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104B1 -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 Google Patents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104B1
KR100460104B1 KR10-2001-0064286A KR20010064286A KR100460104B1 KR 100460104 B1 KR100460104 B1 KR 100460104B1 KR 20010064286 A KR20010064286 A KR 20010064286A KR 100460104 B1 KR100460104 B1 KR 10046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ion
fractions
cacao
cacao bean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483A (ko
Inventor
이형주
이기원
김동영
박형환
이만종
김한수
권익부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1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균이 분비하는 내독소 및 여러 피부염증 유발 물질들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들에 대해 뛰어난 억제 효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Drug for treatment contact dermatitis and digestive system inflammation containing cacao bean or husk fraction extract}
본 발명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균이 분비하는 내독소 및 여러 피부염증 유발 물질들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들에 대해 뛰어난 억제 효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초콜릿 및 코코아의 원료인 카카오는 학명이 데오브로마 카카오 엘.(Theobroma cacao L)로, 신의 음식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카카오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의 북부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되며, 중앙아메리카의 여러 나라에서는 기원전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옥수수와 함께 매우 귀중한 음식으로 취급되어 왔으며, 현재는 남녀노소,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세계적인 대표적인 기호식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초콜릿의 원료로 제공되는 카카오 콩은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 등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한편, 카카오 콩은 초콜릿의 생산공정 중 탈각되어 알맹이(nib)는 초콜릿 또는 코코아의 원료로 사용되고, 부산물로 나오는 껍질(전체 카카오 콩에 대하여 약 15 중량%)은 거의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전세계 카카오 콩의 생산량은 약 250만톤으로, 약 40만톤에 이르는 엄청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이 폐기되고 있으며, 1990년 관세청 무역통계 연보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서도 약 600톤의 카카오 콩껍질이 폐기물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카오 콩껍질에는 카카오 콩과 마찬가지로 식이섬유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 등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카카오 콩에 있는 폴리페놀(polyphenol)의 기능성을 이용하는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카카오 콩의 폴리페놀 및 분획물이 백혈병, 전립선암, 결장암, 신장암, 폐암, 유방암 세포를 사멸시키며, 또한 토포아이소머라제 Ⅱ를 저해시키는 것을 밝힘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폴리페놀들이 항암활성 및 여러 생리활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되어 이들 폴리페놀의 구조 및 용도에 대한 특허를 청구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1998-707952호].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 특허 청구한 카카오 콩의 폴리페놀들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생리활성에 대한 특허가 출원되기 훨씬 이전에, 콩껍질 폴리페놀 추출물이 초콜릿 생산 중 부산물로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므로 가격이 싸다는 것과, 폴리페놀도 프로시아니딘 A(procyanidin A), 프로시아니딘 C-1(procyanidin C-1)등 중합체(polymer)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효소저해 활성도 매우 높아 충치 원인 효소인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배합한 츄잉껌을 제조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 45179 호, 1991; 미국 특허 제 4908212호, 1990]. 최근에는 폴리페놀의 함량을 증가시켜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의 저해 활성을 더욱 증강시킨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특허 등록된 바 있다[미국 특허 제 6159451호, 2000].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카카오 콩 및 콩껍질에는 식이섬유, 다양한 구조의 폴리페놀 및 페놀릭 산(phenolic acid), 데오브로민 및 카페인과 같은 메틸잔틴(methylxanthines)등 여러 생리활성을 가지는 성분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폴리페놀의 특정 구조에 의해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또한 이들의 특정 구조만을 분리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제조 비용이 너무 비싸서 이용이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미 기존에 특허 등록[미국 특허 제 6159451호, 2000]된 바와 같이 간단한 분리 공정에 의해 여러 생리활성을 크게 증강시킨 분획물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다.
염증이란 세균 유래의 농양으로서 조직에 침입하여 증식된 화농균류를 백혈구가 왕성히 탐식하여, 그 결과 생기는 백혈구의 사해, 균에 의해 장해를 받은 조직, 세포파괴물 등이 조직내 융해하여 농이 축적된 곳의 병리적 상태를 말하며, 소염작용이라 함은 침입균의 증식을 항균제 등에 의하여 억제한다든지, 혹은 농양중에 축적된 이물을 탐식하는 마크로파지(macrophage)를 활성화하여 그것들을 소화, 배설하는 기능을 높여서 농양의 치료과정이 촉진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염증 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고 하는 생체의 방어 반응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반응에는 국소의 혈관, 체액의 각종 조직세포, 면역관여 세포 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현재까지 항염증 작용물질들은 급성염증에서 손상된 조직의 세포나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또는 주화인자에 의해 유주된 백혈구의 세포막으로부터 물리화학적 및 생리적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약물들이었다(Moyazawa, K and Mikami, T., Japan J. Pharmacol., 38, 199, 1985). 그러나 이런 약물들은 급성염증에서의 증상들에 대해서는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염증에서는 1차적인 염증현상만을 완화할 뿐이며, 면역학적 치료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아라키돈 산 (arachidonic acid)이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인 히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익 산(HETE; hydroxyeicosatetraenoic acid), 류코트리엔 B4, 류코트리엔 C4 등에 관하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만성염증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Huskisson, E.D. et al., Inflamma- tion, Mechanism and Treatment, MTP, Lancaster, England, p.55, 1980).
