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055B1 -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055B1
KR100460055B1 KR10-2002-0055849A KR20020055849A KR100460055B1 KR 100460055 B1 KR100460055 B1 KR 100460055B1 KR 20020055849 A KR20020055849 A KR 20020055849A KR 100460055 B1 KR100460055 B1 KR 100460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funnel
cooling air
fusion
chu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295A (ko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055B1/ko
Priority to CNB031591361A priority patent/CN1295732C/zh
Publication of KR2004002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펀넬이 적치되는 펀넬적치부를 갖는 프레임과, 펀넬에 융착되는 넥크를 척킹 및 척킹해제하는 넥크척킹부와, 넥크척킹부에 의해 척킹된 넥크를 상기 펀넬을 향해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넥크와 펀넬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버너부와, 펀넬의 하부영역으로부터 넥크의 내벽면을 향해 냉각공기를 공급하며 넥크와 펀넬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펀넬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A NECK FUSION-WELDING APPARATUS FOR CR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방에 마련되어 화상이 투사되는 패널과,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깔때기 형상의 펀넬을 가지며, 펀넬의 자유단부에는 전자총이 삽입되는 넥크가 넥크융착장치에 의해 융착된다.
도 3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는, 상부에 펀넬(107)이 적치되는 펀넬적치부(111)를 갖는 프레임(110)과, 펀넬(107)에 융착되는 넥크(109)를 척킹 및 척킹해제하는 넥크척킹부(123)와, 넥크척킹부(123)에 의해 척킹된 넥크(109)를 펀넬(107)을 향해 승강시키는 승강부(117)와, 넥크(109)와 펀넬(107)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버너부(127)와, 펀넬(107)과 넥크(109)가 연통되는 펀넬(107)의 노즈를 개폐하는 센터노즈(133)와, 센터노즈(133)를 승강시키는 실린더(135)를 갖는다.
승강부(117)에는 수직아암(119)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직아암(119)의 하부에는 수직아암(119)에 의해 승강이동되는 슬라이딩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121)에는 넥크(109)와 펀넬(107)의 접촉영역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버너부(127)를 회전구동시키는 버너구동부(129)와, 펀넬(107)의 외측을 고정하여 펀넬(107)의 센터링을 유지시켜 주는 요크링부(113)가 마련되어 있다.
넥크척킹부(123)는 넥크(109) 내에 삽입되며,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넥크척킹부(123)는 넥크(109)의 내벽면으로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통과공을 가지며 승강하는 넥크축과, 넥크축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넥크(109)의 내벽면에 밀착 및 이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펀넬(107)이 펀넬적치부(111)에 적치되고, 도시 않은 넥크이송부에 의해 넥크(109)가 펀넬(107)의 축선 상방으로 이송되면, 넥크척킹부(123)는 넥크(109)를 척킹하게 되고, 척킹된 넥크(109)는 승강부(117)에의해 펀넬(107)을 향해 하강하여 펀넬(107)의 자유단부에 접촉을 하게 된다.
넥크(109)와 펀넬(107)이 접촉을 하게 되면, 버너부(127)는 넥크(109)와 펀넬(107)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동시에 넥크척킹부(123)는 승강부(117)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하면서 넥크(109)와 펀넬(107)의 융착부위는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된다. 넥크척킹부(123)의 상승에 의해 넥크(109)와 펀넬(107)의 융착부위가 늘어날 때, 버너부(127)로부터 배출되는 냉각공기가 넥크(109)의 외벽을 향해 분사되고, 넥크축의 공기통과공으로부터 넥크(109)의 내벽면으로 냉각공기가 분사되어 넥크(109) 및 펀넬(107)의 내측 융착부위를 평평하게 펴주게 된다.
