 형상을 설계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흐름충돌방지수단과 부시의 동심정밀도(同心精密度)를 양자의 끼워맞춤에 따라서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이 밸브본체에 형성한 회피요부에 따라서, 밸브본체와 흐름충돌방지수단과의 간섭ㆍ충돌을 회피할 수 있으며, 밸브본체와 부시의 밸브시트를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더욱이, 흐름충돌방지수단에는,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틈새에서 유입하는 연료를 부시의 내주면에 따라서 그 축방향으로 유입시키는 유로(flow passage) 또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부시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흐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연료를 부시의 내주면에 따라서 그 축방향으로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시의 내주면 부근에서의 연료의 흐름의 박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흐름의 박리에 의한 부압을 저감할 수 있고, 부압의 맥동에 의한 진동도 억제할 수 있어, 소음저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는, 흐름충돌방지수단에, 연료를 부시내에 선회하도록 유입시키는 유로 또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부시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흐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부시내에서 연료를 선회시킴으로서, 부시의 내주면 부근에서의 연료의 흐름의 박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흐름의 박리에 의한 부압을 저감할 수 있어, 소음저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흐름충돌방지수단을 설치하는 대신에, 부시에, 연료실과 외부를 연통하는 유로 또는 구멍을 구비하여 격벽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격벽부는, 연료의 흐름을 지름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칸막이하는 것이다. 또, 유로 또는 구멍은, 격벽부를 관통하여 연료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이 격벽부 및 유로 또는 구멍에 의하여 격벽부 하류의 연료의 압력, 유속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압력조정밸브나 부시하류쪽의 기기 등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부시내에 있어서의 격벽부의 배치장소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부시의 개구부에 밸브본체쪽으로 돌출하는 컵형상의 격벽부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연료의 흐름을 지름방향으로 칸막이한 것이다. 또 부시내에, 마치 둑(堰)과 같이 격벽부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는, 연료의 흐름을 축방향으로 칸막이하게 된다. 그리고 격벽부는, 부시와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또 부시와는 별체(別體)로서 설치하고, 뒤에서 부시에 끼워붙여도 좋다.
이 경우, 격벽부를 부시내의 저압영역과 밸브본체쪽의 고압영역을 칸막이하는 압력 격벽부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격벽부를 부시에 배치하는 경우, 연료의 충돌위치를, (1) 격벽부의 상류쪽으로 설정하는 경우와, (2) 격벽부의 하류쪽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본 구성은, 특히 상기 (2)의 경우에 유효하다. 이 구성에서는, 가령, 압력 격벽부의 하류쪽, 즉 부시내(저압영역)에서 연료의 충돌에 의한 정압영역이나 흐름의 박리에 의한 부압영역이 발생했다 하여도, 그 압력맥동이 밸브본체에 작용하는 것이 압력 격벽부에 따라서 차단된다. 이것에 의하여, 밸브본체나 칸막이판이 진동하는 형상이 억제되어, 그 진동전달에 따라서 유발되는 스프링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나, 연료배관이나 연료탱크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 저감된다.
또 상기 압력 격벽부를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압력 격벽부에 형성하는 유로 또는 구멍을, 저압영역내(부시내)에 연료를 선회시키도록 유입시키는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부시내에 있어서 연료의 흐름의 충돌을 방지하여 정압영역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부시내에서 연료를 선회시킴으로써, 부시의 내주면 부근에서의 연료의 흐름의 박리를 작게 하여 부압영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소음저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유로 또는 구멍의 형상은, 연료를 부시내에 선회시키도록 유입시키는 형상이면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부시의 개구부에 밸브본체쪽으로 돌출하는 컵형상의 압력 격벽부를 배치하는 경우는, 압력 격벽부의 측주벽(側周壁)을 접선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관통하는 유로 또는 구멍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는 부시의 개구부의 중앙부에서 충돌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유로 또는 구멍에 의하여, 연료의 흐름은 나선(螺旋)형상 또는 소용돌이형상으로 정류된다. 이 때문에 중심부에 있어서의 연료의 충돌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구성의 압력 격벽부는, 부시개구부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력 격벽부의 측주벽이, 정확히 연료의 중앙방향으로의 흐름을 막아 멈추게하도록 기능한다. 이 측주벽에 의해서도 연료의 충돌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예컨대 부시내에 둑과 같이 압력 격벽부를 배치하는 경우는, 압력 격벽부의 축방향 양면을 축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관통하는 유로 또는 구멍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구성에 의하면 유로 또는 구멍에 의하여, 연료의 흐름은 나선형상으로 정류된다. 이 때문에 중심부에 있어서의 연료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격벽부를, 축방향 양단면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 또는 구멍을 복수 구비하여 하류쪽에 있어서의 유로의 압력분포를 균일화하는 등압화 격벽부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결국 본 구성은, 부시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 또는 구멍을 복수 배치하는 등압화 격벽부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부를 부시에 배치할 경우, 연료의 충돌위치가, (1) 격벽부의 상류쪽인 경우와, (2) 격벽부의 하류쪽인 경우가 있다.
