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365A - 뜸질용 종이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뜸질용 종이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365A
KR20150084365A KR1020140004305A KR20140004305A KR20150084365A KR 20150084365 A KR20150084365 A KR 20150084365A KR 1020140004305 A KR1020140004305 A KR 1020140004305A KR 20140004305 A KR20140004305 A KR 20140004305A KR 20150084365 A KR20150084365 A KR 2015008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cup
paper cup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284B1 (ko
Inventor
배삼훈
Original Assignee
배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삼훈 filed Critical 배삼훈
Priority to KR102014000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2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연소봉이 내장된 뜸질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종이컵 내측의 바닥과 내면에 흡취기능과 단열성이 우수한 소석고,활성탄,의 주재와 부재의 펄프와 황토,왕겨탄과 첨가제의 전분,석고경화제,발포제,가 혼합 교반된 일정형의 성형물을 충진시켜, 컵 내측면에 일정두께의 석고혼합 몰탈의 단열및 흡취벽이 형성되고, 식물성 줄기,잎을 가공한 뜸연소재가 열분해될때 발생되는 연기와 불쾌취를 흡취하여 제거및 감소시키며, 종이컵 표면에 가해지는 뜨거운 열기를 단열재로 방지하며, 천연향의 라벤다,솔잎,편백,정향,등의 분말을 컵안에 선택 분사하여, 향기치료를 병행할수있고, 컵의 입구면에 점착지가 부착되어 피부와 점착되게하여, 연소중인 컵이 탈락하여 발생되는 화상을 방지하며, 도우미없이 자가 뜸시술 할수있는, 뜸시작과 뜸마무리를 한 개의 뜸컵에서 일괄적으로 간편하게 처리할수있는 뜸질용 종이컵을 제공함에있다.
[색인어]
종이컵, 뜸질용, 뜸봉,석고혼합층

Description

뜸질용 종이컵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s Paper cup for moxibustion}
본 발명은 뜸용기와 뜸연소봉이 일체형으로 조립 구성된 뜸질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흡취력과 단열,의 기능이 있는 소석고와 활성탄을 주재로하고, 부재로 펄프, 왕겨탄, 황토와 첨가제로 석고경화제,점결제,발포제를 물과 혼합 성형되어 흡취력을 이용한 냄새,연기,끄림을 제거및 감소시키고, 연소되는 뜸봉의 뜨거운 열기는 단열시켜, 사용자가 종이컵을 손으로 쥐고 뜸질할수있는, 연소되는 뜸봉이 내장된 밀폐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뜸봉이 내장된 종이컵에서 점화,연소,발열과 뜸질 사용후 연소된 잿가루가 있는 종이컵을 폐기하는 모든 과정이 한개의 종이컵에서 이루어진다.
석고(石膏)는 황산칼슘의 이수화물(二水化物)로 이루어진 석회질 광물로서, 단사 정계에 속하며 기둥 모양 또는 널조각 같은 모양의 결정을 이룬다.
흔히 백색이지만 불순물이 섞이어 회색, 황색,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석고를 약 160~170℃로 가열하여 결정수를 없앤 흰색 가루를 소석고(燒石膏)라고 하며, 물기가 있으면 다시 굳어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단열재와 흡수제로 사용되며, 또는 도자기 원형으로 쓰거나 분필, 모형, 조각상, 시멘트의 재료로 사용된다.
특징은,석고 분말이 물과 배합되면 임의로 의도하는 형상으로 단단하게 응결되는것이다.
활성탄은 식수와 설탕 및 다른 많은 제품의 정제, 용매와 휘발성 물질의 회수, 공기로부터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방독면과 같이 기체나 액체로부터 냄새를 내는 물질이나 유독물질을 흡착하는데 널리 이용된다.
정수기와 정수장에서 필수로 사용되어 이물질,냄새를 걸러낸다.
황토 성분은 보통 시리카 50wt% ~ 65wt%, 알루미나 15wt% ~ 25wt%, 철분 10wt% ~ 25wt%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흙보다 비표면적이 큰 미세구조이며, 3층 벌집구조로 구성되어 에너지 저장용량이나 비표면적이 커서 온열효과가 크고 산소저장 능력이 뛰어나며 냄새와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탈취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5~20㎛ 범위의 파장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인체의 생리작용및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왕겨숯은 왕겨가 탄화(炭火)될 때 세포벽이 타들어가면서 무수히 많은 구멍이 생기는데 이 구멍들은 자신의 빈 공간을 채우려고 강한 흡착력을 발휘한다.
