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427A -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 Google Patents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427A
KR20140114427A KR1020147022635A KR20147022635A KR20140114427A KR 20140114427 A KR20140114427 A KR 20140114427A KR 1020147022635 A KR1020147022635 A KR 1020147022635A KR 20147022635 A KR20147022635 A KR 20147022635A KR 20140114427 A KR20140114427 A KR 20140114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
blood
olive
olive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745B1 (ko
Inventor
유코 후쿠이
요시코 오노
미츠루 마에다
나미노 도미모리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75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생체 내에서 높은 항산화 작용을 장시간 발휘하는 음식품, 의약부 외품 및 의약을 제공하는 것.
올리브 추출물에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를 함유시킴으로써 높은 항산화 활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을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 처리함으로써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DES(RHAMNOSYL) ACTEOSIDE-CONTAINING OLIVE EXTRACT}
본 발명은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이하, 「DRA」라고 한다) 를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 혈중 항산화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DRA 를 함유하고 혈중 항산화 작용을 갖는 올리브 추출물, DRA 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혈중 항산화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올리브 (Olea europaea) 는, 목서과 올리브속에 속하는 식물로, 지중해 지역을 비롯하여 널리 재배되고 있다. 그 과실은 올리브유의 추출이나 식용으로서 전세계에서 폭넓게 이용되어 있어 식경험은 매우 풍부하다.
올리브의 과실에는, 올러유러핀, 하이드록시티로솔, 악테오사이드 등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고 (비특허문헌 1, 2), 올리브 추출물이나 그들의 폴리페놀 성분은 동맥 경화 작용 (비특허문헌 3), 고혈압 억제 작용 (특허문헌 1), 골중량 감소 억제 작용 (비특허문헌 4) 등을 갖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또, 올리브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피부의 항노화, 항종양 효과를 갖는 것 (특허문헌 2) 이 보고되고 있다.
악테오사이드는 올리브에 함유되는 대표적인 폴리페놀 성분의 하나이며,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2).
한편, DRA 는 악테오사이드로부터 람노오스 단위가 떨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현삼과 식물 (Calceolaria hypericina) 로부터 calceolarioside A 로서 단리된 것을 비롯하여 (비특허문헌 5), 여러 가지 식물에서의 존재가 보고되고 있지만, 올리브에서의 보고는 없다. 또, 항산화 활성에 대해, in vitro 에서의 항산화 활성의 비교에서는, DRA 보다 악테오사이드 쪽이 활성이 높은 것이 보고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6).
그러나, 올리브 열매를 인간이 섭취했을 때의 폴리페놀류의 흡수와 배출, 혈중 항산화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모두 단시간에 클리어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7). 또한, 항산화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악테오사이드는 경구 섭취에서는 그 흡수성에 문제가 있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340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86453호
J. Agric Food Chem, vol.52, pp479-484, 2004 J Agric Food Chem, vol.53, pp8963-8969, 2005, Atherosclerosis, vol.188, No.1, pp35-42, 2006 Clin Nutr, vol.25, No.5, 859-868, 2006 Gazzetta Chimica Italiana, 116, P431-433, 1986 Planta Medica, 70(1), 50-53, 2004 Phytomedicine, vol.14, pp659-667, 2007 J. Chromatogr. B, 844(1), pp89-95, 2006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올리브 과실에는 항산화 폴리페놀인 악테오사이드가 함유되어 있지만, 악테오사이드는 체내 흡수성에 문제가 있어, 경구 섭취했을 경우의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또, 그 항산화 작용은 섭취 후 일시적이며, 서플리먼트 등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장시간의 효과의 지속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생체 내에서 효율적으로 효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혈중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식품, 의약부 외품 및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놀랍게도 in vitro 에서의 결과와는 달리, 생체 내에서는 DRA 가 악테오사이드보다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그 항산화 작용은 DRA 와 악테오사이드의 소화성의 차이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DRA 는 악테오사이드에 비해 체내 흡수성이 높고, 대사물인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카페산이 갖는 여러 가지 생리 활성이 효율적으로 발휘되는 것도 분명해졌다. 또, DRA 는 악테오사이드를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의 발명을 포함한다.
(1) DRA 를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 (이하,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이라고 한다).
(2) DRA 를 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1) 에 기재된 올리브 추출물.
(3) DRA 를 1 중량% 이상 함유하는 (2) 에 기재된 올리브 추출물.
(4) (1) ∼ (3) 중 어느 것을 배합한 조성물.
(5) 조성물이 음식품인 (4) 에 기재된 조성물.
(6) DRA 를 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음식품.
(7) 올리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6) 에 기재된 음식품.
(8) DRA 를 함유하는 혈중 항산화제.
(9) DRA 를 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8) 에 기재된 혈중 항산화제.
(10) (8) 또는 (9) 의 혈중 항산화제를 배합한 조성물.
(11) 조성물이 음식품인 (10) 에 기재된 조성물.
(12) DRA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을 탈람노오스 활성을 갖는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제조 방법.
(13)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이 올리브 추출물인 (12) 에 기재된 제조 방법.
(14)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가 나린기나아제인 (12) 또는 (13) 에 기재된 제조 방법.
