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360B1 -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360B1
KR100431360B1 KR10-2001-0005821A KR20010005821A KR100431360B1 KR 100431360 B1 KR100431360 B1 KR 100431360B1 KR 20010005821 A KR20010005821 A KR 20010005821A KR 100431360 B1 KR100431360 B1 KR 10043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ragrance
parts
weight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366A (ko
Inventor
김권
임대우
이성만
박종
이문연
Original Assignee
우리켐테크(주)
주식회사 마이크로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켐테크(주), 주식회사 마이크로캡 filed Critical 우리켐테크(주)
Priority to KR10-2001-000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3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분을 별도의 캐리어에 함유시킨 향파우더 및 마이크로캡슐화시킨 방향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를 함유한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분의 고분자 가공중 고온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의 확보와 서방성 기술의 병행 적용에 따른 초기의 우수한 향 강도 및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발향 강도가 유지되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for slow flavor emission}
본 발명은 수지에 방향성분을 함침 및 마이크로캡슐화(Micro-Encapsulation) 하여 방향성분을 함침시킨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분에 내열성을 부여하면서 동시에 발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함침시킨 것과 마이크로-인캡슐레이션시킨 파우더를 병행하여 수지에 함침시켜 우수한 서방성을 갖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고분자물질의 성형가공 온도는 통상 200℃ 수준의 고온에서 가공되는데, 종래에 발향 플라스틱용으로 발향성분을 직접 투입하여 적용한 결과 방향성분의 낮은 비점 때문에 가공중 대부분 휘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향성분을 실리카겔과 같은 무기물이나 덱스트린과 같은 천연물 또는 초산비닐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에 사전 함침후 적용한 것이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내열성 향상에 따른 가공 중 휘발성 문제는 일부 개선되었으나 추가 개선이 필요하며 또한 초기의 향 강도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성이 급격히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종래의 방향 수지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는 것이 불가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8-34312호에서는액체 향료를 20∼30 중량% 함침시킨 초산에틸렌비닐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방향성이 오래 지속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직조섬유 니트류 등 의복에 향기 또는 에센스를 함침시키기 위해 향기 또는 에센스를 마이크로캡슐화 하여 섬유에 함침시키는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89-13239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마이크로캡슐을 함침시킨 섬유의 경우 향기가 오래 지속되기는 하나 향기의 발산 정도가 미미하여 수지에 응용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분자물질 가공시의 고온에서 휘발성이 강한 방향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보향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초기의 향 강도는 캐리어에 함침된 방향성분의 발향을 활용하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마이크로캡슐의 서방성을 활용하여 원하는 강도를 지속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항균 및 항충력이 우수한 천연향을 적용할 경우 별도의 항균제 또는 유독 합성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항균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이며 위생 측면에서의 기능성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80℃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향발산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80℃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향관능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담체(carrier)에 방향성분을 흡착시키고 고착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항침향 파우더 0.1∼10 중량부, 방향성분을 벽재수지 및 계면활성제 등 첨가제를 사용하여 인캡슐레이션시키고 이를 건조하여 제조된 방향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한 함침향 파우더의 함량은 기재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5∼3.0 중량부의 함침향 파우더를 함유하는 것이고, 바람직한 방향 마이크로캡슐 파우더의 함량은 기재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5∼3.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재수지로는 통상적인 수지를 모두 망라할 수 있는바, 이때 바람직한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지방족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이오노머수지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재수지중 이오노머수지를 사용할 경우 향기의 발산이 적절하게 조정되는바 특히 상품명 Surlyn수지(미국 듀퐁사 제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침향 파우더에 있어서, 캐리어의 함량은 향료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20∼500 중량부 사용되고 고착제는 10∼40 중량부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사용되는 캐리어는 실리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와 같은 무기화합물, 다공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및 덱스트린, 검과 같은 천연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캐리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는 마이크로캡슐을 