그 표면적은 왕겨숯 1g당 200평 이상의 면적이 되고, 왕겨의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숯보다 흡착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다.
뜸봉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연소취가 왕겨숯의 구멍에 흡착되고, 동시에, 발산되는 열에 숯가루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상기의 석고,활성탄,황토,왕겨숯의 혼합물을 펄프와 물, 석고경화제, 전분, 발포제를 교반통에서 교반하여, 종이컵에 일정량 충진시켜 컵바닥과 내벽면에 일정한 두께로 건조되게하고, 그표면에 라벤다.솔잎,정향,편백,등의 천연향 분말을 분사하여 컵과 일체형으로 건조시켜, 손으로 흔들거나,충격을 주어도 컵안에 구성된 석고혼합 성형물이 탈락되지 않게한다.
천연향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라벤다:신경 정신 안정 ,불면증, 우울증, 불안초조
솔잎: 신경안정,혈액순환,기분고양,
편백잎:심신안정,신진대사,혈액순환.
정향: 식용증진 ,기분고양,집중력.
저면에 점화실이 구비된 뜸봉은 타공된 원형판지의 중심부에 설치된 망사위에 부착되고, 원형판지(실링커벼)은 은박지가 접착된 종이 또는 황토와 펄프가 혼합된 황토판지로 구성되어 뜸봉연소의 열기에 연소되지 않게한다.
뜸질에 필요한 뜸봉의 기능성 생리 활성물질이 내포된 대류열과 천연향은 타공된 원판의 공간을 통하여 피부에 침착되고, 발산되어 피하의 미세혈관, 미세신경,과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함과 심신안정의 향기치료를 병행하며, 사용후 뜸종이컵은 폐기됨으로, 뜸시술후 잡다한 뜸기구를 청소해야되는 불편함이없다.
뜸은 예전부터 쑥이나 곡물, 한약재 등을 재료를 사용하여 일반 가정에서 쉽게 시술할 수 있는 민간요법 중의 하나이다.
뜸질을 할 때 피부에 도포되는 진액의 약리작용과 열에너지가 우리 인체의 피하 미세혈관,미세신경을 자극하여 면역 기능을 증가시켜 각종 성인병 치료와 예방과 신진대사,혈액순환 촉진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온열요법에 뜸질용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쑥은, 쑥 섬유질,또는 분말이 불의 연소력과 지속성이 양호하고 화력이 높기때문이다.
연소력과 화력이 높은것은 쑥에 내포된 테레핀유,콜타르,벤젠,왁스,정유 성분,을 포함한 기타 100가지 유기화합물이 동시에 연소되면서 강한 열기를 발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연소중인 쑥뜸봉의 리그닌,셀룰로오즈,와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열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끄림, 대마초같은 역한냄새는 뜸질하는 소비자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있다.
근래에는, 쑥을 탄화시켜 쑥에서 발생되는 연기,역한냄새가 제거된 탄화된 쑥탄에 원적외선방사 분말을 물에 희석하여 피막시킨 쑥탄봉(10-0540388)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선등록된, 원적외선방사 분말이 피막되어진 탄화 쑥탄은 연기와 역한 냄새는 감소되지만, 쑥의 특정 생리활성 성분인 진액이 숯탄 과정에서 소멸되고, 쑥섬유질이 열에의한 화학변화된 숯불이며, 숯불열기는 발산되지만, 피부에 침착되어 피하의 미세신경및 미세혈관을 활성화하는 쑥의 약리성분 진액이 소실됨으로, 옛부터 전래되오는 쑥뜸의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쑥에 내포된 테레핀유,콜타르,왁스,정유같은 각종 발화성 유기화합물이 소멸된 숯탄봉은, 점화후 화력이 약하고 연소시간이 짧으며, 뜸시술이 끝날 때까지 여러개의 숯봉을 연속적으로 점화해서 시술해야되는 불편한점과 열분해된 쑥봉을 숯탄봉으로 재성형하는 제조상의 공정이 중복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종래의 뜸기구에 있어서, 선등록된 특허 제10-0938330호인 발명의 명칭 "맞춤형 뜸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20-0308249"황토쑥뜸기"에 있어서, 뜸통과 뜸통 지지대가 결합식이라 환자가 움직이면 뜸통이 떨어져 화상이 발생함으로 부동자세로 장시간 누워 있어야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뜸통과 뜸지지대의 부피가 크고,중량이 무거워 뜸시술및 휴대하기에 불편하며. 연소 연기와 불쾌취를 흡취하여 제거및 감소시키는 수단이 없어 눈이 충혈되고, 기관지로 흡입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0-0540388호 KR 10-0938330호 KR 20-0308249호