한편, 넥크척킹부(123)의 넥크축으로부터 넥크(109)의 내벽면으로 냉각공기가 분사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35)의 작동에 의해 센터노즈(133)가 승강하여 펀넬(109)의 노즈를 폐쇄시킴으로써, 넥크(109)의 내벽면으로 분사되는 냉각공기가 펀넬의 내면으로 유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냉각공기의 흐름이 융착부위로 전달되어 넥크(109) 및 펀넬(107)의 내측 융착부위에 요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에 있어서는, 펀넬의 사이즈에 따라 펀넬 내면의 곡률 및 노즈의 사이즈가 상이하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사이즈의 센터노즈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펀넬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넥크융착작업을 할 때 해당하는 센터노즈를 교체 설치해야 하므로, 센터노즈의 교체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공수가 증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펀넬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넥크와 펀넬의 융착과정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3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넥크와 펀넬의 융착과정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펀넬 9 : 넥크
11 : 펀넬적치부 17 : 승강부
23 : 넥크척킹부 27 : 버너부
33 : 송풍기 35 : 공기덕트
37 : 냉각공기배출부 37a : 공기토출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펀넬이 적치되는 펀넬적치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펀넬에 융착되는 넥크를 척킹 및 척킹해제하는 넥크척킹부와, 상기 넥크척킹부에 의해 척킹된 넥크를 상기 펀넬을 향해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넥크와 상기 펀넬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버너부와, 상기 펀넬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상기 넥크의 내벽면을 향해 냉각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넥크와 상기 펀넬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공기공급수단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유입되는 냉각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펀넬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덕트 내를 유동하는 냉각공기를 상기 넥크의 내벽면을 향해 배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를 가지는 냉각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공기배출부는, 상기 넥크의 축선과 동축선을 이루며 상기 펀넬의 하단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넥크의 축선과 동축선을 이루며 상기 넥크와 상기 펀넬의 융착부위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넥크융착장치는, 상부에 펀넬(7)이 적치되는 펀넬적치부(11)를 갖는 프레임(10)과, 도시 않은 넥크이송부에 의해 펀넬(7)의 축선 상방으로 이송된 넥크(9)를 펀넬(7)을 향해 승강시키는 승강부(17)와, 승강부(17)에 의해 넥크(9)가 펀넬(7)의 자유단부에 접촉하면 상호 접촉영역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버너부(27)와, 펀넬(7)의 하부영역으로부터 넥크(9)의 내벽면을 향해 냉각공기를 공급하며 넥크(9)와 펀넬(7)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급수단를 갖는다.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컬럼(15)이 기립 배치되어 있으며, 컬럼(15)의 연부면에는 컬럼(15)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17)가 결합되어 있다. 승강부(17)에는 수직아암(19)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직아암(19)의 하부에는 수직아암(19)에 의해 승강이동되는 슬라이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17) 및 슬라이딩부(21)의 연부면은 컬럼(15)의 연부면측에 형성된 레일에 대하여 상호 도브테일형상으로 맞물려 승강구동되도록 레일블럭형상을 이루고 있다.
슬라이딩부(21)에는 넥크(9)와 펀넬(7)의 접촉영역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버너부(27)를 회전구동시키는 버너구동부(29)와, 펀넬(7)의 외측을 고정하여 펀넬(7)의 센터링을 유지시켜 주는 요크링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버너구동부(29)와 버너부(27) 사이에는 버너부(27)를 지지하는 버너지지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넥크척킹부(23)는 넥크(9) 내에 삽입되며 승강부(17)에 의해 승강한다. 넥크척킹부(23)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승강하는 넥크축과, 넥크축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넥크(9)의 내벽면에 밀착 및 이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이에, 도시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넥크축이 상승시 슬라이더가 넥크(9)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넥크척킹부(23)는 넥크(9)를 척킹하게 되고, 넥크축이 하강시 슬라이더가 넥크(9)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넥크척킹부(23)는 넥크(9)를 척킹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넥크(9)와 펀넬(7)의 내측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공급수단은, 송풍기(33)와, 송풍기(33)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35)와, 덕트(35)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넥크(9)의 내벽면을 향해 냉각공기를 배출하는 냉각공기배출부(37)를 가진다.
송풍기(33)는 프레임(1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덕트(35)와 연결되어 있다.
덕트(35)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냉각공기배출부(37)는 관상체로 이루어지며, 덕트(35) 내의 냉각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다수의 공기토출구(37a)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공기배출부(37)는 펀넬(7)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넥크(9)의 축선과 동축선을 이루며, 넥크(9)와 펀넬(7)의 융착부위를 향해 프레임(1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냉각공기배출부(37)의 단부는 펀넬(7)의 내면과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펀넬(7)의 하부영역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냉각공기배출부(37)에 의해 배출되는 냉각공기는 펀넬(7)의 하부측으로부터 넥크(9)의 내벽면을 향해 상향 유동하여 넥크(9)와 펀넬(7)의 내측 융착부위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냉각공기배출부(37)는펀넬(7)의 내면과 접촉하지 아니하므로, 융착되는 펀넬(7)의 사이즈에 따라 냉각공기배출부(37)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에 있어서 넥크(9)와 펀넬(7)의 융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펀넬(7)이 펀넬적치부(11)에 적치되고, 도시 않은 넥크이송부에 의해 넥크(9)가 펀넬(7)의 축선 상방으로 이송되면, 넥크척킹부(23)는 넥크(9)를 척킹하게 되고, 척킹된 넥크(9)는 승강부(17)에 의해 펀넬(7)을 향해 하강하여 펀넬(7)의 자유단부에 접촉을 하게 된다.
