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015B1 - 방향 지속성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방향 지속성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015B1
KR100607015B1 KR1020017001672A KR20017001672A KR100607015B1 KR 100607015 B1 KR100607015 B1 KR 100607015B1 KR 1020017001672 A KR1020017001672 A KR 1020017001672A KR 20017001672 A KR20017001672 A KR 20017001672A KR 100607015 B1 KR100607015 B1 KR 10060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plastic
polymer
article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341A (ko
Inventor
라이너 안데릭
옌스 크레메스쾨터
엘마 마일란
노르베르트 귄터베르크
페터 이테만
위르겐 호프만
하인리히 작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7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쇄 또는 미립자의 제1 중합체 물질을 원하는 방향 물질과 혼합하여 소정 시간 동안 팽창시킨 후, 소정의 압력 하에 소정의 온도에서 후속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중합체 물질은 방향 물질과 함께 팽창시킨 후 제2 플라스틱 물질과 혼합하고, 이 때 제1 중합체 물질과 제2 플라스틱 물질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방향성 중합체는 제2 플라스틱 물질로서도 중합체가 사용됨으로써 생성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에 관한 것이기도 하며,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함유한 물질이나 물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방향성 중합체, 플라스틱, 방향 물질, 향료 오일

Description

방향 지속성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이들의 용도 {Polymers and Plastics with Long-Lasting Odor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방향성 중합체와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 자체, 및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성형 조성물과 물품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방향성 플라스틱의 제조하려는 노력은 이미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하지만 그 과정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을 수 없다. 미리 준비된 플라스틱을 예를 들어 향수 같은 원하는 방향 물질(odorant)의 필요량과 혼합하여, 이어서 이 혼합물을 플라스틱으로 가공시킬 경우, 방향 물질의 상당량이 증발하거나 열에 의해 분해된다. 실제로 플라스틱에 남아 있는 방향 물질도 안전하지 못하다. 플라스틱이 식어서 굳은 뒤에 플라스틱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방향 물질은 굳은 플라스틱의 표면으로 나와서 플라스틱은 보기 흉하게 두툼하고 일그러진 모양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값비싼 방향 물질이 대량으로 없어지는데도 속수무책이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DE-A-16 94 055를 통한 종래 기술에서 담체 물질로서 이산화규소 분말을 생성되는 혼합물이 작은 덩어리를 형성할 때까지 액상 방향 물질과 혼합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작은 덩어리에 처음에 사용된 것보다는 겉보기 밀도가 낮은 이산화규소 분말을 넣고 크기가 0.05 ㎜ 이하인 작은 덩어리를 만든다. 그 후 이를 플라스틱과 혼합한다.
이 방법의 단점은 이와 같이 가공된 플라스틱 내에 고체 무기물이 함유되어 있어서 충격에 잘 견디는 성질이나 투명성과 같은 플라스틱 고유의 특성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DE-A-37 21 916은 분말 형태의 다공성 담체 물질을 이용하여 시작하는데, 무기물 뿐 아니라 유기물로 된 이 담체 물질은 플라스틱이나 플라스틱 혼합물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원하는 방향 물질은 다공성 담체 물질에 흡착되고, 예를 들어 압출 성형과 같은 후속 가공을 위해 플라스틱과 혼합된다.