본 구성은, 특히 상기 (1)의 경우에 유효하다. 즉, 상류쪽에서 연료의 충돌이 발생하면, 연료의 압력분포는 불균일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부시 중앙부의 압력은 높으며, 부시 내주면 부근의 압력은 낮게 된다.
여기서 본 구성의 등압화 격벽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 또는 구멍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로 또는 구멍에 의하여, 연료의 흐름은 압축된다. 이 때문에 유속, 즉, 단위시간당의 유량이 큰 중앙부를 흐르는 연료가 그 유량을 유지한 채 등압화 격벽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유로 또는 구멍을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중앙부를 흐르는 연료의 일부는 등압화 격벽부에 의하여 막혀서 멈춰지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유량이 작은 내주면 부근을 흐르는 연료는, 유량을 유지한 채 등압화 격벽부의 부시 내주면 부근에 배치되는 유로 또는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부시 내주면 부근의 유로 또는 구멍에는, 아직 유량적으로 여유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막혀서 멈춰진 중앙부의 연료가 내주면 부근의 유로 또는 구멍에 흘러들어간다.
이와 같은 등압화 격벽부의 분류작용에 의하여, 등압화 격벽부의 하류쪽에 있어서는, 연료의 압력분포가 균일화된다. 또 구멍에 의한 압축손실 때문에 연료의 유속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부시 보다도 하류쪽으로 배치되는 기기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압력분포의 균일화에 의하여, 등압화 격벽부의 하류쪽에 있어서는 부압영역이 나타나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감압비등에 의한 기포핵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등압화 격벽부는, 하류쪽으로 배설되는 기기 보다도, 상류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때문에 부시내의 모든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기로는, 등압화 격벽부를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에서 축방향으로 이간(離間)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편이 좋다. 결국 본 구성은,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에서 함몰(陷沒)하여 부시내에 배치하는 것이다.
밸브시트는, 밸브본체를 위치설정할 때, 연료의 흐름을 밀봉(seal)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밸브시트에는 엄밀한 치수정밀도가 요구된다. 여기서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와 같은 높이, 즉, 동일면에 배치하면, 등압화 격벽부에도 밸브본체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등압화 격벽부에도 엄격하게 치수정밀도가 요구되게 된다. 본 구성에서는,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에서 함몰되게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등압화 격벽부까지 엄밀한 치수정밀도가 요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게 등압화 격벽부, 더 나아가서는 연료압력조정밸브를 제작할 수 있다.
또 더욱이 바람직한 것은,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에서 축방향으로 이간함에 있어서,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의 축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하는 구성이 좋다. 연료는,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틈새에서 부시내에 유입한다. 이때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틈새의 압축효과에 의하여 연료는 압축되어 고압화한다. 그리고,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틈새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압축된 연료는 다시 팽창한다. 여기서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에서 거리를 두고 배치하면, 팽창된 연료를 재차 유로 또는 구멍에 의하여 압축된다. 그리고 이 압축에 의한 저항은, 밸브본체가 부착되어 있는 칸막이판을 요동시키는 하나의 원인으로 된다.
