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566B1 -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566B1
KR100461566B1 KR10-2001-0070966A KR20010070966A KR100461566B1 KR 100461566 B1 KR100461566 B1 KR 100461566B1 KR 20010070966 A KR20010070966 A KR 20010070966A KR 100461566 B1 KR100461566 B1 KR 100461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phthalate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aqueous dispersion
nanoparticles
aqu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616A (ko
Inventor
조규일
백현호
전운종
김중현
이준영
김일혁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7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56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CNB018237916A priority patent/CN1314709C/zh
Priority to US10/250,790 priority patent/US6893493B2/en
Priority to PCT/KR2001/002015 priority patent/WO2003042248A1/en
Priority to ES01274717T priority patent/ES2339636T3/es
Priority to DE60141227T priority patent/DE60141227D1/de
Priority to EP01274717A priority patent/EP1448604B1/en
Priority to JP2003544083A priority patent/JP4471655B2/ja
Priority to TW091114458A priority patent/TWI242575B/zh
Publication of KR2003004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02Oxycellulose; Hydrocellulose; Cellulosehydrate, e.g. microcrystalline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6Powdering or granulating by coagulating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6Polysaccharides, e.g. gums; Cyclodextrin
    • A61K9/2866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32Cellulose ether-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32Cellulose ether-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PMCP)를 수계 유화 공정을 도입하여 안정한 상태의 입자로 제조하고, 이온교환 공정을 통하여 잔존하는 전해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함으로써, 장용성 코팅제로 사용시 붕해, 용출 등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of solvent-free water dispersibl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nanoparticle}
본 발명은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PMCP)를 수계 유화 공정을 도입하여 안정한 상태의 입자로 제조하고, 이온교환 공정을 통하여 잔존하는 전해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함으로써, 장용성 코팅제로 사용시 붕해, 용출 등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주로 장용성 코팅제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와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왔으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코팅공정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환경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수계 분산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천연 소재가 아닌 합성 고분자라는 단점과 필름물성이 상대적으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새로운 형태의 환경 친화적인 제품의 필요성이 증대되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계 분산 형태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가 제조되어왔다.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의 제조에 관한 기존의 방법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수상에 확산시키고, 용액내의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수계 분산 형태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은 수계 분산 상태에서 제품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유기용매를 사용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특히 유화 후 용액내의 유기용매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제품내에 유기용매가 잔류하는 등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 5,560,930호에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아세톤에 녹인 후 수상에 유화시킨 다음 진공증류를 통해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0.2 ㎛ 수준의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에탄올/물, 메탄올/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한 예도 포함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512,092에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에탄올에 녹인 후 유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 5,346,542에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카르복시메틸 에틸 셀룰로오스를 메틸 아세테이트 용매에 녹인 후 물에 유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라텍스 입자의 크기나 분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유화 후 제품의 안정성과 유화에 사용된 유기용매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잔류 유기 용매가 제품 내에 남아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 제시된 방법으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하여 