위한 벽재수지로 우레탄수지, 우레아-포르말린수지, 멜라민-우레아-포르말린수지 및 멜라민-포르말린수지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가 사용되고,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스티렌코폴리머계 및 폴리비닐알코올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분으로는 합성 또는 천연향으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사과, 포도, 레몬, 오렌지, 리모넨, 파인애플, 딸기, 모과, 구아바 등의 과일향; 장미, 라일락, 백합, 라벤더, 쟈스민 등의 꽃향; 천연바닐라, 헤이즐넛 등의 식물향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성분 중 천연 레몬, 천연 오렌지, 천연 리모넨, 천연 바닐라향 등을 사용할 경우 상기 천연향들의 항균활성으로 인해 방향 수지 조성물에 항균활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과자봉지, 쇼핑백, 폴리백, 사탕통, 화장품 케이스 등의 향기 나는 포장용품; 가구 장판, 벽지 등에 적용되는 향기 나는 합성피혁류; 골프공, 골프백, 골프장갑 등 향기 나는 골프용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함침향 파우더는 캐리어를 전처리후 향료를 흡착시키고 고착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이며,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는 향료를 유화상태로 만든 후 수지와 기타 첨가제를 사용하여 계면중합법, 인씨투중합법 등에 의해 인캡슐레이션시키고 이것을 스프레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순간 건조시켜 파우더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서방성 방향 고분자 조성물은 합성수지에 함침향 및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를 혼합하고 용융 성형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것이다. 이때 기재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지방족폴리에스테르수지, 이오노머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함침향 파우더의 캐리어로는 다공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및 실리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등과 같은 다공성 무기재료 또는 덱스트린, 검과 같은 천연물이 사용되며 점성이 높은 고착제를 첨가함으로서 200℃의 고온 가공시에도 향료의 휘발손실이 최소화 되도록하여 우수한 보향성을 갖게 된다. 함침향 파우더의 제조시 첨가되는 캐리어의 양은 향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향료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20∼500 중량부가 적정한 수준이나 바람직하게는 50∼20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50 중량부가 보향성 및 초기 향 강도에 가장 적합하며 이때 고착제는 10∼4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캡슐 파우더의 벽재 재료로 우레탄수지, 우레아-포르말린수지, 멜라민-우레아-포르말린수지 및 멜라민-포르말린수지가 사용되고 우레탄수지 및 멜라민-포르말린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스테아레이트, 스티렌코폴리머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사용되며 상기 수지 또는 계면활성제의 일부를 선택 적용시에 종류에 따라서는 초기 전구체의 부가 중합시 약염기의 첨가제를 사용하여야 하며 합성된 전구체의 축합중합시 약산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반응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제조시 벽재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계면활성제는 1∼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부가 유화형성시 가장 바람직하다. 약염기성의 첨가제로는 나트륨기, 칼륨기 등 알칼리금속이온을 지닌 유기산염화물이 주로 사용되는데 0.1∼5 중량부가 적절하다. 또한 약산성의 첨가제로는 아세트산, 포름산, 올레인산 등의 유기화합물이 사용되는데 0.01∼3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수지의 원활한 인캡슐레이션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캡슐은 고분자 가공시에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가공압력에 의해 벽재물질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 때 내부 심물질인 향료가 방출되어 캡슐의 서방성 역할이 크게 훼손될 수 있으므로 벽재의 막두께는 이러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조절되어야 하는 반면에 한편으로는 과다하게 디자인될 경우 향료의 서방성이 지나치게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2가지의 상반되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벽재 막두께로 제조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향 수지 조성 성분에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첨가물로 사용되어 왔던 산화방지제, 촉매잔사 중화제, 대전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내외부윤활제, 분산제, 안티블로킹제, 슬립제 등과 같은 유기 무기물질들을 추가하여도 사용상 문제가 없으며 또한 염료,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 등과 같은 색소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을 갖게 하는 데에도 제한은 없다.
상기의 조성물들을 리본블렌더와 같은 저속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물리적 혼합후 기존의 단축 또는 이축 압출성형기를 활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여 펠렛 상태로 사용하거나, 사출, 압출, 압축 및 블로우 성형기를 활용하여 원하는 성형품을 성형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이 때 최대의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가공중의 온도와 압력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분으로는 천연 또는 합성 방향성분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그중 상기 방향성분 중 천연 레몬, 천연 오렌지, 천연 리모넨, 천연 바닐라 향 등을 사용할 경우 상기 천연향들의 항균활성으로 인해 방향 수지 조성물에 항균활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천연향의 향균성능효과를 기술한다.
천연향료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천연 오렌지와 천연 레몬향료를 이용하여 가압밀착법의 항균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은 시험균액인 대장균과 포도상구균을 25℃에서 1시간동안 배양 후 균수를 측정하였고 향원액 일정 양을 각각의 균과 접촉시켰으며 접촉직후과 1시간후의 세균수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균감소율을 계산하였다.
