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626B1 -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626B1
KR100460626B1 KR10-2002-0071113A KR20020071113A KR100460626B1 KR 100460626 B1 KR100460626 B1 KR 100460626B1 KR 20020071113 A KR20020071113 A KR 20020071113A KR 100460626 B1 KR100460626 B1 KR 10046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box
cylinder
plate
switch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564A (ko
Inventor
이명걸
Original Assignee
대명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6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23Q3/186Alig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8Cat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for la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박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롤(Roll)형태의 평판을 연달아 프레스 가공하여 미가공 스위칭박스를 형성하고, 상기 미가공 스위칭박스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미가공 스위칭박스를 절단, 천공, 절곡 및 마감(다듬질) 등의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특정 방향으로 스위칭박스를 뒤집어서 정렬시켜 자동화 로봇에 의해 항상 일정한 위치/일정한 방향으로 가공중의 스위칭박스를 집어 올려 자동화라인에 공급하도록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a switching box automatic turn over machine}
본 발명은 스위칭박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롤(Roll)평판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한 미가공 스위칭박스를 일정한 방향으로 자동 정렬하여, 자동화 로봇에 의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스위칭박스를 프레스기에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공중의 스위칭박스를 뒤집어 주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롤(Roll)형태의 평판을 연달아 프레스 가공하여 미가공 스위칭박스를 형성하고, 상기 미가공 스위칭박스를 자동화 공정에 의해 미가공 스위칭박스를 절단, 천공, 절곡 및 마감(다듬질) 등의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특정 방향으로 스위칭박스를 뒤집어서 정렬시켜 자동화 로봇에 의해 항상 일정한 위치/ 일정한 방향으로 가공중의 스위칭박스를 집어 올려 자동화라인에 공급하도록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박스는 롤(R)타입의 판재를 프레스에 연속공급하고, 다단계의 프레스에 통과하면서 점진적으로 절단, 천공, 절곡 및 마감 등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 제조과정이 로봇 등을 이용하여 공장 자동화를 실현시켜 최소의 근무인력으로 보다 신속하게 품질 좋은 스위칭박스를 대량생산 제조할 수 있게 되었고, 일반적인 스위칭박스의 자동생산 제조 공정을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Roll)타입 원자재(R)를 프레스에 연속 공급하여 프레스 펀칭가공하게 되고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차 프레스 가공 상태(a)가 계속적으로 생산되어 다음 공정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가공중인 스위칭박스는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켜 공장자동화의 라인에서 자동화 로봇이 항상 일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b)로 정렬시켜야 한다.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b)에서 절단, 천공, 절곡 등 중간공정을 통과한 상태(c)를 걸쳐 마감공정까지 통과하면 완성품(d)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장 자동화에 의해 자동으로 생산 제조할 때에 각각의 공정마다 소요시간이 다르고, 특히 일차프레스가공상태(a)로 프레스 가공하는 시간은 여타의 자동화라인에서 절단, 천공 및 절곡 등의 공정 때의 소요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이루어져 부득이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스위칭박스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보관된 스위칭박스를 재차 인력을 투입하여 수작업으로 스위칭박스를 자동화라인의 컨베이어벨트에 얹혀 줘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스위칭박스의 형상은 가로변과 세로변의 형상은 미미한 차이로 다르기 때문에 자동화라인의 로봇에 의해 일정하게 파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를 요하고, 더불어 가공중인 스위칭박스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켜 주어야하는 공정에 인력을 투입함으로서 인건비 등의 생산단가가 상승하여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투입된 작업자는 반복되는 작업에 따라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컨베이어벨트에 얹히는 스위칭박스의 방향을 잘못 올렸을 경우 절단, 천공, 절곡 등 중간공정을 통과한 상태(c)를 거치지 못하고 자동화 라인의 전체에 알람이 걸려 