따라서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여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염증을 억제할 수 있고, 용이하게 식품에 이용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카카오 콩 및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의 세균의 내독소 및염증 유발 물질들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에 대한 억제 효과에 관한 보고는 전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의 생리활성을 다각도로 연구하던 중, 이들 분획물들이 동물 실험에서 세균의 내독소 및 염증 유발 물질들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의 뛰어난 억제 효능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따라서,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카카오 콩 분획물을 쥐에 경구 투여했을 때, 세균의 내독소인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쥐 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쥐에 경구 투여했을 때, 세균의 내독소인 LPS에 의한 쥐 치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카카오 콩 분획물을 쥐에 경구 처치했을 때, 피부염증 유발 물질인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에 의한 쥐의 귀 염증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쥐에 경구 처치했을 때, 피부염증 유발 물질인 TPA에 의한 쥐의 귀 염증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카카오 콩 분획물을 쥐에 경구 처치했을 때, 피부염증 유발 물질인 크로톤오일(croton oil)에 의한 쥐의 귀 염증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쥐에 경구 처치했을 때, 염증 유발 물질인 크로톤오일에 의한 쥐의 귀 염증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카카오 콩 분획물을 쥐에 경구 처치했을 때, 염증 유발 물질인 디스라놀(dithranol)에 의한 쥐의 귀 염증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카카오 콩껍질 분획물을 쥐에 경구 처치했을 때, 염증 유발 물질인 디스라놀에 의한 쥐의 귀 염증 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과 식품 중에 존재하는 항염증 물질 중의 하나인 녹차의 EGCG(epigallocatechingallate)를 경구투여시, 피부 염증 유발 물질인 TPA에 의한 쥐의 귀 염증 억제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이 세균이 분비하는 내독소 및 여러 피부염증 유발 물질들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들에 대해 뛰어난 억제 효능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카오 콩으로부터 코코아 버터를 제거하고 남은 분획물(카카오 메스) 또는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50% 아세톤 수용액, 50% 에탄올 수용액 또는 50% 메탄올 수용액[Duksan, Korea] 4 ∼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40 ∼ 70 ℃의 온도로 4 ∼ 6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을 모으고 남은 잔사를 반복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을 여과, 건조시켜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추출물을 얻는다. 이 추출물을 스티렌계 다공성 수지에 흡착시킨 후,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분획한 후, 다시 6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용매 분획물을 얻는다.
상기 분획물을 쥐에게 경구 투여하였을 경우, 소화기계 염증을 유발하기 위하여 세균의 내독소인 LPS를 복강 내에 주사함으로써 발생되는 쥐의 치사율을 현저히 낮추며, 또한 원발성 접촉피부염을 유발하는 물질인 TPA, 디스라놀, 크로톤오일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을 현저히 억제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또는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바, 상기 추출물 의약물 또는 식품첨가제로의 제조방법은 공지방법을 따른다.
의약물으로 제조시에는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그 자체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캡슐 또는 주사제 등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카오 콩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어온 것으로 분획물의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은 체중 1 ㎏당 0.1 내지 10 ㎎ 정도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는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한편, 식품첨가제로 제조시에는 음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본 발명의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식품첨가제는 염증 예방 및 억제효과에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카카오 콩으로부터 염증 억제 효능을 갖는 분획물의 제조
<1-1> 용매 추출에 의한 염증 억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의 제조
카카오 콩으로부터 코코아 버터를 제거하고 남은 분획물(카카오 메스) 1 중량부에 50% 아세톤[Duksan, Korea] 수용액 6 중량부를 첨가하여 60 ℃의 온도로 5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은 8,000 rpm, 4 ℃, 30분간 원심분리[Vision, Korea]하여 얻어진 상징액을 모으고, 남은 잔사는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n 41)로 여과시킨 후, 냉동 건조하여 카카오 콩 추출물을 얻었다.
