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223B1 -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223B1
KR100795223B1 KR1020010075422A KR20010075422A KR100795223B1 KR 100795223 B1 KR100795223 B1 KR 100795223B1 KR 1020010075422 A KR1020010075422 A KR 1020010075422A KR 20010075422 A KR20010075422 A KR 20010075422A KR 100795223 B1 KR100795223 B1 KR 100795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unnel
fusion
unit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606A (ko
Inventor
이효근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2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0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펀넬에 보턴을 융착하기 위한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융착기는 음극선관용 펀넬에 보턴을 융착 설치하기 위한 보턴 융착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펀넬의 보턴융착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펀넬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고정된 펀넬의 보턴융착부에 근접하여 보턴융착부를 예열하는 예열유닛과; 예열유닛에 의해 예열된 펀넬의 보턴융착부에 근접하여 구멍을 뚫어주는 천공유닛과; 다수의 보턴을 저장하는 보턴저장용기와; 보턴저장용기에 저장된 보턴을 하나씩 집어 보턴융착부의 구멍에 삽입하는 다관절로봇과; 보턴융착부의 구멍에 삽입된 보턴과 펀넬이 서로 융착될 수 있도록 보턴융착부를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과; 보턴이 융착된 펀넬의 보턴융착부를 눌러붙이는 가압유닛과; 각각의 유닛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각 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에 고정된 펀넬에 각 유닛이 순차적으로 근접하면서 예열하고 구멍을 뚫으며 보턴을 삽입하고 다시 가열하면서 눌러붙이도록 구성함으로써, 펀넬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한 곳에서 모든 단계가 처리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그 크기를 작게 구성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BUTTON SEALING MACHINE FOR CATHODE RAY TUBE FUN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예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천공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다관절로봇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압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20: 지지대
30, 32: 척 40: 예열유닛
42: 상부예열유닛 44: 하부예열유닛
45, 46: 제 1액츄에이터 47, 48: 제 2액츄에이터
50: 천공유닛 52: 펀치
54: 다이 55, 56: 제 1액츄에이터
57, 58: 제 2액츄에이터 60: 보턴공급유닛
62: 보턴저장용기 64: 가이드레일
65: 다관절로봇 66: 몸체
67: 스윙아암 68: 홀더
70: 가열유닛 72: 상부가열버너
74: 하부가열버너 75, 76: 제 1액츄에이터
77, 78: 제 2액츄에이터 80: 가압유닛
82: 상부푸셔 84: 하부푸셔
85, 86: 제 1액츄에이터 87, 88: 제 2액츄에이터
90: 제어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펀넬에 보턴을 융착하기 위한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턴을 보다 효율적으로 융착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용 유리벌브(Glass Blub)는 화상이 투시되는 패널(Panel)과, 패널의 후면에 접합되는 원추형 펀넬(Funnel), 그리고 펀넬의 꼭지점에 융착되는 관형상의 네크(Neck)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널, 펀넬 및 네크는 모두 유리로 제조된다. 특 히, 패널과 펀넬은 곱(Gob)이라 불리는 용융유리 덩어리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한다.
한편, 성형이 완료된 펀넬은 이후, 여러 가지 가공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특히, 바디부에 애노드 보턴(Anode Button: 이하 "보턴"이라 약칭함.)을 설치하는 보턴 설치공정을 거치게 된다. 보턴은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를 흡인하여 고속으로 화면에 충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펀넬을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가열된 펀넬에 구멍을 뚫으며, 천공된 구멍에 양극단자를 삽입하고, 펀넬과 양극단자를 서로 융착시키는 단계를 거치면서 펀넬에 설치된다.