본 발명의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및 혈중 항산화제는 생체 내에서 높은 항산화 작용을 장시간 발휘한다. 그 때문에, 음식품, 의약부 외품 및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도 1 은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DRA 량의 HPLC 피크 면적을 지표로 한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효소 반응에 의한 악테오사이드의 감소를 HPLC 피크 면적을 지표로 한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DRA 또는 악테오사이드를 CMC 현탁액으로서 투여했을 경우의 혈중 FRAP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활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도 4 는 DRA 를 올리브 오일 용액으로서 투여했을 경우의 혈중 FRAP 활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도 5 는 DRA 또는 악테오사이드를 CMC 현탁액으로서 투여했을 경우의 혈중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활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도 6 은 DRA 를 올리브 오일 용액으로서 투여했을 경우의 혈중 ORAC 활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도 7 은 0.5 % CMC 탁현수 (濁懸水) 를 투여했을 경우의 래트의 혈중의 악테오사이드, DRA, 하이드록시티로솔, 카페산 농도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악테오사이드 500 ㎎/0.5 % CMC 탁현수를 투여했을 경우의 래트의 혈중의 악테오사이드, DRA, 하이드록시티로솔, 카페산 농도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DRA 423 ㎎/0.5 % CMC 탁현수를 투여했을 경우의 래트의 혈중의 하이드록시티로솔, 카페산 농도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악테오사이드에 비해 DRA 의 체내 흡수량 (AUC) 이 많은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DRA 함유 추출물을 올리브 오일 용해액으로서 단회 투여했을 경우의 혈중 FRAP 활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 는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또는 효소 미처리의 올리브 추출물을 올리브 오일 현탁액으로서 단회 투여했을 경우의 혈중 FRAP 활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 은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또는 효소 미처리의 올리브 추출물을 올리브 오일 현탁액으로서 연속 투여했을 경우의 최종 투여 9 시간 후의 혈중 FRAP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DRA 를 함유하고 생체 내에서 높은 항산화 작용을 장시간 갖는 올리브 추출물, DRA 를 함유하는 음식품, 혈중 항산화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본 발명의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은 DRA 를 함유한다.
하기에 DRA 의 구조식을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전술한 바와 같이, DRA 는 1986년에 처음으로 현삼과 식물 (Calceolaria hypericina) 로부터 calceolarioside A 로서 단리되고, 그 후 여러 가지 식물에서의 존재가 보고되었지만, 올리브에서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그에 대해, 본 발명의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에 있어서의 DRA 함량은 극미량이어도 되지만,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함유된다.
DRA 는 하기의 악테오사이드를 효소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그 밖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에 대해, 악테오사이드의 람노오스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소를 사용하여, 적절한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DRA 를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이 얻어진다. 또, DRA 를 함유하는 식물 원료 등으로부터 DRA 를 추출하여, 올리브 추출물에 첨가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하기에 악테오사이드의 구조식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에는, DRA 가 함유되어 있으면 되고, 그 밖의 함유 성분은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다른 함유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올리브 유래 성분인 악테오사이드, 하이드록시티로솔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의 함유량이나 DRA 와 다른 함유 성분의 양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올리브는 목서과 올리브속에 속하는 식물이며, 어느 품종이어도 추출물 조제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시하면, 만자닐로, 룩카, 네바딜로·블랑코, 미션, 피쿠알, 알베퀴나, 오히블랑카, 코르니카브라, 고르달, 모로이올로, 프란토이오, 코라티나, 레치노 등의 품종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올리브 추출물의 조제에는, 올리브의 과실, 종자, 잎, 줄기 등 중 어느 부위를 사용해도 되지만, 악테오사이드 함유량이 많은 부분, 예를 들어 과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브 과실은 생으로 사용해도 되고, 동결 건조 등에 의해 건조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올리브 과실로부터 오일을 착유한 후의 잔재 (殘滓) 도 그대로 혹은 건조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올리브 추출물의 조제는 상기 중 어느 것을 원료로서 용제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이다. 용제 추출에 사용하는 용제는 극성 용매이어도 되고 비극성 용매이어도 된다. 예시하면,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케톤류 등이다. 바람직하게는 60 ℃ ∼ 90 ℃ 의 열수이다.
본 발명의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은 DRA 를 함유하는 점에서 여러 가지 효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DRA 는 악테오사이드에 비해 체내 흡수량이 높아, 대사물인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카페산이 갖는 여러 가지 생리 활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발휘된다. 또, 섭취한 후의 장시간에 걸쳐 혈중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DRA 등의 체내 흡수량은, 예를 들어 실험 동물에 시험 용액을 투여하고, 일정 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일례를 나타내면, 하룻밤 절식시킨 래트에 DRA 의 올리브 오일 현탁액 (0.8 mM) 을 5 ㎖/㎏ 의 용량으로 존데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한다. 그리고 투여 후 일정 간격으로 미정맥으로부터 헤파린 채혈관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 조작에 의해 혈장 샘플을 얻어, 농도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평가한다.
DRA 의 대사물인 하이드록시티로솔과 카페산의 구조식을 하기에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화학식 4]
Figure pct00004
하이드록시티로솔은, 매우 강한 항산화 작용을 가짐과 함께, 악인 콜레스테롤인 LDL 에서 더욱 악화된 산화 LDL 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카페산은 커피에 함유되는 폴리페놀의 1 종으로, 향기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 카페산은 암세포의 전이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올리브 추출물은 식용으로서 전세계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어 식경험은 매우 풍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은 그대로 음식품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 음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배합할 수도 있다.
그대로 음식품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DRA 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즉 DRA 와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다른 생리 활성 성분, 예를 들어, 미네랄 ; 비타민 E, 비타민 C, 비타민 A 등의 비타민류 ; 영양 성분 ; 향료 ; 색소 등의 다른 첨가물을 혼합할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은 모두 음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을 배합하여,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 식품, 영양 기능 식품, 특별 용도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등의 건강 식품, 동물용 서플리먼트를 포함한다), 동물용 사료 등으로 할 수 있다.
<음식품>
본 발명은 DRA 를 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추출물을 함유한다.