이점, 본 구성에서는, 등압화 격벽부를 밸브시트의 축방향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틈새의 압축효과에 의하여 압축된 연료가, 팽창함이 없이 그대로의 상태에서 유로 또는 구멍에 유입하게 된다. 따라서 부시 하류쪽에 배치되는 기기의 진동뿐만 아니라, 부시 상류쪽에 배치되는 칸막이판의 요동까지도, 억제할 수 있다.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등압화 격벽부를 축방향 상류쪽 단면이 밸브시트에서 축방향 하류쪽으로 0.1 ㎜ 이상 0.7 ㎜ 미만만큼 이간되도록 배치하는 구성이 좋다. 결국 이 구성은, 등압화 격벽부의 축방향 양단부중 상류쪽의 단면이 밸브시트에서 0.1 ㎜ 이상 0.7 ㎜ 미만의 범위만큼 이간된 하류쪽 위치로 오도록, 등압화 격벽부를 배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류쪽 단면의 위치를 밸브시트에서 0.1 ㎜ 이상으로 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틈새에서 유입하는 연료중에는, 미소한 이물질이 혼입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이물질이 등압화 격벽부의 상류쪽 단면의 면상에 체류할 경우가 있다. 이때, 상류쪽 단면이 밸브시트와 과도하게 근접하고 있으면, 단면상에 체류된 이물질이 밸브가 닫힐시에 밸브본체와 접촉하여, 밀봉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류쪽 단면을 밸브시트에서 0.1 ㎜ 이상 이간하여 배치하면, 가령 단면상에 이물질이 체류해도 밸브가 닫힐시에 이물질이 밸브본체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상의 이유에서, 본 구성에 있어서는 상류 단면을 밸브시트에서 축방향으로 0.1 ㎜ 이상 이간하여 배치한다.
또, 상류쪽 단면의 위치를 밸브시트에서 0.7 ㎜ 미만으로 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연료는 밸브본체와 밸브시트의 틈새를 통과함으로써 압축되고, 다음에 밸브시트에서 흘러내림에 따라서 팽창하고, 그 다음에 등압화 격벽부의 유로 또는 구멍에 의하여 재차 압축된다. 이 때문에, 팽창한 후의 연료를 등압화 격벽부에 유입시키면, 유로 또는 구멍의 압축저항에 의하여 맥동이 생길 우려가 있다. 여기서 연료의 팽창은 밸브시트에서 0.7 ㎜ 이상 흘러내리면 현저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를 밸브시트에서 0.7 ㎜ 이상 흘러내리게 하지 않고서 등압화 격벽부에 유입시키면, 맥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에서, 본 구성에 있어서는 상류 단면을 밸브시트에서 축방향으로 0.7 mm 미만만큼 이간하여 배치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료압력조정밸브의 하우징(21)은, 상부(上部)하우징(22)과 하부(下部)하우징(23)을 코킹(caulking)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구성되며, 하부 하우징(23)내에는, 연료펌프(도시않음)에서 토출된 연료가 유입구(24)에서 유입하는 연료실(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하우징(23)의 하부에 설치된 작은지름 통부(23a)내에는, 원통형상의 부시(26)가 상하방향으로 끼워붙여 고정되고, 작은지름 통부(23a)의 하부에는, 유출구(27)가 설치되어 있다. 부시(26)의 상단면(개구부 주연)에는, 밸브시트(28)가 형성된다.
한편, 상부 하우징(22)내에는 스프링실(29)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실(29)과 연료실(25)이 칸막이판(30)에 따라서 칸막이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30)의 중앙부에는, 밸브본체홀더(31)가 코킹 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밸브본체홀더(31)의 하측에는, 심지조정용 구체(球體;32)를 개재하여 밸브본체(33)가 부시(26)의 상단개구부 주연의 밸브시트(28)에 대향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실(29)내에 수용한 스프링(34)에 따라서 밸브본체(33)가 밸브시트(28)의 방향(닫힌 밸브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부시(26)의 상단개구부에는, 흐름충돌방지부재(35)(흐름충돌방지수단)가 압입(壓入), 용접 등에 의하여 끼워붙여지고, 이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상부가 밸브시트(28)[부시(26)의 상단면] 보다도 밸브본체(33)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흐름충돌방지부재(35)는, 원주형상의 금속재료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는, 연료를 부시(26)의 내주면에 따라서 그 축방향(하방)으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예컨대 3 개)의 유로(36)(또는 구명)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유로(36)는, 유로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하류쪽 만큼 유로단면이 조금씩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밸브본체(33)에는,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충돌부분을 회피하는 회피요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피요부(37)는, 각 부품의 맞붙임오차나 치수오차를 고려하여 밸브본체(33)가 흐름충돌방지부재(35)와 간섭ㆍ충돌하지 않도록, 조금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료압력조정밸브는, 밸브본체(33)[칸막이판(30)]에 대하여, 연료실(25)내의 연료압력에 의한 열린 밸브방향의 힘과, 스프링(34)에 의한 닫힌 밸브방향의 힘(설정압력)이 작용하여, 연료실(25)내의 연료압력에 의한 열린 밸브방향의 힘이 스프링(34)에 의한 닫힌 밸브방향의 힘 보다도 크게 되면, 양자의 힘이 균형된 위치까지 밸브본체(33)가 연료압력에 따라서 열린 밸브방향으로 밀어올려진다. 