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67Y1 - 방향 조형물 - Google Patents

방향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67Y1
KR200493167Y1 KR2020190003309U KR20190003309U KR200493167Y1 KR 200493167 Y1 KR200493167 Y1 KR 200493167Y1 KR 2020190003309 U KR2020190003309 U KR 2020190003309U KR 20190003309 U KR20190003309 U KR 20190003309U KR 200493167 Y1 KR200493167 Y1 KR 200493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fragrance
carrier
direct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섭
Original Assignee
송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섭 filed Critical 송화섭
Priority to KR2020190003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 이상의 방향 캡슐을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로서, 상기 방향 캡슐은 표면이 내부보다 경도가 높으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형성된 구형의 담체 및 상기 담체 내부 및 표면에 분산된 방향제를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향 조형물{AROMATIC OBJECT}
본 고안은 방향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핀렌 랜던 공중합체로 형성된 구형의 담체 내부로 방향액(aromatic)을 흡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향 조형물이다.
향기를 발산하여 기분을 상쾌하게 하는 것을 방향제로 통칭하며, 이러한 방향제는 방향을 주위에 퍼뜨려 악취 등의 불쾌한 냄새가 없도록 한다. 방향제의 사용은, 차량의 실내 가옥의 실내 및 화장실 등에 주로 사용된다.
과거 방향제의 역사는 악취원보다 강한 타물질로 마스킹하는 방식에 불과했다. 그러나, 80년대에 들어서 화장실 공간의 변혁과 함께, 악취 그 자체의 농도 감소와 더불어 기분 좋은 냄새를 원하는 방향으로 소비자의 기호가 변하였다.
근래에는 기능성이 부가된 각종 방향제가 개발되어 아로마 치료법 등에 활용되고 있다. 즉, 각종 식물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등에서 추출한 식물섬유를 코와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함으로써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 피부미용, 신진대사조절 및 심리안정의 효능이 있는 자연치료 요법의 개발로 인해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상기 방향제는 방향성 있는 물질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보관 또는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각종 용기에 담겨져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의 헝겊과 같은 천으로 감싸거나, 이와 같이 천으로 감싸기 어려운 액체와 같은 방향제의 경우 통기공이 형성된 용기에 충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향제들은 유통기간 동안 향기를 발산시키는 원천 물질이 외부로 발산되어 버려 최종 소비자에게는 100%의 방향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 방향제에는 단점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디퓨저 방향제는 유리병이 깨질 수 있고 향초는 불이 날 염려가 있고, 석고 방향제는 쉽게 깨질 수도 있다. 향료물질은 쉽게 휘발되어 자연 상태에서 오랫동안 향취를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향료물질은 대부분 유용성 성분이라 일반적인 제형을 만들 때 유화제를 사용하여 투명하게 만들어주는 데, 그러할 경우 향취의 강도가 감소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분자 물질에 흡착시키거나 또는 캡슐레이션 방법 등으로 지속성을 우수하게 하려 하거나 특이한 제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 역시 향 지속효과는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하는 데 커다란 어려움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032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향기 발산이 용이하게 지속되면서도,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는 방향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2 이상의 방향 캡슐을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로서, 상기 방향 캡슐은 표면이 내부보다 경도가 높으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형성된 구형의 담체 및 상기 담체 내부 및 표면에 분산된 방향제를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향 조형물은 향기 발산이 우수하면서, 지속성을 가지고, 제조시, 용이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형물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형물의 제조방법 중 형성되는 담체 조형물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형물의 제조방법 중 형성되는 담체 조형물의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정의 각 단계는 완전 시계열적 순서에 의한 것이라고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조성물의 제조 공정에 적용하는 순서에 따라 고안을 이해하기 쉽게 기재한 것으로, 고안의 공정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경 또는 수정 가능함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조성물들의 제조는 개별적인 공정으로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형물은 2 이상의 방향 캡슐을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로서, 