DRA 는 악테오사이드를 효소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그 밖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악테오사이드 함유물에 대해, 악테오사이드의 람노오스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소를 사용하여 적절한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DRA 함유물이 얻어진다. 또, DRA 를 함유하는 식물 원료 등으로부터 DRA 를 추출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음식품의 형태는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드링크제 (용액제 및 현탁액제가 포함된다) 등의 건강 식품의 형태로 할 수 있고, 청량 음료, 차음료, 요구르트나 락트산균 음료 등의 유제품, 조미료, 가공 식품, 디저트류, 과자 (예를 들어, 껌, 캔디, 젤리) 등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에는, 식품으로서 허용되는 부형제, 결합제, 코팅제, 붕괴제, 첨가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음식품은 항산화 활성을 가짐으로써, 활성 산소가 관여하는 장해/질환 등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하다.
<혈중 항산화제>
본 발명은 DRA 를 함유하는 혈중 항산화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보고와는 달리, 악테오사이드 투여에서는 혈중의 항산화 활성의 상승은 거의 관찰되지 않는데 반해, DRA 투여에서는 투여 후에 혈중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을 분명하게 하였다. 또한, 그 효과는 장시간에 미치는 점에서, 본 발명의 DRA 함유 혈중 항산화제는 서방성 혈중 항산화제이다. 항산화 활성을 가짐으로써, 활성 산소가 관여하는 장해/질환 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효하다.
혈중 항산화 활성은, 예를 들어 FRAP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중 항산화제에 있어서의 DRA 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효과면에서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이다. DRA 는 악테오사이드를 효소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그 밖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악테오사이드 함유물에 대해, 악테오사이드의 람노오스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소를 사용하여 적절한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DRA 함유물이 얻어진다. 또, DRA 를 함유하는 식물 원료 등으로부터 DRA 를 추출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혈중 항산화제는,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등에 의한 경구 투여제로서, 또는 주사제 등의 비경구 투여제의 형태이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혈중 항산화제에는, 제제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결합제, 증량제, 분산제, 또는 보존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중 항산화제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음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배합할 수도 있다.
그대로 음식품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DRA 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즉 DRA 와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다른 생리 활성 성분, 예를 들어, 미네랄 ; 비타민 E, 비타민 C, 비타민 A 등의 비타민류 ; 영양 성분 ; 향료 ; 색소 등의 다른 첨가물을 혼합할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은 모두 음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DRA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DRA 함유 조성물을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로부터 조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악테오사이드의 람노오스 부분을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 처리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간편하게 DRA 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원료로서 사용하는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은 악테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것이면 되고, 정제된 악테오사이드이어도 되고, 악테오사이드와 올러유러핀, 하이드록시티로솔 등의 다른 폴리페놀 화합물 등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 악테오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식물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원료 중의 악테오사이드의 농도는 목적으로 하는 생성물 중의 DRA 함량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올리브에는 악테오사이드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고,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사용하여, 원하는 비율로 악테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원료이다. 이 점에서, 올리브 과실이 바람직하고, 시판되는 올리브 과실의 추출 엑기스말의 용해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는 악테오사이드로부터 람노오스를 제거하는 람노시다아제 활성을 갖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람노시다아제 활성을 갖는 효소로는, 예를 들어, 나린기나아제나 헤스페리나아제를 들 수 있다. 효소 처리 조건은 사용하는 효소의 지적 반응 온도나 pH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린기나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시약류를 사용하여 pH 를 3.5 ∼ 5 의 범위로 조정하고, 30 ∼ 60 ℃, 바람직하게는 35 ∼ 45 ℃ 의 범위의 온도에서 반응을 실시한다. 효소 처리 후는, 예를 들어 용액의 pH 를 3 으로 조정하고 80 ℃ 이상에서 10 분간 가열하는 등, 공지된 적절한 수법을 사용하여 효소를 실활시킨다.
생성되는 DRA 함유 조성물 중의 DRA 농도는, 원료에 있어서의 악테오사이드 농도, 효소 첨가량, 반응 시간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농도의 것을 얻을 수 있다.
효소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DRA 함유 조성물 중의 DRA 의 농도, 및 잔존 악테오사이드의 농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HPLC 분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얻어진 DRA 함유 조성물로부터 DRA 를 분리 정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DRA 의 분리 정제 방법은 용매 추출·크로마토 분리 등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제예 1. 올리브 추출물의 조제
올리브 과실의 오일 착유 찌꺼기 8 ㎏ 을 80 ℃ 의 열수 32 ℓ 로 30 분간씩 2 회 추출하였다. 나일론 메시 (닛폰 이화학 기계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NRS-500) 로 여과한 후, #131 (φ330 ㎜) 여과지 2 장 + 200 g 하이플로 슈퍼 셀 (나칼라이 테스크 주식회사) 을 사용한 흡인 여과에 의해 착유 찌꺼기를 제거하고, 추출액을 얻었다. 50 % 아세톤으로 세정하여 물로 평형화한 앰버라이트 XAD7-HP 수지 (롬·앤드·하스·재팬 (주)) 5 ℓ (칼럼 사이즈 φ14 × 32 ㎝) 에 이 추출액을 전체량 부하하였다. 5 ℓ 의 물로 세정 후, 20 ℓ 의 물, 35 ℓ 의 15 % 에탄올 수용액, 20 ℓ 의 60 % 에탄올 수용액으로 순차 용출하였다. 15 % 용출 획분과 60 % 용출 획분을 각각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각각 37.2 g 과 66.0 g 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 중, 60 % 용출 획분으로부터 얻어진 분획물을 올리브 추출물 (악테오사이드 함량 9.1 %) 로서 뒤의 동물 실험에 사용하였다.