이것에 의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28)의 사이에 링형상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 링형상의 틈새의 각 부분에서 연료실(12)내의 연료가 안지름방향을 향해서 흐른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28)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틈새의 내주쪽에는,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상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링형상의 틈새의 각 부분을 내주방향을 향해서 흐르는 연료의 흐름의 충돌이 흐름충돌방지부재(35)에 따라서 방지되고, 밸브본체(33)의 아래쪽에서 연료의 흐름의 충돌에 의한 정압영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밸브본체(33)의 하면에 정압의 맥동압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밸브본체(33)나 칸막이판(30)이 진동하는 형상이 억제되고, 그 진동전달에 따라서 유발되는 스프링(29)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나, 연료배관이나 연료탱크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흐름충돌방지부재(35)에는,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28)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틈새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부시(26)의 내주면에 따라서 그 축방향(하방)에 유입시키는 유로(36)를 형성하였으므로, 부시(26)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흐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연료를 부시(26)의 내주면에 따라서 그 축방향(하방)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부시(26)의 내주면 부근에서의 연료의 흐름의 박리를 작게 할 수가 있으므로, 연료의 흐름의 박리에 의한 부압을 저감할 수 있고, 부압의 맥동에 의한 진동도 억제할 수가 있어, 소음저감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런데, 도 8에 표시한 종래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리턴유량[유출구(27)에서 유출하는 유량]이 많을 수록 제어연료압력(연료분사밸브로의 공급연료압력)이 높게 되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제어연료압력이 리턴유량에 따라서 변화해 버리고, 제어연료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일반으로, 연료분사량의 제어는, 제어연료압력이 일정한 것을 전제로 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리턴유량의 변화에 의하여 제어연료압력이 변화하면, 연료분사량이 변화해 버리고, 공연비(空燃比)가 목표 공연비에서 어긋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부시(26)의 상단개구부에 끼워붙인 흐름충돌방지부재(35)가 부시(26)내의 연료의 흐름의 흐트러짐(흐름의 충돌이나 박리)을 작게 하는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리턴유량에 대한 연료압력의 변화가 작게 되며, 연료압력제어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어, 연료분사제어정밀도(공연비제어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흐름충돌방지부재(35)(흐름충돌방지수단)에 상당하는 부분을 부시(26)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 (1)과 같이, 부시(26)와는 별체로 형성한 흐름충돌방지부재(35)를 부시(26)의 개구부에 끼워붙이도록 하면, 부시(26)의 형상은, 종래와 동일해도 좋고, 부시(26)의 형상을 설계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흐름충돌방지부재(35)와 부시(26)의 동심정밀도를 양자의 끼워맞춤에 따라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흐름충돌방지부재(35)의 외주부에 유로(36)를 축방향(하방)으로 형성했지만, 유로(36)를 축방향(하방)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시켜서, 유로(36)에서 부시(26)내로 연료를 선회시키면서 유입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부시(26)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흐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부시(26)내에서 연료를 선회시킴으로써, 부시(26)의 내주면 부근에서의 연료의 흐름의 박리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흐름의 박리에 의한 부압을 저감할 수 있어, 소음저감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흐름충돌방지부재(35)에 대신하여, 압력 격벽부(41)가 부시(26)의 상단개구부에 압입, 용접 등에 의하여 끼워붙여지고, 이 압력 격벽부(41)의 상부가 밸브시트(28)[부시(26)의 상단면] 보다도 밸브본체(33)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압력 격벽부(41)는, 상단면을 폐쇄한 원통컵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압력 격벽부(41)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예컨대 3개)의 유입구멍(42)(또는 유로)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력 격벽부(41)의 각 유입구멍(42)은, 압력 격벽부(41)의 안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시켜서 형성하고, 각 유입구멍(42)에서 유입한 연료가 압력 격벽부(41)의 내주면에 따라서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력 격벽부(41)의 각 유입구멍(42)은, 밸브시트(28)[부시(26)의 상단면] 보다도 밸브본체(33)쪽으로 돌출하고,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28)의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틈새의 내주쪽에 각 유입구멍(42)이 위치하고 있다. 