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785U -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 Google Patents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785U
KR20230001785U KR2020220000549U KR20220000549U KR20230001785U KR 20230001785 U KR20230001785 U KR 20230001785U KR 2020220000549 U KR2020220000549 U KR 2020220000549U KR 20220000549 U KR20220000549 U KR 20220000549U KR 20230001785 U KR20230001785 U KR 202300017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air freshener
shape
holder
lower hemi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영
이지민
황혜린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2020220000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785U/ko
Publication of KR20230001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방향제 홀더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하반구와; 상기 하반구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구비하도록 상기 하반구와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반구의 일측에는 하개구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반구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형성된 상개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구 형상의 화로 형태를 구비하여 미적 감각을 향상시켜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고, 방향제의 종류에 따라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어 방향제의 적용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Transformable Fragrance Holder}
본 고안은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제 홀더의 구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사람에게 향수를 뿌리듯 특정 공간에 좋은 향이 퍼지게 하여 기분을 산뜻하게 하는 약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모양과 소재를 일컫는다. 일상적으로는 가장 유명한 상품명대로 페브리즈라고 부르기도 한다. 관련된 물품으로는 향, 향초, 디퓨저 등이 있으며 전문 매장들도 속속 생겨나는 추세다. 주로 분뇨 냄새가 많이 나는 화장실에서 자주 사용된다.
보통 원기둥 형태의 것이 많으나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진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로봇 모양이나 야구선수 모양 등등. 최근에는 차량 에어컨용 방향제도 많이 나오는 추세이다. 에어컨 송풍구에 꽂아서 사용한다.
이러한 방향제는 다양한 종류를 가지고 다양한 장소에 사용되고 있다.
스프레이형 또는 비치형은 일정 공간에 향료를 놓아두고 자연 확산시키는 형태이다. 지속적으로 냄새가 나는 공간에 주로 비치한다(예를 들면 차량용 방향제).
스틱형은 비치형의 일종으로 꽃꽃이처럼 향료가 담진 용기 안의 향료를 빨아올릴 수 있는 장식물을 채워두는 형태로 장식성이 강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디퓨저라고 불림).
이러한 스틱형 중에서도 스머지 스틱은 자연 고유의 산물, 약용 식물을 말려서 막대 형태로 만든 것으로 다양한 색의 허브와 꽃 등의 자연에서 구한 천연재료로 만들어진다. 스머지 스틱은 알코올이나 약품처리를 하지 않아 발산하는 연기나 향은 인체와 환경에 모두 무해하다. 색과 모양도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사용될 뿐 아니라 불안과 불면증, 스트레스 완화 등 신체를 이완시키고 마음의 안정을 찾는 데 효과적이다. 또 타들어 가는 스머지 스틱 소리와 연기는 자연 속에서 모닥불을 피워 놓은 듯 특별한 경험을 집 안으로 들일 수 있다.
양초 타입으로 향료가 섞인 양초를 피워 향을 내는 형태로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일시적으로 냄새를 집중 제거할 수 있다. 다만 향초가 탈 때 발생하는 그을음이나 미세 먼지 때문에 공기의 질을 나쁘게 만들 우려가 있다. 또한 촤재의 위험도 있으나 켜놓고 외출하거나 수면하면 위험할 수도 있다.
고체형은 석고나 왁스에 향이 나는 오일 등을 넣어 굳혀 만든 것으로 비치형처럼 벽에 걸어놓는 형태이다. 이러한 것을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
티 캔들 타입은 워머용 양초로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아로마 램프에 사용되기도 한다.