이러한 여러 단계들은 보통 보턴 융착기에 의해 시행되는데, 이 보턴 융착기는 공급된 펀넬을 죄어서 고정시키는 척(Chuck)과, 간헐적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된 펀넬을 각 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원반형 테이블과, 각 단계에 배치된 펀넬을 가열하고 구멍을 뚫으며 융착하도록 각 단계에 마련되어 있는 예열버너와, 천공장치와, 보턴 공급장치와, 가열버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융착기는 로더(Loader)를 통하여 공급되는 펀넬을 고정하고, 이를 각 단계별로 차례로 이송시키면서 가공하고 처리함으로써 펀넬에 보턴을 설치하게 된다. 물론, 보턴의 설치가 완료된 펀넬은 언로더(Unloader)를 통하여 원반형 테이블로부터 취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보턴 융착기는 상기 펀넬을 각 단계별로 이동시키면서 가공 처리하는 바, 각 단계별로 이동하는 데에 따른 시간 지연으로 인해 생산 효율이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펀넬을 각 단계별로 이동시키기 위해 부피가 큰 원반형 테이블을 설치해야 하므로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펀넬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한 곳에서 모든 단계가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턴 융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치 않도록 그 크기를 작게 구성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보턴 융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펀넬에 보턴을 융착 설치하기 위한 보턴 융착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펀넬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에 근접하여 상기 보턴융착부를 예열하는 예열유닛과; 상기 예열유닛에 의해 예열된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에 근접하여 구멍을 뚫어주는 천공유닛과; 다수의 보턴을 저장하는 보턴저장용기와; 상기 보턴저장용기에 저장된 보턴을 하나씩 집어 상기 보턴융착부의 구멍에 삽입하는 다관절로봇과; 상기 보턴융착부의 구멍에 삽입된 보턴과 펀넬이 서로 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보턴융착부를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과; 상기 보턴이 융착된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를 눌러붙이는 가압유닛과; 상기 각각의 유닛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융착기는 프레임(10)을 갖추고 있으며, 이 프레임(10)상에는 펀넬(F)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20)는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때의 기울기는 보턴(B)이 융착되는 펀넬(F)의 보턴융착부(A)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를 가져야 한다. 여기서, 지지대(20)를 받쳐 지지하는 프레임(10)의 지지기둥(12)에는 지지대 (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14)이 갖추어져 있다. 아울러 지지대(2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각 유닛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사각의 작동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대(20)에는 안착된 펀넬(F)을 정위치에 배치시키면서 동시에 고정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척(30, 32)들이 설치된다. 이 척(30, 32)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펀넬(F) 하부의 양쪽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지지척(30)들과, 기울어져 있는 펀넬(F) 상부의 일측변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고정척(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쌍의 지지척(30)들은 펀넬(F)의 모서리 양쪽을 접촉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롤러(30a)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척(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넬(F)의 내외면에서 펀넬(F)의 스커트(S)를 가압지지하는 한쌍의 가압롤러(32a)를 갖는다. 이러한 척(30, 32)들의 롤러(30a, 32a)들은 공압실린더 등과 같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펀넬(F)을 고정 지지하여 정위치에 배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턴이 융착되는 펀넬(F)의 보턴융착부(A) 내외면을 구멍뚫기에 알맞은 상태로 예열하는 예열유닛(40)과, 예열된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구멍을 뚫는 천공유닛(50)을 갖는다. 예열유닛(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예열버너(42)와, 지지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예열버너(44)와, 상기 상부 및 하부예열버너(42, 44)들을 수평 및 수직이동시켜 펀넬(F)의 보턴융착부(A)로 근접시키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45, 46)(47, 48)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예열버너(42, 44)는 보턴융착부(A)를 예열시키기 위해 불꽃을 발생시키는 노즐(42a, 44a)을 갖추고 있으며, 불꽃을 만드는 요소로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45, 46)(47, 48)는 예를 들어 공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데, 제 1액츄에이터(45, 46)의 로드(45a, 46a)에 제 2액츄에이터(47, 48)가 고정되며, 제 2액츄에이터(47, 48)의 로드(47a, 48a)에 상기 상부 및 하부예열버너(42, 44)가 각각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45, 46)(47, 48)는 상부 및 하부예열버너(42, 44)를 수평과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보턴융착부(A)의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에 근접 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국, 이상과 같은 구성의 예열유닛(40)은 펀넬(F)의 내측과 외측에서 보턴융착부(A)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보턴융착부(A)의 내외면을 구멍 뚫기에 알맞은 상태로 용융시켜주게 된다.