플라스틱이 가공되는 동안 방향 물질이 중합체 매트릭스에 확산된다. 여기에서의 단점은 가공 과정에서 방향 물질이 중합체 매트릭스에 확산되면서도 방향 물질이 손실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방향 물질이 각 담체 물질의 다공도를 통해 담체의 공극에 흡수되기보다는 흡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성 중합체, 특히 지속적인 방향 효과를 가지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과, 이러한 방향성 중합체와 방향성 플라스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잘게 부셨거나 미세한 제1 중합체 물질, 특히 플라스틱 물질을 원하는 방향 물질과 혼합하여, 소정 시간 동안 팽창시키고, 소정의 압력 하에 소정의 온도에서 후속 가공하는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잘게 부셨거나 미세한 제1 중합체 물질을 원하는 방향 물질과 혼합하여 소정 시간 동안 팽창시킴으로써 방향 물질이 제1 중합체 물질의 각 입자에 스며들 수 있다. 중합체 입자들은 방향 물질로 완전히 채워진다. 이에 상응하여 팽창시킨다는 것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보면, 담체 물질로 사용된 제1 중합체의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중합체 망에 방향 물질이 흡수되는 것을 뜻한다. 여기에서 방향 물질이 제1 중합체 물질에 균질성을 유지되도록 분배된다는 것이 전제가 된다. 거대 다공성인 물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중합체 골격을 채우지 않고, 단지 방향 물질로 채워진 기공들만이 생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후속 가공은 방향 물질이 충분한 열적 안정성을 가진다면, 일반적인 방법대로 융해와 뒤이은 균질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열 안정성이 낮은 방향 물질에 대해서는 아래에 특수한 가공법이 소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1 중합체 물질을 방향 물질과 함께 팽창시킨 후 제2 플라스틱 물질과 혼합할 수 있고, 그 후 융해하고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2 플라스틱 물질과 함께 육안으로 보기에 거의 균질성이 유지되도록 분배가 이루어진 방향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충실한 물질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제1 및 제2 물질은 담체 물질로서의 제1 중합체 물질과 제2 플라스틱 물질로 구분된다. 이는 제1 중합체 물질이 열가소성 플라스틱일 수 있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제2 플라스틱 물질은 또한 분쇄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 니다.
제1 중합체 물질과 제2 플라스틱 물질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만약 제1 중합체 물질이 제2 플라스틱 물질과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의미에서 보면 제2 플라스틱 물질로서 플라스틱 물질이 아닌 중합체 물질도 제2 플라스틱 물질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방향성 중합체가 생성된다. 만약 방향 물질을 위한 고유 담체 물질로 쓰이는 제1 중합체 물질이 제2 플라스틱 물질과 다르다면, 제1 중합체 물질로서 특히 입자형 가교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 형태의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상기 엘라스토머는 탄성 고무의 성질도 가지고, 그 유리 전이 온도 Tg는 제2 플라스틱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 Tg 보다 낮다. 더욱 이상적인 것은 유리 전이 온도가 0℃이거나 그 이하, 특히 영하 10℃ 미만인 경우다.
이런 형태의 제1 중합체 물질들은, 방향 물질들을 흡수하여 팽창되는 육안으로 보기에 작은 망을 만들도록 특정 방향 물질들로 포화될 수 있다. 방향 물질로는 방향 오일을 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중합체나 플라스틱은 방향 물질로 페로몬이나 에코몬(ecomone)이 쓰인다면 특별하게 쓰일 수 있다. 지금까지 페로몬으로 코팅하거나 적신 판이 해충 박멸용으로 효험이 있어 널리 쓰였다. 이러한 페로몬 사용이 대부분 자연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제품은 기상 변화에 노출되어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자주 갈아줘야 했다. 왜냐하면 작용 물질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방향 물질을 기상 변화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향 물질들을 특정 플라스틱에 넣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플라스틱들은 지속적으로 향기가 나는 얇은 판이나 널빤지 또는 그 밖의 다른 물체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방향성 중합체나 플라스틱을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인간의 후각으로 받아들여지는 중합체나 플라스틱에 제한된 것이 아니라, 동물, 특히 해충의 미세한 후각 신경에 의해서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냄새를 가진 방향성 중합체나 플라스틱까지 포괄하는 것이다.
제1 중합체 물질을 상기 방향 물질 또는 방향 오일과 혼합하는 것은 밀폐 용기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료 오일이 제1 중합체 물질을 채우기 위해 완전히 준비되고 주변으로 새지 않게 된다. 제1 중합체 물질의 분말을 만들기 위한 물질로는 예를 들어 분무 건조 중합체 분산액 또는 플라스틱 분산액이 적합하다.
사용되는 방향 물질의 성질, 특히 물질의 온도 안정성을 고려하여 분말 형태의 제1 중합체 물질을 방향 물질과 혼합하고 팽창시키는 제1 단계 이후에 후속 단계에서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을 만들기 위해 개별적으로 방향 물질에 맞추어 가공 방법을 변경해 줄 수 있다. 이 때 제2 플라스틱 물질은 분쇄된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열 안정성이 매우 낮은 방향 물질들의 후속 가공 방식은 제1 중합체 물질을 팽창시킨 후 물질을 고압 하에 대략 실온에서, 또는 제2 플라스틱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로 약간 가열한 온도에서 (유리 전이 온도에 아주 조금 못 미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임) 제2 플라스틱 물질과 혼합하는 것이다. 제2 플라스틱 물질로는 저온류 현상을 이용하여 이미 낮은 온도에서 융해시킨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제2 플라스틱 물질은 제1 중합체 물질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상이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명된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페로몬이나 에코몬에 특히 적합하다.