본인 자신이 뜸시술이 용이하게 부피가 적고 중량이 가벼우며,피부에 고정되게 부착하여, 종래의 부동 자세로 누워서 뜸시술하는 불편함을 해소함,과 뜸봉 연소시 연기와 불쾌취를 방지하고, 연소중인 뜸봉에서 발산하는 뜨거운 열기를 단열하여 손 및 피부 화상을 예방하는것,과 뜸용기에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피하 깊숙하게 온열반응을 하여 미세 신경및 혈관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 신진대사촉진,등의 뜸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라벤다.솔잎,편백,정향,같은 천연 향기를 발산시켜 심리불안,스트레스 해소에 유용한 아로마 테라피(향기치료)를 병행하는, 뜸봉 점화에서 연소,발열,뜸질후 페기까지 일괄적으로 처리할수있는 간편하게 구성된 무연,무취의 뜸질용 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흡취력과 단열성이 양호한 석고와 활성탄을 혼합한 주재(主材)에 부재(副材)의 황토와 왕겨탄을 일정량 첨가하고,첨가제로써 펄프와 석고경화제와 전분,발포제를 각각 첨가한 석고혼합 몰탈을 제조하고, 제조된 석고혼합몰탈을 일정량 종이컵 내측에 충진하여, 컵바닥과 옆면에 일정한 두께로 건조시켜 형성된 단열과 흡취의 석고혼합층을 구성하고, 석고혼합층에 천연향 분말을 분사하여 열기를 받으면 천연향이 발산되게한다.
저면에 점화용 심지가 구비된 뜸봉은 컵속에 내삽되어 연소되며, 뜸봉의 저면은 타공된 원형판지(실링커버)에 설치된 망사와 일체형으로 접착되고, 대류열은 망사을 통해서 피부및 피하에 전달되어 온열반응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컵을 이용하여, 단열 및 흡취층 구성체와 뜸봉의 점화,연소,발열,연소연기,연소된 재를 밀폐상태로 컵에서 처리할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 및 친환경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뜸질용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뜸컵의 입구 상단면에 점착질이 구비되어 피부와 밀착성이 견고하여 뜸시술중에 다소의 움직임에도 연소중인 뜸컵이 탈락 되지않으며, 컵에 가해지는 뜨거운 열기를 단열하여, 컵을 쥐는 손에 화상을 예방하고 무연,무취의 중량이 가볍고,부피가 소형임으로 휴대및 시술이 편리하며,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피하에 작용하여 혈액순환,신진대사촉진,등의 뜸효과를 증진시키며, 발산되는 천연향은 심신안정및 스프레스를 해소하고, 뜸질 시작과 뜸질 마무리를 일괄적으로 뜸종이컵에서 할수있어 시술분위기가 청결하고, 도우미없이 자가 뜸시술 할수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1은 뜸질용 종이컵의 절개 사시도.
도2는 뜸질용 종이컵의 단면도.
도3은 알미늄봉의 사용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종이컵 6,61 원형판지 11,점화심지
2.점착지 7,71 뜸 봉 12,손잡이
3.개방부 8 .망 사 13,알미늄봉
4.통기공 9.91 석고혼합층
5.밀폐부 10. 빈공간
본 발명에 따른 뜸질용 종이컵은 통상적인 종이컵과 외형은 동일하다.
아래는 좁고 위가 넓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으로, 밑바닥이 좁게 구조된 원통형이며, 뜸질시 피부에 부착된 종이컵의 외형은 위는좁고 아래가 넓은(上狹下廣) 형상으로 보인다.
가장자리가 곡면으로 접힌 원형판지(실링커버)의 외주면이 종이컵 높이의 1/3 지점에 내벽면에 접착되어 종이컵은 봉공되어 밀폐된다.
종이컵 내측에 원형판이 고정된 지점을 기준으로 밀페된 공간의 밀폐부와 개방된 공간의 개방부로 구별된다.
