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457B1 -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 Google Patents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457B1
KR102166457B1 KR1020180144657A KR20180144657A KR102166457B1 KR 102166457 B1 KR102166457 B1 KR 102166457B1 KR 1020180144657 A KR1020180144657 A KR 1020180144657A KR 20180144657 A KR20180144657 A KR 20180144657A KR 102166457 B1 KR102166457 B1 KR 102166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heating lamp
wax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657A (ko
Inventor
최성천
Original Assignee
최성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천 filed Critical 최성천
Priority to KR102018014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4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고체왁스 100중량부에 다공성 미네랄 50~80중량부, 방향제 10~200중량부가 혼합되어 다공성 미네랄을 통해 장시간 발향할 수 있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Fragrant composition using heat lamp}
본 발명은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미네랄을 통해 장시간 발향할 수 있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최근 생활 방향용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향제에 대한 소비시장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실내용이나 차량의 실내 등에서 발산되는 악취제거 등을 제거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방향제가 개발되면서 단순히 좋은 향을 맡기 위한 방향제가 아닌, 아로마 치료법 즉, 각종 식물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유를 코와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함으로써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 피부미용, 신진대사조절 및 심리안정의 효능이 있는 자연치료 요법의 개발로 인해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향제는 용도 및 사용 장소 등에 따라 분무기, 양초, 유류, 젤, 구슬, 플러그인 등 다양한 형태의 방향제가 사용되며, 액체 방향제, 젤 방향제, 에어로졸 방향제, 고형 방향제 등이 있다.
하지만, 몇몇 방향제의 경우 화학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알레르기 및 천식을 유발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일반적인 액체나 젤 형태의 방향제는 초기에는 향을 강하게 발산하다가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향이 약해지는 현상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근래에는 원하는 시기에 향이 발산되고 향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방향용 양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92306호에서는 향료 및 색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왁스 비드들을 수용하는 소정 체적의 용기를 포함하며, 왁스 비드는 고체 왁스 토핑으로 토핑되고 고체 왁스 토핑은 양초의 전체 노출 표면을 덮을 수 있어서, 운송 및 사용중에 왁스 비드를 적소에 유지하며 심지를 중앙에 놓이는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는 왁스 비드 및 고체 왁스 토핑을 갖춘 양초에 관한 것으로 방향용 양초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향용 양초는 심지 불을 붙여 양초를 형성하는 밀랍왁스를 연소시켜 향기가 발생되는 것이나, 양초를 키게되면 미세먼지가 발생되고 지속적인 이산화탄소 발생으로 장시간의 사용은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양초의 심지에 불을 키지 않고 할로겐 램프 등의 발열램프를 이용하여 양초를 녹여 양초 안의 방향제를 발산시키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용 양초는 양초가 연소되지 않아 향이 발산되는 시간이 오래걸려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열에 녹은 액상의 왁스가 발향을 억제하여 발향 효과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향을 발산시키는 방향제와 다공성을 갖는 미네랄을 이용하여 발열램프를 통해 쉽게 향이 발산되도록 구성된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향제에 다공성 미네랄과 한방재료가 포함되어 인체에 유익한 향기를 발산시켜 인체에 유익하고, 이산화탄소,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이나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한 물질을 제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연성 고체왁스 100중량부에 다공성 미네랄 50~80중량부, 방향제 10~200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연성 고체왁스는 소이왁스, 팜왁스, 밀랍왁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제올라이트, 카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향제는 프레이그런스 오일, 허브, 한방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방재료는 계피, 당귀, 길경, 천궁, 인삼, 백출, 백봉령, 방풍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은 다공성 미네랄의 강한 흡착력으로 방향제가 미네랄의 다공에 함침되고 발열램프를 통해 방향제가 발향되고 