조제예 2. 악테오사이드의 조제
올리브 과육의 추출 엑기스말 (인데나사 제조의 올레아셀렉트 (상표) (Batch No.10219)) 100 g 을 메틸에틸케톤 1200 ㎖ 와 증류수 600 ㎖ 에 녹이고, 3 ℓ 용적의 분액 깔때기로 잘 흔들어 유기층을 회수하였다. 수층에 메틸에틸케톤 1200 ㎖ 를 첨가하고, 잘 흔들어 유기층을 회수하고, 또한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합계 3 회분의 유기층을 합병하고, 농축, 동결 건조를 실시하여, 52.5 g 의 건조물을 얻었다.
이 건조물 전체량을 200 ㎖ 의 70 %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또한 물로 10 배로 희석시킨 후, 물로 평형화한 1 ℓ 의 MCI GEL CHP-20P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제조, 75 - 150 ㎛) 에 부하하였다. 10 ℓ 의 10 % 에탄올 수용액을 흘린 후, 12.5 %, 15 %, 17.5 %, 20 %, 22.5 %, 25 %, 27.5 %, 30 %, 35 % 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각 1 ℓ 씩, 또한 2 ℓ 의 40 % 에탄올 수용액으로 순차 용출을 실시하였다 (에탄올 농도는 모두 V/V %). 12.5 % 에서부터 27.5 % 까지의 용출액은 250 ㎖ 씩 4 프랙션으로 분획 회수하고, 이 중 20 % 용출액의 제 4 프랙션으로부터 25 % 용출액의 제 3 프랙션까지를 합하고 농축하여 5.98 g 의 정제 악테오사이드를 얻었다.
실시예 1. DRA 의 제조-1
나린기나아제 (Penicillium decumbens 유래, 300 units/g, 시그마사 제조) 0.37 ㎎ 을 0.1 M 아세트산 완충액 (pH4.0) 1.68 ㎖ 에 현탁하고, 0.22 ㎎/㎖ 의 효소액을 조제하였다 (약칭 : 1/10). 이 1/10 효소액을 0.1 M 아세트산 완충액 (pH4.0) 을 사용하여 희석시키고, 3 배, 10 배, 30 배 희석의 효소액을 조제하였다 (각각의 약칭 : 1/30, 1/100, 1/300). 나사구 유리 시험관에 각각의 효소액을 0.9 ㎖ 채취하고, 조제예 2 로 얻어진 정제 악테오사이드의 50 % 에탄올 수용액 (20 ㎎/㎖) 0.1 ㎖ 를 첨가하고, 40 ℃ 에서 진탕하였다 (100 - 130 회/분, Water Bath Shaker MM-10 형, 타이요 과학 공업 (주) (현재 타이텍 (주)) 제조). 반응 개시 1, 2, 3, 4, 5, 24 시간 후에 0.1 ㎖ 채취하고, 제단백을 목적으로 하여, 등량의 빙랭한 아세토니트릴을 첨가 교반하고, 10 분 빙랭하에 가만히 정지시킨 후, 원심 분리를 실시하였다 (10000 회전, 10 분, 5 ℃, 미량 고속 냉각 원심 분리기 MX-100 형, (주) 토미 정공 제조). 얻어진 원심 분리 상청 4 ㎕ 를 하기의 분석 조건에서의 HPLC 분석에 제공하였다. 효소 무첨가군의 5, 24 시간째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악테오사이드의 안정성을 체크하였다 (약칭 : Ez(-)). 또 반응 생성물이 DRA 인 것은 LC/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HPLC 분석 조건>
시스템 : Waters 2690/2695 세퍼레이션 모듈, 996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칼럼 : Develosil (상표) RPAQUEOUS-AR-5 (3*150 ㎜)
이동상 : A : 0.1 % 포름산 - 15 % 아세토니트릴/증류수, B : 0.1 % 포름산 - 50 % 아세토니트릴/증류수
프로그램 : 0 분 (0 % B), 30 분 (100 % B)
유속 : 0.43 ㎖/분
주입량 : 4 ㎕
검출 파장 : 280 ㎚
상기 분석 조건으로, DRA 는 8.958 ± 0.008 분 (n = 24), 악테오사이드는 9.348 ± 0.009 분 (n = 18) 으로 용출하였다. HPLC 의 피크 면적을 지표로 한 시간 경과적 변화의 결과를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다. 악테오사이드의 감소에 수반하여 DRA 가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DRA 의 제조-2
조제예 2 로 얻어진 정제 악테오사이드 4 g 을 100 ㎖ 의 50 %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였다. 이 용해액 전체량을 2 ℓ 의 0.1 M 아세트산 완충액 (pH4.0) 에 첨가하고 40 ℃ 로 유지하며, 나린기나아제 (Penicilliumdecumbens 유래, 300 units/g, 시그마사 제조) 400 ㎎ 을 첨가하였다. 40 ℃ 에서 3 시간 교반한 후, 즉시 반응액 전체량을 물로 평형화한 700 ㎖ 의 MCI GEL CHP-20P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제조, 75 - 150 ㎛) 에 부하하였다. 2 ℓ 의 물로 세정한 후, 2 ℓ 의 15 % 에탄올 수용액, 1200 ㎖ 의 20 % 에탄올 수용액을 흘렸다. 계속해서, 22.5 %, 25 %, 27.5 % 의 에탄올 수용액 각 750 ㎖ 로 용출하고, 각각 250 ㎖ 씩 3 획분으로 분획하였다. 또한, 1250 ㎖ 의 30 % 에탄올 수용액으로 용출하고, 250 ㎖ 씩 5 획분으로 나누었다. 이 중, 27.5 % 용출액의 제 1 및 제 2 획분을 합한 것, 27.5 % 용출액의 제 3 획분으로부터 30 % 용출액의 제 3 획분까지를 합한 것을 따로따로 농축하여, 각각 438 ㎎ 과 1.562 g 의 건조물을 얻었다. 27.5 % 용출액의 제 3 획분으로부터 30 % 용출액의 제 3 획분의 건조물을 사용하여 MS 및 NMR 해석을 실시하여, DRA 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의 제조-1
