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129B1 -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129B1
KR100458129B1 KR10-2002-0003827A KR20020003827A KR100458129B1 KR 100458129 B1 KR100458129 B1 KR 100458129B1 KR 20020003827 A KR20020003827 A KR 20020003827A KR 100458129 B1 KR100458129 B1 KR 10045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614A (ko
Inventor
이성만
김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Priority to KR10-2002-000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1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 100중량부 및 고형방향제 0.5∼70중량부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형방향제는 30∼80중량%의 향료 담체, 20∼70중량%의 향료베이스 및 이들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5.0중량부의 코팅제로 이루어진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서방형 방향 고분자 조성물은 향이 함침될 수 있는 적절한 무기물의 다공성 물질에 향을 함침시키고 제조된 방향 고형물에 고분자 코팅물질로 화학반응 코팅시키므로서 고분자의 가공 공정중 고온에 안정적이며 발향 강도 외에도 향 강도의 지속성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n aroma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aintaining-aroma,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분자물질 가공시의 고온에서 휘발성이 강한 방향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보향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초기의 향 강도를 지속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향 플라스틱은 향 고유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플라스틱의 가공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적용할 수 있으나 향의 보향성, 지속성의 문제로 그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향의 보향성, 지속성 문제점을 향상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이와 관련해 특허가 다수 공개되어 있으나 아직도 개량할 점이 많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91-20589호에는 플라스틱 수지에 향료를 함유한 목분을 섞어 압출기에서 가공하여 향기나는 플라스틱을 제조하였으나, 목분을 가공할 경우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유연성이 없어 제품화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가공시에 약 200℃∼250℃로 가공해야 하므로 향이 휘발되어 발향이 잘 안되며 향 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89-16736호에는 플라스틱 분말에 향을 직접 첨가하여 향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는데, 이 경우에 향의 성분이 휘발성이 높아 수지 가공시에 향의 손실이 많고, 이로 인하여 향 발현이 안되는 단점이 있다. 향을 어느 정도 발현시키고자 할 경우 다량의 향을 첨가하여야 하므로 가격이 높아지며 다량의 향을 첨가한 경우라도 향의 손실이 많아 향 발현의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한국 특허출원 제97-13531호와 특허출원 제96-052319호에는 플라스틱 원료에 향을 흡습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플라스틱 자체에 향을 흡습시키는 것이 기본적으로 어렵고 흡습시키는 시간도 오래 걸리며 높은 온도가 필요하여 생산성의 많은 제약이 따른다.
한국 특허출원 제98-047885호에서는 고형방향제를 합성수지에 컴파운딩하여 방향성 수지를 제조하였으나 고형방향제를 제조할 때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제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방향성분을 캐리어 할 수 있는 보향제, 보향제에 함침되어 있는 향 성분의 내열성 향상과 휘발 지연를 위한 반응성 코팅제, 지속적이며 장기간 일정량의 향을 발산시키기 위한 발포제로 구성되는 방향성 수지조성물이 상술한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물질 가공시의 고온에서 휘발성이 강한 방향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보향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초기의 향 강도를 지속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는 방향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향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향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성 수지조성물은 합성수지 100중량부 및 고형방향제 0.5∼70중량부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형방향제는 30∼80중량%의 향료 담체, 20∼70중량%의 향료베이스 및 이들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5.0중량부의 