이 압력 격벽부(41)에 따라서, 부시(26)내의 저압영역과 밸브본체(33)의 하면 부근의 고압영역이 칸막이 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부시(26)의 상단개구부에, 해당 부시(26)내의 저압영역과 밸브본체(33)의 하면 부근의 고압영역을 칸막이한 압력 격벽부(41)를 끼워붙이므로서, 가령, 부시(26)내(저압영역)에서 연료의 충돌에 의한 정압영역이나 흐름의 박리에 의한 부압영역이 발생했다하여도, 그 압력맥동이 밸브본체(33)에 작용하는 것이 압력 격벽부(41)에 따라서 차단된다. 이것에 의하여, 밸브본체(33)나 칸막이판(30)이 진동하는 현상이 억제되고, 그 진동전달에 따라서 유발되는 스프링(34)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나, 연료배관이나 연료탱크의 공진에 의한 소음이 저감된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압력 격벽부(41)에 형성되는 유입구멍(42)을, 저압영역내[압력 격벽부(41)내]에 연료를 선회하도록 유입시키는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부시(26)내[압력 격벽부(41)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흐름의 충돌을 방지하여 정압영역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부시(26)내에서 연료를 선회시킴으로써, 부시(26)의 내주면 부근[압력 격벽부(41)의 내주면 부근]에서의 연료의 흐름의 박리를 작게 하여 부압영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소음저감효과를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각 유입구멍(42)을 압력 격벽부(41)의 안지름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시켜서 형성하였지만, 각 유입구멍(42)의 가공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각 유입구멍(42)을 압력 격벽부(41)의 안지름방향에 형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각 유입구명(42)에서 압력 격벽부(41)내에 유입하는 연료의 흐름이 압력 격벽부(41)내의 중심부에서 충돌하지만, 부시(26)내와 밸브본체(33)의 하면 부근의 고압영역이 압력 격벽부(41)에 따라서 칸막이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 격벽부(41)내에서 연료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맥동이 밸브본체(33)에 작용하는 것이 압력 격벽부(41)에 의하여, 소음이 저감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압력 격벽부(41)와 부시(26)를 별체로 형성하여 압력 격벽부(41)를 부시(26)의 상단개구부에 끼워붙이도록 하였지만, 압력 격벽부(41)에 상당하는 부분을 부시(26)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상기 실시형태 (1), (2)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부시와 밸브본체를 구비한 여러 가지 구성의 연료압력조정밸브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압력 격벽부(41)에 대신하여, 등압화 격벽부(50)가 부시(26)의 내주쪽 상방에 끼워붙여져 있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등압화 격벽부(50)는 타블렛(tablet;평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등압화 격벽부(50)의 상류쪽의 상단면과 하류쪽의 하단면은 구멍(51)에 의하여 관통되어 있다. 구멍(51)은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심이중(同心二重)원형상으로 합계 12개 분산 배치되어 있다. 또 구멍(51)은 부시(26)의 축방향과 평행으로, 등압화 격벽부(5)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등압화 격벽부(50)의 상단면은, 밸브시트(28)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부시(26)의 내주쪽 상방에, 구멍(51)을 구비하는 등압화 격벽부(50)를 끼워붙였다. 이 때문에, 등압화 격벽부(50)의 상류쪽에서 연료의 충돌이 발생하여 압력분포가 불균일하게 되어도, 12개의 구멍(51)에 의하여 연료를 분류화(分流化)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분류화에 의하여 등압화 격벽부(50)의 하류쪽에 있어서 다시 합류한 연료의 압력분포를 등압화할 수 있다. 또 구멍(51)의 압축 손실에 의하여, 연료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등압화 격벽부(50)의 상단면을 밸브시트(28)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였으므로, 등압화 격벽부(50)까지 엄밀하게 치수정밀도가 요구되는 일도 없다. 또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28)의 틈새에 의하여 압축된 연료는, 거의 팽창하지 않는 구멍(51)에 유입하기 때문에, 칸막이판(30)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등압화 격벽부(50)의 하류쪽에서는, 연료는 등압화하기 때문에, 부압영역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감압비등에 의한 소음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에서는, 구멍(51)을 가진 등압화 격벽부(50)를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제작하고, 그 후 부시(26)의 내주쪽 상방에 끼워붙인다. 그러나, 우선 등압화 격벽부(50)를 제작하면서부터, 그 후 구멍(51)을 천설해도 좋다. 또 등압화 격벽부(50)에 상당하는 부분을 부시(26)의 내주쪽 상방에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실시형태 (4)]
