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429A -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429A
KR20040005429A KR1020020039993A KR20020039993A KR20040005429A KR 20040005429 A KR20040005429 A KR 20040005429A KR 1020020039993 A KR1020020039993 A KR 1020020039993A KR 20020039993 A KR20020039993 A KR 20020039993A KR 20040005429 A KR20040005429 A KR 2004000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alcium carbonate
weight
oil
frag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호
문영철
Original Assignee
문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철 filed Critical 문영철
Priority to KR102002003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5429A/ko
Publication of KR2004000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4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가 오랫동안 발산하는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향기를 발산하는 유성 향료를 합성수지의 성형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도 물성이 변하지 않는 첨가물과 혼합하여 성형품의 외부로 향기를 오랜 시간동안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액상의 유성 향료 0.01 ∼ 2중량%와 분말형태의 탄산칼슘 2 ∼ 5중량%를 분사 진공배합기에 의해 배합한 후 건조하는 단계(S1)와, 상기 유성 향료(5)가 배합된 탄산칼슘(4)을 합성수지 93 ∼ 97.99중량%와 배합하는 단계(S2)와, 유성 향료(5)가 배합된 탄산칼슘(4) 및 합성수지(6)가 배합된 혼합물을 용융한 다음 금형에서 성형하여(S3) 성형품(1)의 피막(2)으로 유성 향료(5)가 배합된 탄산칼슘(4)이 노출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Fragrant Resin Pla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향기가 오랫동안 발산하는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은 그 특성에 따라 사람의 감정을 안정시키기도 하고 흥분시키기도 하는데, 근래에는 이러한 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신경,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향치료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는 등 향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해 도시화가 심화됨에 따라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정신적인 피로와 심리적인 불안을 느끼게 되는데, 이에 따라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여 정서적인 안정을 꾀하며, 담배 냄새 또는 음식 냄새 등의 생활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별도의 방향제를 비치하고 있다.
또한, 각종 실내 소품이나 악세사리, 에어필터의 파지틀 등에 별도의 향료를 수납하여 향기를 발산시켜 냄새를 제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향기 발산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효과적인 향료 투입방법이 수반되어야 하지만, 향료를 제품내에 수납하여 방치하므로 인해 향기를 오랜 시간동안 발산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향료를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성형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성형품(1)의 표면이 열에 의해 녹아 도 1과 같이 피막(2)을 형성하여 향료(3)가 피막내에 갇히게 되므로 인해 혼합된 향료가 외부로 발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다양한 향기를 발산하는 유성 향료를 합성수지의 성형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도 물성이 변하지 않는 첨가물과 혼합하여 성형품의 외부로 향기를 오랜 시간동안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유성 향료 0.01 ∼ 2중량%, 탄산칼슘 2 ∼ 5중량%, 합성수지 93 ∼ 97.99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금형에서 성형되어 성형물의 피막으로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합성수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액상의 유성 향료 0.01 ∼ 2중량%와 분말형태의 탄산칼슘 2 ∼ 5중량%를 분사 진공배합기에 의해 배합한 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을 합성수지 93 ∼ 97.99중량%와 배합하는 단계와,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과 합성수지가 배합된 혼합물을 용융한 다음 금형에서 성형하여 성형물을 얻어 피막으로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합성수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합성수지에 향료를 배합하여 성형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물이 성형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성형품2 : 피막
4 : 탄산칼슘5 : 유성 향료
6 : 합성수지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물이 성형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도로서, 본 발명은 액상의 유성 향료 0.01 ∼ 2중량%와 탄산칼슘 2∼ 5중량%를 골고루 배합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형태의 혼합물을 얻게 되는데, 탄산칼슘(4)과 유성 향료(5)와의 편리한 배합을 위해 적은 양의 유성 향료(5)를 별도의 액상 바인더에 혼합할 경우에는 후 공정인 성형공정에서 액상바인더가 증발하면서 기포를 발생하여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액상의 유성 향료와 분말형태의 탄산칼슘을 배합하는 과정에서 적은 양의 유성 향료(5)에 액상의 흡수가 매우 빠른 많은 양의 탄산칼슘(4)을 분사 진공배합기에 의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
상기 탄산칼슘에 배합되는 향료를 수성이 아닌 유성을 사용하는 이유는 후 공정에서 합성수지(6)와 혼합시 수성 향료는 합성수지와 혼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탄산칼슘(4)을 5중량% 이상 사용하면 탄산칼슘의 양이 너무 많아 주성분인 합성수지(6)의 물성치가 떨어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너무 적게 사용하면 향기의 발산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2 ∼ 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액상의 유성 향료 0.01 ∼ 2중량%와 탄산칼슘 2 ∼ 5중량%를 골고루 배합하여 건조하고 나면 이를 합성수지 93 ∼ 97.99중량%와 배합하게 된다.(S2)
상기 합성수지(6)로는 ABS, PE, PS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합성수지 중 AB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산칼슘(4)의 함량을 PE, PS보다 많이 넣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PE, PS는 투명인데 비하여 ABS는 불투명이기 때문에 최종 제품인 성형품의 외관을 해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유성 향료(5), 탄산칼슘(4) 그리고 합성수지(6)가 배합된 혼합물이 얻어지고 나면 이들에 고열을 가하여 용융한 다음 금형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게 되는데,(S3) 이와 같이 성형을 완료하고 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성형품(1)의 피막(2)으로 유성 향료(5)가 배합된 탄산칼슘(4)이 노출됨과 동시에 합성수지내에 포함된 미세 분말의 탄산칼슘이 성형품의 내부에 서로 통하게 되므로 성형품을 사용하는 동안 탄산칼슘(4)에 포함되어 있던 향기가 약 12개월 정도 장기간 지속적으로 발산된다.