코팅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방향성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향료 담체에 향료베이스를 혼합하거나 향료 담체에 향료베이스를 스프레이 분사시키면서 100∼1500rpm의 믹서에서 3∼20분 정도 혼합한 다음, 코팅제를 첨가하여 100∼1500rpm의 믹서에서 3∼20분 정도 혼합한 고형방향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수지 100중량부 및 고형방향제 0.5∼7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품은 필름, 쉬트, 블루로우 성형품, 자동차 내장부품, 건축 인테리어부품, 완구류 또는 인형충진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방향성분을 캐리어 할 수 있는 보향제, 코팅제 및 발포제로 구성되는 방향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캐리어에 함침된 방향성분의 고분자 코팅을 이용하여 최종 수지조성물의 보향성과 지속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항균 및 항충력이 우수하고 아로마 치료효과가 있는 천연 향을 적용할 경우 별도의 항균제 또는 유독 합성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항균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이며 위생 측면에서의 기능성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이 공중합된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수지, 폴리염화 비닐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스타이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아이오노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이다. 이때 바람직한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수지이고, 스타이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향기의 발산이 적절하게 조정되는바, 특히 미국 필립스사에서 제조한 상품명 k-resin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제는 향료베이스, 향료 담체 및 코팅제를 포함하는 고형방향제이다. 향료베이스는 향료 담체에 강력하게 포접 및 흡착되고 코팅제로포접 또는 흡착된 고형방향제를 코팅함으로서 수지에 첨가하여 가공시 높은 가공온도(통상 160℃∼250℃)에 의한 향료베이스의 향료성분의 손실을 극소화시킴에 따라 냄새강도, 안정성, 지속성이 종래의 방향제보다 향상되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형방향제는 향료 담체에 향료베이스를 혼합하거나 향료 담체에 향료베이스를 스프레이 분사시키면서 100rpm∼1500rpm으로 운전되는 믹서(예를 들어, 텀블러 믹서나 헨셀 믹서)에서 3∼20분 정도 혼합한 다음, 코팅제를 첨가하여 100rpm∼1500rpm의 믹서에서 3∼20분 정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고형방향제의 사용량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70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중량부이다. 이때, 고형방향제의 혼합량이 0.5중량부 미만에서는 향료의 양이 적어져 향 강도가 떨어지게 되고 향기 발산이 적어지며, 7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의 기계적인 물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고형방향제에 사용되는 향료베이스는 천연향료, 합성향료 또는 이들의 조합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라벤다, 박하, 자스민과 같은 허브향, 장미, 백합, 라일락과 같은 꽃향, 레몬, 딸기, 바나나, 사과, 포도와 같은 과일향, 초코렛, 커피, 바닐라와 같은 특정 향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향료에 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와 혼합 할 경우 향료와 유화제의 균일한 혼합과 분산을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에 일정비율의 향료를 혼합한 후, 호모 믹서를 사용해 10000∼15000rpm으로 3∼5분 교반하여 제조한다. 유화제와 향료의 비율은 향료 10∼60중량%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이다. 이때, 향료비율이 너무 적으면 향 발현이 않되고 나중에 수지에 컴파운딩 할 경우 더욱 희석되므로 곤란하고, 너무 많을 경우 유화제와 혼합, 분산이 불안정하여 균일한 고형방향제를 얻을 수 없다.
고형방향제에 사용되는 향료 담체는 실리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탈크, 수산화암모늄, 크레이와 같은 무기화합물, 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파우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합성수지, 덱스트린, 검과 같은 천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담체이다.
상기 고형방향제 제조시 첨가되는 향료베이스와 향료 담체의 혼합비는 고형방향제 100중량%에 대하여 각각 20∼70중량% 및 30∼80중량%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30∼60중량% 및 40∼70중량%이다. 이때, 담체 함량이 30중량% 미만에서는 담체의 효능이 충분치 않아 향료가 담체 표면에 이행되어 균일한 고형방향제를 얻기 어렵고, 향료 코팅처리시 코팅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80중량%를 초과하면 향료의 양이 적어져 향 강도가 떨어지게 되고 향기 발산이 적어지게 된다.