발향이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조성물에 함유되는 다공성 미네랄은 강한 흡착력의 특성으로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냄새 등을 흡수하여 희석시켜 실내공기 정화 및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방향조성물은 가정이나 병원숙박시설, 숙박시설, 실내 체육관, 실내 오락실등에서 사용이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발열램프에서 발생된 열을 통해 방향성을 가지는 기능성 물질을 대기중에 분산시켜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조성물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가연성 고체왁스 100중량부에 다공성 미네랄 50~80중량부, 방향제 10~200중량부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연성 고체왁스는 다공성 미네랄과 방향제와 혼합되어 혼합물을 원하는 일정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착제의 역할과 열에 의해 용융되어 방향제가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발열램프에서 발생되는 열로 용융되어 고체왁스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가연성 고체왁스는 소이왁스, 팜왁스, 밀랍왁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밀랍왁스는 인체에 무해하고 접착성이 우수하여 가연성 고체왁스로 가장 적합할 것이다.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제올라이트, 카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미네랄 내부에 수많은 다공에 방향제가 함침되어 본 발명의 방향조성물이 장시간 방향효과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다공성 미네랄은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나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한 물질을 제거시키는 공기정화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발열램프가 전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다공성 미네랄에 사용되는 물질 중 제올라이트, 카올라이트, 벤토나이트는 소성하여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일예로 제올라이트는 450℃에서 1차 소성하고, 30분후 450℃에서 2차 소성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공성 미네랄 중 활성탄을 사용시에는 활성탄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50℃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가연성 고체왁스 100중량부에 50~80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다공성 미네랄의 함량이 너무 작으며 방향효과가 지속시간이 짧아질 수 있고, 다공성 미네랄의 함량이 너무 크면 방향조성물의 형태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제는 프레이그런스 오일, 허브, 한방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이그런스 오일은 향초에 사용되는 프레이그런스 오일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원하는 향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허브는 향기가 나는 식물의 꽃, 입, 줄기를 뜻하는 것으로 현재 판매되는 허브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건조된 허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한방재료는 인체에 좋은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특유의 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천궁, 편백, 대추, 진피, 산조인, 계피, 산수유, 구기자, 두충, 하수오, 야관문, 질경이, 천궁, 어성초, 행인, 상백피 등 다양한 한방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여러 종류의 한방재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한방재료는 일예로 동의보감에서의 신침법에 기재된 32가지 약재중 주요 약재인 계피, 당귀, 길경, 천궁, 인삼, 백출, 백봉령, 방풍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숙면에 이로운 향기가 발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향제는 가연성 고체왁스 100중량부에 10~200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방향제의 종류에 따라 혼합되는 함량을 조절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방향제 중 프레이그런스 오일은 가연성 고체왁스 100중량부에 10~50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허브, 한방재료는 30~200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연성 고체왁스, 다공성 미네랄, 방향제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은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은 다공성 미네랄, 방향제를 용융된 가연성 고체왁스에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다공성 미네랄과 방향제 중 허브, 한방재료는 가루 형태로 분쇄하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직경이 10~100㎛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직경이 너무 크면 가연성 고체왁스로 인한 접착성이 저하되어 방향조성물의 형태안정성이 저하되고, 방향성 성분이 발향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직경이 너무 크면 공기와 접촉되는 비표면적이 커짐으로써 방향제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제 중 허브, 한방재료도 직경이 10~100㎛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할 것이다.