1cm x 1cm의 필름으로 만들어 pH 1.2의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보면 붕해되어 필름의 형태가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초순수를 이용하여 7 중량%로 희석한 후 하이-코터(Hi-Coater, 사용기기 HCT Labo)를 이용하여 정제에 코팅한 후, 붕해 테스트(사용기기 Pharmatest PTZ E)를 실시하면, 1액(pH 1.2)에서 2시간 동안 붕해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전 세계적으로 아직 상용화에 성공한 예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 사용하지 않고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PMCP)의 수계 유화 공정을 도입하여 안정한 상태의 입자를 제조하고, 이온교환 공정을 통하여 잔존하는 전해물질의 함량을 조절하여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잔류 유기용매 문제를 해결하고 붕해, 용출 등 코팅 물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1)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유화제 및 NH4OH를 사용하여 20 ∼ 70 ℃에서 4 ∼ 6 시간 유화시키는 공정;
2) 상기 1 공정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이온교환 수지 또는 막(membrane)을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의 함량을 0 ∼ 50 mS로 이온교환하는 공정;
으로 이루어진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수성을 가진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NH4OH를 이용하여 프탈레이트기의 카르복시기를 중화시켜 염을 만들어 줌으로써 수상에서 안정한 상태의 입자를 형성시키고, 이온교환수지 공정을 이용해 용액내에서 잔존하는 잔류 전해물질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수상에서 안정한 나노입자 형태의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공정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유화제 및 NH4OH를 사용하여 20 ∼ 70 ℃에서 4 ∼ 6 시간 유화시켜 수상에서 안정한 상태의 입자를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0 ∼ 60,000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화제는 플루로닉 F-68(Pluronic F-68), 트리톤 X-405(Triton X-405), 트윈-80(Tween-80), 폴리스텝 B-1(Polystep B-1) 또는 폴리스텝 F-9(Polystep F-9)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에 대하여 0.05 ∼ 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만일, 유화제의 함유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수분산 HPMCP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정제(tablet)에 코팅시 필름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중화제로는 NH4OH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에 대하여 1.6 ∼ 4.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1.6 중량% 미만이면 수분산과정에서 입자의 크기가 커져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4.0 중량%를 초과하면 NH4OH의 과량사용으로 인해 정제에 코팅시 암모니아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NH4OH는 28%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2 공정은 이온교환 공정으로 상기 1 공정의 유화공정을 거친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이온교환 수지 또는 막(membrane)을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의 함량이 0 ∼ 50 mS를 갖도록 한다. 이때, 잔류 전해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잔류 전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의 양이 과다하게 사용되야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이온교환 수지는 양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Dowex MR-3(시그마-알드리치사, 미국)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막은 100 ∼ 300 nm의 공극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공극의 크기가 100 nm 미만이면 수계분산 HPMCP의 잔류전해물질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고, 300 nm를 초과하면 수계분산으로 제조한 HPMCP의 입자가 막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고형분 함량의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잔류 전해물질은 염을 형성시키는 암모늄 이온을 말하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의 물성저하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상기한 1 공정과 2 공정을 거쳐 제조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입자크기가 100 ∼ 1000 ㎚이며, 고형분을 7 ∼ 30 중량% 함유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수상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입자침강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정제코팅 후 1액(pH 1.2)에서 붕해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환경 친화적인 장용성 코팅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00 g의 초순수와 1.0 g의 플루로닉 F-68, 100 g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Mw 40,000 ∼ 60,000 삼성정밀화학(주))를 교반기가 달려있는 1L의 반응기에 넣고 300 ∼ 3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28%-NH4OH(8 g)를 서서히 첨가한 후 온도를 60 ℃로 승온하였다. 온도를 유지하면서 4 ∼ 5시간 동안 추가 교반을 진행한 후 이온교환 수지[Dowex MR-3, 시그마-알드리치사, 미국]를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인 암모늄 이온 농도를 0.0 ∼ 7 ms로 조절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pH 4.6 ±1.0, 고형분 함량 25 ±5 %, 산가 140 ±5, 입자크기 300 ±50 nm이었다.