증류수 160 ㎖ 를 40 ℃ 로 인큐베이트하고, 올리브 과육의 추출 엑기스말 (인데나사 제조 올레아셀렉트 (상표) (Batch No.10219)) 4 g 의 50 % 에탄올 수용액 20 ㎖ 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이 때의 pH4.7), 빙초산을 사용하여 pH4.0 으로 조정하였다. 다음으로, 나린기나아제 (Penicilliumdecumbens 유래, 300 units/g, 시그마사 제조) 40 ㎎ 의 증류수 현탁액 20 ㎖ 를 첨가하고, 반응을 개시하였다. 0.5 분, 2 분에서 30 분까지 2 분 간격, 60 분에서 210 분까지 30 분 간격으로 100 ㎕ 채취하고, 제단백을 목적으로 하여, 등량의 빙랭한 아세토니트릴 100 ㎕ 를 첨가하고 교반 후, 원심 분리를 실시하였다 (10000 회전, 10 분, 5 ℃, 미량 고속 냉각 원심 분리기 MX-100 형, (주) 토미 정공 제조). 가온 210 분 후의 반응액의 pH 는 4.1 이었다. 또, 효소액 대신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동일하게 처리한 시료를 대조로 하였다. 얻어진 원심 분리 상청 4 ㎕ 를 HPLC 분석에 제공하여, DRA 와 악테오사이드의 피크 면적을 구하였다. 또, DRA 와 악테오사이드를 사용하여, 50 % 아세토니트릴에 의한 단계 희석액을 조제하고, 동일 조건으로 분석하여, 검량선을 제조하였다 (DRA 검량선의 R2 = 0.9999, 악테오사이드 검량선의 R2 = 1). 검량선의 제조에 사용한 DRA 및 악테오사이드의 표품은 각각 실시예 2, 조제예 2 로 얻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피크 면적치와 검량선으로부터 농도를 산출하여, 하기의 산출식에 의해 원래의 시료 중 (분석시 10 ㎎/㎖ 상당) 의 DRA 및 악테오사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HPLC 분석 조건>
시스템 : Waters 2690/2695 세퍼레이션 모듈, 996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칼럼 : Develosil (상표) RPAQUEOUS-AR-5 (3*150 ㎜)
이동상 : A : 0.1 % 포름산 - 15 % 아세토니트릴/증류수, B : 0.1 % 포름산 - 60 % 아세토니트릴/증류수
프로그램 : 0 분 (0 % B), 30 분 (100 % B)
유속 : 0.43 ㎖/분
주입량 : 4 ㎕
검출 파장 : 280 ㎚
<산출식>
반응시의 시료 농도는 20 ㎎/㎖, 또한 아세토니트릴로 2 배 희석되어 있으므로 시료 농도는 분석시 10 ㎎/㎖ 상당량인 점에서, 함량 (%) = 100*농도 (μg/㎖)/10000 (μg/㎖)
표 1 은 DRA 및 악테오사이드 함량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악테오사이드의 감소에 수반하여 DRA 가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4.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의 제조-2
<추출>
올리브 과실의 오일 착유 찌꺼기 2 ㎏ 을 80 ℃ 의 열수 16 ℓ 에서 2 시간 추출하였다. 나일론 메시 (닛폰 이화학 기계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NRS-500) 로 여과한 후, #131 (φ330 ㎜) 여과지 2 장 + 400 g 하이플로 슈퍼 셀 (나칼라이 주식회사) 을 사용한 흡인 여과에 의해 착유 찌꺼기를 제거하고, 추출액을 얻었다.
<탈람노실 반응>
추출액을 40 ℃ 까지 식히고, 아세트산 32 ㎖ 를 첨가하여 pH 를 3.93 까지 낮췄다. 수욕 중에서 40 ℃ 로 유지하면서, 나린기나아제 (Penicilliumdecumben 유래, 540 units/g, 시그마사 제조) 130 ㎎ 을 첨가하고, 3.5 시간 반응하였다.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해, 6 N 황산 35 ㎖ 를 첨가하여 pH 를 3.0 으로 조정하고, 80 ℃ 에서 10 분간 가열함으로써 효소를 실활시켰다. 그 후 수욕에서 40 ℃ 이하로 냉각시키고, 당량의 4 N NaOH 수용액 52.5 ㎖ 를 첨가하였다.
<정제>
50 % 아세톤으로 세정하여 물로 평형화한 앰버라이트 XAD7-HP 수지 (롬·앤드·하스·재팬 (주)) 1 ℓ (칼럼 사이즈 φ8 × 20 ㎝) 에, 상기의 반응액을 전체량 부하하였다. 2 ℓ 의 물로 세정 후, 6 ℓ 의 15 % 에탄올 수용액, 4 ℓ 의 60 % 에탄올 수용액으로 순차 용출하였다. 이 15 % 용출 획분과 60 % 용출 획분을 각각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각각 8.73 g 과 16.8 g 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 중, 60 % 용출 획분으로부터 얻어진 분획물을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DRA 함량 8.9 %) 로서 뒤의 동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5. DRA 의 혈중 항산화 활성
<측정 방법>
DRA 의 혈중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래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혈중 항산화 활성의 평가에는 FRAP, ORAC 를 사용하였다. 또, DRA 및 악테오사이드는 각각 실시예 2 및 조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것을 사용하였다.