상기 방향 캡슐은 표면이 내부보다 경도가 높으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형성된 구형의 담체 및 상기 담체 내부 및 표면에 분산된 방향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방향 캡슐은 후술하는 공정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담체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프로필렌과 1 종 이상의 코모노머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일 예로서 최종 공중합체 내에 프로필렌 단위와 공단량체 단위가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공단량체 단위만을 함유하는 블록을 형성하지 않고, 중합체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내에 단일 단위로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가공성 및 물성 밸런스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공단량체의 분포는 일례로 공정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에서 폴리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고, 여기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란, 시차 주사 열량 분석법 (DSC)의 승온 과정에 있어서, 100 ℃ 이상의 온도역에 피크(융해 엔탈피) 가 존재하는 폴리프로필렌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1 종 이상의 코모노머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모노머는 에틸렌, 1-부텐, 4-메틸펜텐-1, 1-옥텐 및 1-헥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 캡슐은 방향 조형물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 조형물의 심미감, 조형 공정의 용이점 확보 및 최종 조형물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직경이 1mm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제는 오렌지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라벤더 오일, 편백나무 정유, 소나무 정유, 전나무 정유, 티트리, 페파민트, 레몬 및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향유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조형물은 구형의 형상일 수도 있고, 원뿔형, 원통형 또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구형의 방향 캡슐이 2 이상 포함됨으로써, 1 이상의 통기공을 포함하고, 이러한 통기공을 순환하는 공기에 의하여, 향기 발산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도 1의 방향 조형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향 조형물(100)에는 2 이상의 방향 캡슐(101)이 포함되어 있으며, 2 이상의 방향 캡슐(101)이 적층되어 일정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방향 캡슐(101)은 구형이며, 이러한 구형이 적층됨으로써, 빈 공간인 통기공(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캡슐(101)은 표면(101a)이 내부(101b) 보다 경도가 높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 조형물(100)은 하기의 제조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형물의 제조 방법은,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형성된 구형의 담체를 형성하고, 초기 구형 담체는 10㎏/㎠의 압축력에 대하여, 반발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을 가한 후 제거 시 원형으로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담체의 표면에 100 내지 120℃의 고온의 공기를 주입하여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가열 공정을 통하여 상기 담체 표면에서 내측으로 0.01 내지 0.1㎜ 두께가 액화된다. 표면에 액화 현상이 발생한 담체는 그 상태를 유지한 채, 2 이상의 담체를 조형틀에 집어넣는다. 상기 2 이상의 담체는 액화된 표면을 공유하는 구조로 각 담체의 외곽이 상호 부착된 상태를 구성하여 담체 조형물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구형 담체 조형물의 사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원통형 담체 조형물의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향한 형상의 담체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조형틀에 형성된 담체 조형물을 -10 내지 20℃의 온도로 냉각한다. 냉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담체는 표면이 내부보다 경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담체의 경도 차이는 담체 내부와 외부의 삼투압 차이를 일으키고, 방향제를 담체 내부까지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흡수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조형틀에서 분리한 2 이상의 담체 조형물에 오렌지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라벤더 오일, 편백나무 정유, 소나무 정유, 전나무 정유, 티트리, 페파민트, 레몬 및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향유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담체 조형물의 표면에 액상화 시킨다. 여기서, 상기 방향제 조성물은 담체의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냉각 공정 이후, 상기 담체는 표면이 내부보다 경도가 높아진 채로, 상술한 방향제 조성물이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담체의 내부까지 방향제가 흡수되어 방향 캡슐이 형성되며, 이러한 방향 캡슐을 2 이상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이 형성될 수 있다.