중지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및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롤(Roll)타입의 원자재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스위칭박스를 제조하고,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가공중인 스위칭박스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고, 공장자동화의 라인에서 자동화 로봇이 항상 일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뒤집어 주도록 하며, 자동화 라인의 타이밍에 맞춰 연속 반복적으로 스위칭박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위칭박스의 제조 공정을 보인 고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의 작용을 보인
각 단계별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정렬수단 2: 진입가이드 3: 진동정렬장치
4: 나선가이드 8: 가로방향검출센서 9: 푸시(push)실린더
10: 개별공급단속수단 11: 대기검출센서 14: 승강실린더
16: 스토퍼(stopper) 17: 서포트 18: 고정브래킷
스위칭박스: 견인수단 21: 메인고정판 23: 메인실린더
25: 영구자석 26: 구름판 27: 스토퍼(stopper)
30: 회동수단 31a, 31b: 받침블록 32a, 32b: 베어링하우징
33: 회전축 35: 브래킷 36: 회전실린더
40: 파지수단 41a, 41b: 암(arm) 42: 브래킷
43: 실린더 44: 밀판 45: 정지블록
50: 이송수단 51: 컨베이어벨트 53, 54: 센서
60: 지지수단 R: 롤(Roll)타입 원자재
a: 일차 프레스 가공 상태 b: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
c: 중간공정을 통과한 상태 d: 완성품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의 작용을 보인 각 단계별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는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스위칭박스를 특정 방향으로 자동 정렬하도록 하는 정렬공급수단(1)과, 특정방향으로 정렬되어 진행되는 스위칭박스를 개별적으로 진행 및 차단을 실시하도록 하는 개별공급단속수단(10)과, 상기 개별공급단속수단(10)에 대기 중인 스위칭박스를 끌어당겨 특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수단(스위칭박스)과, 상기 견인수단(스위칭박스)에 의해 특정위치로 이동한 스위칭박스를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이송수단에 얹히는 회동수단(30)과, 상기 회동수단(30)에서 스위칭박스를 붙잡아 주는 파지수단(40)과, 상기 회동수단(30)에 의해 뒤집진 스위칭박스를 작업 로봇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개별단속수단(10), 견인수단(스위칭박스) 및 회동수단(30)을 지탱하는 지지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공급수단(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정렬기(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진입가이드(2)를 일측에 장착하고, 스위칭박스를 일시적으로 모아두고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스위칭박스를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진입가이드(2)는 롤(Roll)타입의 원자재를 프레스가공으로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스위칭박스를 성형하고, 성형된 스위칭박스는 프레스의 배출구에서 상기 진동정렬기(3)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진동정렬기(3)는 중앙에서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나선가이드(4)를 형성하고, 저면에서 진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진동에 의해 스위칭박스는 나선가이드(4)를 따라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나선가이드(4)에는 특정한 방향으로 얹혀져 이동되는 스위칭박스만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에 휘어진 칼날 형상의 가이드(5)를 장착하여 세워진 스위칭박스는 가이드(5)에 의해 밀려나 진동정렬기(3)의 중앙 쪽으로 떨어뜨리어 지고,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져 있는 스위칭박스는 낙하홀(6)과 가이드(7)를 통과하면서 진동정렬기(3)의 중앙 쪽으로 떨어뜨리어 지며, 상기 낙하홀(6)은 톱니형상의 홀을 한 쌍으로 형성한 것으로 뒤집어진 스위칭박스가 낙하홀(6)에 도달하였을 때에 톱니형상의 낙하홀(6)에 의해 낙하되며, 바닥면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바른 상태로 얹혀진 스위칭박스는 통과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 단부에는 일측에 가로방향 검출센서(8)를 장착하고, 상기 가로방향 검출센서(8)에 의해 구동하는 푸시실린더(9)를 장착하되, 가로방향 검출센서(8)는 스위칭박스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다른 형상을 검출하도록 한 것으로 스위칭박스의 가로변은 통과시키고 세로변이 검출되면 푸시실린더(9)를 작동시켜 푸시실린더(9)의 로드가 스위칭박스를 진동정렬기(3)의 중앙 쪽으로 밀어서떨어뜨리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개별공급단속수단(10)은 지지수단(6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에서 공급되는 스위칭박스를 통과시키거나 멈춰 서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60)은 진동정렬기(3)의 일측에 고정브래킷(18)을 장착하고, 고정브래킷(18)에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서포트(17)를 세워 장착한 것이다.
