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003B1 -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003B1
KR100460003B1 KR1019980000014A KR19980000014A KR100460003B1 KR 100460003 B1 KR100460003 B1 KR 100460003B1 KR 1019980000014 A KR1019980000014 A KR 1019980000014A KR 19980000014 A KR19980000014 A KR 19980000014A KR 100460003 B1 KR100460003 B1 KR 100460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lse
polyester
twisted yarn
polyester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006A (ko
Inventor
임대우
백문수
이필상
마진숙
정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1998000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003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20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or devices; After-treatments for fixing crimp or cur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비수수축율이 다른 2종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가연가공함에 있어, 고수축사는 가연영역의 히터를 거치지 않고, 보통사는 히터를 통과한 후 두 사조를 합사하여
가연가공을 실시하므로써 복합사를 형성한 후에도 복합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2종의 사조가 권축성과 수축율이 달라 직편물에서 표면권축 효과와 이수축 효과가 동시에 발현되어 소모조의 볼륨감과 실크와 같은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동시에 만족하는 복합가연사를 제조하였다.
또한 고수축사는 가연영역에서 열을 받지 않아 실질적으로 권축이 부여되지 않아 직편물상에서 탄력성 및 반발성이 우수하며, 고배향 미연신 보통사는 가연영역 전
에 30% 이상의 이완율과 180∼200 ℃로 이완 열처리하여 염색성을 향상시켜 고수축
사조와의 염색차가 없고 염색 얼룩이가 생기지 않는 균일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
다. 또한 제조된 복합가연사는 교락부를 가지고 있어 사조의 형태 안정성 및 공정
통과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표면권축 효과와 이수축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여 직편물상에서 소모조의
볼륨감과 실크와 같은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동시에 만족하는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가연가공하여 천연 양모섬유와 같이 개개의 섬유에 권축
(crimp)을 부여 하여 소모조의 질감을 표현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소모조로 전개하면서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동시에 얻기 위해서
는 단사 필라멘트의 섬도가 1.5 데이어 이하가 되어야 하지만, 이 경우에는 반발성
과 탄력성이 미흡하다는 결점이 생긴다. 또 반발성 및 부피감을 위해서 단사 필라
멘트의 섬도를 크게 하면 표면 촉감이 거칠어지는 등 희망하는 효과를 얻기가 힘들
다.
또한 태섬도 필라멘트사와 세섬도 필라멘트사를 혼섬하기도 하고, 모우를 부여하는
등 각종의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질감과 공정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에는 미
흡하였다.
태섬도 필라멘트사를 심사로, 세섬도 필라멘트사를 초사로 한 심초복합 가연사를
제조하여 부드러운 표면 촉감과 반발성 및 탄력성을 만족하는 소모조의 직물을 얻
을 수 있는 방법이 일본 특개소54-101946, 일본 특개소63-275734호 등에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가연사는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가지
기는 하나 이수축 혼섬사와 같은 실크의 외관이나 촉감을 기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권축 효과와 이수축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여 직편물상에서 소모조의 볼륨감과 실크와 같은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동시에 만족하는 복합가연사
를 제조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공정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보통사)
2 : 고수축 폴리에스테르 연신사(고수축사)
3 : 공급롤러 4 : 이완열처리 장치
5 : 가연 히터 6 : 가연 장치
7 : 유체교락 창치 8 : 권취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비수수축율이 다른 2종의 폴리에스테
르 필라멘트를 가연가공함에 있어, 비수수축율이 25% 이상인 고수축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연신사를(이하 "고수축사"라고 한다) 가연영역 내의 히터 출구와 가연장
치사이에서 비수수축율이 4∼10%인 통상의 고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미연신사
(이하 "보통사"라고 한다)와 결합하여 가연가공한 후 유체 교락 처리하여 복합 가
연사를 제조하였다.