pH는 Orion research, Inc의 pH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고형분 함량은 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산가는 단위표면적당 분포하고 있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0.1 N의 KOH와, 건조된 샘플을 녹이기 위하여 THF와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입자크기는 Dynamic Light Scattering(DLS, Zetaplus, Brookhaven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1cm x 1cm의 필름으로 만들어 pH 1.2의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보면 붕해되지 않고 형태가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계 분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초순수를 이용하여 7 중량%로 희석한 후 하이-코터(Hi-Coater, 사용기기 HCT Labo)를 이용하여 정제에 코팅한 후, 붕해 테스트(사용기기 Pharmatest PTZ E)를 실시하면, 1액(pH 1.2)에서 2시간 동안 붕해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400 g의 초순수와 0.53 g의 트리톤 X-405, 106 g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Mw 40,000 ∼ 60,000 삼성정밀화학(주))를 교반기가 달려있는 1L의 반응기에 넣고 상온에서 300 ∼ 3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28%-NH4OH(10 g)를 서서히 첨가한 후 4 ∼ 5시간 동안 추가 교반을 진행한 후 이온교환 수지(Dowex MR-3, 시그마-알드리치사, 미국)를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인 암모늄 이온의 농도를 0.0 ∼ 7 mS로 조절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pH 4.8 ±1.0, 고형분 함량 19.9%, 산가 145, 입자크기 700 ±50 nm이었다.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1cm x 1cm의 필름으로 만들어 pH 1.2의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보면 붕해되지 않고 형태가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초순수를 이용하여 7 중량%로 희석한 후 하이-코터(Hi-Coater, 사용기기 HCT Labo)를 이용하여 정제에 코팅한 후, 붕해테스트(사용기기 Pharmatest PTZ E)를 실시하면, 1액(pH 1.2)에서 2시간 동안 붕해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400 g의 초순수와 0.7 g의 폴리스텝 B-1, 100 g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Mw 40,000 ∼ 60,000 삼성정밀화학(주))를 교반기가 달려있는 1L의 반응기에 넣고 상온에서 300 ∼ 3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28%-NH4OH(11.5 g)를 서서히 첨가한 후 4 ∼ 5시간 동안 추가 교반을 진행한 후 막(공극 200nm)을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암모늄 이온)의 농도를 0.0 ∼ 7mS로 조절하였다. 이때, 잔류 전해물질의 이온과 함께 유화제도 제거되므로, 유화제 농도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유화제를 보충해주었다.
이렇게 제조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pH 8 ±0.5, 고형분 함량 20.0%, 산가 140, 입자크기 100 ±50 nm이었다.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1cm x 1cm의 필름으로 만들어 pH 1.2의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보면 붕해되지 않고 형태가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초순수를 이용하여 7 중량%로 희석한 후 하이-코터(Hi-Coater, 사용기기 HCT Labo)를 이용하여 정제에 코팅한 후, 붕해 테스트(사용기기 Pharmatest PTZ E)를 실시하면, 1액(pH 1.2)에서 2시간 동안 붕해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400 g의 초순수와 0.5 g의 트윈-80, 100 g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Mw 40,000 ∼ 60,000 삼성정밀화학(주))를 교반기가 달려있는 1L의 반응기에 넣고 300 ∼ 350 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28%-NH4OH(8 g)를 서서히 첨가한 후 온도를 60 ℃로 승온하였다. 온도를 유지하면서 4 ∼ 5시간 동안 추가 교반을 진행한 후 이온교환 수지(Dowex MR-3, 시그마-알드리치사, 미국)를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인 암모늄 이온의 농도를 0.0 ∼ 7 mS로 조절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pH 4.6 ±1.0, 고형분 함량 25 ±5%, 산가 140 ±5, 입자크기 500 ±50 nm이었다.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1cm x 1cm의 필름으로 만들어 pH 1.2의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보면 붕해되지 않고 형태가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초순수를 이용하여 7 중량%로 희석한 후 하이-코터(Hi-Coater, 사용기기 HCT Labo)를 이용하여 정제에 코팅한 후, 붕해 테스트(사용기기 Pharmatest PTZ E)를 실시하면, 1액(pH 1.2)에서 2시간 동안 붕해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400 g의 초순수와 0.65 g의 폴리스텝 F-9, 106 g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Mw 40,000 ∼ 60,000 삼성정밀화학(주))를 교반기가 달려있는 1L의 반응기에 넣고 상온에서 300 ∼ 350rpm의 속도로 교반하였다. 