상기 고형방향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코팅제는 실란(silanes) 화합물이다. 실란 화합물은 고형방향제의 담체와 가수분해 반응과 응축 반응을 통한 고형방향제의 담체와 수소결합을 통한 반응을 일으켜 결합, 코팅하게 되어 고형방향제의 담체에 포접 또는 함침된 향료의 손실을 막아주어 고형방향제의 향 강도 지속, 열에 대한 안정성, 보향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란 화합물은 담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나 통상적으로 디아민 타입, 아민타입, 메타아크릴레이트 타입, 스티릴아민 타입, 에폭시 타입, 메틸 타입, 클로로알킬 타입, 페닐 타입, 에폭시/멜라민 타입, 비닐 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비닐 타입, 클로로알킬 타입, 메타아크릴레이트 타입의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고형방향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5.0중량부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0.1∼3.0중량부 첨가한다. 0.05중량부 미만에서는 코팅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중량부를 초과하여 더 첨가하여도 효과가 증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제조한 고형방향제를 수지에 혼합하여 방향플라스틱을 제조할 때 발포제를 첨가하여 향의 지속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포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과 같은 무기탄산염, 아질산암모늄과 같은 무기질산염, 아지드화합물, 붕수소화나트륨, 경금속, 아조디카본아마이드, 디니트로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록사이드, 톨루엔설포닐하이드록사이드와 같은 무기발포제 및 유기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과 같은 무기탄산염과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목적하고 있는 향의 지속성과 보향성 향상을 위해서는 오픈셀(open cell) 구조의 미세한 발포가 필요하므로 분해생성 기체가 거의 이산화탄소로 수지에 대한 투과성이 크기 때문에 연속기포(오픈셀) 구조의 발포체가 얻어지는 무기탄산염과 분해시 자기소화성이며 입도조절이 자유로운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해온도 및 분해속도의 조절을 위하여 발포분해 촉진제로 Zn, Pb, 또는 Cd 등의 금속 산화물, 및/또는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발포제의 사용량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1중량부이며, 발포분해촉진제의 사용량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0.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0.3중량부이다. 상기 발포제의 사용량이 0.01중량부 미만에서는 발포제에 의한 향의 보향성, 지속성의 효과가 없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가 심하게 되어 표면이 나빠지고 셀이 커져 보향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조성물들을 리본 블렌더와 같은 저속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물리적 혼합후 기존의 단축 또는 이축 압출성형기를 활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여 펠렛 상태로 사용하거나, 사출, 압출, 압축 및 블로우 성형기를 활용하여 원하는 성형품(예를 들어, 필름/쉬트류, 블로우 성형품, 자동차 내장부품, 건축 인테리어 부품, 완구류, 인형충진물 등등)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최대의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가공 공정중의 온도와 압력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회전식 텀블러를 이용하여 캐리어로서 실리카겔 100중량부를 텀블러 내부에 투입한 후 회전속도 80rpm, 내부온도 80℃, 진공압 60cmHg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실리카겔 표면의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텀블러 내부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회전속도 150rpm에서 라벤다 향료 100중량부를 30분간 2회에 걸쳐 분사 투입 및 표면코팅제로서 미국 다우 코닝사의 실란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중량부를 병행 투입 후 추가 30분간 1시간 함침시키면서 라벤다 함침 향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라벤다 함침 향 파우더 50g을 폴리프로필렌 950g과 잘 혼합하여 이축교반 압출기에서 스크류 속도 300rpm, 토오크 60Kg/㎠ 압출기 배럴온도 60℃/130℃/140℃/140℃/140℃/150℃/150℃/150℃/160℃의 조건으로 압출, 혼련시켜 향기나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펠렛을 노화시험기 80℃에서 10일동안 향 발산에 따른 무게감소와 패널요원 5인에 의한 관능시험을 통해 향기지속성 평가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2
향기나는 수지 펠렛을 HAAKE사의 RHEOCORD 90 블로운 필름 가공설비를 이용하여 블로우-업 비(BLOW-UP RATIO)=5, 테이크-업 속도(TAKE-UP SPEED)=15m/분, 스크류 속도(SCREW SPEED)=50rpm, 배럴온도 130℃/165℃/185℃/195℃로 하여 두께 40mm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향기 지속성평가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코팅제로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대신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대신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대신 아이오노머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대신 k-resin(미국 필립스사 제조)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향원으로 라벤다향 대신 라일락향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향원으로 라벤다향 대신 바닐라넛트향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향원으로 라벤다향 대신 딸기향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향료 파우더 50g에 발포제로서 중탄산나트륨 20g, 아조디카본아마이드 5g을 폴리프로필렌 950g과 잘 혼합하여 이축교반 압출기에서 스크류 속도 300rpm, 토오크 60Kg/㎠ 압출기 배럴온도 60℃/140℃/150℃/150℃/150℃/160℃/160℃/160℃/170℃의 조건으로 압출, 혼련시켜 향기나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향기 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함침향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고 라벤다향 향료 원액(액상) 5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함침향 파우더를 제조할 때 표면코팅제를 사용하지 않고 함침향 파우더 5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관능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시험방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향 펠렛 30g을 단면적 6cm, 길이 10cm 원형 플라스틱 용기에 담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과 관계없는 패널요원 5인이 냄새를 맡아 향 강도 평가.