다음에, 본 실시형태 (4)를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 (4)의 연료압력조정밸브의 부시(26) 부근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4)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등압화 격벽부(50)를, 부시(26)의 밸브시트와 동일면에 끼워붙이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 (4)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등압화 격벽부(50)까지 엄밀하게 치수정밀도가 요구되게 된다. 그러나,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28)의 틈새 및 구멍(51)은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본체(33)와 밸브시트(28)와의 틈새에 의하여 압축된 연료는 그대로 구멍(51)에 유입한다. 그 때문에, 칸막이판(30)의 요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등압화 격벽부(50)를 부시(26)와는 별체로서 제작할 경우, 밸브시트(28)를 목표로 등압화 격벽부(50)의 끼워붙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등압화 격벽부(50)의 위치결정이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등압화 격벽부(50)를 타블렛형상으로 하였지만, 타블렛형상은 아니고, 동축(同軸)의 큰 지름부와 작은 지름부로 이루어진 2단원반(二段圓盤)형상, 즉, 냄비뚜껑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작은 지름부만을 부시(26)의 개구부에 압입하여 끼워붙이고, 큰 지름부의 상단면을 밸브시트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시트(28)와 등압화 격벽부(50)와의 동일면은 불필요하다. 또 큰 지름부의 하단면이 부시(26)의 상단면과 연료흐름방향으로 맞닿기 때문에, 등압화 격벽부(50)가 연료압력에 의하여 위치를 어긋나게 할 우려가 없다.
[실시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5)를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 (5)의 연료압력조정밸브의 부시(26) 부근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5)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등압화 격벽부(50)를, 부시(26)의 하단면과 동일면에 끼워붙이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 (5)에 의하면, 등압화 격벽부(50)를 부시(26)와는 별체로서 제작할 경우, 밸브시트(28)를 목표로 등압화 격벽부(50)의 끼워붙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결정하기가 쉽다. 또 부시(26)의 하단면은, 상단면에 배치되는 밸브시트(28)와 같이, 엄밀하게 치수정밀도를 요구하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등압화 격벽부(50)의 치수 자유도가 향상된다.
[실시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을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 (6)의 연료압력조정밸브의 등압화 격벽부(50)의 확대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6)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등압화 격벽부(50)의 구멍(51)을 큰 지름화하여, 그 구멍수를 합계 3개로 하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 (6)에 의하면, 구멍(51)이 작고 또는 구멍(51)끼리의 틈새가 넓기 때문에 등압화 격벽부(50)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형태 (6)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5)의 축방향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부시와 밸브본체를 구비한 여러 가지의 구성의 연료압력조정밸브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을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 (7)의 연료압력조정밸브의 부시 부근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7)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등압화 격벽부(50)의 상류쪽 단면의 부착이 높고, 즉, 축방향위치(52)를, 밸브시트(28)에서 축방향으로 0.4 ㎜ 만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 (7)에 의하면, 비록 등압화 격벽부(50)의 상류쪽 단면의 면상에 이물질이 체류하더라도, 밸브가 닫힐시에 이물질이 밸브본체(33)와 접촉할 우려가 적다. 또 밸브시트(28)로부터 흘러내린 연료가 팽창하기 전에 구멍(51)에 유입하기 때문에, 구멍(51)의 압축 저항에 의하여 맥동이 발생할 우려도 적다. 따라서 등압화 격벽부(50)의 하류쪽에서는 부압영역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압비등에 의한 맥동이 발생할 우려가 적다.