상기 개별공급단속수단(10)은 지지수단(60)의 서포트(17)의 중단에 지지플레이트(12)를 고정하고, 지지플레이트(12)에는 직각방향으로 다른 지지플레이트(13)를 고정하되 지지플레이트(13)의 돌출정도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을 형성하여 장공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지지플레이트(12)에 고정하며, 지지플레이트(13)의 단부에는 승강실린더(14)를 세워 장착하고, 승강실린더(14)의 로드(15)에는 L자형상의 스토퍼(16)를 고정하되 스토퍼(16)의 수직편은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나선가이드(4)의 단부쪽 바닥면에는 대기검출센서(11)를 구비하여 대기검출센서(11)의 검출신호여부에 따라 승강실린더(14)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견인수단(20)은 상기 한 쌍의 서포트(17)상단에 메인고정판(21)을 가로방향으로 장착하고, 메인고정판(21)의 중앙전방에는 실린더고정브래킷(22)을 세워 장착하며, 실린더고정브래킷(22)에는 메인실린더(23)를 장착하되 메인실린더(23)의 로드(24)는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을 향하여 전 후진 작동하도록 고정하고, 로드(24)의 단부에는 영구자석(25)을 구비하며, 메인고정판(21)의 전방으로는 구름판(26)을 장착하고, 구름판(26)의 선단은 하측방향을 절곡시켜 스위칭박스의 유입을 원활하도록 하며, 구름판(26)의 상면에는 스토퍼(27)를 세워 장착하되 스토퍼(27)의 중앙에는 상기 영구자석(25)의 왕복 유통이 가능하도록 영구자석유통공(28)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영구자석(25)은 메인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개별공급단속수단(10)의 대기상태에 있는 스위칭박스에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메인고정판(21)의 상측 면에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받침블록(31a)(31b)을 고정시키고, 받침블록(31a)(31b)의 상측에는 베어링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32a)(32b)을 각각 장착하며, 베어링하우징(32a)(32b)의 베어링에는 회전축(33)을 굴대설치 하되 베어링하우징(32a)과 베어링하우징(32b)사이의 회전축(33)에는 스위칭박스를 파지하도록 하는 파지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고정판(21)의 일측모서리에는 브래킷(35)을 세워 장착하며, 브래킷(35)에는 회전실린더(36)를 장착하여 상기 회전축(33)의 일측 단부와 상기 회전실린더(36)의 로드는 커플링(34)으로 연결하여 회전실린더(36)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3)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파지수단(40)은 상기 회전축(33)에 평행한 두개의 암(41a)(41b)을 이격시켜 고정 장착하되, 고정 장착위치는 스위칭박스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일측 암(41a)의 단부에는 브래킷(42)을 세워 고정 장착하고, 브래킷(42)에는 실린더(43)를 장착하되 로드의 단부에 밀판(44)을 구비하여밀판(44)은 상기 타측 암(41b)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 후진 왕복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상기 타측 암(41b)의 단부에는 정지블록(45)을 고정 장착시키되 상기 일측 암(41a)의 밀판(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블록(45)을 장착하고, 상기 밀판(44)과 정지블록(45)은 상기 견인수단(20)의 구름판(26)에 장착된 스토퍼(27)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암(41a)(41b)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50)은 통상의 컨베이어벨트(51)의 상면 양측에 가이드봉(52)을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51)의 일측에 두개의 센서(53)(54)를 구비하되 일측 센서(53)는 스위칭박스의 유입을 감지하도록 하고 다른 센서(54)는 컨베이어벨트(51)의 구동에 의해 스위칭박스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정렬공급수단(1)에는 진입가이드(2)를 통해 일차 프레스 가공된 스위칭박스가 유입되어 진동정렬기(3)에 쌓여지고,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진동정렬기(3)의 나선가이드(4)를 따라 스위칭박스가 이동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배출된다.
상기 스위칭박스는 세로변이 전방으로 향함과 동시에 뒤집어지지 않는 바로 얹혀진 상태로 나선가이드(4)에서 진행배출 되어야하지만 쌓여지는 스위칭박스는 불특정 무작위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렇게 세워지거나 뒤집어져진 형태로 이동하는 스위칭박스는 나선가이드(4)를 통과하면서 바른 상태로 얹혀져 이동하는 스위칭박스만을 통과되는 것이다.