<1-2> 흡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염증 억제 효능을 갖는 분획물의 제조
상기 <1-1>에서 얻어진 추출물로부터 기존에 특허 출원한 방법을 참고로 하여[미국 특허 제 6159451호, 2000] 흡착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즉, 소수성 충진제인 XAD-4[Sigma, USA]나 HP-20[Mitsbish, Japan]에 흡착시킨 후 20% 에탄올로 세척하고, 남은 분획을 다시 60% 에탄올로 분획하였다.
실시예 2 : 카카오 콩껍질로부터 염증 효능을 갖는 분획물의 제조
<2-1> 용매 추출에 의한 카카오 콩껍질로부터 염증 억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의 제조
카카오 콩껍질 1 중량부에 50% 아세톤[Duksan, Korea] 수용액 6 중량부를 첨가하여 60 ℃의 온도로 5시간 동안 환류하면서 교반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은 8,000 rpm, 4 ℃, 30분간 원심분리[Vision, Korea]하여 얻어진 상징액을 모으고, 남은 잔사는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n 41)로 여과시킨 후, 냉동 건조하여 카카오 콩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2-2> 흡착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염증 억제 효능을 갖는 분획물의 제조
상기 <2-1>에서 얻어진 추출물로부터 기존에 특허 출원한 방법을 참고로 하여[미국 특허 제6159451호, 2000] 흡착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즉, 소수성 충진제인 XAD-4[Sigma, USA]나 HP-20[Mitsbish, Japan]에 흡착시킨 후 20% 에탄올로 세척하고, 남은 분획을 다시 60% 에탄올로 분획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실험들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세균의 내독소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의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1, 2에서 얻은 분획물들의 세균의 내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에 대한 억제 활성은 다음 공지의 방법[Yang et al., J. Nutr., 128: 2334-2340, 1998]에 따라 실시하였다.
우선, 25 ∼ 30 g의 BALB/C 쥐를 한 군당 25 마리를 준비하여 실험 전에 12시간 절식시킨 후,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시료를 1 g/㎏ 농도로 쥐에 경구 투여시켰다. 반면에 대조군은 동량의 인산용액만을 경구투여시켰다. 30분 후에 자이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xylazine hydrochloride)로 마취시킨 후 다시 5분 후에 40 ㎎/㎏의 LPS를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30 시간까지 매 2시간마다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항염증 정도는 대조군에 대한 생존 수의 차이로 측정하였다.
상기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은 모두 세균의 내독소이면서 염증유발 물질인 LPS에 의해 발생하는 쥐의 치사율에 대한 저해 효능을 실험한 결과를 도 1과 2에 나타냈다.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을 각각 1 g/㎏ 농도로 쥐에 경구 투여시 30 시간에서 각각 32%와 36%의 치사율 감소가 관찰되었다. 특히, 12 시간에서는 각각 44%과 48%의 높은 치사율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TPA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의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1, 2에서 얻은 분획물들의 TPA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의 억제 활성은 다음 공지의 방법[Romay C., et al., Inflamm. Res. 47: 334-338, 1998]에 따라 실시하였다.
우선, 25 ∼ 30 g의 BALB/C 쥐를 한 군당 8 마리를 준비하여 실험 전에 12시간 절식시킨 후,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시료를 각각의 농도로 경구 투여시켰다. 30분 후에 자이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마취시킨 후 다시 5분 후에 TPA를 귀당 25 ㎍ 씩 양쪽 귀에 도포하였다. 5시간 후에 오른쪽 및 왼쪽 귀를 6 mm 펀치로 잘라내어 무게를 측정하였다. 항염증 정도는 대조군에 대한 무게의 차이로 측정하였다. (도 3 내지 도 9는 평균값으로 나타냈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유의수준 * P < 0.05, ** P < 0.01 에서 two-tailed Dunnett's t-test를 따라서 ANOVA 법[Ott, R. L.,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ethods and data analysis, 1997]에 의해 검정하였다.)