넥크(9)와 펀넬(7)이 접촉을 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부(27)가 넥크(9)와 펀넬(7)의 접촉부위를 감싸도록 하강하여 넥크(9)와 펀넬(7)의 접촉부위를 가열하며 용융시킨다. 동시에, 넥크척킹부(23)는 승강부(17)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하면서 넥크(9)와 펀넬(7)의 융착부위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넥크척킹부(23)의 상승에 의해 넥크(9)와 펀넬(7)의 융착부위가 늘어날 때, 버너부(27)로부터 배출되는 냉각공기가 넥크(9)의 외벽을 향해 분사되고, 냉각공기배출부(37)로부터 배출되는 냉각공기가 넥크(9)의 내벽을 향해 분사된다. 이에 의해, 버너부(27)로부터 배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넥크(9)와 펀넬(7)의 외측 융착부위가 냉각되며, 냉각공기배출부(37)로부터 넥크(9)의 내벽면을 향해 배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넥크(9)와 펀넬(7)의 내측 융착부위가 냉각됨으로써, 넥크(9) 및 펀넬(7)의 융착부위에 요철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냉각공기배출부(37)가 펀넬(7)의 내면과 접촉하지 아니하므로, 융착되는 펀넬(7)의 사이즈에 따라 냉각공기배출부(37)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펀넬의 하부영역으로부터 넥크의 내벽면을 향해 냉각공기를 공급하며 넥크와 펀넬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공급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펀넬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냉각공기배출부가 넥크의 축선과 동축선을 이루며 펀넬의 하단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냉각공기배출부는 넥크의 축선과 동축선을 이루며 넥크와 펀넬의 융착부위를 향해 연장설치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펀넬의 하부영역으로부터 넥크의 내벽면을 향해 냉각공기를 공급하며 넥크와 펀넬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공급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펀넬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펀넬이 적치되는 펀넬적치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펀넬에 융착되는 넥크를 척킹 및 척킹해제하는 넥크척킹부와;
    상기 넥크척킹부에 의해 척킹된 넥크를 상기 펀넬을 향해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넥크와 상기 펀넬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버너부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유입되는 냉각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와,상기 펀넬의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덕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덕트 내를 유동하는 냉각공기를 상기 넥크의 내벽면을 향해 배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토출구를 가지는 냉각공기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펀넬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상기 넥크의 내벽면을 향해 냉각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넥크와 상기 펀넬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배출부는 상기 넥크의 축선과 동축선을 이루며, 상기 펀넬의 하단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배출부는 상기 넥크의 축선과 동축선을 이루며, 상기 넥크와 상기 펀넬의 융착부위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KR10-2002-0055849A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KR100460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49A KR100460055B1 (ko)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CNB031591361A CN1295732C (zh) 2002-09-13 2003-09-09 一种用于阴极射线管的管颈熔焊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49A KR100460055B1 (ko)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295A KR20040024295A (ko) 2004-03-20
KR100460055B1 true KR100460055B1 (ko) 2004-12-04

Family

ID=3419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849A KR100460055B1 (ko)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60055B1 (ko)
CN (1) CN1295732C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2137A (ja) * 1989-05-27 1990-12-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フレアレスネックとを封合する方法
JPH05120995A (ja) * 1991-10-25 1993-05-18 Toshiba Corp 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80037779U (ko) * 1996-12-14 1998-09-15 한용희 펀넬과 넥크 융착장치
KR100191932B1 (ko) * 1996-11-04 1999-06-15 조태현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KR20020063717A (ko) * 2001-01-30 2002-08-05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넥크융착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984A (ja) * 2000-11-27 2002-06-07 Nec Kansai Ltd 陰極線管封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2137A (ja) * 1989-05-27 1990-12-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フレアレスネックとを封合する方法
JPH05120995A (ja) * 1991-10-25 1993-05-18 Toshiba Corp 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191932B1 (ko) * 1996-11-04 1999-06-15 조태현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KR19980037779U (ko) * 1996-12-14 1998-09-15 한용희 펀넬과 넥크 융착장치
KR20020063717A (ko) * 2001-01-30 2002-08-05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넥크융착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295A (ko) 2004-03-20
CN1295732C (zh) 2007-01-17
CN1487553A (zh)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9817B2 (en) Device for removing solder material from a soldered joint
KR100460055B1 (ko)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RU2002132629A (ru) Механизм с дутьевой головкой (варианты)
KR101568869B1 (ko) 챔버 강하형 회전 정지식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KR20040024298A (ko)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의 넥크융착방법
EP0640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d discharging a filling material
KR100325293B1 (ko) 반도체패키지의 볼 리페어를 위한 볼 마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볼 마운트 방법
KR101685881B1 (ko) 슬래그 역류 차단 장치
KR102509080B1 (ko) 자동 용접 장치
JP2002053333A (ja) 光ファイバ用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210115544U (zh) 陶瓷电容的激光锡焊设备
CN115003899B (zh) 伞中空发动机气门的冷却材料填充装置以及冷却材料的填充方法
KR100429507B1 (ko) 버너의 화염 가이드 장치
CN220073562U (zh) 集流盘焊接装置
JPH09328324A (ja) ガラス管成形方法
KR101758556B1 (ko) 열 방출 차단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열로
KR100795223B1 (ko)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KR100687605B1 (ko) 냉음극형광램프 제조용 실 컷팅장치
KR100414167B1 (ko) 유리제품 성형설비용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858548B2 (ja) プラズマ溶融システム及びプラズマ溶融方法
CN106698906B (zh) 用于玻璃的焊接装置
CN117187525A (zh) 一种高品质无氧铜管的高效退火炉及其控制方法
KR900002594B1 (ko) 브라운관의 밀봉장치
JPH11339661A (ja) 電子銃封止装置
KR20230001638U (ko) 고로대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