스머지스틱형은 향이 있는 스틱을 태우면 향이 발생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에도 적용이 될 수 있으면서 구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방향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관련 기술 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2313호 (2011.05.18.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2026380호 (2019.09.27.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구 형상의 화로 형태를 구비하여 미적 감각을 향상시켜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향제의 종류에 따라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어 방향제의 적용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 도자기 등의 재질로 구비되어 재질 선택의 다양성을 증대시켜 방향제가 내부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론 목적은, 하반구와 상반구가 상하로 결합되어 구 형상뿐만 아니라 상반구와 하반구가 상하의 반대로(뒤집어져) 결합되어 다른 형상으로 될 수 있어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방향제 홀더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하반구와; 상기 하반구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구비하도록 상기 하반구와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반구의 일측에는 하개구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반구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형성된 상개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상반구 중앙 영역 상측에는 반구 형상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개구 주위로 액체 방향제가 수용 가능하게 함몰 형성된 액상방향제수용부재를 포함하는 함몰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액상방향제수용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지지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된 바닥결합부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반구와 상기 하반구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게 상기 상반구 및 상기 하반구 중 하나에는 다른 하나에 대하여 돌출된 걸림부재와 상기 상반구 및 상기 하반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맞물리는 물림부재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반구 바닥에는 티캔들이 놓여지는 캔들지지부재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방향제 홀더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하반구와; 상기 하반구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구비하도록 상기 하반구와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반구가 하측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하반구가 상기 하반구의 상측에 맞물려 구 형상을 갖는 제1형상()으로 맞물리고, 상기 상반구가 하측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하반구가 상측에 결합되어 양 반구 형상이 대향되는 제2형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하반구와 상기 상반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구 형상의 화로 형태를 구비하여 미적 감각을 향상시켜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제의 종류에 따라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어 방향제의 적용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도자기 등의 재질로 구비되어 재질 선택의 다양성을 증대시켜 방향제가 내부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반구와 상반구가 상하로 결합되어 구 형상뿐만 아니라 상반구와 하반구가 상하의 반대로(뒤집어져) 결합되어 다른 형상으로 될 수 있어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홀더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홀더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방향제 홀더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100, 이하에서 '방향제 홀더'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 홀더의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방향제 홀더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 홀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또는 외부에 방향제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며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부(155)를 구비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하반구(150)와; 상기 하반구(150)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구비하도록 상기 하반구(150)와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반구(130);를 포함하되, 상기 하반구(150)의 일측에는 하개구(153)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반구(130)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형성된 상개구(133)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반구(130) 및/또는 하반구(150)는 도자기, 유리 재질 또는 이들의 조합된 재질로 구비될 구 있다. 즉, 상반구(130) 및 하반구(150) 모두 도자기 또는 유리 재질이거나 상반구(130) 또는 하반구(150) 하나만 도자기 또는 유리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유리 재질인 경우에는 내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유리 재질도 투명 또는 반투명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 홀더(100)의 재질로 필요에 따라 난연성 합성수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반구(1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되어 있는 상본체(131)와, 상본체(131)의 상측에 반구 형상에서 불연속적으로 함몰된 함몰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함몰부(135)는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된 상개구(133)와, 상기 상개구(133) 주위로 연장되어 액체 방향제가 수용 가능하게 함몰 형성된 액상방향제수용부재(135a)와, 상기 액상방향제수용부재(135a)에서 수직 중심축선(CL-V) 외측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지지부(155)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된 바닥결합부(135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개구(133)를 통해서는 방향제 홀더(100) 내부에 수용되어 향을 발산시킬 수 있는 인센스 중에서 스머지 스틱 등이 향 내지 연기가 발산될 수 있게 한다. 아래의 하개구(153)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스머지 스틱에서 발생되는 향이 자연스럽게 상개구(133)로 발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반구(130)의 상본체(131)의 하측에는 하반구(150)와 물림부재(157)와 맞물리는 걸림부재(137)가 구비되어 있다.