즉, 옆으로 세워진 형태의 스위칭박스는 가이드(5)를 통과하면서 가이드(5)에 걸러져 가이드(5)내면을 따라 진동정렬기(3)의 중앙 쪽으로 떨어뜨려지고, 뉘여 진 형태의 스위칭박스만이 통과하며, 바닥면이 위로 향하여 뒤집어진 상태의 스위칭박스는 한 쌍의 낙하홀(6)과 가이드(7)를 통과하면서 진동정렬기(3)의 중앙 쪽으로 떨어뜨려지고, 바로 얹혀진 상태의 스위칭박스는 바닥면이 나선가이드(4)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통과된다.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으로 이동한 스위칭박스는 가로방향 검출센서(8)에 의해 가로변 또는 세로변을 검출되어 이동되는 방향이 가로방향인지 세로방향인지를 검출하고, 이때 가로변이 검출되면 통과시키며, 세로변이 검출되면 푸시실린더(9)를 작동시켜 푸시실린더(9)의 로드가 스위칭박스를 진동정렬기(3)의 중앙 쪽으로 밀어서 떨어뜨리도록 한 것이다.
스위칭박스는 세로변이 전방을 향하도록 계속 전진하여 개별공급단속수단(10)의 스토퍼(16)에 도달하게 되고, 스토퍼(16) 및 승강실린더(14)는 상승하여 스위칭박스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14)의 작동에 의해 스토퍼(16)가 하강함과 동시에 견인수단(20)의 메인실린더(23)가 작동하고, 메인실린더(23)의 확장 구동에 의해 영구자석(25)이 이동하여 대기상태의 스위칭박스에 근접하며, 영구자석(25)에 스위칭박스가 부착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실린더(23)가 작동하여 후퇴하게 되면 영구자석(25)은 스토퍼(27)의 영구자석유통공(28)을 통과함과 동시에 영구자석(25)에서 스위칭박스는 분리되어 스토퍼(27)의 전방 구름판(26)의 상측에 얹혀진 상태로 머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칭박스가 구름판(26)쪽으로 이끌려온 순간 개별공급단속수단(10)의 승강실린더(14)가 작동하여 스토퍼(16)를 상승시켜 연달아 오는 스위칭박스의 흐름을 차단하고, 대기검출센서(11)에 의해 스위칭박스의 유입이 감지될 때가지 진동정렬기(3)가 구동하며, 스위칭박스의 유입이 대기검출센서(11)에 의해 감지되면 진동정렬기(3)의 구동은 멈추고 다음 동작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아울러 구름판(26)에 스위칭박스가 유입된 상태에서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가 구동하여 밀판(44)을 전진시키면 밀판(44)과 대향하는 정지블록(45)사이에 스위칭박스가 파지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수단(30)의 회동실린더(36)가 작동하여 회전축(33)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3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3)에 고정 장착된 한 쌍의 암(41a)(41b)은 180도 회전하여 스위칭박스를 뒤집게 되고, 센서(53)에 의해 유입이 감지되면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가 작동하여 밀판(44)을 후진시키고, 밀판(44)의 후진에 의해 스위칭박스의 파지력은 해제되어 스위칭박스를 컨베이어벨트(51)위에 놓게 되며, 다음 동작으로 실린더는 역회전하여 180회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로 돌아가고, 스위칭박스는 특정방향 예컨대 진행방향으로 세로변이 전방으로 향하고 바닥면이 상면으로 향한 뒤집어진 형태로 컨베이어벨트(51)에 얹혀지며, 컨베이어벨트(51)의 구동에 의해 스위칭박스는 자동화로봇(미도시)쪽으로 스위칭박스는 이동되고 이동상태를 센서(54)가 감지하여초기화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계속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동작상태에 따라 구분지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계: (대기상태) 스토퍼(16)는 상승위치, 암(41a)(41b)의 파지수단(40)은 스위칭박스의 진입부 쪽으로 회전대기상태,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는 당겨진 상태, 메인실린더(23)는 당겨진 상태, 진동정렬기(3)는 작동을 멈춘 상태.