[실시형태 (8)∼(10)]
도 14에서 도 16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서 (10)을 나타낸다. 이것은, 어느 것이나 일반적으로 원 웨이 타이프(one way type)라고 하는 연료압력제어밸브로서, 유입한 연료가 한 방향으로 흘러서 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4는 실시형태 (8)을 표시한 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시트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축방향으로 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을 통해서 연료는 칸막이판을 누름으로써, 칸막이판에 일체로 된 밸브시트인 부시(3)가 밸브시트가 형성되는 판형상의 플래트밸브(flat valve)(밸브시트본체)(2)에서 이탈하고, 이 사이의 공간을 흐른 연료는, 더욱더 등압화 격벽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흘러서, 스프링(6)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통해서 외부에 연료를 유출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등압화 격벽부의 하류쪽에 있어서 다시 합류한 연료의 압력분포를 등압화할 수 있으며, 부압영역이 발생하기 어렵고, 감압비등에 의한 기포핵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형태 (9)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 (9)는, 밸브시트를 구(球)의 일부를 절결(切缺)한 밸브시트본체(2)의 평탄면에 형성시킨 예이다. 기타는, 실시형태 (8)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실시형태 (10)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 실시형태 (10)은, 밸브시트를 구(球)인 밸브시트본체(2)에 형성시킨 예이다, 기타는 실시형태 (8)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료압력조정밸브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부시와 밸브본체를 구비한 여러종류의 구성의 연료압력조정밸브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의 유량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연료압력조정밸브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우징과;
    연료가 유입하는 연료실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실과;
    상기 연료실의 연료를 유출시키는 통형상 부시(bush); 및
    칸막이판에 부착되고, 상기 부시의 개구부의 주연에 형성된 밸브시트에 대향한 밸브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실과 상기 스프링실은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부시는, 상기 연료실과 외부를 소통시키는 유로 또는 구멍들을 갖는 등압화 격벽부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 또는 구멍은, 하류쪽에서의 연료의 압력 분포를 균일화하도록 축방향 양단면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유로 또는 구멍 각각은, 그 상류쪽으로부터 하류쪽으로 평행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력조정밸브.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압화 격벽부는, 상기 밸브시트에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력조정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등압화 격벽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밸브시트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력조정밸브.
  11. 삭제
  12. 하우징과;
    연료가 유입하는 연료실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실과;
    상기 연료실의 연료를 유출시키는 통형상 부시; 및
    칸막이판에 부착되고, 상기 부시의 개구부의 주연에 형성된 밸브시트에 대향한 밸브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실과 상기 스프링실은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부시는, 상기 연료실과 외부를 소통시키는 유로 또는 구멍들을 갖는 등압화 격벽부내에 설치되고, 상기 등압화 격벽부는, 하류쪽에서의 연료의 압력 분포를 균일화하도록 축방향 양단면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상기 유로 또는 구멍들을 구비하고, 상기 등압화 격벽부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밸브 시트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등압화 격벽부는, 축방향 상류측 단면이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축방향 하류측에 0.1mm 이상 0.7mm 미만 만큼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력조정밸브.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유로 또는 구멍은, 그 상류쪽으로부터 하류쪽으로 사실상 일정한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력조정밸브.
  14. 하우징과;
    연료가 유입하는 연료실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실과;
    상기 연료실의 연료를 유출시키는 통형상 부시; 및
    칸막이판에 부착되고, 상기 부시의 개구부의 주연에 형성된 밸브시트에 대향한 밸브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실과 상기 스프링실은 상기 칸막이판에 의해 상기 하우징내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부시는, 상기 연료실과 상기 외부를 소통시키는 유로 또는 구멍들을 갖는 등압화 격벽부내에 설치되고, 상기 등압화 격벽부는,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압력조정밸브.
KR10-2002-0002192A 2001-01-16 2002-01-15 연료압력조정밸브 KR100464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7405 2001-01-16
JPJP-P-2001-00007405 2001-01-16
JPJP-P-2001-00122925 2001-04-20
JP2001122925 2001-04-20
JPJP-P-2001-00280348 2001-09-14
JP2001280348 2001-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168A KR20020061168A (ko) 2002-07-23
KR100464288B1 true KR100464288B1 (ko) 2005-01-03

Family

ID=2734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192A KR100464288B1 (ko) 2001-01-16 2002-01-15 연료압력조정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52170B2 (ko)
KR (1) KR100464288B1 (ko)
DE (1) DE1020129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7374U1 (de) * 2003-09-30 2005-02-25 Tesma Motoren Getriebetechnik Kraftstoffrücklaufventil
KR100569999B1 (ko) * 2003-10-22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시스템의 소음 저감용 리턴밸브 노즐
KR100693498B1 (ko) * 2004-09-07 2007-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시스템의 리턴밸브
US7565808B2 (en) 2005-01-13 2009-07-28 Greencentaire, Llc Refrigerator
US7726135B2 (en) * 2007-06-06 2010-06-01 Greencentaire, Llc Energy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US20090200005A1 (en) * 2008-02-09 2009-08-13 Sullivan Shaun E Energy transfer tub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302622B2 (en) * 2010-02-24 2012-11-0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Unbalanced inlet fuel tube for a fuel pressure regulator
DE102011004993A1 (de) * 2011-03-02 2012-09-06 Robert Bosch Gmbh Ventileinrichtung zum Schalten oder Zumessen eines Fluids
US8960216B2 (en) * 2011-03-21 2015-02-24 Tescom Corporation Diaphragm control valve having a universal diaphragm mounting location
FR3054609A1 (fr) * 2016-07-29 2018-02-02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Regulateur de debit de ventilation pour un reservoir pressurise de vehicule.