여기에 28%-NH4OH(10 g)를 서서히 첨가한 후 4 ∼ 5시간 동안 추가 교반을 진행한 후 이온교환 수지(Dowex MR-3, 시그마-알드리치사, 미국)를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인 암모늄 이온의 농도를 0.0 ∼ 7 mS로 조절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는 pH 4.8 ±1.0, 고형분 함량 19.9%, 산가 145, 입자크기 200 ±50 nm이었다.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1cm x 1cm의 필름으로 만들어 pH 1.2의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보면 붕해되지 않고 형태가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초순수를 이용하여 7 중량%로 희석한 후 하이-코터(Hi-Coater, 사용기기 HCT Labo)를 이용하여 정제에 코팅한 후, 붕해 테스트(사용기기 Pharmatest PTZ E)를 실시하면, 1액(pH 1.2)에서 2시간 동안 붕해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미국특허 제 5,560,93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0.3 kg을 9.7 kg의 아세톤에 녹인 후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10 kg의 순수에 유화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에멀젼을 50℃/-590 mmHg 조건에서 진공 증류시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내용을 토대로 실험을 진행해본 결과 상기의 방법은 라텍스 입자의 크기나 분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유화 후 제품의 안정성과 유화에 사용된 유기용매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잔류 유기 용매가 제품 내에 남아있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에 제시된 방법으로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하여 1cm x 1cm의 필름으로 만들어 pH 1.2의 수용액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보면 붕해되어 필름의 형태가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초순수를 이용하여 7 중량%로 희석한 후 하이-코터(Hi-Coater, 사용기기 HCT Labo)를 이용하여 정제에 코팅한 후, 붕해 테스트(사용기기 Pharmatest PTZ E)를 실시하면, 1액(pH 1.2)에서 2시간 동안 붕해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재까지 아직 상용화가 되지 않은 나노 입자의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유기용매를 사용한 유화공정과는 본질적으로 다르게 수계 유화 공정을 도입하여 안정한 상태의 입자를 제조하고, 이온교환 공정을 통하여 잔존 전해물질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기존 유기용매 적용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들이 지니고 있는 잔류 유기 용매에 따른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정제 코팅에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기존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의 기본 물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환경 친화적인 신규 장용성 코팅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1)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유화제 및 NH4OH를 사용하여 20 ∼ 70 ℃에서 4 ∼ 6 시간 유화시키는 공정;
    2) 상기 1 공정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를 이온교환 수지 또는 막(membrane)을 이용하여 잔류 전해물질의 함량을 0 ∼ 50 mS로 이온교환하는 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공정의 유화제와 NH4OH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에 대하여 각각 0.05 ∼ 1.0 중량%와 1.6 ∼ 4.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공정의 유화제는 플루로닉 F-68(Pluronic F-68), 트리톤 X-405(Triton X-405), 트윈-80(Tween-80), 폴리스텝 B-1(Polystep B-1) 및 폴리스텝 F-9(Polystep F-9)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공정의 이온교환 수지는 양이온교환 수지를 사용하고, 막(membrane)은 100 ∼ 300 nm의 공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입자크기가 100 ∼ 1000 ㎚이고, 고형분의 함량이 7 ∼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KR10-2001-0070966A 2001-11-15 2001-11-15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10046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966A KR100461566B1 (ko) 2001-11-15 2001-11-15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의 제조방법
US10/250,790 US6893493B2 (en) 2001-11-15 2001-11-22 Preparation method of solvent-free water-dispersibl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nanoparticle
PCT/KR2001/002015 WO2003042248A1 (en) 2001-11-15 2001-11-22 Preparation method of solvent-free water-dispersibl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nanoparticle
ES01274717T ES2339636T3 (es) 2001-11-15 2001-11-22 Metodo de preparacion de nanoparticulas de ftalato hidroxipropil metil celulosa dispersables en agua y libres de disolventes.