둘째 단계: 스토퍼(16)는 하강, 암(41a)(41b)의 파지수단(40)은 스위칭박스의 진입부 쪽으로 회전대기상태,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는 당겨진 상태, 메인실린더(23)는 확장한 상태, 진동정렬기(3)는 작동을 멈춘 상태.
셋째 단계: 스토퍼(16)는 하강상태, 암(41a)(41b)의 파지수단(40)은 스위칭박스의 진입부 쪽으로 회전대기상태,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는 밀려나 스위칭박스 파지 상태, 메인실린더(23)는 당겨진 상태, 진동정렬기(3)는 작동을 멈춘 상태.
넷째 단계: 스토퍼(16)는 승강, 암(41a)(41b)의 파지수단(40)은 스위칭박스의 배출 측 쪽으로 180도 회전,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는 밀려나 스위칭박스 파지 상태, 메인실린더(23)는 당겨진 상태, 진동정렬기(3)는 작동을 시작.
다섯째 단계: 스토퍼(16)는 승강상태, 암(41a)(41b)의 파지수단(40)은 스위칭박스의 배출 측 쪽으로 180도 회전상태,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는 당겨져 스위칭박스 파지해제 상태, 메인실린더(23)는 당겨진 상태, 진동정렬기(3)는 다음 스위칭박스 대기위치에 유입 후 작동을 멈춤.
여섯째 단계: 스토퍼(16)는 승강상태, 암(41a)(41b)의 파지수단(40)은 스위칭박스의 대기 측 쪽으로 180도 회전, 파지수단(40)의 실린더(43)는 당겨진 상태, 메인실린더(23)는 당겨진 상태, 진동정렬기(3)는 다음 스위칭박스 대기위치에 유입 후 대기상태. 컨베이어벨트(51)구동에 의해 뒤집어진 상태로 스위칭박스 이동.
일곱째 단계: 첫째 단계와 동일함.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는 계속 반복적을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일차가공의 미완성 상태의 스위칭박스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자동화로봇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롤(Roll)타입의 원자재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스위칭박스를 제조하고,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가공중인 스위칭박스를 무작위로 쌓아 두고,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정렬하면서 낱개로 지속적으로 자동화로봇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공장자동화의 라인에서 자동화 로봇이 항상 일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뒤집어 주도록 하며, 자동화 라인의 타이밍에 맞춰 연속 반복적으로 스위칭박스를 공급하도록 하여 스위칭박스의 생산라인에 전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종래의 수작에 의존하여 스위칭박스를 정렬시키는 것을 탈피하여 자동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에러 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인건비에 대한 부담을 줄여 채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스위칭박스 제조장치에 있어서,
    일차프레스가공상태(a)의 스위칭박스를 진동이 가해지는 나선가이드(4)에 의해 이동시키면서 부적합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위칭박스를 떨어뜨려 특정 방향으로 자동 정렬하여 공급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하는 정렬공급수단(1)과,
    상기 정렬공급수단(1)의 배출측에 구성하여 진행되는 스위칭박스를 스토퍼(16)의 승강 및 하강작동에 의해 개별적으로 진행 및 차단을 실시하도록 하는 개별공급단속수단(10)과,
    상기 개별공급단속수단(10)에 대기 중인 스위칭박스를 구름판(26)으로 끌어당겨 이동시키는 견인수단(20)과,
    상기 견인수단(20)에 의해 구름판(26)으로 이동한 스위칭박스를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실린더(36)로 회전축(33) 및 암(41a)(41b)을 180도 회전시켜주는 회동수단(30)과,
    상기 회동수단(30)에서 암(41a)(41b)의 단부에 구성하여 실린더(43)의 밀판(44)과 정지블록(45)사이에 스위칭박스를 붙잡아 주는 파지수단(40)과,
    상기 회동수단(30)에 의해 뒤집진 스위칭박스를 자동화 로봇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수단(50) 및,
    상기 개별단속수단(10), 견인수단(20), 회동수단(30)을 지탱하는 지지수단(6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공급수단(1)은,