균감소율(%) = {(Blank의 24시간후의 균수 - 접촉후 24시간후의 균수)
/ Blank의 24시간후의 균수} ×100
시험결과는 천연 오렌지향과 레몬향의 경우 1시간후에 균감소율이 97% 이상으로 우수한 향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압밀착법에 의한 항균시험 결과
구분 대장균 (Escherichia coli)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접촉직후(세균수 ml) 1시간후 (세균수 ml) 균감소율(%) 접촉직후(세균수 ml) 1시간후 (세균수 ml) 균감소율(%)
무첨가 6.5×103 6.7×103 - 6.1×103 6.2×103 -
오렌지 6.5×103 < 120 98.0 6.1×103 < 80 98.5
레몬 6.5×103 < 80 98.5 6.1×103 < 120 98.0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회전식진공함침기를 이용하여 캐리어로서 실리카겔 100g을 함침기 내부에 투입한 후 회전속도 60rpm, 내부온도 80℃, 진공압 60cmHg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실리카겔 표면의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함침기 내부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회전속도 150rpm에서 라일락향료 170g을 30분간 3회에 걸쳐 분사 투입 및 고착제로서 팔미테이트를 동시에 30g을 병행 투입 후 추가 1시간 함침시키면서 라일락 함침 향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라일락향료 200g과 유화제로 스타이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300g을 호모믹서에 투입하여 1시간 동안 300rpm으로 교반하여 유화상태로 만들면서, 동시에 별도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멜라민수지 10g과 37% 포르말린 30g을 60℃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가성소오다 1g을 투입하여 pH를 중성으로 조절후 상기 유화제가 교반되어있는 호모믹서에 이송하여 추가로 200분간 반응을 시키면서 포름산 1g을 투입하여 pH를약산성으로 조절하여 반응을 완료 시킨다. 상온으로 냉각후 암모니아 20g을 추가 투입하여 잔류포르말린을 제거하고 180℃에서 분무건조를 실시하여 라일락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라일락 함침향 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각각15g을 폴리프로필렌 970g과 잘 혼합하여 이축교반압출기에서 스크류 속도 300rpm, 토오크 60kg/㎠, 압출기 배럴온도 63℃/130℃/140℃/140℃/140℃/150℃/150℃/150℃/160℃의 조건으로 혼련 압출시켜 향기 나는 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펠렛을 노화시험기에서 일정온도 80℃에서 일정시간 10일 동안 향발산에 기인한 무게감소와 패널요원 5인에 의한 10점 관능시험을 통해 향기지속성 평가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 도 1 및 도 2와 같다.
(실시예 2)
향기 나는 수지 펠렛을 Haake사의 Rheocord 90 블로운 필름 가공설비를 이용하여 Blow-up ratio = 5, Take-up speed = 15m/분, Screw speed = 50rpm, 배럴온도 130℃/160℃/185℃/195℃로 하여 두께 40㎛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향기지속성평가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결과는 표 2, 도 1 및 도 2와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고착제로 팔미테이트 대신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함침향 파우더 10g,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2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 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함침향 파우더 20g,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1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대신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대신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폴리프로필렌 대신 이오노머(Ionomer)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 도 1 및 도 2와 같다.
(실시예 9)
PVC 61중량부, 가소제로서 DOP 24중량부, 첨가제 5중량부, 라일락향 함침 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각각 5중량부를 잘 혼합하여 PVC 더블링시트 제조기에서 180℃ 이상의 고온에서 필름으로 제조하였으며, 향기지속성평가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향원으로 라일락향 대신 천연향인 오렌지향을 함침 향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 도 1 및 도 2와 같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향원으로 라일락향 대신 천연향인 레몬향을 함침향 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향원으로 라일락향 대신 라벤더(Lavender)향을 함침향 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13)
실시예 1에서 향원으로 라일락향 대신 바닐라-넛(Vanilla-nut)향을 함침향 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비교예1)
실시예 1에서 함침향 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고 라일락향 향료 원액(액상) 30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 도 1 및 도 2와 같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고 함침향 파우더 30g만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 도1 및 도 2와 같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함침향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30g만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향기지속성평가 결과는 표 2, 도 1 및 도 2와 같다.