○ 판정기준: 향강도에 따라 5등분하여 2, 4, 6, 8 및 10점으로 표기하고, 총 5회 평가하여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평균값으로 계산
향 지속성 시험 결과
건조오븐(80℃)에서의 향 발산도(%)
초기 3일 5일 7일 10일
실시예 1 100 57 48 36 24
실시예 2 100 45 36 22 16
실시예 3 100 61 52 42 29
실시예 4 100 65 58 47 32
실시예 5 100 52 37 29 20
실시예 6 100 53 39 31 21
실시예 7 100 50 38 28 18
실시예 8 100 65 52 44 32
실시예 9 100 67 54 48 36
실시예 10 100 63 50 41 30
실시예 11 100 68 56 48 37
비교예 1 100 12 5 3 1
비교예 2 100 51 40 28 18
관능시험
관능시험 비고
초기 3일 5일 7일 10일
실시예 1 10 7.8 6.4 5.8 4.2 우수
실시예 2 10 5.5 4.2 2.8 3.1 양호
실시예 3 10 8.4 6.6 6.0 4.4 매우 우수
실시예 4 10 8.5 6.5 6.2 4.5 매우 우수
실시예 5 10 7.4 6.0 5.2 3.7 보통
실시예 6 10 7.0 5.8 4.9 3.6 보통
실시예 7 10 7.5 6.1 5.3 3.8 양호
실시예 8 10 8.2 6.6 6.0 4.6 매우 우수
실시예 9 10 8.4 6.7 6.1 4.8 매우 우수
실시예 10 10 7.8 6.5 5.4 4.3 양호
실시예 11 10 8.6 6.7 6.4 4.9 매우 우수
비교예 1 10 3.2 2.1 1.0 0.3 매우 불량
비교예 2 10 5.9 4.5 3.0 2.8 양호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서방형 방향 고분자 조성물은 향이 함침될 수있는 적절한 무기물의 다공성 물질에 향을 함침시키고 제조된 방향 고형물에 고분자 코팅물질로 화학반응 코팅시키므로서 고분자의 가공 공정중 고온에 안정적이며 발향 강도 외에도 향 강도의 지속성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분자 가공 공정중에 발포제를 사용시 수지 표면적의 확대로 인하여 발향성 및 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합성수지 100중량부 및 고형방향제 0.5∼70중량부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형방향제는 30∼80중량%의 향료 담체, 20∼70중량%의 향료베이스 및 이들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5.0중량부의 코팅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이 공중합된 블록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스타이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아이오노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담체는 실리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다공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덱스트린 및 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료베이스는 천연향료, 합성향료, 이들의 조합형태 또는 상기 향료에 유화제를 혼합한 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0.01∼3.0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및 아조디카본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합성수지를 제공하는 단계;
    향료 담체에 향료베이스를 혼합하거나 향료 담체에 향료베이스를 스프레이 분사시키면서 100∼1500rpm의 믹서에서 3∼20분 정도 혼합한 다음, 코팅제를 첨가하여 100∼1500rpm의 믹서에서 3∼20분 정도 혼합한 고형방향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수지 100중량부 및 고형방향제 0.5∼7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0.01∼3.0중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필름, 쉬트, 블루로우 성형품, 자동차 내장부품 건축인테리어 부품, 완구류 또는 인형충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02-0003827A 2002-01-23 2002-01-23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045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827A KR100458129B1 (ko) 2002-01-23 2002-01-23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827A KR100458129B1 (ko) 2002-01-23 2002-01-23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614A KR20030063614A (ko) 2003-07-31
KR100458129B1 true KR100458129B1 (ko) 2004-11-18

Family

ID=3221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827A KR100458129B1 (ko) 2002-01-23 2002-01-23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074B1 (ko) 2016-06-28 2016-12-02 (주)화이트트리 향 지속성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KR20190140646A (ko) 2018-06-12 2019-12-20 (주)화이트트리 마블링 문양을 갖는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429A (ko) * 2002-07-10 2004-01-16 문영철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722191B1 (ko) * 2006-04-19 2007-05-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내구성 방향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방향 섬유