이러한 성형품으로는 각종 문구류, 필기구, 완구, 머리핀 또는 빗 등의 액세서리 등으로 널리 적용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품의 성형시 탄산칼슘이 고온에 의해 물성치가 변하지 않아 배합된 유성 향료가 피막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탄산칼슘에 배합된 유성 향료의 향기가 오랜 시간동안 발산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유성 향료 0.01 ∼ 2중량%, 탄산칼슘 2 ∼ 5중량%, 합성수지 93 ∼ 97.99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금형에서 성형되어 성형품의 피막으로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이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합성수지.
  2. 액상의 유성 향료 0.01 ∼ 2중량%와 분말형태의 탄산칼슘 2 ∼ 5중량%를 분사 진공배합기에 의해 배합한 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을 합성수지 93 ∼ 97.99중량%와 배합하는 단계와,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과 합성수지가 배합된 혼합물을 용융한 다음 금형에서 성형하여 성형품을 얻어 피막으로 유성 향료가 배합된 탄산칼슘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향기나는 합성수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ABS, PE, P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1020020039993A 2002-07-10 2002-07-10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5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993A KR20040005429A (ko) 2002-07-10 2002-07-10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993A KR20040005429A (ko) 2002-07-10 2002-07-10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429A true KR20040005429A (ko) 2004-01-16

Family

ID=3731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993A KR20040005429A (ko) 2002-07-10 2002-07-10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54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85B1 (ko) * 2013-07-12 2015-06-01 한국마카시 주식회사 발향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558A (ja) * 1984-03-01 1985-09-20 Kiribai Kagaku Kogyo Kk 放香性成形体
JPS6121159A (ja) * 1984-07-09 1986-01-29 Mitsubishi Chem Ind Ltd 芳香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84446A (ja) * 1988-09-20 1990-03-26 Mitsubishi Kasei Corp 通気性脱臭又は芳香フィルム
KR20010035366A (ko) * 2001-02-07 2001-05-07 김권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200259181Y1 (ko) * 2001-01-11 2002-01-05 (주) 파로마티디에스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
KR20030063614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558A (ja) * 1984-03-01 1985-09-20 Kiribai Kagaku Kogyo Kk 放香性成形体
JPS6121159A (ja) * 1984-07-09 1986-01-29 Mitsubishi Chem Ind Ltd 芳香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84446A (ja) * 1988-09-20 1990-03-26 Mitsubishi Kasei Corp 通気性脱臭又は芳香フィルム
KR200259181Y1 (ko) * 2001-01-11 2002-01-05 (주) 파로마티디에스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
KR20010035366A (ko) * 2001-02-07 2001-05-07 김권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20030063614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85B1 (ko) * 2013-07-12 2015-06-01 한국마카시 주식회사 발향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1957B1 (ko) 차량의착향방법과착향기
JPH072904B2 (ja) 揮発物放出成形体
US7563756B2 (en) Scented tablet for toilet and method for scenting restroom effluent
KR20190020583A (ko) 향이 오래 지속되는 방향제
KR20040005429A (ko) 향기나는 합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364014B1 (ko)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KR20150092459A (ko) 방향성 볼체 및 방향제
KR200259181Y1 (ko) 향기나는 합성수지시트
US4904639A (en) Air fresheners
JP2001062828A (ja) 芳香を発する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682074B1 (ko) 향 지속성 플라스틱 방향제의 제조방법
JP2607390B2 (ja) 香料入り色鉛筆用芯
JPS6115827B2 (ko)
JP2015044771A (ja) 香料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13965Y1 (ko) 향부채
JPH10179707A (ja) 芳香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200190623Y1 (ko) 향기나는 장신구
KR100536496B1 (ko) 발향 색연필의 제조방법
JPH0310781Y2 (ko)
FR2718030A1 (fr) Procédé d'obtention d'un objet parfumé dans la masse et objet ainsi obtenu.
KR100507318B1 (ko)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유성 젤타입 방향제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JPH0382471A (ja) 顆粒状脱臭剤組成物
KR200314822Y1 (ko) 휴대용 향서류함
JPS5967047A (ja) 発香合成紙
KR200314422Y1 (ko) 향벽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