고온에 비교적 덜 민감하거나 거의 민감하지 않은 방향 물질들은 제1 중합체 물질을 팽창시킨 후 물질을 역시 고압, 제1 중합체 물질이나 제2 플라스틱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높인 온도 (유리 전이 온도을 아주 조금 초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임)에서 제2 플라스틱 물질과 혼합할 수 있다.
하지만 온도에 특별히 민감하지 않은 방향 물질들은 일반적인 압력과 온도에서 예를 들어 압출 성형과 같은 가공을 할 수 있다. 그러면 방향 물질로 채워진 제1 중합체 물질과 예를 들어 과립 형태의 제2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혼합 기계에서 보통 압력과 높인 온도 하에서 융해되거나 균질화될 수 있다. 혼합 기계에서 융해시키기는 예를 들어 압출 성형기나 혼련기에서 행해질 수 있다. 균질화한 후에 나온 융해물은 펠릿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어서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대한 보통 가공 방식에 따라 가공될 수 있다.
제1 중합체 물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물질은 열가소성 물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래프트 고무, 재생가능한 원료에 기초한 중합체, 또는 전분에 기초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이다. 제1 중합체 물질로서는 재생가능한 원료에 기초한 중합체의 한 예로서 폴리락트산,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스티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이트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질들은 제2 플라스틱 물질로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며, 이 경우 이들과 폴리카르보네이트와의 혼합물이 고려된다. 상기한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들에 대한 예들은, 폴리스티렌 (PS), 특히 충격에 강한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ASA),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NBR),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SBS)이다. 분쇄된 상태의 초강력 흡수 물질을 사용했을 때도 좋은 결과를 얻었다.
제1 중합체 물질은 예를 들어 분무 건조나 응고와 건조를 통해 얻어지는 탈수 유화 중합체 형태일 수 있다. 용해물의 침전으로 얻어지는 미세한 중합체 분말은 제1 중합체 물질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 자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간단함을 위해 앞으로 방향성 플라스틱에 관해 설명한다. 이는 사용된 물질로 플라스틱이 아닌 방향성 중합체가 만들어지는 가능성에 관한 것도 포함한다. 방향성 플라스틱은 펠릿 모양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물로부터의 방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동물들이라 함은 해충, 특히 해로운 벌레들을 말한다. 하지만 동물로부터의 방어라 함은 개나 고양이, 또는 다른 작은 동물들과 같은 가축들이 적합하지 않은 곳에서 일을 저지르는 것을 막고 이들을 쫓아내는 것까지 포괄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주로 방향성 플라스틱으로 된 펠릿들이 쓰일 수 있고, 특히 알맞게 부합되고 잘 알려졌으며 동물들을 쫓는 방향 물질을 입힌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된 펠릿이 선호된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들은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중합체와 같이 재생 가능한 원료에 기초한 중합체, 또는 전분에 기초한 또는 합성 물질에 기초한(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아미드나 분지된 폴리에스테르에 기초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작용 물질이 장시간 동안 효과를 가지고 비가 와도 플라스틱에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성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펠릿 형태로 완성된 플라스틱에 함유된 방향 물질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을 마스터배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방향 물질의 함유량을 높이는 것은 예를 들어 제1 중합체 물질과 제2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비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성형 조성물의 용도 또는 물품의 고유한 냄새를 변화시키고(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용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무수한 이용 가능성들이 있으며, 이 때 특히 플라스틱의 피할 수 없는 불쾌한 냄새를 다양하게 이용하는 과정에서 숨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한 예로 자동차의 내부를 들 수 있다. 자동차 내부에서는 계기판, 중앙 콘솔, 내장용 비닐 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품들이 아직 새 것인 상태에서 플라스틱 냄새를 심하게 풍길 수 있다. 방향성 플라스틱 또는 그것으로 만들어진 물질들을 사용함으로써 이런 불쾌한 냄새를 숨길 수 있다. 전문가들에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에 쓰일 수 있는 무수히 많고 다양한 방향 물질들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동차 업체들에게는 여러 가지 변형 가능성들이 제공된다. 예로서는, 가죽, 상쾌한 실내공기, 꽃, 숲, 또는 향수 냄새가 나는 플라스틱들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이용 가능성으로는 예를 들어 창틀이나 방충 시설의 부품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를 덮어버리는 것이 있다. 여기에서도 설치 후 일주일 동안 나는 냄새가 매우 불쾌하게 느껴지는데, 예를 들어 레몬 향기로 그 냄새를 숨길 수 있다.