상기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의 염증유발 물질인 TPA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에 대한 저해 효능을 실험한 결과를 도 3과 4에 나타냈다. 도 3,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을 각각 0.5 g/㎏ 농도로 쥐에 경구투여시 62%와 64%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1 g/㎏ 농도로 쥐에 경구 투여시 각각 72%과 68%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써 유사한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크로톤 오일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의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1, 2에서 얻은 분획물들의 크로톤 오일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의 억제 활성은 다음 공지의 방법[Clementi G., et al., Life Sci. 57: 193-197, 1995; Heiman A. S., et al., Steroids 62: 491-499, 1997]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의 방법과 유사하게, 시료들을 각각의 농도로 경구 투여시켰다. 30분 후에 자이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마취시킨 후 다시 5분 후에 크로톤 오일을 귀당 20 ㎕ 씩 양쪽 귀에 도포하였다. 5시간 후에 오른쪽 및 왼쪽 귀를 6 mm 펀치로 잘라내어 무게를 측정하였다. 항염증 정도는 대조군에 대한 무게의 차이로 측정하였다.
상기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의 염증유발 물질인 크로톤 오일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에 대한 억제 효능을 실험한 결과를 도 5와 6에 나타냈다.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을 각각 0.5 g/㎏ 농도로 쥐에 경구 투여시 67%와 53%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1 g/㎏ 농도로 쥐에 경구 투여시 각각 77%과 71%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써 유사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도 5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을 각각 1 g/㎏ 농도로 쥐에 경구 투여시 77%와 68%의 강한 염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디스라놀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의 억제 활성
상기 실시예 1, 2에서 얻은 분획물들의 디스라놀에 의해 발생하는 엽증의 억제 활성은 다음 공지의 방법[Viluksela M., et al., Arch. Dermatol. Res. 283: 262-268, 1991; Blazso G., et al., Prostaglandins 50: 161-168, 1995]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의 방법과 유사하게, 시료들을 각각의 농도로 경구 투여시켰다. 30분 후에 자이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마취시킨 후 다시 5분 후에 디스라놀을 귀당 50 ㎍씩 양쪽 귀에 도포하였다. 5시간 후에 오른쪽 및 왼쪽 귀를 6 mm 펀치로 잘라내어 무게를 측정하였다. 항염증 정도는 대조군에 대한 무게의 차이로 측정한다.
상기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의 염증유발 물질인 디스라놀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에 대한 억제 효능을 실험한 결과를 도 7과 8에 나타냈다. 도 7과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을 각각 1 g/㎏ 농도로 쥐에 경구 투여시 82%과 78%의 강한 염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0.5 g/㎏ 농도에서 각각 51%과 59%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을 경구 투여시 TPA, 크로톤 오일, 디스라놀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의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처리한 시료의 농도가 점차 증가할수록 염증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염증들이 경구 투여한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들의 농도에 의존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실험 결과, 카카오 콩 및 콩껍질의 분획물들을 쥐에게 경구 투여하였을 때 강력한 염증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락토스 70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각 정제의 총량은 100 ㎎이고, 그 중 유효성분의 함량은 10 ㎎이다.
실시예 8: 분말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g
옥수수 전분 50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0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경질 캡슐에 분말 100 ㎎을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독성 시험
본 발명의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에 대하여 독성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획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이하 DMSO)에 용해하고 물로 희석한 후 이를 마우스(군당 10마리)에 각각 1 g/㎏을 투여한 다음 7일간 관찰하였으나 사망하는 쥐는 없었다.
실시예 10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 1.54 중량%,중조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₁0.0001 중량%, 비타민 B₂ 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일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98.7362 중량%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돈육 65.18 중량%, 계육 25 중량%, 전분 3.5 중량%, 대두단백 1.7 중량%, 식염 1.62 중량%, 포도당 0.5 중량% 및 글리세린 1.5 중량%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스피루리나 55 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 중량%, 비타민 B₁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 중량%, DL-메티오닌 0.23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 중량%, 유당 22.2 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 중량%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1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키토올리고당 11.26 중량%, 마늘분말 0.2 중량%, 은행잎추출물 분말 0.2 중량%, 베타카로틴(30% 현탄액) 0.9 중량%, 알파토코페롤 1.2 중량%, 레시틴 1.2 중량%, 정제팜유 4.5 중량%, 황납 1.6 중량%, 대두유 18.994 중량%, 젤라틴 37.83 중량%, 글리세린 16.51 중량%, 에틸바닐린 0.09 중량% 이산화티타늄 0.076 중량% 및 식용색소 0.44 중량%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 5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캡슐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이 분획의 활성을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항염증 물질인 녹차의 EGCG(epigallocatechingallate)와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도 9에서 보듯이, 카카오 콩 및 콩껍질의 분획물은 순수한 항염증 물질인 EGCG와 비교했을 때 매우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방법에 의한 카카오 콩 및 콩껍질 분획물은 동물 실험에서 강한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은 동물 실험 결과, 경구 투여시 염증에 대한 억제 효능이 우수하므로 이를 염증 억제제로 사용하면, 세균의 내독소 및 외부 염증 유발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 산업에 이용 가능한 용매 추출 및 간단한 흡착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항염증 활성 분획만을 제재화하면 되므로, 값싸게 가공식품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항염증 제제에 비하여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막대한 양의 카카오 콩껍질을 재활용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식품 등급으로 사용되는 용매 및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므로,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첨가하여 가공식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공식품의 섭취에 의해 염증을 억제하는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을 50% 아세톤 수용액, 50% 에탄올 수용액 및 50% 메탄올 수용액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환류 추출한 다음, 스티렌계 다공성 수지에 흡착시키고,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분획 후 60% 에탄올 수용액으로 용매분획하여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치료제.