    진동정렬기(3)의 중앙에는 일차 가공한 스위칭박스를 유입하는 진입가이드(2)를 구성하고, 진동정렬기(3)의 상면에는 나선가이드(4)를 형성하며, 저면 내측에는 통상의 진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나선가이드(4)의 일측에 휘어진 칼날 형상의 가이드(5)를 바닥면과 이격시켜 장착하며, 타측에는 톱니형상의 낙하홀(6)을 한 쌍으로 형성하고, 낙하홀(6)의 상측에는 다른 가이드(7)를 장착하며,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 단부에는 일측에 가로방향 검출센서(8)를 장착하고, 상기 가로방향 검출센서(8)에 의해 구동하는 푸시실린더(9)를 장착하되 푸시실린더(9)의 로드는 스위칭박스를 나선가이드(4)내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별공급단속수단(10)은,
    상기 진동정렬기(3)의 일측에 고정브래킷(18)을 장착하고, 고정브래킷(18)에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서포트(17)를 세워 장착하여 지지수단(60)을 구성하고,
    상기 서포트(17)의 중단에 지지플레이트(12)와 다른 지지플레이트(13)를 고정하되 지지플레이트(13)의 돌출정도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을 형성하여 장공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지지플레이트(12)에 고정하며, 지지플레이트(13)의 단부에는 승강실린더(14)를 세워 장착하고, 승강실린더(14)의 로드(15)에는 L자형상의 스토퍼(16)를 고정하되 스토퍼(16)의 수직편은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나선가이드(4)의 단부쪽 바닥면에는 대기검출센서(11)를 구비하여 대기검출센서(11)의 검출신호여부에 따라 승강실린더(14)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20)은,
    한 쌍의 서포트(17)상단에 메인고정판(21)을 가로방향으로 장착하고, 메인고정판(21)의 중앙전방에는 실린더고정브래킷(22)을 세워 장착하며, 실린더고정브래킷(22)에는 메인실린더(23)를 장착하되 메인실린더(23)의 로드(24)는 상기 나선가이드(4)의 배출측을 향하여 전 후진 작동하도록 고정하고, 로드(24)의 단부에는 영구자석(25)을 구비하며, 메인고정판(21)의 전방으로는 구름판(26)을 장착하고, 구름판(26)의 선단은 하측방향을 절곡시켜 스위칭박스의 유입을 원활하도록 하며, 구름판(26)의 상면에는 스토퍼(27)를 세워 장착하되 스토퍼(27)의 중앙에는 상기 영구자석(25)의 왕복 유통이 가능하도록 영구자석유통공(28)을 형성하고, 상기 영구자석(25)은 메인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개별공급단속수단(10)의 대기상태에 있는 스위칭박스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0)은,
    메인고정판(21)의 상측 면에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받침블록(31a)(31b)을 고정시키고, 받침블록(31a)(31b)의 상측에는 베어링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32a)(32b)을 각각 장착하며, 베어링하우징(32a)(32b)의 베어링에는 회전축(33)을 굴대설치 하되 베어링하우징(32a)과 베어링하우징(32b)사이의 회전축(33)에는 스위칭박스를 파지하도록 하는 파지수단(40)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고정판(21)의 일측모서리에는 브래킷(35)을 세워 장착하며, 브래킷(35)에는 회전실린더(36)를 장착하여 상기 회전축(33)의 일측 단부와 상기 회전실린더(36)의 로드는 커플링(34)으로 연결하여 회전실린더(36)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33)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40)은,
    회전축(33)에 평행한 두개의 암(41a)(41b)을 이격시켜 고정 장착하되, 고정 장착위치는 스위칭박스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일측 암(41a)의 단부에는 브래킷(42)을 세워 고정 장착하여, 브래킷(42)에는 실린더(43)를 장착하되, 로드의 단부에 밀판(44)을 구비하여밀판(44)은 상기 타측 암(41b)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 후진 왕복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타측 암(41b)의 단부에는 정지블록(45)을 고정 장착시키되 상기 일측 암(41a)의 밀판(4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블록(45)을 장착하고, 상기 밀판(44)과 정지블록(45)은 상기 견인수단(20)의 구름판(26)에 장착된 스토퍼(27)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암(41a)(41b)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50)은,