고수축사는 가연영역의 히터를 거치지 않고, 보통사는 히터를 통과한 후 두 사조를
합사하여 가연가공을 실시하므로써 복합사를 형성한 후에도 복합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2종의 사조가 권축성과 수축율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직편물에서 표면권축 효과와 이수축 효과가 동시에 발현되어 소모조의 볼륨감과 실크와 같은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동시에 만족하는 복합가연사를 제조할 수 있었다.
고수축사는 가연영역에서 열을 받지 않아 열응력을 보존한 체 직편물로 된다. 따라
서 직편물에서 충분히 열응력을 발현하여 수축을 할 수 있어 실크와 같은 부더러운
표면촉감을 가질 수가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권축이 부여되지 않아 직편물상에서
탄력성 및 반발성이 우수하였다. 제조된 복합가연사는 교락부를 가지고 있어, 2종
의 사조가 실질적으로 분리된 2층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잘 혼합되어 있어 사조의
형태 안정성 및 공정 통과성이 우수하다.
이소프탈산이 공중합된 고수축사는 일반 폴리에스테르사보다 염착율이 높아 일반 폴리에스테르사와 혼섬하여 분산염료로 염색하였을 경우, 고수축사가 농염으로 염색되어 균일한 염색이 어렵게 된다. 한편, 고배향미연신사를 열처리하면 비결정영역이 일단 치밀한 구조로 변하여 염료 염착율이 저하되지만, 열처리가 경과함에 따라 비결정영역의 분자쇄가 이완되고 충진밀도가 낮은 부분이 증가하여 염료 염착율이 높아져 연신가연 후에도 염색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완율과 열처리 온도를 조절하여 열처리하므로써 염색성을 향상시켜, 고수축사조와의 염색차가 없고 염색 얼룩이가 없는 균일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완율이 30 % 미만인 경우, 충분한 이완상태에서 열처리가 진행되지 않아 열처리
가 미흡하여 농염화가 부족하였다. 열처리 온도는 높을수록 농염화에 유리하지만,
사조의 열노화 및 융착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직물의 촉감 및 외관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직물의 촉감 및 외관
관능적인 평가로 수치화가 어려워 10 명에게 직물을 항목별 평가하여 개
인의 주관적인 평가 결과를 아래의 기준에 의거하여 판정하였슴.
◎ : 9 명 이상 , ○ : 6∼8 명 , △ : 3∼5 명 , × : 2 명 이하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이소프탈산을 9.0몰 %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용융 방사하여 제조한 비수수축율이 25 % 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연신사 60de/15f와 비수수축율이 8%인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고배향미연신사 85de/36f를 공급사조로 하여 도면 1의 공정에 따라 가연가공을 실시하여 복합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이때의 가연가공 조건은 아래와 같다.
·이 완 율 : 30 %
·이완열처리 온도 : 200℃
·가연 히터 온도 : 180℃, 가연 T/M : 1850 T/M , 가연공급율 : - 30 ∼ 30 %
제조한 상기의 복합가연사를 이태리연사기에서 연수를 1200 T/M, 경사본수를 6840
본, 위사밀도를 67본/인치로 하여 능직으로 제직한 후 염색 및 가공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이완열처리 온도가 18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1
이완열처리 온도가 17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2
이완열처리 온도가 21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3
이완율이 20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4
이완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5
이소프탈산을 9.0몰 % 공중합하여 비수수축율이 25 % 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연신사 60de/15f 대신 비수수축율이 8 % 인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연신사
60de/15f를 공급사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6
2종의 공급사조가 가연영역 내의 히터 도입부 전에 합사한 후 가연 히터를 통과하여 가연가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상에서 실시한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의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권축 효과와 이수축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여 직편물상에서 소모조의 볼륨감과 실크와 같은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동시에 만족하고 또한, 염색차가 없고 염색 얼룩이가 없는 균일한 복합가연사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

  1. 비수수축율이 다른 2종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가연가공함에 있어, 비수수축율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연신사가 가연영역 내의 히터와 가연장치사이에서 비수추축
    율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미연신사와 합사되어 가연가공한 후 유체 교락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수축축율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미연신사는 가연영역 전에 30% 이상의