개방부는 뜸봉 연소열기에 화상을 방지하는 피부보호 완충 공간이며, 밀페부는 연기및 불쾌취가 흡취되는 석고혼합 몰탈이 충진되어 컵의 내벽면을 따라 1~5mm 두께의 흡취 및 단열 층이 라운드벽(석고혼합 층)으로 구성된다.
불연성 은박지가 접착되고 손잡이가 구조된 원형판지(실링커버)의 중심부는 타공되었으며, 그 타공부에 불연 망사가 접착되고, 불연 망사와 뜸봉저면이 점착되어 뜸봉은 망사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통과정에서의 충격과 흔들림에도 망사와 분리되거나 탈락되지 않게한다.
망사를 통해 라이타 불로써 뜸봉 저면에 구비된 심지에 점화된후, 뜸봉은 밀페된 공간에서 저면부터 연소가 시작되어 대류열이 망사를 통해 피부및 피하에 전달되어 열반응에 의한 미세신경 활성화 및 혈액순환, 신진대사가 촉진된다.
뜸봉은 분말화된 연잎,대나무,함초,쑥,인삼,미강,백미,왕겨탄,미분당,중에서 하나이상을 물로 혼합반죽하여 원주형, 반구형 또는 톱밥같은 입자형으로 성형한다.
또한, 상기의 재료로 성형된 뜸봉의 연소연기를 제거및 감소시킨 반탄화 또는 탄화시킨 뜸봉으로 뜸질용 종이컵안에서 사용할수있다.
뜸질용 종이컵의 밀폐된 공간과 개방된 공간의 높이는 뜸봉의 크기와 뜸봉의 연소성을 감안하여 2:1이 바람직하며, 종이컵 입구 면에는 점착지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착되어 다소의 움직임에도 피부에서 이탈되지않으며, 종이컵 외주면에 연소촉진용 통기공이 하나 또는 복수개가 타공된다.
본 발명의 흡취및 단열용 석고혼합물 성형체는 석고와 활성탄을 주성분으로 하고 부재로 황토와 왕겨탄을 혼합하고, 첨가제로써 펄프, 경화제, 전분, 발포제, 가 각각 첨가되어 물로써 교반되어 석고혼합 몰탈이 반죽된다.
석고혼합 몰탈에 사용되는 석고,활성탄,황토,왕겨탄은 각각 50~200mesh 분말화되어 혼합된다.
석고 혼합 몰탈 총량에 대하여, 석고 40중량부와 활성탄 20중량부, 황토 10중량부,왕겨탄 15중량부를 혼합하여 균질하게 교반하면서, 펄프 5중량부,경화제 5중량부,전분3 중량부,발포제 2중량부를 각각첨가하여 균질하게 교반통에서 혼련한 석고혼합 분말을 취득하고, 석고혼합 분말 총량에 1~1.5배의 정재수로 5~10분간 짧은 시간내에 교반통에서 빠르게 교반하여, 교반중에 활성탄과 왕겨숯의 미세다공이 폐쇄되는겄과 작업중에 석고성분이 경화되는것을 방지한,빠르게 석고혼합 몰탈을 취득하여 종이컵 안에 충진할것을 대비한다.
펄프는 종이또는 섬유펄프이며, 석고 경화재는 황산 알루미늄,이며, 발포제의 중탄산 나트륨과 전분은 쌀전분,또는 옥수수 전분이다.
교반및 반죽과정에서 점착질과 불순물이 없는 물(정재수)을 반죽수로 사용한다.
정재수를 흡수한 석고,활성탄,왕겨숯,황토,의 미세다공질은 건조되면, 물분자가 증발되어 미세다공들이 공간을 확보함으로 흡취력이 원상으로 회복되기 때문이며, 합성수지,또는 아교,등의 접착제를 물에 용해시켜 석고혼합 분말과 교반하면, 미세다공의 공간들이 점착액에 페쇄되고 건조하면 더욱 고착되어 석고,활성탄과 황토, 왕겨숯의 흡착력이 약화된다.
준비된 석고혼합 몰탈을 뜸용 종이컵에 충진하여 단열및 흡취의 석고혼합층의 성형 과정은 다음과 같다.