    통상의 컨베이어벨트(51)의 상면 양측에 가이드봉(52)을 구비하고, 컨베이어벨트(51)의 일측에 두개의 센서(53)(54)를 구비하되 일측 센서(53)는 스위칭박스의 유입을 감지하도록 하고, 다른 센서(54)는 컨베이어벨트(51)의 구동에 의해 스위칭박스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KR10-2002-0071113A 2002-11-15 2002-11-15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KR10046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113A KR100460626B1 (ko) 2002-11-15 2002-11-15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113A KR100460626B1 (ko) 2002-11-15 2002-11-15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564A KR20040042564A (ko) 2004-05-20
KR100460626B1 true KR100460626B1 (ko) 2004-12-09

Family

ID=3733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113A KR100460626B1 (ko) 2002-11-15 2002-11-15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1048A (zh) * 2013-09-30 2014-01-01 无锡众望四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锁芯自动加工装置的上料机构
KR101867538B1 (ko) * 2018-01-10 2018-06-15 노희인 커버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5581A (zh) * 2015-12-17 2016-02-24 平湖市山特螺纹工具有限公司 一种铣床的自动上料装置所用的送料口挡块
CN106141609B (zh) * 2016-07-20 2024-01-12 梁启明 一种螺旋两通与导管的装配机构
CN106312801A (zh) * 2016-11-02 2017-01-11 平湖市山特螺纹工具有限公司 磨槽机的压板
CN106624970A (zh) * 2016-12-25 2017-05-10 宁波培立新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外球面轴承内圈螺孔双头感应加热机
CN107695662B (zh) * 2017-09-28 2024-02-13 梁启明 一种气体过滤管组装机
CN108115385B (zh) * 2018-01-29 2024-01-05 杭州泰尚机械有限公司 接插件自动组装机及自动组装方法
CN110039294B (zh) * 2019-05-30 2023-12-12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旋转蜡笔端盖上料装置
CN114131323B (zh) * 2021-10-27 2024-01-05 邯郸市美坚利五金制造有限公司 一种组装式螺丝刀具的转换杆自动装配设备
KR102393756B1 (ko) * 2022-01-26 2022-05-03 추교중 수차식 가공기
KR102393758B1 (ko) * 2022-01-26 2022-05-04 추교중 수차식 가공기용 피가공품 자동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1048A (zh) * 2013-09-30 2014-01-01 无锡众望四维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锁芯自动加工装置的上料机构
KR101867538B1 (ko) * 2018-01-10 2018-06-15 노희인 커버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박스의 자동화 조립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564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626B1 (ko) 스위칭박스 자동뒤집기장치
KR101084336B1 (ko)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CN102452002B (zh) 一种汽车板落料方法及系统
CN103962443A (zh) 自动化高效率电机冲片装置总成及其冲裁工艺
CN209998588U (zh) 一种触屏手机偏光片激光切割自动上料卸料设备
CN106849540A (zh) 一种可将矽钢片记号槽方向错开堆叠的设备
US200600457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nd transporting plates
CN115223787A (zh) 一种直接缝铁心生产用的自动叠片设备
CN113546863B (zh) 一种用于自动质检操作的工业机器人及控制方法
KR100362307B1 (ko) 유리면취장치
CN104416407B (zh) 饰件上料设备
CN206932124U (zh) 一种可将矽钢片记号槽方向错开堆叠的设备
KR100628530B1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공급장치
CN204872706U (zh) 一种磁芯变向输送装置
KR102399131B1 (ko) 분리 이동구조를 갖는 블랭킹 제품 고속 적재이송장치
KR20110101925A (ko) 반도체 패키지 리드 프레임 매거진의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CN115156708A (zh) 一种自动化组装的高精度激光镭射焊接设备
CN107381038B (zh) 一种柔性送料器
CN114802904A (zh) 一种物料装箱装置
CN105710250B (zh) 一种具有容错功能的冲压机自动送料系统
CN105083928A (zh) 一种磁芯变向输送装置
CN211520869U (zh) 一种用于制造业工厂的物料输送装置
CN218315451U (zh) 一种加工纸箱的裁切设备
CN215508793U (zh) 一种螺钉加工用搓丝机的胚料导料滑轨
CN218579000U (zh) 一种喷码视觉自动抓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