  2. 삭제
  3.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을 50% 아세톤 수용액, 50% 에탄올 수용액 및 50% 메탄올 수용액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환류 추출한 다음, 스티렌계 다공성 수지에 흡착시키고, 20% 에탄올 수용액으로 분획 후 60% 에탄올 수용액으로 용매분획하여 얻은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KR10-2001-0064286A 2001-10-18 2001-10-18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KR10046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86A KR100460104B1 (ko) 2001-10-18 2001-10-18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86A KR100460104B1 (ko) 2001-10-18 2001-10-18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864A Division KR100445993B1 (ko) 2004-06-24 2004-06-24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식품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83A KR20030032483A (ko) 2003-04-26
KR100460104B1 true KR100460104B1 (ko) 2004-12-04

Family

ID=2956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286A KR100460104B1 (ko) 2001-10-18 2001-10-18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0597A (ko) * 2012-04-26 2013-11-05 (주)아모레퍼시픽 꽃 쌈발효에 의한 항염증용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14962B1 (ko) * 2012-08-02 2019-08-28 (주)아모레퍼시픽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5430A (ja) * 1989-10-31 1991-06-20 Kanebo Ltd 抗炎症用組成物
JPH03209330A (ja) * 1990-01-09 1991-09-12 Kanebo Ltd 3α−ヒドロキシステロイド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活性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活性剤
JPH11318387A (ja) * 1989-10-31 1999-11-24 Kanebo Ltd 抗炎症用食品
KR20000005259A (ko) * 1996-04-02 2000-01-25 레오나르드 제이. 산티시 코코아 추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2135169B1 (ko) * 2019-04-11 2020-07-17 대한민국 소나무재선충 검출용 등온증폭 반응 프라이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5430A (ja) * 1989-10-31 1991-06-20 Kanebo Ltd 抗炎症用組成物
JPH11318387A (ja) * 1989-10-31 1999-11-24 Kanebo Ltd 抗炎症用食品
JPH03209330A (ja) * 1990-01-09 1991-09-12 Kanebo Ltd 3α−ヒドロキシステロイド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活性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活性剤
KR20000005259A (ko) * 1996-04-02 2000-01-25 레오나르드 제이. 산티시 코코아 추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2135169B1 (ko) * 2019-04-11 2020-07-17 대한민국 소나무재선충 검출용 등온증폭 반응 프라이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acao Bean Husk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분획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관한 연구’ (이진원, 2001. 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83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7914B (zh) 体内脂质改善组合物
JP4538338B2 (ja) β−グルクロニダーゼ阻害剤
JP2003325135A (ja) 健康食品
KR100460103B1 (ko)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소화기계 발암 억제제
JP2003146898A (ja) 高脂血症改善剤
KR101440684B1 (ko) 클로렐라 유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티드
JP2005350453A (ja) バナバ葉の水難溶性成分
KR20140114427A (ko)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JP2006036787A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KR100460104B1 (ko)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 및 소화기계 염증 치료제
JP2004049135A (ja) 健康食品
JP2003063974A (ja) 抗酸化剤、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抗潰瘍剤およびその薬剤成分を含有する加工食品
JP2006104182A (ja) 体脂肪低減組成物
KR101879685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JP2005170836A (ja) 海藻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むリパーゼ阻害剤
KR100445993B1 (ko) 카카오 콩 또는 콩껍질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식품첨가제
JP2010270096A (ja) グルコース吸収抑制剤
JP2005089374A (ja) 血糖値上昇抑制機能性飲食品
KR101554343B1 (ko) 퇴행성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540849A1 (en) Plant seed extrac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5060338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JP2011079752A (ja) 膵リパーゼ阻害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WO2006057073A1 (ja) 運動能力向上組成物
JP2005082546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JP2000072685A (ja) 消化器潰瘍を抑制するための食品および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