상기 방향제 중 프레이그런스 오일은 액상 형태를 가연성 고체왁스에 직접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연성 고체왁스는 용융된 상태에서 상기 다공성 미네랄, 방향제를 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용되는 가연성 고체왁스에 따라 융용온도가 달라질 수 있으나, 방향제가 열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00℃이하에서 가연성 고체왁스를 융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의 가연성 고체왁스에 다공성 미네랄, 방향제을 함유시킨 후에 프레스 금형에 주입하고 약 50~100℃에서 50~200kgf/㎠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본 발명의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프레스 금형 시에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다공성 미네랄의 미세 다공에 방향제를 침투시켜 방향 조성물에 방향제가 농축되듯이 함유되어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은 도 1에서와 같이 발열램프(10)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램프(10)의 하단에 방향조성물(100)이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기구를 통해 발향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안전하게 향을 발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램프(10)와 방향조성물(100)의 사이 간격은 발열램프의 온도 또는 방향조성물의 조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발열램프와 방향조성물 사이는 5~10㎝의 간견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안전하게 향을 발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은 다공성 미네랄의 강한 흡착력으로 방향제가 미네랄의 다공에 함침되고 발열램프를 통해 방향제가 서서히 발향되는 것으로 가정이나, 치료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조성물에 함유되는 다공성 미네랄은 다공성 특성으로 발향효과가 장기간 지속되고, 실내공기 정화 및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방향조성물은 가정이나 병원숙박시설, 유흥업소, 실내체육관, 실내오락시설 등에서 사용이 적합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의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가연성 고체왁스 100중량부에 다공성 미네랄 50~80중량부, 방향제 10~200중량부를 함유시킨 후에 프레스 금형에 주입하고 50~100℃에서 50~200kgf/㎠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열램프에서 발생된 열을 통해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고체왁스는 가연성 고체왁스는 소이왁스, 팜왁스, 밀랍왁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미네랄은 제올라이트, 카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프레이그런스 오일, 허브, 한방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재료는 계피, 당귀, 길경, 천궁, 인삼, 백출, 백봉령, 방풍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KR1020180144657A 2018-11-21 2018-11-21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KR10216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57A KR102166457B1 (ko) 2018-11-21 2018-11-21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57A KR102166457B1 (ko) 2018-11-21 2018-11-21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57A KR20200059657A (ko) 2020-05-29
KR102166457B1 true KR102166457B1 (ko) 2020-10-16

Family

ID=7091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657A KR102166457B1 (ko) 2018-11-21 2018-11-21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4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395A (ko) * 2014-02-13 2015-08-21 주식회사 불스원 훈증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 증산장치
KR20150004078U (ko) * 2014-04-30 2015-11-09 이성정 발향과 테라피,시각적 힐링 기능을 강화한 멜츠왁스 제조법 및 기능
KR20170054949A (ko) * 2015-11-10 2017-05-18 김수현 당귀 향초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KR20180001919U (ko) *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아이비스 캔들워머
KR20180090904A (ko) * 2017-01-11 2018-08-14 비틀에코 협동조합 멜팅캔 가열용기
KR20180090674A (ko) * 2017-02-03 2018-08-13 최성천 양초재료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657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9445B (zh) 一种茶香叶
US11370989B2 (en) Fragrant material having long-lasting fragr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6310322A (zh) 释放负离子天然植物空气清新剂
KR102166457B1 (ko) 발열램프를 이용한 방향조성물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08220B1 (ko) 칠보석과 편백나무 원액이 포함된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443127B1 (ko) 허브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0738884B1 (ko) 필터부재에 코팅되는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기능성 친환경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필터부재
KR200403266Y1 (ko) 허브를 이용한 아로마 테라피 필터
KR101639284B1 (ko)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920A (ko) 은(銀) - 나노 양초 건강기능성 혼합물
KR20180034904A (ko) 투명한 겔 형태의 디퓨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디퓨저 및 디퓨저 파우치
KR101426412B1 (ko) 산림욕기
KR20110045915A (ko) 살균 및 세정기능이 보강된 탈취액 조성물
CN1548161A (zh) 一种芳疗灭烟砂
CN109453407A (zh) 一种含爆珠的塔香加工方法
KR20090056350A (ko) 방향제조성물
KR20120081705A (ko) 살균, 방충 및 탈취기능이 보강된 공기 정화액 조성물
CN2507458Y (zh) 香熏器
KR19990079304A (ko) 한약 방향제의 제조방법
JP2761957B2 (ja) 灰皿用敷設材
JP2023084624A (ja) 長尺線香及びセージ成分を含有する線香の製造方法
KR200314135Y1 (ko) 황토 조습 탈취제
KR200334505Y1 (ko) 숯과 황토를 이용한 탈취제
TWM466604U (zh) 節能減碳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