SD (IGS) 계 웅성 래트 (6 주령) 를 닛폰 찰스 리버사로부터 구입하고, 1 주간 시험 환경에서 순화시킨 후, 순조로운 발육을 나타낸 동물을 시험에 제공하였다. 하룻밤 절식시킨 래트를 각 군 3 마리로 이루어지는 5 군으로 나누었다. 1 군에는 0.5 % CMC 용액을, 2 군에는 DRA 의 0.5 % CMC 현탁액 (0.8 mM) 을, 3 군에는 정제 악테오사이드의 0.5 % CMC 현탁액 (0.8 mM) 을, 4 군에는 올리브 오일 용액 (나칼라이 테스크 code.073-26) 을, 5 군에는 DRA 의 올리브 오일 현탁액 (0.8 mM) 을, 각각 5 ㎖/㎏ 의 용량으로 존데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1 - 3 군은 투여 전, 투여 후 0.5, 1, 3, 6, 9, 24 시간 후에, 4 - 5 군은 투여 전, 투여 후 1, 3, 6, 9, 24 시간 후에 미정맥으로부터 헤파린 채혈관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 조작 (8,000 rpm, 10 min) 에 의해 혈장 샘플을 얻었다. 후일 혈장 FRAP 활성 및 아세톤 제단백 처리 후 상청의 ORAC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 ∼ 도 6 에 나타낸다. 악테오사이드 투여군에서는 혈중의 항산화 활성의 상승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지만, DRA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에 혈중 항산화 활성의 분명한 상승이 관찰되었다. 특히 FRAP 활성에서 보면, 투여 초기 (1 - 3 시간 후) 와 9 시간째에 2 상성의 항산화 활성의 피크를 관찰한 점에서, DRA 가 서방적인 작용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체내 흡수
실시예 5 에서 혈중 항산화 활성의 측정용으로 채취한 혈장 샘플 중, 1 군 (0.5 % CMC 용액 투여군), 2 군 (DRA 의 0.5 % CMC 현탁액 투여군), 3 군 (악테오사이드의 0.5 % CMC 현탁액 투여군) 의 혈장의 일부를 사용하여, 각 샘플 투여시의 혈중 농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방법>
각 군 3 마리의 혈장을 등량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 후, 혈장 90 ㎕ 에 달팽이 유래의 β-글루쿠로니다아제/알릴술파타아제/아세트산 완충액 (pH5.0) 90 ㎕ 를 첨가하고, 37 ℃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을 실시하였다. 아세토니트릴 900 ㎕ 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계속해서 1 % 아스코르브산 수용액 10 ㎕, 내부 표준 용액 10 ㎕ 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원심 분리 조작 (15,000 rpm, 10 min) 후의 상청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청을 감압 농축 후, 50 % 메탄올에 재용해하여 필터 여과하고, LC-MS/MS 에 부여하여 악테오사이드, DRA 및 하이드록시티로솔, 카페산의 정량을 실시하였다. 악테오사이드, DRA, 하이드록시티로솔, 카페산량은 피크 면적과, 내부 표준으로서 사용한 헤스페리딘 (Wako) 의 피크 면적의 비에 의해 결정하였다. LC-MS/MS 분석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HPLC 분석 조건>
칼럼 : ACQUITY BEH18 (1.7 ㎛, 2.1Φ × 100 ㎜, 닛폰 워터즈)
이동상 : A ; 0.1 % 포름산 수용액, B ; 아세토니트릴
유속 : 0.30 ㎖/min
그래디언트 : B 액이 5 % 로 5 분간, 그 후 5 분간 동안 B 액이 5 % 에서 10 %, 2 분간 B 액이 10 % 를 유지, 그 후 7 분간 동안 B 액이 10 % 에서 24 %, 또한 4 분간 동안 B 액이 24 % 에서 80 % 인 리니어 그래디언트
<MS/MS 분석 조건>
측정 모드 : 선택 반응 모니터링
검출
: 악테오사이드 (유지 시간 약 17.4 분) ; 전구 (前驅) 이온 m/z = 623 ([M-H]-), 생성 이온 m/z = 161
: DRA (유지 시간 약 17.0 분) ; 전구 이온 m/z = 477 ([M-H]-), 생성 이온 m/z = 161
: 하이드록시티로솔 (유지 시간 약 3.1 분) ; 전구 이온 m/z = 153 ([M-H]-), 생성 이온 m/z = 123
: 카페산 (유지 시간 약 8.1 분) ; 전구 이온 m/z = 179 ([M-H]-), 생성 이온 m/z = 135
: 헤스페리딘 (유지 시간 약 18.7 분) ; 전구 이온 m/z = 609 ([M-H]-), 생성 이온 m/z = 301
이온화법 : ESI 법
결과를 도 7, 도 8, 도 9 에 나타낸다. 악테오사이드를 투여했을 때의 악테오사이드의 최대 혈중 농도 (Cmax) 는 1 μM 에도 못 미쳤지만, 대사물로서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카페산이 검출되었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최대 혈중 농도 (Cmax) 는 11.7 μM, 카페산의 최대 혈중 농도 (Cmax) 는 0.7 μM 였다. 이에 대해, DRA 를 투여했을 때의 DRA 의 최대 혈중 농도 (Cmax) 는 역시 1 μM 에도 못 미쳤지만, 대사물로서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카페산이 고농도 검출되었다. 하이드록시티로솔의 최대 혈중 농도 (Cmax) 는 32.8 μM, 카페산의 최대 혈중 농도 (Cmax) 는 7.3 μM 였다.