CNB018237916A CN1314709C (zh) 2001-11-15 2001-11-22 无溶剂的水可分散的羟丙基甲基纤维素邻苯二甲酸酯纳米颗粒的制备方法
DE60141227T DE60141227D1 (de) 2001-11-15 2001-11-22 Wasserdispergierbaren hydroxypropylmethylcellulosephthalat-nanoteilchen
EP01274717A EP1448604B1 (en) 2001-11-15 2001-11-22 Preparation method of solvent-free water-dispersibl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nanoparticle
JP2003544083A JP4471655B2 (ja) 2001-11-15 2001-11-22 水系分散ヒドロキシプロピルメチルセルロースフタレートナノ粒子の製造方法
TW091114458A TWI242575B (en) 2001-11-15 2002-06-28 Preparation method of solvent-free water dispersibl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nanopart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966A KR100461566B1 (ko) 2001-11-15 2001-11-15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616A KR20030040616A (ko) 2003-05-23
KR100461566B1 true KR100461566B1 (ko) 2004-12-14

Family

ID=1971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966A KR100461566B1 (ko) 2001-11-15 2001-11-15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93493B2 (ko)
EP (1) EP1448604B1 (ko)
JP (1) JP4471655B2 (ko)
KR (1) KR100461566B1 (ko)
CN (1) CN1314709C (ko)
DE (1) DE60141227D1 (ko)
ES (1) ES2339636T3 (ko)
TW (1) TWI242575B (ko)
WO (1) WO2003042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86B1 (ko) * 2003-09-17 2005-08-3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장용성의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050080626A (ko) * 2004-02-10 2005-08-17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수계분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US8616967B2 (en) * 2004-02-25 2013-12-31 Cfph,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venience gaming
WO2008032327A2 (en) * 2006-09-14 2008-03-20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Organic nanoparticles obtained from microemulsions by solvent evaporation
AR063704A1 (es) 2006-09-14 2009-02-11 Makhteshim Chem Works Ltd Nanoparticulas de pesticida obtenida obtenidas a partir de microemulsiones y nanoemulsiones
US7942738B2 (en) * 2006-11-15 2011-05-17 Cfph, Llc Verifying a gaming device is in communications with a gaming server
CN101981057B (zh) * 2008-03-31 2013-07-24 旭化成纤维株式会社 纤维素衍生物微粒、该微粒的分散液、该微粒的分散体及诊断药
CN101864083B (zh) * 2010-05-22 2011-12-28 大连交通大学 甲基聚硅氧烷/SiO2复合微球的制备方法
WO2012059936A1 (en) 2010-11-03 2012-05-10 Padma Venkitachalam Devaraja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colloidal drug delivery
US20120270078A1 (en) * 2011-04-08 2012-10-25 Glenn Godden Liquid Battery Formed from Encapsulated Components
CA2870134C (en) 2012-05-02 2020-04-28 Capsugel France SAS Aqueous dispersion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 (hpmcas)
JP6079039B2 (ja) * 2012-08-10 2017-02-1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微細繊維状セルロ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3049446B1 (en) * 2013-09-23 2017-05-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process for recovering an esterified cellulose ether from a reaction product mixture
EP3065720A1 (en) 2013-11-04 2016-09-14 Capsugel Belgium NV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bioavailability of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including esomeprazole
BR112018014109A2 (pt) 2016-01-11 2018-12-11 Verndari Inc composições de microagulhas e métodos de uso das mesmas
JP6213641B2 (ja) * 2016-09-07 2017-10-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微細繊維状セルロース
CN109970873B (zh) * 2019-04-03 2021-06-18 湖南九典宏阳制药有限公司 一种药用辅料级微晶纤维素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1724A (ja) * 1982-05-17 1983-11-24 Shin Etsu Chem Co Ltd 固形薬剤用コ−テイング剤組成物
JPS61227524A (ja) * 1985-03-30 1986-10-09 Tooa Eiyoo Kk プラゾシン製剤及びその製法
US5750148A (en) * 1994-08-19 1998-05-12 Shin-Etsu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solid enteric pharmaceutical preparation