그 밖에 여러 가지 플라스틱으로 된 물체,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 케이스나 냉장고의 플라스틱 부분들이 자신들의 재료인 플라스틱 냄새를 불쾌하게 풍길 수 있는데, 그 냄새들은 ABS 플라스틱이나 충격에 강한 폴리스티렌 냄새 같은 것들이다. 이 냄새들도 원하는 향기로 다양하게 변화를 줄 수 있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숨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방향성 중합체나 방향성 플라스틱 및(또는) 방향성 중합체나 방향성 플라스틱을 포함한 성형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 물품은 플라스틱 성형품 또는 반제품 형태,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물품, 또는 필름, 시트, 관, 홈 형태를 할 수도 있다. 방향성 중합체나 플라스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한 그 자체에서도 향기가 나는 물품은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 한편으로 이 물품은 방향성 중합체나 방향성 플라스틱, 및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에 관해 이미 명시된 용도를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이 물품은 실내 공기를 개선시키는 데에도 쓰일 수 있다. 그러면 이 물품은 향기 디스펜서로 사용되어 플라스틱에 함유된 방향 물질의 양이 너무 과다하지 않도록 해 준다. 그래서 이것이 사무실이나 그 밖의 주거 공간에 쓰일 때 은은하고 수용될 수 있을 만큼의 향만 내는 것이다. 이 향기 디스펜서로서 사용된 물품이 위생 시설에서 이용될 경우에는 다소 많은 양의 방향 물질이 나오도록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물체가 사출 성형 방식으로 가공되어 만들어진다면 때에 따라 어떤 형태로도 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것이다. 그러면 예를 들어 레몬향이 나는 레몬, 솔방울 향이 나는 소나무 같이 향기에 해당하는 모양을 갖춘 것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향기가 나는 물품은 장식용으로도 적합하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가전제품이나 전화기, 컴퓨터 케이스 등과 같은 일상 용품 안에 넣는 것이다. 알맞는 방향 물질을 선택할 수 있어서 긍정적인 구매 효과를 유발하는 한편, 컨디션을 향상시키고, 집중력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볼펜이나 기타 작은 부품들과 같은 광고물들이 방향성 플라스틱이나 방향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을 함유함으로써 고객마다 특이적인 향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향기나는 카드, CD 포장재, 카세트 포장재 또는 전화 카드나 칩 카드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물품을 시트 형태로 만들면, 이들은 포장용 필름이나 예를 들어 생선 냄새를 없애기 위해 냉장고에 붙이는 향기 스티커 또는 옷장이나 보관함용 향기 스티커로 쓰일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알맞은 방향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해충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때 해충이라는 개념은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며, 그것은 벌레 뿐만 아니라, 쥐, 들쥐, 담비 등 작은 동물들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알맞은 방향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전기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적절한 퇴치용 케이블 절연 재료가 쓰일 수 있다. 이 때는 케이블 절연 재료 뿐만 아니라, 작은 동물이 깨물었을 때 위험한 부품도 고려해야 한다. 벌레들 중에서 방어를 해야 할 해충들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나방들 외에도 모기와 개미도 생각해야 한다.
방향성 플라스틱, 방향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 또는 물품의 사용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해서, 표본이나 예를 통해서만 제시할 수가 있다. 일상 생활의 다른 분야에서도 그 사용법은 임의대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향기가 나는 어린이 장난감들도 적합한 향기가 나는 플라스틱을 선택하여 만들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제1 중합체 물질은 분무 건조된 폴리부타디엔과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 건조된 고무 200 g을 나사 캡이 달린 1000 ㎖짜리 유리병에 채웠고 방향 물질인 시트랄(Citral) 또는 시트로넬롤(Citronellol) 10 내지 20%와 혼합하였다. 이어서, 유리병들은 48시간 동안 회전 탁자 위에서 굴렸다. 이 때 방향 물질은 균질성을 유지하면서 고무에 혼합되었다.