악테오사이드, DRA 어느 쪽도 그대로의 형태로 흡수, 혈중 이행되고 있지 않고, 대사물인 하이드록시티로솔이나 카페산으로서 체내에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카페산의 AUC 를 사용하여 체내 흡수량을 비교한 결과를 도 10 에 나타낸다. DRA 의 체내 흡수량은 하이드록시티로솔의 AUC 로 비교하면 악테오사이드의 약 3 배, 카페산의 AUC 로 비교하면 약 13 배 상승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RA 는 악테오사이드에 비해, 체내 흡수량이 증가하여, 대사물인 하이드록시티로솔 및 카페산이 갖는 여러 가지 생리 활성이 높은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7. 혈중 항산화 작용의 함량 의존성 평가
DRA 를 여러 가지 농도로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의 혈중 항산화 작용을 비교하였다.
<측정 방법>
SD (IGS) 계 웅성 래트 (6 주령) 를 닛폰 찰스 리버사로부터 구입하고, 1 주간 시험 환경에서 순화시킨 후, 순조로운 발육을 나타낸 동물을 하룻밤 절식시켜, 각 군 4 마리로 이루어지는 5 군으로 나누었다.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DRA 와, 조제예 1 로 얻어진 올리브 추출물을 사용하여,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이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을 올리브 오일에 용해시키고, DRA 를 0, 0.5, 1, 2, 5 % 함유하는 투여액을 제조하여, 5 ㎖/㎏ 의 용량으로 존데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전, 투여 후 1, 3, 6, 9, 24 시간 후에 미정맥으로부터 헤파린 채혈관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 조작 (8,000 rpm, 10 min) 에 의해 혈장 샘플을 얻었다. 후일 혈장 F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1 에 나타낸다. DRA 의 함량 의존적으로 혈중 항산화 활성은 상승하며, 2 % 이상의 농도에서 분명한 혈중 항산화 활성의 상승 작용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8. 혈중 항산화 활성
올리브 추출물의 탈람노실 반응 유무에 의한 혈중 항산화 활성을 FRAP 활성에 의해 비교하였다.
<측정 방법>
샘플은 실시예 4 로 조제한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DRA 함량 8.9 %) 과, 실시예 4 의 공정 중, 탈람노실 반응만을 실시하지 않고, 다른 공정은 동일하게 처리한 효소 미처리의 올리브 추출물 (악테오사이드 함량 9.1 %) 을 사용하였다.
SD (IGS) 계 웅성 래트 (6 주령) 를 닛폰 찰스 리버사로부터 구입하고, 1 주간 시험 환경에서 순화시킨 후, 순조로운 발육을 나타낸 동물을 시험에 제공하였다. 하룻밤 절식시킨 래트를 각 군 4 마리로 이루어지는 3 군으로 나누고, 1 군에는 올리브 오일 용액, 2 군에는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의 올리브 오일 현탁액, 3 군에는 효소 미처리 올리브 추출물의 올리브 오일 현탁액을 각각 500 ㎎/5 ㎖/㎏ 의 용량으로 존데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전, 투여 후 1, 3, 6, 9, 24 시간 후에 미정맥으로부터 헤파린 채혈관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 조작 (8,000 rpm, 10 min) 에 의해 혈장 샘플을 얻었다. 후일 혈장 F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2 에 나타낸다. 효소 처리에 의해 DRA 함량을 높임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상승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DRA 의 서방성
시험 동물 및 투여액은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투여는 500 ㎎/5 ㎖/㎏ 의 용량을 24 시간 간격으로 5 일간 연속 투여하고, 최종 투여 9 시간 후에 헤파린 채혈관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 조작 (8,000 rpm, 10 min) 에 의해 혈장 샘플을 얻었다. 후일 혈장 F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3 에 나타낸다.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투여군에서 효소 처리를 하지 않은 올리브 추출물 투여군과 비교하여, 최종 투여 9 시간 후의 혈중 항산화 활성의 유의한 상승이 관찰되고, DRA 의 서방성이 확인되었다.
제제예 1. 정제
(1 입자당 배합량)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DRA 함량 8.9 %) 25 ㎎
무수 규산 5 ㎎
미결정 셀룰로오스 120 ㎎
말티톨 150 ㎎
상기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단발식 타정기로 타정하여, 직경 10 ㎜, 1 입자 300 ㎎ 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1 일당 4 입자를 추천 섭취량으로 한다.
제제예 2. 과립제
(스틱 1 개당 배합량)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DRA 함량 8.9 %) 150 ㎎
옥수수 전분 400 ㎎
말티톨 1000 ㎎
상기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10 %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탄올 용액 100 ㎖ 를 첨가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화하고, 압출, 건조시켜 과립제를 얻었다. 이 스틱 1.5 g/개를 1 일당 1 개 섭취한다.
제제예 3. 소프트 캡슐제
1 입자당 배합량 1 일 2 입자를 추천 섭취량으로 한다.
(중량%)
젤라틴 70.0
글리세린 29.7
카라멜 0.3
물 적당량
합계 100
상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캡슐 제피 중에,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충전하여, 1 입자 300 ㎎ 의 소프트 캡슐을 얻었다. 이 소프트 캡슐 1 일 2 입자를 추천 섭취량으로 한다.