DE102019204027B4 (de) * 2019-03-25 2021-02-04 Vitesco Technologies GmbH Geräuscharmes Druckregelventi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164A (ja) * 1989-10-05 1991-05-24 Hitachi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JPH0783135A (ja) * 1993-09-13 1995-03-28 Hitachi Ltd 燃料圧力制御弁
KR970702432A (ko) * 1995-02-03 1997-05-13 이시마루 쓰네오 압력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장치(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fuel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JPH10266916A (ja) * 1997-03-21 1998-10-06 Keihin Corp 圧力制御弁
JP2003161234A (ja) * 2001-01-16 2003-06-06 Denso Corp 燃料圧力調整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6936A (en) * 1952-01-21 1956-07-31 Mueller Co Relief valve
US4543935A (en) * 1984-08-21 1985-10-01 Walbro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with variable response
US4633901A (en) * 1986-04-03 1987-01-06 Parr Manufacturing, Inc. Pressure regulator
DE3937707A1 (de) * 1988-12-24 1991-05-16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US5020568A (en) * 1989-01-30 1991-06-04 Taylor Julian S Unitized disc flow control assembly for a restrictor valve
EP0454799B1 (de) 1989-11-13 1993-09-22 Robert Bosch Gmbh Druckventil
DE4010173A1 (de) * 1990-03-30 1991-10-02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entil, insbesondere fuer kraftstoffeinspritzsysteme
JP2985471B2 (ja) * 1992-02-04 1999-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圧力調整装置
DE9413833U1 (de) * 1994-08-26 1994-11-10 Sasserath & Co Kg H Druckminderer
JPH08109862A (ja) * 1994-10-11 1996-04-30 Nippondenso Co Ltd 燃料供給装置
DE19548167A1 (de) 1995-12-22 1997-06-26 Bosch Gmbh Robert Druckregelventil
JP3794835B2 (ja) 1998-09-30 2006-07-12 株式会社ミツバ 圧力制御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164A (ja) * 1989-10-05 1991-05-24 Hitachi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JPH0783135A (ja) * 1993-09-13 1995-03-28 Hitachi Ltd 燃料圧力制御弁
KR970702432A (ko) * 1995-02-03 1997-05-13 이시마루 쓰네오 압력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장치(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fuel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JPH10266916A (ja) * 1997-03-21 1998-10-06 Keihin Corp 圧力制御弁
JP2003161234A (ja) * 2001-01-16 2003-06-06 Denso Corp 燃料圧力調整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98B4 (de) 2007-08-23
US20020092565A1 (en) 2002-07-18
KR20020061168A (ko) 2002-07-23
DE10201298A1 (de) 2002-09-12
US6752170B2 (en) 200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288B1 (ko) 연료압력조정밸브
CN108869134B (zh) 脉动阻尼器和燃料泵装置
EP1950510B1 (en) Expansion valve
US4489752A (en) Guard guided multiple element flow configured poppet valve
EP3026312B1 (en) Control valve
US9556859B2 (en) Piston pump for delivering fluids, and corresponding assembly process for a piston pump
US4512548A (en) Valve with a device for the attenuation of acoustic vibrations self-excited by the working medium
US10996691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device
JP3942435B2 (ja) 燃料圧力調整弁
JP2006292115A (ja) 流量調整装置
US20030034073A1 (en) Check valve for fuel pump
JP4464259B2 (ja) 減圧弁
JP2003278618A (ja) 燃料圧力調整弁
US20220146160A1 (en) Expansion valve
JPH0893964A (ja) 弁装置
JPH07229569A (ja) ポペット弁
JP2002071048A (ja) 自動圧力調整弁
CN114439801B (zh) 具有防气蚀功能的阀芯组件
JP2019163888A (ja) 膨張弁
JP2003254200A (ja) 燃料リターン装置
JP2001317642A (ja) 一方向制御弁
CN212106996U (zh) 用于阀的阀芯和具有该阀芯的阀
JP2000104642A (ja) 圧力制御弁
KR20010014189A (ko) 연료분사밸브
JPH033075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