KR101490625B1 (ko) * 2013-10-14 2015-02-05 삼성토탈 주식회사 냄새가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628441B1 (ko) * 2013-11-26 2016-06-08 황문구 유무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4116A (ko) 2017-08-31 2019-03-08 (주)아이디알 가정용 진공포장기
KR200493167Y1 (ko) * 2019-08-09 2021-02-09 송화섭 방향 조형물
KR102625531B1 (ko) * 2020-09-21 2024-01-15 이광권 향 방출 특성을 가진 인조 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944A (en) * 1978-11-13 1980-10-07 Tenneco Chemicals, Inc. Process for a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fragrance
JPH09202852A (ja) * 1996-01-26 1997-08-05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00031722A (ko) * 1998-11-09 2000-06-05 이정국 봉제 인형 충전용 방향성 수지 조성물
KR20010035366A (ko) * 2001-02-07 2001-05-07 김권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20020024039A (ko) * 2002-01-22 2002-03-29 이민영 향기가 오래 보존되는 발향수지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30040636A (ko) * 2001-11-15 2003-05-23 에스케이 주식회사 방향능을 갖는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통기성 필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944A (en) * 1978-11-13 1980-10-07 Tenneco Chemicals, Inc. Process for a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fragrance
JPH09202852A (ja) * 1996-01-26 1997-08-05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00031722A (ko) * 1998-11-09 2000-06-05 이정국 봉제 인형 충전용 방향성 수지 조성물
KR20010035366A (ko) * 2001-02-07 2001-05-07 김권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20030040636A (ko) * 2001-11-15 2003-05-23 에스케이 주식회사 방향능을 갖는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통기성 필름
KR20020024039A (ko) * 2002-01-22 2002-03-29 이민영 향기가 오래 보존되는 발향수지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074B1 (ko) 2016-06-28 2016-12-02 (주)화이트트리 향 지속성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KR20190140646A (ko) 2018-06-12 2019-12-20 (주)화이트트리 마블링 문양을 갖는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614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0852A (en) Deodorizing polyolefin resin compositions and formed deodorizing articles containing a mixture of a zinc compound and a sulfate of aluminum
KR100458129B1 (ko)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US3775227A (en) Pigmented polymeric artificial floral product substrates with imparted fragrance essential oil of long duration
CN1127289C (zh) 含有挥发性化合物的控释组合物
KR101705604B1 (ko) 탈취능이 부여된 마스터배치 및 이를 사용한 필름 및 용기의 제조방법
KR100431360B1 (ko)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100607015B1 (ko) 방향 지속성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이들의 용도
CN109890500B (zh) 臭气物质的吸附剂
KR101682074B1 (ko) 향 지속성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JP2014525818A (ja) カラギナンゲルの空気清浄剤
JPH0262147B2 (ko)
JP352090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5246053A (ja) 消臭剤およびその成形品
CN1902125A (zh) 释放二氧化氯的复合制品
JP4620833B2 (ja) 香気徐放性に優れた木質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樹脂成形体
JP2015044771A (ja) 香料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54401B1 (ko) 향 지속성이 우수한 방향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3982032B2 (ja) 抗菌性樹脂組成物
JPS6121159A (ja) 芳香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50006809B1 (ko) 향기를 발산하는 정제 제조방법
JP3571554B2 (ja) 脱臭・抗菌剤組成物、脱臭・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脱臭・抗菌性樹脂成形物
KR20240055178A (ko) 방향제 패드용 팰릿 제조방법
KR102115730B1 (ko) 마블링 문양을 갖는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KR20040037603A (ko) 항균비닐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55179A (ko) 방향제 패드용 팰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