하반구(1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본체(151)와, 하본체(151)의 하측에 반구 형상에서 다소 평평하게 형성되어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바닥지지부(155)와 하본체(151)의 일측면에 개방되어 있는 하개구(153)와, 하본체(151)의 내측 바닥에 티캔들과 같은 방향제나 워머를 지지할 수 있는 캔들지지부재(15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본체(151)의 상측 테두리는 걸림부재(137)와 맞물려 상반구(130)와 하반구(150)가 결합될 수 있는 물림부재(157)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향제 홀더(100)의 구조에 의하여 상반구(130)을 상측에 하반구(150)를 하측에 결합한 방향제 홀더(100)의 형태는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적인 구 형상(제1형상)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상반구(130)을 하측에 하반구(150)를 상측에 상하는 바꾸어 결합한 방향제 홀더(100')의 형태는 도 2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의 수평면 중심축선(CL-H2)에 대하여 대략적인 반구가 대칭되도록 결합된 형상(, 제2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향제 홀더(1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머지 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스머지 스틱에 불을 붙여 하개구(153) 내부로 스머지 스틱의 불이 붙은 부분이 가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스머지 스틱은 하개구(153)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불이 꺼지지 않고 스머지 스틱을 태울 수 있고 발생되는 향 내지 연기는 상측인 상개구(1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측의 액상방향제수용부재(135a)에 소량의 방향제(약 5-8 방울)를 떨어뜨려 자연스럽게 증발을 유도할 수 있다.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구(150) 내부의 캔들지지부재(159)에 티캔들을 워머로 작용되도록 불을 붇이고 상측 액상방향제수용부재(135a)에 액상방향제를 떨어뜨려 놓으면 하측의 뜨거운 분위기로 인해 상측의 액상방향제가 보다 빠르게 증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c와 같이, 상반구(130) 위에 하반구(150)를 제2형상으로 결합시켜 놓으면 상측의 넓은 공간에 스머지스틱 등의 방향제를 놓아 둘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구 형상의 화로 형태를 구비하여 미적 감각을 향상시켜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제의 종류에 따라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어 방향제의 적용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리, 도자기 등의 재질로 구비되어 재질 선택의 다양성을 증대시켜 방향제가 내부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반구와 상반구가 상하로 결합되어 구 형상뿐만 아니라 상반구와 하반구가 상하의 반대로(뒤집어져) 결합되어 다른 형상으로 될 수 있어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변형가능한 방향제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방향제 홀더
130 : 상반구 131 : 상본체
133 : 상개구 135 : 함몰부
135a : 액상방향제수용부재 135b : 바닥결합부
137 : 걸림부재
150 : 하반구 151 : 하본체
153 : 하개구 155 : 바닥지지부
157 : 물림부재 159 : 캔들지지부재

Claims (6)

  1.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방향제 홀더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하반구와;
    상기 하반구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구비하도록 상기 하반구와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반구의 일측에는 하개구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반구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형성된 상개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구 중앙 영역 상측에는 반구 형상과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개구 주위로 액체 방향제가 수용 가능하게 함몰 형성된 액상방향제수용부재를 포함하는 함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액상방향제수용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지지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마련된 바닥결합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구와 상기 하반구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게 상기 상반구 및 상기 하반구 중 하나에는 다른 하나에 대하여 돌출된 걸림부재와 상기 상반구 및 상기 하반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맞물리는 물림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 바닥에는 티캔들이 놓여지는 캔들지지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
  6.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방향제 홀더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지지부를 구비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하반구와;
    상기 하반구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구비하도록 상기 하반구와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상반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반구가 하측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하반구가 상기 하반구의 상측에 맞물려 구 형상을 갖는 제1형상()으로 맞물리고,
    상기 상반구가 하측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하반구가 상측에 결합되어 양 반구 형상이 대향되는 제2형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하반구와 상기 상반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홀더.
KR2020220000549U 2022-03-02 2022-03-02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KR202300017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49U KR20230001785U (ko) 2022-03-02 2022-03-02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549U KR20230001785U (ko) 2022-03-02 2022-03-02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85U true KR20230001785U (ko) 2023-09-12

Family

ID=8797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549U KR20230001785U (ko) 2022-03-02 2022-03-02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78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0246A (en) Oil lamp with fragrance emanator
US7093949B2 (en) Imitation flame air freshener
US20170182200A1 (en) Flameless candle with fragrance diffusion
US8137630B2 (en) Light-emitting smell-altering aroma dispenser
US7837930B2 (en) Fragrance diffuser kit and method
US6391398B1 (en) Fragrant artificial flower apparatus
KR101400411B1 (ko) 양초
US20090068068A1 (en) Prescented and custom scented light fixture attachment
US20060210940A1 (en) Candle system
KR101514993B1 (ko) 양초등
KR20230001785U (ko)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KR200419523Y1 (ko) 원적외선 방출유도 및 발향 유도용 실내 장식용기
US20070125874A1 (en) Aromatic dispenser container
US8556441B2 (en) Fragrance emitting article
US20080279729A1 (en) Aroma porcelain wall deco
KR200258509Y1 (ko) 양초
JP2001327588A (ja) 発香器
KR200301857Y1 (ko) 방향효과를 갖는 촛대
KR200406706Y1 (ko) 장식 촛대
JPS6033511B2 (ja) 室内芳香製品
CN209495298U (zh) 一种鸟笼式的蜡烛架
KR200493167Y1 (ko) 방향 조형물
KR20210051912A (ko) 헬스케어 아로마 워머
KR200343059Y1 (ko) 아로마향료가 수용된 목걸이
KR102166457B1 (ko)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