이렇게 미리 처리된 고무는 먼저 융해 지수(220˚/10 kg)가 62 g/10분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10 내지 20%와 혼합되었고, 그 다음, 융해 지수(275˚/5 ㎏)가 120 g/10분인 나일론 6과 같은 혼합비로 혼합되었다. 그후 각각은 고무-펠릿 혼합물을 반대 방향으로 도는 스크류를 가진 압출 성형기에서 배합하였다. 이 때 기계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았다:
스크류 회전수: 200 rpm
온도: 주입부: 30℃
처리부: 220℃
처리량: 1.5 ㎏/h
표 1에 실시예 1에 따라 실행된 실험이 나와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중합체 물질이 유체층 건조기로 건조시킨 그래프트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 그래프트 고무는 DE-B-24 27 960에서와 같이 만들어졌다. MgSO4를 이용하여 침전시킨 후, 원심 분리를 통해 약 28%의 수분을 미리 탈수시켰다. 이 그래프트 고무의 100부를 시트로넬롤 25부로 처리하여 실시예 1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혼합되었다.
이렇게 미리 처리된 그래프트 고무 40부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융해물 (SAN) 60부와 함께 230℃에서 정방향으로 도는 스크류를 가진 압출 성형기에서 골고루 혼합하였다. SAN 융해물 중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35%였다. 이를 통해 레몬향이 짙게 나는 제공물이 제공되었는데, 이 융해물은 판이나 막대기 같은 물체에 뿌려져, 이 물체들은 지속적으로 강렬한 레몬향을 낸다. 필름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물체들을 수개월 간격으로 향기 테스트를 받았다. 그 결과 10개월의 긴 시간이 지난 뒤에도 레몬향이 그대로 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실시예 2a:
실시예 2에 따라 만들어진 그래프트 고무와 시트로넬롤의 혼합물은 완성된 혼합물 내에서 방향 물질이 묻은 그래프트 고무의 약 30%만이 남는 방식으로 SAN과 혼합되었다. 이 혼합에서도 짙은 레몬 향기는 여전했다.
다시 수개월이 지난 뒤 향기 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 10개월이 지난 뒤에도 은은하고 기분 좋은 과일향이 그대로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1 내지 2-7:
실시예 2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표 2에 나와 있는 중합체 물질과 플라스틱 물질 (함유한 방향 물질도 표에 나와 있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플라스틱이 만들어졌다.
Figure 112001002665273-pct00006
Figure 112001002665273-pct00007
Figure 112001002665273-pct00003
실시예 3:
실시예 1에 의해 만들어진 그래프트 고무와 방향 오일 혼합물은 또한 표 3에 제시된 물질들과 방향 물질들로 만들어졌다. 3-11 내지 3-14의 물질들에서는 완전 생분해성 중합체에 관해 다루고 있다. 투입된 방향 물질들은 온도에 민감하다.
각각의 방향 물질들을 제1 중합체 물질에 혼합한 후, 이것은 각각의 분말 또는 펠릿 형태의 제2 플라스틱 물질들과 혼합되고 온화한 조건에서, 즉 사용된 열가소성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약간 높여진 온도에서 한 가지 형태로 만들어진다.
대안으로 제1 중합체 물질과 제2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 혼합물이 가열된 롤들 사이에서 필름으로 가공되었다.
이 변형된 과정에서는 가공 온도가 선택되는데, 그 온도는 압출 성형기에서 일반적인 온도보다 약 50~150℃ 낮다.
Figure 112004033783541-pct00008
Figure 112001002665273-pct00005
실시예 4:
이 실시예에 서술된 냉압 형태의 방법 변형은 특히 고온에 민감한 방향 오일에 대해 쓰인다. 이것은 많은 플라스틱들이 고압에서는 심지어 그의 융해 온도 미만에서도 융해되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방법에서 표 4에 제시된 제1 중합체 물질들을 또한 표 4에 제시된 방향 물질 오일과 혼합하여 각각의 방향 물질들이 제1 중합체 물질에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팽창시킨다.