    이완율과 180∼200℃로 이완 열처리하여 염색성을 향상키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9980000014A 1998-01-03 1998-01-03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0460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014A KR100460003B1 (ko) 1998-01-03 1998-01-03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014A KR100460003B1 (ko) 1998-01-03 1998-01-03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006A KR19990065006A (ko) 1999-08-05
KR100460003B1 true KR100460003B1 (ko) 2005-01-17

Family

ID=3737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014A KR100460003B1 (ko) 1998-01-03 1998-01-03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33B1 (ko) * 2002-07-29 2005-01-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폴리에스테르 합연사의 제조방법
KR100453180B1 (ko) * 2002-10-31 2004-10-1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699343B1 (ko) * 2015-05-08 2017-01-26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이 우수한 소프트 질감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231A (ja) * 1990-07-11 1992-03-09 Unitika Ltd 複合構造加工糸とその製造方法
KR930010265A (ko) * 1991-11-21 1993-06-22 하기주 이수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JPH0657562A (ja) * 1992-08-12 1994-03-01 Mitsubishi Rayon Co Ltd 特殊複合仮撚加工糸の製法
JPH06341027A (ja) * 1993-05-31 1994-12-13 Unitika Ltd 太細効果のある複合捲縮糸の製造方法
JPH07278977A (ja) * 1994-04-12 1995-10-24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意匠糸の製造方法
JPH0978385A (ja) * 1995-09-13 1997-03-25 Toray Ind Inc 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JPH09228168A (ja) * 1995-12-21 1997-09-02 Toray Ind Inc 複合加工糸および織編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231A (ja) * 1990-07-11 1992-03-09 Unitika Ltd 複合構造加工糸とその製造方法
KR930010265A (ko) * 1991-11-21 1993-06-22 하기주 이수축 복합사의 제조방법
JPH0657562A (ja) * 1992-08-12 1994-03-01 Mitsubishi Rayon Co Ltd 特殊複合仮撚加工糸の製法
JPH06341027A (ja) * 1993-05-31 1994-12-13 Unitika Ltd 太細効果のある複合捲縮糸の製造方法
JPH07278977A (ja) * 1994-04-12 1995-10-24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意匠糸の製造方法
JPH0978385A (ja) * 1995-09-13 1997-03-25 Toray Ind Inc 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JPH09228168A (ja) * 1995-12-21 1997-09-02 Toray Ind Inc 複合加工糸および織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006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003B1 (ko) 표면촉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JPS5858443B2 (ja) ポリエステル長繊維太細糸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89065A (ja) 不均一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303510A (ja) 異染性意匠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176813B2 (ja) ポリエステルシック・アンド・シンヤーンおよび該ヤーンからなるカスリ調織編物
JP2002194635A (ja) ポリエステル系混繊糸および仮撚加工糸
JP2000256932A (ja) 極細ポリエステル複合交絡糸
JP4129760B2 (ja) 複合仮撚糸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織編物
JP3140822B2 (ja) 極細濃淡染着性糸及び高収縮性濃淡染着性糸
JP394604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加工糸
JP3155179B2 (ja) 仮撚複合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3459496B2 (ja) ナイロ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JP2001214335A (ja) 低収縮ポリエステル太細糸およびそれからなる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2001348745A (ja) ポリエステル複合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
KR100314560B1 (ko) 태세복합 혼섬사의 제조방법
KR930010788B1 (ko) 폴리에스터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JP3523409B2 (ja) 2層構造仮撚斑糸
JP3251339B2 (ja) シルキー調特殊加工糸の製造方法
JP3509995B2 (ja) 濃染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系複合糸
JP3234377B2 (ja) 伸縮性ノントルクヤーンの製造方法
JPS6257730B2 (ko)
JP2839294B2 (ja) 複合糸の製造方法
JPS59130319A (ja) ポリエステル長繊維太細糸条
JP3059656B2 (ja) ポリエステル系混繊糸
JP2001348744A (ja) ポリエステル複合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