한편, 천공유닛(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구멍을 뚫어주는 펀치(52)와, 지지대(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펀치(52)를 받쳐주는 다이(54) 그리고 상기 펀치(52)와 다이(54)를 수평이동시켜 펀넬(F)의 보턴융착부(A) 상, 하부에 배치시키는 제 1액츄에이터(55, 56)들 및 상기 펀치(52)와 다이(54)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펀넬(F)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이를 받쳐 지지하도록 하는 제 2액츄에이터(57, 5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천공유닛(50)은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보턴(B)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H)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융착기는 보턴융착부(A)의 구멍(H)에 보턴(B)을 삽입 공급하는 보턴공급유닛(60)을 갖는다. 이 보턴공급유닛(60)은 보턴을 저장하는 보턴저장용기(62)와, 보턴저장용기(62)로부터 배출된 보턴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64)과, 가이드레일(64)의 끝부분에 배치된 보턴을 하나씩 홀딩하여 펀넬 (F)의 보턴융착부(A) 구멍(H)에 삽입하는 다관절로봇(65)을 구비한다. 보턴저장용기(62)는 보울피더(Bowl Feeder)라 불리우는 부품정렬공급장치로서, 자체의 떨림을 통해 저장된 보턴을 가이드레일(64)에 하나씩 내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보울피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64)은 보턴저장용기(62)로부터 배출되는 보턴을 안내하는 것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그 끝부분에서 상기 보턴을 대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관절로봇(6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을 이루는 회전관절을 갖는 스카라형(Selectively Compliant Assembly Robot Arm) 다관절로봇으로서, 프레임 (10)에 설치되는 몸체(66)와, 몸체(66)에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스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아암(67)과, 스윙아암(67)에 수직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68)로 구성된다. 특히, 홀더(68)는 진공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식 흡착패드로서, 가이드레 일(64)의 보턴을 하나씩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다관절로봇 (6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아암(67)을 통해 상기 홀더(68)를 가이드레일 (64)과 보턴융착부(A) 사이를 왕복이동시키고, 홀더(68)를 통해 가이드레일(64)의 보턴을 하나씩 흡착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운동시키면서 흡착된 보턴(B)을 펀넬(F)의 구멍(H)에 삽입시키는 것이다. 스카라형 다관절로봇(65)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관절로봇 (65)을 스카라형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직교좌표형(Cartesian Coordinate)로봇이나 원통좌표형(Cylindrical Coordinate)로봇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다관절로봇(65)은 후술하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제어부(90)에는 다관절로봇(65)의 스윙아암(67)과 홀더(68)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치값을 입력시킬 수 있는 수치입력부를 갖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융착기는 펀넬(F)의 구멍(H)에 삽입된 보턴(B)과 펀넬(F)과의 사이를 융착시켜주기 위해 보턴융착부(A)에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70)과, 융착이 완료된 보턴(B)과 펀넬(F)의 접합부를 펀넬(F)의 내외면에서 눌러붙이는 가압유닛(80)을 갖는다. 가열유닛(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가열버너(72)와, 지지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가열버너(74)와, 상기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72, 74)들을 수평 및 수직이동시켜 보턴융착부(A)로 근접시키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75, 76)(77, 7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72, 74)는 보턴융착부(A)를 가열시키기 위해 불꽃을 발생시키는 노즐(72a, 74a)을 갖추고 있음은 물론이며, 불꽃을 만드는 요소로 액화 천연가스를 사용한다. 한편,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75, 76)(77, 78)는 예를 들어 공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데, 제 1액츄에이터(75, 76)의 로드(75a, 76a)에 제 2액츄에이터(77, 78)가 고정되며, 제 2액츄에이터(77, 78)의 로드(77a, 78a)에 상기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72, 74)가 각각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75, 76)(77, 78)는 상부 및 하부가열버너(72, 74)를 수평과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보턴융착부(A)의 수직 상부와 수직 하부에 근접 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가열유닛(70)은 펀넬(F)의 내측과 외측에서 보턴융착부(A)를 가열함으로써 보턴(B)과 펀넬(F)과의 사이를 융착시켜주게 된다.
한편, 가압유닛(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펀넬(F)의 보턴융착부(A) 외면을 눌러붙이는 상부푸셔(82)와, 지지대(20)의 하부에 배치되어 펀넬(F)의 보턴융착부(A) 내면을 눌러붙이는 하부푸셔(84) 그리고 상기 상부푸셔(82)와 하부푸셔(84)를 수평이동시켜 펀넬(F)의 보턴융착부(A) 상, 하부에 각각 배치시키는 제 1액츄에이터(85, 86)들 및 상기 상부푸셔(82)와 하부푸셔(84)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눌러붙이는 제 2액츄에이터(87. 8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가압유닛(80)은 펀넬(F)의 보턴융착부(A)를 눌러붙임으로써 융착과정에서 형성된 보턴융착부(A)의 비드(Bead)등을 줄여주면서 펀넬(F)의 보턴(B)의 융착성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융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열유닛(40)과 천공유닛(50)과 보턴저장용기(62)와 다관절로봇(65)과 가열유닛(70)과 가압유닛 (8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를 갖는다. 이 제어부(90)는 도시하지 않은 수치 입력부와, 수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콘트롤러를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의 제어부(90)는 수치입력부와 콘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된 값을 처리하고, 처리된 값에 따라 각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각 유닛들로 하여금 펀넬(F)에 보턴(B)을 융착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과정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대(20)에 펀넬(F)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어부(90)를 통하여 각 유닛을 온(ON)시키면, 지지척(32)과 고정척(34)이 작동되면서 상기 펀넬(F)을 지지대(2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펀넬(F)의 고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유닛(40)의 상, 하부예열버너(42, 44)들이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45, 46)(47, 48)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이동하면서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근접하게 되며, 보턴융착부(A)에 근접한 상태에서 불꽃을 발생시켜 펀넬(F)의 보턴융착부(A)를 예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펀넬(F)의 보턴융착부(A)는 구멍뚫기에 알맞은 상태로 용융된다.