사용된 제2 플라스틱 물질은 분말 또는 미세한 분말 형태인 표 4에 제시된 플라스틱 물질이다. 그 후 50 내지 70℃, 200바의 압력에서 이 분말 혼합물로부터 성형품을 압착시켰다.
이 과정은 특히 비점이 낮고, 제약 활성인 물질, 특히 천연물질에 적합하다. 표 3에 실시예 3-11 내지 3-14에서도 제시된 생분해성 중합체 (또는 같은 표에 제시된 고온에 민감한 방향 오일을 가짐)들을 위해서는 이러한 변형 방법이 매우 적합하다.
Figure 112004033783541-pct00009

Claims (21)

  1. 분쇄된 또는 미립자의 제1 중합체 물질을 원하는 방향 물질(odorant)과 혼합하여, 팽창시키고, 방향 물질과 함께 팽창시킨 후 제2 플라스틱 물질과 혼합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중합체 물질은 상기 제2 플라스틱 물질과 상이하며, 입자형 가교 플라스틱, 또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제2 플라스틱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낮은 0℃ 이하인, 고무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물질로서 방향 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물질로서 페로몬 및(또는) 에코몬(ecomon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 물질을 방향 물질과 혼합하고 팽창시키는 것을 밀폐 용기 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상기 제1 중합체 물질을 방향 물질과 혼합하고 팽창시킨 후, 고압 하에 실온에서, 제2 플라스틱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로 가열한 온도에서,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물질 또는 상기 제2 플라스틱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온도에서 분쇄된 분말 또는 펠릿 형태의 상기 제2 플라스틱 물질과 혼합함으로써 후속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합체 물질로서 열가소성 물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래프트 고무, 재생가능한 원료에 기초한 중합체, 또는 전분에 기초한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라스틱 물질이 폴리락트산,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거나, 스티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중합체,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중합체, 및 이들과 폴리카르보네이트와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8. 제1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
  9. 제8항에 있어서, 펠릿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동물로부터의 방어를 위한 것인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
  11. 제8항 기재의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물품의 고유한 냄새를 변화시키고(시키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것인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
  13. 제8항 기재의 방향성 중합체 또는 방향성 플라스틱, 및(또는) 제11항 기재의 성형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성형품 형태 또는 반제품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인 물품.
  16. 제13항에 있어서, 동물 해충으로부터의 방어를 위한 것인 물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1항에 있어서, 물품의 고유한 냄새를 변화시키고(시키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것인 성형 조성물.
KR1020017001672A 1998-08-07 1999-08-06 방향 지속성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이들의 용도 KR100607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2203A DE19842203A1 (de) 1998-08-07 1998-08-07 Kunststoffe mit lang andauernder Duftwirkung
DE19842203.2 1998-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341A KR20010072341A (ko) 2001-07-31
KR100607015B1 true KR100607015B1 (ko) 2006-08-01

Family

ID=788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672A KR100607015B1 (ko) 1998-08-07 1999-08-06 방향 지속성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102810B1 (ko)
JP (1) JP2002522586A (ko)
KR (1) KR100607015B1 (ko)
CN (1) CN1125116C (ko)
AT (1) ATE227319T1 (ko)
CA (1) CA2339738A1 (ko)
DE (2) DE19842203A1 (ko)
DK (1) DK1102810T3 (ko)
ES (1) ES2187182T3 (ko)
PT (1) PT1102810E (ko)
WO (1) WO2000008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11294U1 (de) * 2000-07-03 2001-08-16 Prokscha Ingrid Kunststoffelement für ein Telefon
EP1589143A1 (en) * 2004-04-19 2005-10-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appliance for washing and/or drying clothes with a bellow comprising a fragrance compound
EP1861452B1 (en) * 2005-03-23 2011-08-24 BIC Violex S.A. Scented handle for use in a razor
DE102005051892A1 (de) * 2005-10-29 2007-05-10 Ecs Environment Care Systems Gmbh Abgabesystem für die kontinuierliche Freisetzung flüchtiger Substanzen
CN102599143B (zh) * 2012-03-28 2014-10-29 郑军 一种便携式驱蚊装置
CN102790856A (zh) * 2012-07-30 2012-11-21 苏州原点工业设计有限公司 防宠物叼咬的监控探头
DE102013011882A1 (de) 2012-08-21 2013-09-26 UNIKOPF Innovations GmbH Verwendung von Duftöl als Weichmacher und duftender PVC-Kunststoff
CN102987969A (zh) * 2012-12-11 2013-03-27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容器及其制造方法以及具有该容器的生活用纸
CN102991861B (zh) * 2012-12-11 2015-05-06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容器及其制造方法以及具有该容器的纸产品
CN107119456B (zh) * 2017-05-18 2019-07-12 广东柏堡龙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驱蚊面料的制备方法
CN107510859A (zh) * 2017-08-31 2017-12-26 广东爱车小屋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香薰及其制备方法
WO2020155077A1 (zh) * 2019-02-01 2020-08-06 江苏金羿先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香氛的隔磁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089093A (zh) * 2020-10-13 2020-12-18 云南养瑞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增香降解塑料颗粒的制备方法及应用
CN115109415A (zh) * 2022-08-04 2022-09-2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配电开关柜缝隙封堵的封堵剂及制备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2356A5 (fr) * 1985-04-04 1987-09-30 Firmenich & Cie Article pour la diffusion de vapeurs assaississantes a base de resine polyamide et polyether.