KR20030029352A (ko) * 2001-10-08 2003-04-1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224A (en) 1980-10-01 1982-04-15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drug of enteric coating
JPS5855413A (ja) 1981-09-25 1983-04-01 Tanabe Seiyaku Co Ltd 腸溶性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法
JP3017906B2 (ja) * 1993-10-08 2000-03-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腸溶性コーティング剤分散液
US5560930A (en) * 1993-12-27 1996-10-01 Shin-Etsu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aqueous emulsion for coating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P3492787B2 (ja) * 1994-04-15 2004-02-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固形製剤のコーティング用水性エマルジョンの濃縮方法
DE19617716A1 (de) 1996-05-03 1997-11-06 Basf Ag In wäßriger Lösung redispergierbare Polymerpulver
JPH107558A (ja) * 1996-06-19 1998-01-13 Eisai Co Ltd 溶解性改善製剤
US5851579A (en) * 1996-10-28 1998-12-22 Eastman Chemical Company Aqueous enteric coating compositions
US6139875A (en) * 1998-09-29 2000-10-31 Eastman Chemical Company Aqueous enteric coating composition and low gastric permeability enteric coa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1724A (ja) * 1982-05-17 1983-11-24 Shin Etsu Chem Co Ltd 固形薬剤用コ−テイング剤組成物
JPS61227524A (ja) * 1985-03-30 1986-10-09 Tooa Eiyoo Kk プラゾシン製剤及びその製法
US5750148A (en) * 1994-08-19 1998-05-12 Shin-Etsu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solid enteric pharmaceutical preparation
KR20030029352A (ko) * 2001-10-08 2003-04-1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8604A4 (en) 2007-05-23
TWI242575B (en) 2005-11-01
EP1448604A1 (en) 2004-08-25
KR20030040616A (ko) 2003-05-23
EP1448604B1 (en) 2010-01-27
JP4471655B2 (ja) 2010-06-02
WO2003042248A1 (en) 2003-05-22
DE60141227D1 (de) 2010-03-18
JP2005511797A (ja) 2005-04-28
ES2339636T3 (es) 2010-05-24
US6893493B2 (en) 2005-05-17
CN1314709C (zh) 2007-05-09
US20050000388A1 (en) 2005-01-06
CN1558917A (zh)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566B1 (ko)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나노입자의 제조방법
USRE35200E (en) Coating for pharmaceutical dosage forms
Doelker Cellulose derivatives
JP2639844B2 (ja) 洗剤組成物
EP1727853B1 (de) Anionische wasser-in-wasser-polymerdispersion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EP2683743B1 (en) Water soluble polymer powder formulation having improved dispersing properties
TW200844164A (en) Cellulose fine particle, dispersion liquid thereof and dispersion body thereof
JPS6134026A (ja) 水性ポリマ−分散体
CN113181846B (zh) 一种基于Pickering乳液溶剂挥发的纯木质素微胶囊的制备方法
CN113166552A (zh) 木质素颗粒基水凝胶以及用于通过溶剂蒸发法制备木质素胶体颗粒的方法
EP3185904B1 (en) Colloidal dispersion comprising hpmcas
WO2004078842A1 (ja) 含フッ素ポリマー液状組成物、オルガノゾル製造方法、膜及び燃料電池
DE60209451T2 (de) Wässrig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welche Ionenaustauscherharze enthält
KR100511086B1 (ko) 장용성의 수계 분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US20120264854A1 (en) Process for producing aqueous dispersions of aliphatic polycarbonates
DE60207042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ässrigen zellulosederivat-dispersion
WO2005074395A2 (en) Method of preparing aqueous dispersion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nanoparticle composition
CA2093198A1 (en) Poly (vinyl alcohol) fluidized polymer suspensions
KR20180121351A (ko) 염화비닐계 수지 라텍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199285B2 (ja) 印画紙
Steward Modification of the permeability of polymer latex films
DE10157485A1 (de) Teilchenförmige Bindemittelzusammensetzungen mit geringer Staubneigung,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20160082475A (ko) 화학적 이방성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효능 원료가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EP3522283A1 (en) Polyelectrolyte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its making
Zhang et al. New approaches to stimuli-responsive polymeric micelles and hollow sphe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