한편, 펀넬(F)의 보턴융착부(A)의 예열이 완료되면, 예열유닛(40)의 상, 하부예열버너(42, 44)들은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45, 46)(47, 48)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예열유닛(40)의 복귀가 완료되면, 연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유닛(50)의 펀치(52)와 다이(54)가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55, 56)(57, 58)에 의해서 수평과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구멍(H)을 뚫어주게 된다. 그리고 구멍 뚫기가 완료되면, 펀치(52)와 다이(54)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55, 56)(57, 5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펀치(52)와 다이(54)에 의한 구멍 뚫기가 완료되면, 곧이어서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로봇(65)이 작동되는데, 이 다관절로봇(65)은 스윙아암(67)과 홀더(68)를 통하여 보턴저장용기(62)로부터 배출되어 가이드레일(64)의 끝부분에 대기하는 보턴(B)을 하나씩 홀딩하여 펀넬(F)의 구멍(H)에 삽입시키고, 아울러 다관절로봇(65)을 통하여 펀넬(F)의 구멍(H)에 보턴(B)의 삽입이 완료되면,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유닛(70)의 상, 하부가열버너(72, 74)들이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75, 76)(77, 78)를 통해 수평 및 수직이동하면서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근접하게 되며, 보턴융착부(A)에 근접한 상태에서 불꽃을 발생시켜 펀넬(F)의 보턴융착부(A)를 가열함으로써 보턴(B)과 펀넬(F)과의 사이를 융착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펀넬(F)의 보턴융착부(A)의 가열이 완료되면, 가열유닛(70)의 상, 하부가열버너(72, 74)들은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75, 76)(77, 78)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가열유닛(70)의 복귀가 완료되면,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닛(80)이 작동된다. 가압유닛(80)은 그 상부푸셔(82)와 하부푸셔(84)가 제 1액츄에이터(85, 86)에 의해서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펀넬(F)의 보턴융착부(A)에 근접하고, 제 2액츄에이터(87, 88)에 의해서 수직운동하면서 펀넬(F)의 보턴융착부 (A)를 눌러붙여 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턴융착부(A)는 비드 등과 같은 돌출부가 없이 말끔하게 처리되는 것이며, 펀넬(F)과 보턴(B)의 결합력은 더욱 더 증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을 마친 상부푸셔(82)와 하부푸셔(84)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85, 86, 87, 88)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보턴(B)은 펀넬(F)에 견고하게 융착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상에서와 같은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하여 보턴(B)은 펀넬(F)에 견고하게 융착되는 것이며, 따라서 보턴(B)의 설치공정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는 펀넬을 한 곳에 고정지지시킨 상태에서 각 유닛으로 하여금 상기 펀넬에 순차적으로 근접하면서 예열하고 구멍을 뚫으며 보턴을 삽입하고 다시 가열하면서 눌러붙이도록 구성함으로써, 펀넬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한 곳에서 모든 단계가 처리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그 크기를 작게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7)

  1. 음극선관용 펀넬에 보턴을 융착 설치하기 위한 보턴 융착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펀넬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된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에 근접하여 상기 보턴융착부를 예열하는 예열유닛과;
    상기 예열유닛에 의해 예열된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에 근접하여 구멍을 뚫어주는 천공유닛과;
    다수의 보턴을 저장하는 보턴저장용기와;
    상기 보턴저장용기에 저장된 보턴을 하나씩 집어 상기 보턴융착부의 구멍에 삽입하는 다관절로봇과;
    상기 보턴융착부의 구멍에 삽입된 보턴과 펀넬이 서로 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보턴융착부를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과;
    상기 보턴이 융착된 상기 펀넬의 보턴융착부를 눌러붙이는 가압유닛과;