향지속성 시험 결과
80℃에서의 향발산도(%)(공기취환횟수:1회/hr) 관능시험 비고
초기 3일 5일 7일 10일 초기 3일 5일 7일 10일
실시예 1 100 60 47 35 28 10 8.2 6.4 5.9 4.0 우수
실시예 2 100 51 40 29 19 10 8.2 5.1 4.5 3.2 우수
실시예 3 100 56 42 31 24 10 5.8 4.1 2.9 2.6 양호
실시예 4 100 71 57 40 31 10 7.3 4.9 4.3 3.9 우수
실시예 5 100 50 32 27 18 10 8.9 5.3 3.5 2.9 양호
실시예 6 100 58 43 33 25 10 8.1 7.0 6.2 3.7 우수
실시예 7 100 56 43 34 22 10 8.4 6.9 5.5 3.4 우수
실시예 8 100 53 47 36 21 10 8.0 5.7 5.1 3.1 우수
실시예 9 100 65 58 48 30 10 7.8 5.4 3.8 2.7 양호
실시예 10 100 57 48 36 26 10 7.9 6.5 4.6 3.8 우수
실시예 11 100 53 44 33 23 10 7.5 5.9 5.3 2.5 양호
실시예 12 100 52 42 33 21 10 8.0 6.8 4.6 3.1 우수
실시예 13 100 54 43 32 27 10 7.2 6.3 4.1 2.8 양호
비교예 1 100 13 7 3 1 10 3.4 2.1 1.1 0.5 매우불량
비교예 2 100 50 36 25 18 10 6.8 5.3 3.6 1.6 불량
비교예 3 100 69 53 41 32 10 5.3 4.0 3.0 1.1 불량
단 1. 향발산도의 경우 80℃ 노화 가속화시험의 데이터이며, Arrenius식을 통해 실제 상온 25℃로 유추해 볼 때 80℃에서의 1일은 약 60일에 해 당함.
2. 관능시험의 경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개의 데이터의 평균값임.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함침향 및 마이크로캡슐 병행 적용에 의해 고분자 가공시의 열안정성 및 마이크로캡슐의 서방성 효과에 의한 향기의 보향성 및지속성이 극대화될 수 있었으며 후가공(필름 등)에 적용했을 때에도 그 효과가 우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이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로서 함침향 파우더와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를 병행 적용하였기 때문에 수지 가공중 고온에 안정적이며 함침향 파우더에 의한 우수한 초기 발향 강도 외에도 마이크로캡슐의 서방성에 의한 향 강도의 지속성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균력이 있는 천연물질의 향료를 사용시에는 항균성 등 부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기재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담체(carrier)에 방향성분을 흡착시키고 고착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항침향 파우더 0.1∼10 중량부, 방향성분을 벽재수지 및 계면활성제 등 첨가제를 사용하여 인캡슐레이션시키고 이를 건조하여 제조된 방향 마이크로캡슐 파우더 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향 파우더의 함량은 기재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5∼3.0 중량부이고, 상기 방향 마이크로캡슐 파우더의 함량은 기재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5∼3.0 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 지방족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이오노머수지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수지중 이오노머수지인 상품명 Surlyn수지(미국 듀퐁사 제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침향 파우더는 캐리어의 함량이 향료원액 100 중량부에 대해 20∼500 중량부 사용하고 고착제는 10∼40 중량부 사용하고, 사용되는 캐리어는 실리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와 같은 무기화합물, 다공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및 덱스트린, 검과 같은 천연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캐리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마이크로캡슐 파우더는 마이크로캡슐을 위한 벽재수지로 우레탄수지, 우레아-포르말린수지, 멜라민-우레아-포르말린수지 및 멜라민-포르말린수지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가 사용되고,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스티렌코폴리머계 및 폴리비닐알코올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성분으로는 합성 또는 천연향으로 사과, 포도, 레몬, 오렌지, 리모넨, 파인애플, 딸기, 모과, 구아바 등의 과일향; 장미, 라일락, 백합, 라벤더, 쟈스민 등의 꽃향; 천연바닐라, 헤이즐넛 등의 식물향 중 1종 이상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8. 삭제
KR10-2001-0005821A 2001-02-07 2001-02-07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10043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21A KR100431360B1 (ko) 2001-02-07 2001-02-07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21A KR100431360B1 (ko) 2001-02-07 2001-02-07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366A KR20010035366A (ko) 2001-05-07
KR100431360B1 true KR100431360B1 (ko) 2004-05-14

Family

ID=1970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821A KR100431360B1 (ko) 2001-02-07 2001-02-07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782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티케이케미칼 나노다공성을 갖는 서방성 미분말과 그 제조방법
KR20220109588A (ko) 2021-01-29 2022-08-05 백광현 친수성 또는 친유성 액상물질을 함유할 수 있는 서방성 고분자 스폰지 미분말 제조방법 및 응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876A (ko) * 2001-06-15 2001-07-27 신승엽 발향수지 조성물 및 그 제품