1,준비된 석고혼합 몰탈을 1차로 종이컵의 바닥에 일정량 충진하고 진동(振動)을 가하여 종이컵 바닥에 석고혼합 몰탈이 1~5mm고르게 펴지게한후 건조실에서 10~30분 건조시킨다,
2,석고혼합 몰탈이 수평으로 건조된 종이컵 바닥에, 석고혼합 몰탈을 2차로 일정량 충진하고,진동을 가하여 몰탈이 고르게 퍼지게한후, 알미늄 봉을 종이컵 중심부에 세운다. 봉의 지름과 높이는 컵의 내측 지름보다 1~5mm적게하고,높이는 컵의 높이보다 같거나 다소 높게한다.
3,알미늄봉을 컵중앙에 고정시키면, 2차로 충진된 석고혼합 몰탈의 높이가 알미늄 봉의 부피만큼 컵안에서 솟아오름으로 높이가 커진다.
50~100℃의 건조실에서 10~30분 건조후 알미늄봉을 제거하면, 석고혼합 몰탈은 컵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높이(30~60mm)와 두께 (1~5mm)의 환형으로 견고하게 건조되어 컵의 중앙이 빈공간화되면서, 흡취와 단열의 라운드벽(석고혼합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라운드벽은 원형판지(실링커버)가 부착되는 내벽면의 높이까지 구성되어 원형판지 외주 저면이 라운드벽 끝단면에 접착되게하여, 원형판지 중심부 망사에 고정된 뜸봉이 알미늄 봉이 세워졌던 빈공간에서 연소되게하는것이 연기및 냄새를 흡취하여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원형판지가 종이컵에서 이탈되는것을 방지하고, 알미늄봉이 세워졌던 빈공간에서 뜸봉이 연소하도록, 망사와의 고정됨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또한, 은박지의 원형판지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두께1~5mm 황토판지로 대체할수있으며, 필요에의해서,뜸질용 종이컵을 석고와 황토재질의 반구형 컵으로 대체할수있다.
라운드 벽(석고혼합층)에 라벤다.솔잎,편백,정향,중에서 하나의 분말을 분사하여 열기를 받으면 천연향이 발산되어 시술분위기를 상쾌하게하는, 뜸시작에서 뜸질후 폐기까지 일관되게 한 개의 종이컵에서 끝마무리할수있는 유용한 뜸질용 종이컵이다.

Claims (2)

  1. 뜸봉이 내장된 뜸질용 종이컵에 있어서.
    1),외주면에 통기공(4)이 구성되고, 개방된 입구면에 점착질(2)이 구비된 종이컵(1)은 피부보호 완충역활의 개방부(3)와 내벽면을 따라 1~5mm 석고혼합물층(9,91)으로 둘러쌓인 밀폐부(5)로 구성되는 단계,와
    2),밀폐부를 둘러싼 각종 혼합물 성분비는, 50~200mesh 분말화된 석고 40중량부, 활성탄 20중량부,황토 10중량부,왕겨탄 15중량부의 분말들이 혼합교반되고, 첨가제로 펄프 5중량부,경화제 5중량부,전분3 중량부,발포제 2중량부가 각각 첨가되어, 혼합분말 총중량부에 1~1.5배 중량부의 정재수로 균질하게 반죽하여 석고혼합 몰탈을 취득하는 단계,와
    3),석고혼합 몰탈을 종이컵 바닥에 1~5mm두께로 충진하여 건조시킨후, 컵의 내측 지름보다 1~5mm작은 알미늄 봉(13)을 건조된 바닥에 세우고 2차로 석고혼합몰탈을 충진하여 건조후 알미늄 봉을 제거하면 내벽면을 따라 1~5mm 단열및 흡취의 석고혼합층(9,9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빈공간(10)이 형성되는 단계,와
    4),형성된 빈공간에서, 손잡이(12)가 구조되고,중앙이 타공된 원형판지(6,61 )와 접착된 불연 망사(8)위에 견고하게 고정된 뜸봉(7,71 )이 연소되는 단계,및
    5),연소되는 뜸봉은 저면에 점화심지(11)가 구비된 원주형,반구형,과 톱밥같은 입자형,중에서 하나로 성형되어 밀폐부의 빈공간(10)에서 연소되며.
    라벤다.솔잎,편백,정향,중에서 하나의 분말이 분사된 석고혼합층(9,91 )이 열기를 받으면 천연향이 발산되는것,을 포함하여
    6),종이컵의 외형상은 위는 넓고 아래는 좁게 성형되며, 또는 반구형컵으로 성형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뜸질용 종이컵.