JPH0699244B2 (ja) * 1985-04-10 1994-12-07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抗有害生物性を有する微小樹脂粒子
JPS62158724A (ja) * 1985-12-30 1987-07-14 Nippon Petrochem Co Ltd 薬剤含有粒状プラスチツクの製造法
US5173535A (en) * 1988-02-11 1992-12-22 Dow Corning Corporation Plastics containing sustained release of functional materials
FR2675387B1 (fr) * 1991-04-19 1995-06-23 Madec Daniel Procede d'obtention d'un objet parfume dans la masse et objet ainsi obten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16C (zh) 2003-10-22
KR20010072341A (ko) 2001-07-31
DK1102810T3 (da) 2002-11-25
CA2339738A1 (en) 2000-02-17
CN1322222A (zh) 2001-11-14
JP2002522586A (ja) 2002-07-23
EP1102810B1 (de) 2002-11-06
WO2000008095A1 (de) 2000-02-17
ES2187182T3 (es) 2003-05-16
DE19842203A1 (de) 2000-02-10
DE59903334D1 (de) 2002-12-12
PT1102810E (pt) 2003-03-31
ATE227319T1 (de) 2002-11-15
EP1102810A1 (de) 200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015B1 (ko) 방향 지속성 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이들의 용도
US6921581B2 (en) Plastic films containing a fragrance and an odor barrier material within and a method for their production
US7741266B2 (en) Process for preparing scented cellulosics and products prepared thereby
DE3611137C2 (de) Flüchtige Bestandteile freisetzender Formkörper und dessen Verwendung
CN109485998A (zh) 一种新型可降解的复合塑料及其制备方法
US6635344B1 (en) Composition absorbing odorous substances and releasing various active substances
CS257611B1 (en) Perfumed products from thermoplastics
KR102061394B1 (ko) 향이 오래 지속되는 방향제
EP2506885B1 (en) Gel air freshener
JPH05504348A (ja) 動物忌避性lldpe
KR101490103B1 (ko) 냄새제거 및 항균력 효과가 있는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
US20080245889A1 (en) Container with air freshener
DE1694055C3 (de) Herstellung eines geruchaussendenden Kunststoffes
CA2648493A1 (en) Container with air freshener
JPS6115827B2 (ko)
KR20020013945A (ko) 입자형 프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KR200324811Y1 (ko) 방향제
JPH09286704A (ja) パラジクロロベンゼ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組成物からなるパラジクロロベンゼン製剤
JP2003155353A (ja) 茶の芳香性、消臭性を有してなる熱可塑性樹脂成型物
JPH10179707A (ja) 芳香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
FR2765484A1 (fr) Procede d'obtention d'un objet parfume dans la masse et objet ainsi obtenu
FR2491335A1 (fr) Exhalateur a substrat polymerique, a haute concentration de substances volatiles, a decharge control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718030A1 (fr) Procédé d'obtention d'un objet parfumé dans la masse et objet ainsi obtenu.
FR2622769A1 (fr) Nouveaux agents repulsifs vis-a-vis des animaux,et articles ou materiaux en matiere plastique contenant ces agents
KR20050007053A (ko) 벽지용 스프레이향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