KR20020023694A (ko) * 2001-12-06 2002-03-29 이재식 마이크로캡슐향 변기세정제 제조방법
KR20030062154A (ko) * 2002-01-16 2003-07-23 이상범 향기나는 목재패널
KR100626752B1 (ko) * 2002-01-22 2006-09-22 이민영 향기가 오래 보존되는 발향수지 제조방법
KR100458129B1 (ko) * 2002-01-23 2004-11-18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20040005429A (ko) * 2002-07-10 2004-01-16 문영철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30940B1 (ko) * 2002-07-26 2005-12-07 구창모 흡습,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바인더 페이스트 및 상기바인더 페이스트가 도포된 무좀 억제기능을 갖는 양말
KR100722191B1 (ko) * 2006-04-19 2007-05-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내구성 방향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방향 섬유
CN109251385A (zh) * 2017-07-06 2019-01-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抗菌塑料色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抗菌塑料制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493167Y1 (ko) * 2019-08-09 2021-02-09 송화섭 방향 조형물
KR102453506B1 (ko) * 2021-06-11 2022-10-18 정문성 향취 및 항균 성능을 갖는 인테리어용 실크 벽지
CN115387129A (zh) * 2022-08-02 2022-11-25 厦门旭纶成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沉香布料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348A (ko) * 1989-05-11 1990-12-21 리챠드 챨스 위트 피복된 방향제 입자
JPH0333196A (ja) * 1989-05-11 1991-02-13 Procter & Gamble Co:The クリーニングおよび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で使用するための香料粒子
JPH073075A (ja) * 1993-06-16 1995-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芳香成分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JPH09202852A (ja) * 1996-01-26 1997-08-05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1998030621A1 (en) * 1997-01-10 1998-07-16 Antonio Campagnoli Scented plastic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348A (ko) * 1989-05-11 1990-12-21 리챠드 챨스 위트 피복된 방향제 입자
JPH0333196A (ja) * 1989-05-11 1991-02-13 Procter & Gamble Co:The クリーニングおよび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で使用するための香料粒子
JPH073075A (ja) * 1993-06-16 1995-0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芳香成分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JPH09202852A (ja) * 1996-01-26 1997-08-05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1998030621A1 (en) * 1997-01-10 1998-07-16 Antonio Campagnoli Scented plast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782A (ko)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티케이케미칼 나노다공성을 갖는 서방성 미분말과 그 제조방법
KR20220109588A (ko) 2021-01-29 2022-08-05 백광현 친수성 또는 친유성 액상물질을 함유할 수 있는 서방성 고분자 스폰지 미분말 제조방법 및 응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366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360B1 (ko)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EP1531169B1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of volatile materials
US4734278A (en) Perfumed polymeric resin essentially consisting of a polyether-esteramide
JP4562772B2 (ja) 揮発性材料を持続放出する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
US20060099168A1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of volatile materials
JP4713586B2 (ja) 揮発性材料を持続放出するための組成物
CS257611B1 (en) Perfumed products from thermoplastics
JP3921787B2 (ja) 抗菌包材
KR100458129B1 (ko)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US9352060B2 (en) Carrageenan gel air freshener
EP316063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ntimicrobial microcapsules
JPH07252378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抗菌防黴組成物
WO1995017819A1 (fr) Preparation d&#39;isothiocyanate d&#39;allyle a liberation controle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US20070184739A1 (en) Tackified polymeric compositions for perfume delivery
EP4302869A1 (en) Biodegradable protein and polysaccharide-based microcapsules
JPS60147443A (ja) 顆粒状マスタ−バツチの製造方法
MXPA06005290A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of volatile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