  2. 제1항에 있어서,
    뜸봉은 분말화된 연잎,대나무,함초,쑥,인삼,미강,백미,왕겨탄,미분당,중에서 하나이상을 물로 혼합반죽하여 원주형,반구형, 톱밥같은 입자형,중에서 하나를 성형하거나, 또는,연소연기를 감소시킨 반탄화,또는 탄화된 뜸봉으로 성형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뜸질용 종이컵.
KR1020140004305A 2014-01-14 2014-01-14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10163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05A KR101639284B1 (ko) 2014-01-14 2014-01-14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05A KR101639284B1 (ko) 2014-01-14 2014-01-14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65A true KR20150084365A (ko) 2015-07-22
KR101639284B1 KR101639284B1 (ko) 2016-07-18

Family

ID=5387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305A KR101639284B1 (ko) 2014-01-14 2014-01-14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51B1 (ko) * 2016-07-08 2018-09-13 김세영 향훈증 뜸기구
KR102016882B1 (ko) * 2019-03-29 2019-08-30 오원일 말차 음용이 용이한 찻사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249Y1 (ko) 2002-12-16 2003-03-26 최원호 황토 쑥뜸기
KR20050038052A (ko) * 2003-10-21 2005-04-27 윤재호 덮개부를 구비하는 뜸기
KR100540388B1 (ko) 2003-08-08 2006-01-11 정성호 쑥뜸기 용 쑥 탄 및 원 적외선 방사 쑥 탄
KR100938330B1 (ko) 2008-08-01 2010-01-22 선재광 맞춤형 뜸장치
KR20100128841A (ko) * 2009-05-29 2010-12-08 이호영 사용이 편리한 부항기 및 그 사용방법
KR20110007331U (ko) * 2010-01-16 2011-07-22 배삼훈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KR20110010971U (ko) * 2010-05-19 2011-11-25 배삼훈 뜸봉과 경혈을 일치시킨 공간부가 구성된 뜸팩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249Y1 (ko) 2002-12-16 2003-03-26 최원호 황토 쑥뜸기
KR100540388B1 (ko) 2003-08-08 2006-01-11 정성호 쑥뜸기 용 쑥 탄 및 원 적외선 방사 쑥 탄
KR20050038052A (ko) * 2003-10-21 2005-04-27 윤재호 덮개부를 구비하는 뜸기
KR100938330B1 (ko) 2008-08-01 2010-01-22 선재광 맞춤형 뜸장치
KR20100128841A (ko) * 2009-05-29 2010-12-08 이호영 사용이 편리한 부항기 및 그 사용방법
KR20110007331U (ko) * 2010-01-16 2011-07-22 배삼훈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KR20110010971U (ko) * 2010-05-19 2011-11-25 배삼훈 뜸봉과 경혈을 일치시킨 공간부가 구성된 뜸팩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284B1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02752A (ja) 艾條、お灸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CN105816321A (zh) 砭灸养生床及方法
KR101639284B1 (ko) 뜸질용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JPH0469344A (ja) 無煙無臭灸組成物及びその成形物
CN107158439A (zh) 环保炭香及其制作方法
KR20110007331U (ko)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CN105616150B (zh) 砭灸养生炉及方法
CN101455734A (zh) 一种钨金香艾灸及其制备方法
KR101781410B1 (ko) 연잎분말과 왕겨,왕겨탄,미강의 분말이 혼합 성형된 연뜸봉 및 그제조방법.
JP4809951B1 (ja) 温灸用の燃焼材及びこれを用いた台座灸
KR20130081752A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CN109846709A (zh) 一种控烟艾灸盒
KR200455420Y1 (ko) 훈증기
KR20110115464A (ko) 장식용 서적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9609A (ko) 쑥뜸기 및 이를 이용한 쑥뜸방법
KR100506176B1 (ko) 찜질 조성물
KR100416337B1 (ko) 원적외선 훈열제 및 그 제조방법
JP3150867B2 (ja) 吸着・脱臭剤及び吸着マット
KR101622250B1 (ko) 강황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KR20040066075A (ko) 쑥뜸용 쑥봉
CN205729780U (zh) 砭灸养生炉
CN205849783U (zh) 砭灸养生床
KR102136027B1 (ko) 쑥뜸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024078A (ja) 温熱灸治療具及び灸治療発熱材
KR20120096840A (ko) 대나무 소금 쑥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