(1 입자당 배합량)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DRA 함량 8.9 %) 50 ㎎
비왁스 0.02 ㎖
올리브 오일 0.1 ㎖
제제예 4. 드링크제
정미 : DL-타르타르산나트륨 0.1 g
숙신산 0.009 g
감미 : 액당 800 g
비타민 C 10 g
DRA 함유 올리브 추출물 (DRA 함량 8.9 %) 1 g
비타민 E 30 g
시클로덱스트린 5 g
향료 15 ㎖
염화칼륨 1 g
황산마그네슘 0.5 g
상기 성분을 배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10 ℓ 로 하였다. 이 드링크제는 1 회당 약 100 ㎖ 를 음용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 내에서 높은 항산화 작용을 장시간 발휘하는 음식품, 의약부 외품 및 의약이 제공된다.

Claims (14)

  1.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를 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를 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올리브 추출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올리브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음식품인 조성물.
  6.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를 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음식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올리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식품.
  8.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를 함유하는 혈중 항산화제.
  9. 제 8 항에 있어서,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를 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혈중 항산화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기재된 혈중 항산화제를 배합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음식품인 조성물.
  12.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을 탈람노오스 활성을 갖는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악테오사이드 함유 조성물이 올리브 추출물인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배당체 가수분해 효소가 나린기나아제인 제조 방법.
KR1020147022635A 2012-01-19 2013-01-17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KR102057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9399 2012-01-19
JP2012009399 2012-01-19
PCT/JP2013/050767 WO2013108822A1 (ja) 2012-01-19 2013-01-17 脱ラムノシルアクテオシド含有オリーブ抽出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427A true KR20140114427A (ko) 2014-09-26
KR102057745B1 KR102057745B1 (ko) 2019-12-19

Family

ID=4879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635A KR102057745B1 (ko) 2012-01-19 2013-01-17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40357582A1 (ko)
EP (1) EP2805722B1 (ko)
JP (1) JP6046056B2 (ko)
KR (1) KR102057745B1 (ko)
CN (1) CN104039329B (ko)
AU (1) AU2013210416B2 (ko)
ES (1) ES2732247T3 (ko)
HK (1) HK1198130A1 (ko)
NZ (1) NZ627671A (ko)
SG (2) SG10201604912WA (ko)
TW (1) TWI610680B (ko)
WO (1) WO2013108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4274B (zh) * 2015-03-06 2020-11-03 北京大学 唾液酸甲酯甲苷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CN105168369A (zh) * 2015-08-14 2015-12-23 哈尔滨华藻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螺旋藻强体抗衰老酒及其制备方法
JP6809675B2 (ja) * 2016-10-14 2021-01-06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内即溶性顆粒の製造方法
WO2020014610A1 (en) * 2018-07-12 2020-01-1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Verbascoside and related compounds for sweetness enhancement
CN113980078A (zh) * 2021-11-01 2022-01-28 盐城师范学院 一种白首乌甾苷提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310216D1 (de) * 1992-11-27 2001-10-25 Aventis Res & Tech Gmbh & Co Heterogenes Proteingemisch mit alpha-L-rhamnosidase Aktivitä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5460821A (en) * 1993-06-23 1995-10-24 Masiz; John J. Molecular transdermal transport system
JPH07206685A (ja) * 1994-01-25 1995-08-08 Pola Chem Ind Inc 血栓抑制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JP3568891B2 (ja) 1999-10-14 2004-09-22 日清オイリオ株式会社 オリーブ抽出物を含有してなる飲食物
JP2001181197A (ja) * 1999-10-14 2001-07-03 Nisshin Oil Mills Ltd:The オリーブ抽出物
JP2005334022A (ja) 2004-05-24 2005-12-08 Suzuki Motor Corp 車載用液体循環貯溜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車載用マッサージ装置
WO2007042902A2 (en) * 2005-10-10 2007-04-19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Extracts from nyctanthes arbortristis for the treatement of leishmaniasis
CN101816665A (zh) * 2010-03-18 2010-09-01 长春理工大学 一种免疫抑制药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5722B1 (en) 2019-06-12
NZ627671A (en) 2016-03-31
SG10201604912WA (en) 2016-08-30
JPWO2013108822A1 (ja) 2015-05-11
US20140357582A1 (en) 2014-12-04
CN104039329A (zh) 2014-09-10
CN104039329B (zh) 2020-03-31
EP2805722A1 (en) 2014-11-26
ES2732247T3 (es) 2019-11-21
EP2805722A4 (en) 2015-09-02
WO2013108822A1 (ja) 2013-07-25
SG11201404141QA (en) 2014-09-26
AU2013210416A1 (en) 2014-08-14
HK1198130A1 (en) 2015-03-13
KR102057745B1 (ko) 2019-12-19
JP6046056B2 (ja) 2016-12-14
AU2013210416B2 (en) 2017-03-23
TW201340977A (zh) 2013-10-16
TWI610680B (zh)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JP6335508B2 (ja)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KR101382099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KR102057745B1 (ko) 탈람노실 악테오사이드 함유 올리브 추출물
KR20160088165A (ko)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JP2005154432A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WO2004010991A1 (ja) 血流改善食品
KR20190041130A (ko)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082938B1 (ko) 수용성 비타민이 인리치먼트된 비타민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33982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JP3568201B1 (ja) 健康食品および健康飲料
JP6778506B2 (ja) 機能性食品組成物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4789453B2 (ja) アントシアニン吸収促進剤
JP2006022033A (ja) 血管新生抑制剤
KR20180128781A (ko) 콜라비론의 제조방법
KR20130068887A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르투인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0405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05273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tumor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KR102076808B1 (ko) 갈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923822B1 (ko) 산수유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60092334A (ko)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한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갖는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분말
KR20200089242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46258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1132173A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尿酸生成阻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