Claims (7)

  1. 2 이상의 방향 캡슐을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로서,
    상기 방향 캡슐은 표면이 내부보다 경도가 높으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로 형성된 구형의 담체 및 상기 담체 내부 및 표면에 분산된 방향제를 포함하는 방향 조형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1 종 이상의 코모노머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향 조형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모노머는 에틸렌, 1-부텐, 4-메틸펜텐-1, 1-옥텐 및 1-헥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향 조형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 캡슐은 직경이 1mm 내지 3mm인 것인 방향 조형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오렌지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라벤더 오일, 편백나무 정유, 소나무 정유, 전나무 정유, 티트리, 페파민트, 레몬 및 로즈마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향유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향 조형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형물은 구형, 원뿔형, 원통형 또는 다면체의 형상인 방향
    조형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형물은 1 이상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인 방향 조형물.

KR2020190003309U 2019-08-09 2019-08-09 방향 조형물 KR200493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09U KR200493167Y1 (ko) 2019-08-09 2019-08-09 방향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09U KR200493167Y1 (ko) 2019-08-09 2019-08-09 방향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167Y1 true KR200493167Y1 (ko) 2021-02-09

Family

ID=7456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309U KR200493167Y1 (ko) 2019-08-09 2019-08-09 방향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67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722A (ko) * 1998-11-09 2000-06-05 이정국 봉제 인형 충전용 방향성 수지 조성물
KR20010035366A (ko) * 2001-02-07 2001-05-07 김권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20030063614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0445973B1 (ko) * 2001-12-31 2004-08-25 김상은 포장지와 폴리프로필렌을 결합한 필름포장지
KR20100130105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효성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2015112042A (ja) * 2013-12-10 2015-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芳香性粒状物及び動物用トイレ砂
KR20180001809U (ko) * 2018-05-08 2018-06-18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다공성 물질에 항균성 방향제를 함침시킨 기능성 방향제
KR20190064279A (ko) * 2017-11-30 2019-06-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연질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의료용 튜브
KR20190090969A (ko) * 2018-01-26 2019-08-05 이수연 서방형 방향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722A (ko) * 1998-11-09 2000-06-05 이정국 봉제 인형 충전용 방향성 수지 조성물
KR20010035366A (ko) * 2001-02-07 2001-05-07 김권 서방성 방향 수지 조성물
KR100445973B1 (ko) * 2001-12-31 2004-08-25 김상은 포장지와 폴리프로필렌을 결합한 필름포장지
KR20030063614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우수한 향 지속성을 갖는 방향성 수지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20100130105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효성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2015112042A (ja) * 2013-12-10 2015-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芳香性粒状物及び動物用トイレ砂
KR20190064279A (ko) * 2017-11-30 2019-06-1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연질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의료용 튜브
KR20190090969A (ko) * 2018-01-26 2019-08-05 이수연 서방형 방향체
KR20180001809U (ko) * 2018-05-08 2018-06-18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다공성 물질에 항균성 방향제를 함침시킨 기능성 방향제
KR200489032Y1 (ko) 2018-05-08 2019-04-18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다공성 물질에 항균성 방향제를 함침시킨 기능성 방향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098B2 (en) Scent devices and methods
US8336145B2 (en) Device for mitigating odor in an article of clothing or footwear
ES2539758T3 (es)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y evaporación de líquidos
WO2006042078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a fragant polymer configured for use in a growing medium
KR101400411B1 (ko) 양초
JP2006280907A (ja) 揮散装置
KR200493167Y1 (ko) 방향 조형물
CN109091694A (zh) 一种陈皮线香及其制备方法
US20050232959A1 (en) Item with decorative voids
US20100269966A1 (en) Scented Balloon Cover and Methods of Scenting the Same
JP2014012847A (ja) アロマキャンドル
KR101743134B1 (ko) 과피 선형 건조물을 이용한 양초 심지 및 이를 이용한 양초
KR102246131B1 (ko)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탈취제
KR20210127372A (ko) 방향성 패치
JP3161954U (ja) 芳香袋
KR102166457B1 (ko)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CN216319076U (zh) 一种香薰封装装置
KR200293384Y1 (ko) 향유발산기구
KR20230001785U (ko)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CN106037174A (zh) 手镯
CN106108295A (zh) 项链
KR20140038690A (ko) 편백추출액을 가지는 항균탈취팩
TWM593870U (zh) 一種芳香裝置
GB2411519A (en) Scented light bulb
CN105962710A (zh) 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