    상기 각각의 유닛들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유닛은 상기 보턴융착부의 외면을 예열하도록 상 기 펀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예열버너와, 상기 보턴융착부의 내면을 예열하도록 펀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예열버너와, 상기 상부 및 하부예열버너들을 수평 및 수직이동시켜 펀넬의 보턴융착부로 근접시키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유닛은 상기 펀넬의 외면에서 상기 보턴융착부에 구멍을 뚫어주는 펀치와, 상기 펀넬의 외면에서 상기 펀치를 받쳐주는 다이와, 상기 펀치와 다이를 수평 및 수직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로봇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스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윙아암과, 스윙아암에 수직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에 의해 보턴을 흡착할 수 있는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보턴융착부의 외면을 가열하도록 상기 펀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예열버너와, 상기 보턴융착부의 내면을 예열하도록 펀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예열버너와, 상기 상부 및 하부예열버너들을 수평 및 수직이동시켜 펀넬의 보턴융착부로 근접시키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펀넬의 내면과 외면에서 상기 보턴융착부를 눌러압착하는 상부푸셔 및 하부푸셔와, 상기 상부푸셔 및 하부푸셔를 수평 및 수직이동시켜 상기 펀넬의 내면과 외면으로 압착하는 제 1 및 제 2액츄에이터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상기 펀넬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펀넬의 일측을 고정 지지하는 복수의 척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KR1020010075422A 2001-11-30 2001-11-30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KR100795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422A KR100795223B1 (ko) 2001-11-30 2001-11-30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422A KR100795223B1 (ko) 2001-11-30 2001-11-30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606A KR20030044606A (ko) 2003-06-09
KR100795223B1 true KR100795223B1 (ko) 2008-01-17

Family

ID=2957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422A KR100795223B1 (ko) 2001-11-30 2001-11-30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2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244A (ja) * 1981-06-30 1983-01-11 Shibason:Kk ブラウン管のフアンネルシ−ル材添着方法及び装置
KR970051670A (ko) * 1996-11-04 1997-07-29 최영철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JPH11111172A (ja) * 1997-10-08 1999-04-23 Sony Corp 陰極線管製造装置
JPH11333347A (ja) * 1998-05-25 1999-12-07 Sony Corp フリットガラス塗布装置
JP2000200550A (ja) * 1999-01-05 2000-07-18 Hirata Corp フリットシ―ル装置及びフリットシ―ル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244A (ja) * 1981-06-30 1983-01-11 Shibason:Kk ブラウン管のフアンネルシ−ル材添着方法及び装置
KR970051670A (ko) * 1996-11-04 1997-07-29 최영철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JPH11111172A (ja) * 1997-10-08 1999-04-23 Sony Corp 陰極線管製造装置
JPH11333347A (ja) * 1998-05-25 1999-12-07 Sony Corp フリットガラス塗布装置
JP2000200550A (ja) * 1999-01-05 2000-07-18 Hirata Corp フリットシ―ル装置及びフリットシ―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606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5000B2 (en) Automatic production process of LED bulbs
JP2002334916A (ja) ウェーハリングの供給返送装置
KR100795223B1 (ko) 음극선관용 펀넬의 보턴 융착기
KR19980018771A (ko) 도전성 볼의 탑재방법 및 이의 장치 (method of mounting conductive balls and device therefor)
US24921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electrodes in envelopes of electron discharge tubes
KR100309259B1 (ko) 음극선관의조립및수선방법및그장치
US3421874A (en) Apparatus for making pressurized reed switches
US5178315A (en) Soldering device for electronic elements
JP2001322821A (ja) 中空ガラス体の加工機
KR100437893B1 (ko) 음극선관용훤넬가공시스템및그방법
KR100837253B1 (ko) 음극선관용 펀넬의 애노드버튼 융착장치
KR100285681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CN214032691U (zh) 一种钨棒与过渡料的熔覆装置
US2525043A (en) Lamp sealing machine head
KR100275622B1 (ko) 음극선관용 판넬의 핀 융착장치
KR20030083531A (ko) 음극선관용 패널 핀융착기
KR100460055B1 (ko) 음극선관용 넥크융착장치
JP2555020B2 (ja) ブラウン管の封止方法
KR950002505Y1 (ko) 커넥터 성형 용접장치
KR0163847B1 (ko) 전자총의 비드글라스 자동공급장치
KR100336204B1 (ko) 음극선관용 패널의 핀융착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291788B1 (ko) 전자총의비이드그라스융착장치
KR100285680B1 (ko) 음극선관용 훤넬의 모일 절단장치
KR100397155B1 (ko)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US3178275A (en) Automatic feed fusion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